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세 제국, 보편권력, 인민주권

        윤비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8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41

        본 연구는 오늘날 제국에 대한 여러 논의들은 흔히 근대에 등장한 제국관을 본질적인 것으로 만들어 과거에 대한 이해에 적용하는 아나크로니즘의 오류에 빠지곤 한다. 그러나 오늘날 제국에 대한 모든 연구는 모든 비역사적 접근법을 벗어나 소위 제국으로 운위되는 정치체들의 존재양식과 그로부터 파생된 정치이론을 보다 실증적으로 연구하고 재구성하는 것에서 시작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 위에서 본 논문은 중세제국은 과연 정치적 보편주의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가, 그리고 중세 제국은 서양정치 사상의 발달과정, 특히 인민주권의 발달과 어떻게 연관되어있는가를 논하려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서양사와 정치사상의 연구자들 가운데 널리 퍼져있는, 중세의 제국관에 대한 일반적 견해들을 비판적으로 재음미하려 한다. This study begins with a criticism on a mistake of anachronism which is frequently committed in the modern discussions on empire and imperialism which generalizes the modern experiences with empire and imperialism and project the conception of empire thus attained to empires of the past. It claims that we can arrive at a proper concep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empires only by studying their functions and ideological contents in their own historical context. On the basis of this problematique, this study asks two questions: "How the medieval empire is related to political universalism during the Middle Age?" and "what is it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idea of people's sovereignty?" By asking these questions, this essay will finally correct misunderstandings about the medieval empire and its nature.

      • KCI등재

        Respekt und Konsens im Politikdiskurs des europäischen Mittelalters. Was die moderne Demokratie schaffte und abschaffte

        윤비,카아스텐 피셔 한독사회과학회 2018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8 No.4

        This study discusses the medieval concept of consent. The concept of consent has been ascribed to modern democracy exclusively, but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medieval political deliberations. It is thus oversimplification to regard the concept of consent as a phenomenon and product exclusively of the modern democratic theories. It is equally problematic to reason from the medieval concept of consent that there was a democracy or its sprout in the Middle Ages. The medieval concept of consent lacked in deliberation on a democratic decision-making process. Furthermore, it presupposed the concept of hierarchy among the members of the society. The medieval political discourse was framed by the concept of hierarchy, which presupposed inequality among the members of the society in terms of the rights and privileges. he following study endeavors to illuminate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medieval concept of consent and help explain the genesis and development of contemporary democracy both as an institution and as an idea. Die folgende Diskussion analysiert den mittelalterlichen Begriff des Konsens. Der Konsens wurde bisher ausschliesslich der modernen Demokratie zugeschrieben. Aber der Konsensbegriff nimmt eine zentrale Bedeutung in mittelalterlichen politischen Überlegungen ein. Es ist also eine Vereinfachung, den Konsensbegriff als Erscheinung der modernen Demokratie und als Produkt des modernen Demokratiebegriffes darzustellen. Umgekehrt führt es auch in die Irre, vom Konsenzbegriff innerhalb der vormodernen, mittelalterlichen politischen Theorien zu folgern, es habe auch im Mittelalter schon Demorkatie selbst oder ihren Keim gegeben. Der Konsensbegriff des mittelalterlichen politsichen Denkens wurde ohne Bezug zu demokratische Entscheidungsverfahren gedacht. Ferner setzte er den Begriff der Hierarchie unter den Mitgliedern einer Gesellschaft voraus. Der mittelalterliche Politikbegriff war viel mehr vom Begriff der Respekt gegenüber dem Übergeordneten bestimmt als in der modernen Demokratie. Die folgende Studie versucht, die Eigentümlichkeit des mittelalterlichen Konsensbegriffes zu erhellen und damit zur Erklärung der Genese und Entwicklung der modernen Demokratie beizutragen.

