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홍화씨 추출물이 조골모유사세포활성 및 골재생에 미치는 영향

        윤동환,신형식 원광대학교 치의학연구소 1999 圓光齒醫學 Vol.9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ell proliferation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 osteoblastic cells and to compare the bone healing ability of rat calvarial defects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safflower seed extract treated group. Osteoblastic cells were obtained from calvariae of a fetal rat. Cells were cultured containing DMEM and safflower seed extract (10^-6g/㎖, 10^-3g/㎖) at 37℃ with 5% CO_2 in 100% humidity for 3 days. MT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viability of the cells,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was analyzed to examine the mineralization in vitro. Rat calvarial defects (5×5㎜) in 250g Sprague-Dawly were made using round bur. Rats were administrated with safflower seed extract (0.35g/㎏/day) for experimental periods. Calvarial defects were studied histopathologically and immunohistochemically at 1, 4, and 8 weeks. High concentration group (10^-3g/㎖) of safflower seed extrac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ell proliferation and alkaline phosphatase synthesis in osteoblastic cells. The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and osteoclastic activities were decreased in the safflower seed extract treated group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one maturation was accelerated in the safflower seed extract treated group as compared to control group. No difference in osteoinductive process was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and the safflower seed extract treated group. Immunohistochemical observation revealed that protein expression of TGF-β and osteonectin during early healing phase in the safflower seed extract treated group was slightly increased as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afflower seed extract promotes the healing process in bony defect of rat calvariae, and retains a potential applicability as an adjuvant therapeutic modality for regeneration of periodontal bony defect.

      • 통합체육수업이 초등학생의 인식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윤동환,이광무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5 敎育論叢 Vol.5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고, 통합체육수업을 통한 초등학생의 사회성 차이를 분석하여 통합체육체육의 활성화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 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의 설문지를 참고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게 설문 문항을 재구성하여, 총 29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도구를 S시 소재 5개 초등학교 5?6학년 653명을 대상으 로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0.0을 이용하여 독립 t-test와 일원분산분석 및 사후검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일반학생의 인식 첫째, 성별에 따른 시설의 인식에는 남학생집단이 여학생집단에 비해 인식수준이 높으며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통합체육 수업의 시설, 프로그램 인식에는 5학년 집 단이 6학년 집단에 비해 인식수준이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참여여부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의 시설 인식에는 미참여집단이 참여집단에 비해 인식수준이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참여기간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의 시설 인식에는 미참여집단이 1년 미만 집단, 1년 이상 집단 보다 인식 수준이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통합체육수업을 통한 일반학생의 사회성 첫째, 성별에 따른 장애의 존중성, 협동성은 여학생 집단이 남학생 집단에 비해 사회성 발달 정도 가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협동성은 5학년 집단이 6학년 집 단에 비해 사회성 발달 정도가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참여여부에 따른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참여기간에 따른 초등학생의 사 회성 발달에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교현장에서 장애에 대한 인식개선 교육프로그램과 다양한 체육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군의 시스템 안전 위험도 평가를 위한 테일러링 적용에 관한 연구

        윤동환,김진성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8

        Dur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a weapon system for the military, various types of safety-related problems may arise. In order to manage these safety issues, system safety reviews are usually conducted using U.S. military standard MIL-STD-882. For system safety risk assessments, the standard can be modified through a separate approval process because assessment criteria cannot be fixed due to the increasingly advanced, complex, diversified nature of modern weapon systems. Thus tailoring of assessment criteria is a necessity. This paper provides a description of system safety based on MIL-STD-882E, the current safety risk assessment system applied by the Korean military, and implications for tailoring system safety risk assessments for the development of more efficient and safer military weapon systems. 군의 무기체계 개발과정에서는 안전과 관련한 여러 형태의 문제들이 야기 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문제를 관리하기 위해 그 과정에서 체계 안전성 검토를 실시하고 있으며 기준으로는 미군의 표준인 MIL-STD-882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시스템 안전에서 위험도 평가는 MIL-STD-882에서 별도의 승인과정을 통해 그 기준을 수정할 수 있음을 언급하고 있으며 점차 첨단화,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는 미래 무기체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그 기준이 하나로 굳어져 있을 수 없으며 해당 내용의 테일러링에 대한 그 필요성의 공감과 논의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미군의 시스템 안전 기준인 MIL-STD-882E를 바탕으로 시스템 안전의 대략적인 의미를 설명하고 현재 한국군에 적용하고 있는 시스템 안전 위험도 평가에 있어 다양한 기준의 적용이 가능함을 보임으로써 군 무기체계 개발을 위한 적절한 테일러링 적용방안의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획득사업의 진행이 가능하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강릉단오굿의 실체와 허상

