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젤엔진에서의 매연 입자 배출 특성

        윤민지(Minji Yoon),김규보(Gyubo Kim),조승완(Seungwan Cho),장영준(Youngjune Chang),전충환(Chunghwan Jeon) 한국자동차공학회 2007 한국자동차공학회 지부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Recently, diesel vehicles have been increased and their emission standards have been getting strict. The emission of diesel vehicles contains numerous dangerous compounds, especially particulate matters cause a serious environmental pollutant and affect to human health seriously. Thousands of studies have already reported that particulate matters are associated with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diseases, and death. Due to these,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soot concentration and soot particle size in laboratory flames or practical engines to recognize the soot formation, and develop the control strategies for soot emission.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exhausted soot particle size and volume fraction from 2.0L CRDI diesel engine have been investigated as varying engine speed and load. Laser induced incandescence has been used to measure soot concentration. Time-resolved laser induced incandescence has been used to determine soot particle size in the engine. The soot volume fraction is increased as increasing engine load but soot volume fraction is decreased as increasing engine speed. The primary particle size is distributed about 35nm 60nm at each experimental condition.

      • KCI등재

        온라인 리뷰의 텍스트 분석을 통한 Kano 모델 품질속성 판별 기법

        윤민지(Minji Yoon),서용원(Yong Won Seo) 한국생산관리학회 2020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31 No.1

        Kano 모델은 제품 및 서비스의 종합적 만족도를 관리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최근 고객이 인지하는 품질 만족도를 이해함에 있어 온라인 리뷰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온라인 리뷰와 고객 평점의 관계로부터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속성을 파악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일관된 기준의 고객 평점이 존재하지 않는 많은 온라인 리뷰에서는 평점 기반의 방법이 적용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고객 평점에 의존하지 않고 온라인 리뷰에서 텍스트 분석을 통해 Kano 모델의 품질속성을 판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호텔 예약 사이트를 대상으로 온라인 리뷰 데이터를 수집하여 형태소 분석을 통해 호텔의 주요 서비스 속성을 추출한 후, 속성어 사전을 구축하고 속성어의 긍정 및 부정 도출 빈도를 기반으로 극성을 파악하여 최종적으로 Kano 모델 품질속성을 판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실제 Kano 설문조사 결과와 비교하여 비교적 높은 일치도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Kano model is widely utilized as a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tool. As online reviews are helpful in understanding customers’ perceptions of quality attributes, many research have discussed several methods to identify quality attribute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view texts and customer ratings. However, such approaches cannot be readily applied to reviews with inconsistent customer rating scores. Thus, in this research, we propose a method to identify Kano’s quality attributes by analyzing online textual reviews without relying on customer ratings. We first crawl online reviews from a hotel reservation site, extract major attribute words by utilizing part-of-speech tagging, and build a dictionary of the attribute words. We then analyze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each attribute word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contexts, based on which the polarity of each attribute word is identified. Finally, we identify Kano’s quality attributes based on the frequency of occurrence and polarity of each attribute word. We validate the result by comparing it with the result achieved from the Kano survey.

      • KCI등재

        온라인 리뷰의 텍스트 분석을 통한 고객 평점 예측에 관한 연구

        윤민지(Minji Yoon),조창규(Chang Kyoo Cho),서용원(Yong Won Seo) 한국생산관리학회 2021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32 No.1

        최근 온라인 리뷰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온라인 리뷰와 고객 평점의 관계로부터 제품 및 서비스의 품질속성을 도출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많은 온라인 리뷰에서는 일관된 기준의 고객 평점이 존재하지 않아 평점 기반의 방법이 적용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분석을 활용하여 고객 평점에 의존하지 않고 Kano품질속성과 극성 점수에 기반한 고객 평점 예측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평점의 실제 온라인 리뷰에 대한 결정계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Kano 품질속성을 기반으로 한 고객 평점 예측 모형의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나아가 동일한 Kano 품질속성을 가지는 호텔 성급을 그룹화 하여 각 그룹별로 Kano 품질속성의 특성을 고려하는 경우에 예측력이 더욱 높아짐을 확인하여, 차별화된 Kano 품질속성을 적극적으로 평점 예측에 고려하는 것이 예측력을 높이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평점이 명시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은 고객 리뷰에서 고객들이 잠재적으로 평가하는 평점을 정량화할 수 있음을 입증하여 실용적 의미가 크다. The usefulness of online reviews in understanding customers’ perceptions of quality satisfaction attributes has prompted a growing number of studies to present ways to predict customer ratings based on online review texts. However, these studies re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view texts and customer ratings, which cannot be applied to reviews without explicitly stated rating values. In this study, we propose a model to predict customer ratings from online review texts without explicit customer ratings. We applied text analysis to hotel review texts collected on the internet and extracted the Kano quality attributes of hotel services, based on which we established a model to predict potential customer ratings. Confirming that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for the actual online reviews of the ratings obtained with this model is significant, we demonstrated the validity of the prediction model for customer ratings based on the Kano quality attributes. Furthermore, after grouping hotel star grades having identical Kano quality attributes, we confirmed that predictive power is further enhanced when the Kano quality attributes differentiated by group are considered. Thus, we confirmed that actively considering the specialized Kano quality attributes in the prediction of ratings contributes to enhancing the predictive pow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possible to quantify the ratings customers award in their reviews where rating scores are not explicitly shown, which indicates substantial significance for practical use.