      • KCI등재

        발터 폰 데어 포겔바이데(Walther von der Vogelweide)의 제국관 -13세기 제국론, 독일 민족의식, 로마교회 비판-

        윤비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학연구 Vol.58 No.1

        This study deals with the idea of empire and the church criticism by Walther von der Vogelweide (c. 1170 – c.1230), a German poet of the early thirteenth century, which was triggered by the feuds over the imperial throne between the Hohenstaufens and the Welfs and the intervention by the Roman church. Being an author of the poems on courtly love and morality, Walther left several poems which commented on a series of significant political events and changes of his time. Walther's poems do not only provide important and rich resources to understand the popular discourse over the political turmoils which the domestic rivalry among the powerful families within the Holy Roman Empire caused; they also enable us to reconstruct the contemporary church criticism which the attempts by the popes since Innocence III to hold the Empire under control precipitated. This study pays a special attention to the combination of the idea of empire with the German national consciousness and patriotism in Walther's poems. By pursuing Walther's ideas this study aims to get at a more vibrant picture of the political discourse on the idea of empi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iritual and the secular power in the Middle Ages. 본 연구는 발터 폰 데어 포겔바이데(Walther von der Vogelweide c. 1170 – c.1230)의 시가에 나타난 제국관의 제 측면들을 살펴보는 한편 제국과 교회의 대립의 맥락에서 제기된 로마 가톨릭 교회에 대한 비판을 함께 고찰하고자 한다. 발터는 중세독일의 대표적 음유시인으로서 궁정연애나 도덕을 다룬 작품들 외에 정치적 메시지를 담은 시가를 여럿 남겼다. 발터가 활동하던 시대는 프리드리히 바르바로싸(Friedrich Barbarossa)와 하인리히 6세(Heinrich VI)의 사후 신성로마제국(Sacrum Imperium Romanum)에 대한 호엔슈타우펜(Hohenstaufen) 왕가의 지배가 로마가톨릭 교회와 여러 제후들에 의해 도전받던 시기였다. 발터의 시들은 이러한 정치적 혼란기에 제기되던 여러 정치적 이슈들에 대한 코멘트를 담고 있으며 이들은 13세기 초반 제국의 존재근거와 정당성을 둘러싼 당대의 담론을 생생하게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통로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발터의 시들에 담긴 로마 가톨릭에 대한 비판적 코멘트는 중세 성기와 후기를 특징짓는 속권과 교권간의 치열한 다툼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특히 발터의 시가에서 보이는 제국관과 독일 민족의식 및 애국주의사이의 관련성에 주목한다. 본 연구는 발터의 시가들을 각 주제와 관련하여 살펴보는 가운데 중세 정치사상의 전반적인 발전과정을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고대 헬라스 세계에서 민주주의(demokratia) 개념의 탄생 -헤로도토스『역사』제3권의 이상정부논쟁을 중심으로

        윤비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社會科學硏究 Vol.22 No.2

        본 연구는 민주주의의 탄생과 발전을 역사적으로 구성하는 가운데 그 과정이 정치사상사에 초래한 변화를 가늠하고 동시에 오늘날의 민주주의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필요한 기반을 마련하려는 시도이다. 우리가 현대 민주주의의 위기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전진을 위한 새로운 좌표를 설정하고자 한다면, 역사적으로 등장한 여러 민주주의에 대한 과장이나 이상화, 혹은 폄하를 벗어나 그들이 그러한 체제를 발생시킨 상황과 조건, 그러한 체제들이 답해야 했던 문제들, 그리고 그러한 응답과정에서 드러난 성과와 한계에 대한 편견 없는 평가가 필요하다.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헤로도토스(Herodotos)의 『역사(Histories Apodexis )』의 제3권에 나타나는 민주주의에 대한 옹호와 비판을 중심에 두고, 펠로폰네소스 전쟁 시기까지 민주정을 둘러싸고 진행된 민주정의 옹호자들과 비판자들간의 논쟁을 재구성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민주정의 탄생이 헬라스 세계의 사상사에 제기한 문제가 무엇이었으며,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를 이해하려고 한다. The main subject of this discussion is the conceptual war conducted by the supporters and the critics ofdemocracy, a newly emerging form of government in the 5th century BC. I will analyze Herodotus’ accountin the third book of his Histories of the discussion on future government, which allegedly took placeamong the Persian conspirators after the successful revolt against the despot Cambyses. I will highlight thedifferent uses the participants make of the term ‘democracy(demokratia),’ and, on the basis of the cluesgathered thus, endeavor to reconstruct contending ideas on democracy in Greece in the 5th century BC.