        윤동환 남도민속학회 2014 남도민속연구 Vol.29 No.-

        Gangneung Danogut had been functioned as a provincial ritual before the Gabo Reform and then has been experienced the change rapidly. Seonghwangje was abolished nationally, and the management of Seonghwangdang(Shamanic Shrine) becomes different depending on the faith of regional residents. Japanese shinto shrine which served to Amateras(天照大神) was built in the place of Seonghwangdang by the control policy of Korean shamanism such as police criminal punishment rules in 1912 and Propagation rule in 1915, as a result the place for a provincial ritual was disappeared and lost the function of traditional ritual. Finally, Gangneung Danogut, which functioned as a provincial ritual, became discontinued around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wentieth century. That reason was Korean national policy and the control policy of Korean shamanism of imperial Japan. However, in Okgye, Namhyangjin, Gangdong, Okcheon-dong and Sagimak-ri of Gangneung and Mangsang of the East Sea, shamanic communal rituals have been continued. And then, communal rituals was disappeared, but ‘NanjangByeolsin’ or ‘JangByeolsin’, which is temporarily performed for publicity and prosperity of the event, is still continued. After independence, Danogut, which was discontinu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egan to be performed by old people, especially merchants in Gangneung Jungang market. The name of Gut, which was performed by merchants in the market, has been changed from ‘Byeolsingut’ to ‘Pungnyengut’ and again to ‘Danogut’. Present Gangneung Danoje Festival is recreated based on Gangneung Danoje Festival of 1966. And then it became the ‘archetype’, being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t 1967. Gangneung Danoje Festival of 1967 is to be ‘factitively recreated’ by Donggyeon Im who mixed Akiba’s Gangneung Danoje Festival and memory of old people related to Gangneung Danoje Festival. Nevertheless, Gangneung Danoje Festival is being performed for richness and peace of the region in residents of Gangneung and Yeongdong. 강릉단오굿은 갑오개혁 이전에는 읍치제의로서 기능을 하였으나, 그 이후 급격한 변화를 겪게 된다. 국가 제도적으로 성황제가 폐지되고 지방의 성황당 관리는 지역 주민들의 신앙에 따라 향배를 달리하게 된다. 1912년 경찰범처벌규칙, 1915년 포교규칙 등 일제강점기 무속통제 정책은 강릉 대성황사(大城惶祠) 자리에 천조대신(天照大神)을 제신으로 하는 신사(神祠)를 건립하게 되고, 읍치제의로서 중요한 공간이 사라져버려서 전승맥락을 잃어버리게 된 것이다. 결국 읍치제의로 기능하였던 강릉단오굿은 19세기 말 또는 20세기 초에 단절되었으며, 이렇게 된 까닭은 결국 국가정책과 일제의 무속통제 정책에 원인이 있었다. 그러나 1930년대까지 현재 강릉의 옥계·남항진·강동·옥천동․사기막리, 동해의 망상 등지에서 마을단위의 무속공동제의는 전승되었다. 이후 강릉 내륙 마을에서 행하던 마을굿이 사라졌으나, 행사의 선전과 번영을 주목적하며 임시적으로 행하는 ‘난장별신’ 또는 ‘장별신’은 여전히 행해졌다. 일제강점기에 중단되었던 단오굿은 광복 이후 일부 관심 있는 촌로들, 특히 강릉 중앙시장의 상인들을 중심으로 그 명맥을 이어왔던 것이다. 시장상인들을 중심으로 연행했던 굿은 ‘별신굿’에서 ‘풍년굿’으로, 또 다시 ‘단오굿’으로 명칭이 변화하였다. 현재와 같은 강릉단오제는 1966년에 복원한 강릉단오제를 기반으로 1967년 강릉단오제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면서 ‘원형’으로 자리 잡게 된다. 임동권이 아키바의 「강릉단오굿(江陵端午祭)」과 옛 노인들의 기억을 토대로 현실맥락에 맞게 적절히 조합하여 ‘작위적으로 재구성’한 것이 1967년 이후의 강릉단오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릉단오제는 강릉시민들과 영동주민들에게 지역의 안녕과 풍요를 담보하는 중요 의례로 작용하고 있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성주굿의 지역적 양상과 특징