      • KCI등재

        한국 사회의 사회적 고립과 사회인구학적 특성

        박찬웅 ( Park Chan-ung ),김노을 ( Kim Noeul ),유부원 ( Liu Fu Yuan ),윤민지 ( Yoon Minji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20 한국사회 Vol.21 No.2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사회적 고립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회적 고립의 다차원성에 초점을 맞추어 고립의 수준을 차원별로 살펴보고, 어떤 차원에서 어떤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고립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사회적 고립이 단순히 사회적 관계로부터 배제되는 것뿐 아니라, 삶에 필요한 자원의 유형 별로 생활, 경제적, 정서적 차원에서 다차원적으로 경험하는 현상이라는 논의에서 출발한다. 개인이 속한 집단의 특성에 따라 차원별로 각기 다른 수준의 사회적 고립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또한 차원 별로 사회적 고립에 빠지기 쉬운 집단의 특성을 제시함으로써 사회적 고립의 다차원성과 사회적 요인에 관해 논의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2009년부터 2017년까지의 다섯 번의 통계청 <사회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3세 이상, 163,332명의 전체 인구집단을 분석했다. 사회적 고립을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고 이항 로지스틱 과 순서형 로지스틱 분석을 시행해 사회인구학적 특성으로 각 차원에서의 고립 여부와 고립의 중충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첫째, 응답자들의 사회적 고립 수준이 차원 별로 다양하게 나타났고, 둘째, 고립의 차원 별 요인의 경우, 나이가 많고 이혼 혹은 사별을 경험했으며 가구원 수가 적은 사람이 생활 차원의 고립을 경험할 위험이 가장 컸고, 소득이 낮은 사람이 경제적 고립을 경험할 위험이 가장 컸으며, 학력 수준이 낮으며 경제 활동을 하지 않는 남성이 정서적 고립에 빠질 위험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사회적 고립의 차원에 따라 위험군이 다를 수 있으며, 1인 가구나 노인층에 집중된 사회적 고립의 분석을 보다 다양한 집단이 경험할 수 있는 다차원적인 문제로 인식하고, 차원별로 해당 차원의 고립에 노출된 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을 논의했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multidimensionality of the social isolation in the Korean society,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who are vulnerable to such isolation. We start from defining social isolation not only as an exclusion from social relations, but also as the lack of required resources in daily life, economic, and emotional dimensions. Furthermore, we contend that the risk of falling into social isolation of each dimension is different in term of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We utilize the sample of 163,332 individuals from the pooled data of 2009-2017 < Social Survey >. As suggested in the previous studies, social isolation was divided into daily life, economic, and emotional dimensions, and the probability of being isolated in each dimension was predicted through logit regression model. Furthermore, the number of isolated dimensions was predicted using ordered logit regression model. As a result, the levels of social isolation were different across the three dimensions. Those prone to falling in isolation on the daily life dimension were ones who were old, divorced/bereaved, living with fewer family members. Those under the highest risk of experience isolation in the economic dimension were those of low-income, while those under the risk of emotional isolation were low-educated, unemployed male. In conclusion, this study reports that the risk group differs according to the dimension of social isolation. Therefore, we claim that social isolation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as an issue of one-person household or the elderly group, but also as a potential problem that diverse group might experience. In addition, as different people are at risk of separate dimensions of social isolation, different policy measures are required to prevent and resolve such iso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