      • KCI등재

        오월의 나신, 나신의 공동체: 한국사회가 80년 광주를 기억하는 법

        윤비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18 민주주의와 인권 Vol.18 No.4

        This essay discusses the image of a naked body as a representative metaphor related to the Kwangju Resistance Movement of 1980. The image of a naked body vulnerable to violence has dominated the memory of the people about the Resistance Movement. This essay interrogates the reason for its predominance, how it reflects the experiences of the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and how it frames the way of remembering them. By doing this, this essay attempts to evaluate the influences of the Kwangju Resistance Movement on the resistance political discourse of the later time at the level of political symbolism. The first part of this essay will analyze the metaphor of the naked body which arises from the citizens’ experiences in relation to the various notions about nudity in the history of political symbolism. The second part will discuss the restaging and reinterpretation of the metaphor of the naked body in the healing discourse since the late 80’s of the last century.

      • KCI등재

        중세학과 동아시아학의 만남 : 행복한 결합일 수 있는가?

        윤비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9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43

        본 연구는 문화 간 전이 및 비교사에 대해 오늘날 심화되고 있는 관심을 해부하는 가운데, 중세학의 시야와 범위를 확장할 가능성을 모색한다. 본 연구는 중세학의 내외에서 기존 서구의 전통적 공간관에 대해 가해지고 있는 비판에 주목한다. 그러한 고찰에 이어 전근대 동아시아 사회와의 비교사적 연구를 통해 중세학의 외연을 넓히는 한편 이를 통해 기존의 유럽 중심주의를 극복할 필요를 제기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서구중세사회와 전근대 동아시아 사회 간에 보이는 유사점과 차이점을 이해함으로써 중세학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를 통해 오늘날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는 세계사 내지 지구사적 연구흐름에도 중세학이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중세학과 전근대 동아시아학과의 비교연구의 한 예로서 중세정치사상과 전근대기 동아시아 정치사상의 비교고찰을 스케치함으로써 끝을 맺는다. This essay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scope of medieval studies by an in-depth analysis of the new research interests in cultural transfer studies and comparative history. It begins with considering the rising demand inside and outside the medieval studies to revise the traditional spatial concept of the West that has been criticized for being Eurocentric. On the basis, this study draws attention to the pre-modern East Asian studies and a possibility of comparative study, which will be sensitive to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Western medieval and the pre-modern East Asian societies, affirming the need to continue the endeavor in the field of cultural transfer studies. Such a comparative approach may eventually vitalize medieval studies by providing a new perspective and insight. It will also contribute to the ongoing discussions on the possibility of world/global history. This essay ends with sketching a comparative study of medieval political thought and the pre-modern East Asian political thought as an example of such a comparative endeavor.

      • KCI등재

        The Study of Medieval Political Thought and the Image. : Typology in the Mural Cycle in Longthorpe Tower

        윤비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9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44

        이 글은 우리가 텍스트를 연구함에 있어 이미지를 함께 포함시킴으로써 어떠 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가에 대해 논의한다. 이 글은 이미지에 대한 연구가 궁극적으로 정치이론이 작동하고 작용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보다 깊이 풍부하 게 이해할 수 있는 통로가 된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장을 롱쏘프의 벽화사이클에 구현된 예형론이라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논의는 세개 의 단계를 통해 진행된다. 첫째, 본 연구는 중세정치사상의 전통에서 예형론의 문제를 간략히 논의한다. 둘째, 본 연구는 롱쏘프 타워 내 벽화사이클을 소개하 고 어떻게 그 안에 예형론이 구현되어 있는가를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는 중세정치사상사를 이해함에 있어 이미지에 연구가 갖는 가치라는 최초의 질 문에 대해 논함으로써 끝을 맺는다. This essay asks what kind of assistance we may expect from the study of the images in our preoccupation with the texts. It contends that the study of the images can eventually lead to a deeper and richer understanding of the concrete ways the political ideas worked. This essay attempts to sketch this argument with an example: the typological ideas incorporated in the mural circle of Longthorpe Tower. Its discussion takes three steps. First, it briefly discusses the concept of typology in the medieval tradition of political thought. Second, it introduces the mural circle of Longthorpe Tower and discusses how the mural circle expresses the typological concept. In the concluding part, this essay will return to the original question about the value of the images for the historians of medieval political thou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