        윤동환 한국무속학회 2022 한국무속학 Vol.- No.44

        This article focused on Seongjugut practiced in each region. Seongju is a kind of god of the house and symbolizes the house and the house. Seongju is a God for both family faith and shamanism, and is the highest God in the realm of house or household. From the standpoint of person asking for ritual, Seongjugut was requested to pray for the well-being of the family, and from the standpoint of shaman, Seongju or related Gutgeori was added. Seongjugut in each region appears differently according to regional differences. Gutgeori performance method was decided according to locality and audience perception. Influenced by Hwanghae-do Seongjugut, Bucheon Seongjugut follows a style that combines wit, gestures, and singing, and in the case of Hwanghae-do or Seoul's jaesu-gut Seongjugeori, it is performed briefly. Long samurai are performed at Seoul Maeul-gut and Hwangjepuri of Seongjugut, while Seongjugeori of new Seongjugut in southern Gyeonggi and Seongjugut of Donghaeanbyeolsingut perform Seongjugut. In the case of Seongjugut in Honam, there is a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it is an independent Gutgeori or an attached Gutgeori. In the case of Jeju-do Seongjupuri, it is a Shaman's play that focuses on conversation and building a house. Each regional Seongjugut is performed in a local and cultural context. Seongjugut is related to Seongju's faith, and it is affected by the way Gut is performed in each region. Seongjugut is adapting to the situation of the field and the flow of the times. Shamanic rituals are sensitive to social change and adapt appropriately. As a shamanic ritual, Seongjugut functions as a living ritual as long as the notion of Seongju's faith exists. 이 글은 각 지역에서 행하는 성주굿에 주목하였다. 성주는 가신(家神)의 일종으로 집과 집안을 상징한다. 성주는 가정신앙과 무속신앙에서 모두 위하는 신령으로 집 또는 집안이라는 범역에서 으뜸가는 신령이다. 의례를 요구하는 재가집의 입장에서는 가정의 안녕을 빌기 위해 성주굿을 요구했고, 무당의 입장에서도 성주 또는 이와 관련된 굿거리를 추가하였다. 성주굿의 연행방식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지역적 특수성과 관중의 인식에 따라 굿거리 연행방식이 결정되었다. 황해도 성주굿에 영향을 받은 부천 성주굿은 재담과 몸짓, 노래 등이 복합된 양식을 따르고, 황해도나 서울의 재수굿 성주거리의 경우 청배와 공수만으로 짤막하게 연행한다. 서울 마을굿과 성주받이굿의 황제풀이에서는 장편의 무가가 구송되고, 경기 남부 새성주굿의 성주거리와 동해안별신굿의 성주굿에서는 성주본풀이를 행한다. 호남 성주굿의 경우 독립된 굿거리인가 부속 굿거리인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성주를 청하고, 집터 잡기, 지경 다지기, 재목 구하기, 기둥·서까래 만들기, 집칸 나누기 등을 노래로 연행한다. 제주도 성주풀이의 경우 심방과 강태공(소무)의 문답과 집짓는 행위가 중심이 되는 무당굿놀이이다. 각 지역 성주굿은 지역성과 문화적 맥락 속에서 연행된다. 성주굿은 성주신앙과 연결되어있으며, 각 지역에서 행하는 굿의 연행방식에 영향을 받는다. 성주굿은 현장의 상황과 시대적 흐름에 맞춰 적응하고 있다. 무속의례는 사회적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적절하게 적응하고 있다. 무속의례로서 성주굿은 성주신앙에 대한 관념이 존재하는 한 살아있는 의례로 기능하고 있다.

      • KCI등재

        심청굿의 전승과 확산

        윤동환 한국구비문학회 2014 口碑文學硏究 Vol.0 No.38

        Gut has been disappeared by discontinuity of its transmission or changednewly depending on social needs. Shamans in Korean eastern coast hadchanged Chunam-gut or Maengin-geori for the care of eye disease intoSimcheong-gut. In addition, they recreated Simcheong-gut, using the dialectand music of Korean eastern coast. Shamans have attempted it constantly. They sang Bongdeogi-taryeong as narrative shamanism in central andsouthern region of Korean eastern coast. Bongdeogi-taryeong is related to thelegend of Emaile Bell; Shamans in Korean eastern coast sang the story, whicha baby was put in molten metal for the clear note of a bell when EmaileBell was being made, to Semarchi rhythm during Byeolsingut or Ogugut. Atthat time, Bongdeogi-taryeong satisfied popular taste, but it was disappearedby negligence of audiences because of lack of magical power. Shamans in Korean eastern coast accepted magical power of Chunam-gut. Based on i t, t hey used a novel o f S imcheong-jeon as a model o f shaman’ssong and completed Simcheong-gut singing pansori Simcheong-ga as popularsong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gut. Also, shamans satisfied theireconomic desires as adding new performance of asking money. Simcheong-gutof present Byeolsingut in Korean east coast was recreated in consequence of adapting to social situation. 굿은 사회적 요구에 따라 전승력을 상실하여 소멸되거나 새롭게 창출되기도 한다. 동해안 무당들은 안질의 퇴치를 위한 추남굿 또는 맹인거리를 별신굿의 심청굿으로 전환했다. 또한 심청전을 동해안 지역의 언어와 무악을 기반으로 끌어들여 굿으로 재창출했다. 무당들에게 있어서 이러한 시도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김석출과 이금옥의 경우 1950년대에 동해안 중남부지역에서 봉덕이타령을 서사무가로구연하였다. 봉덕이타령은 에밀레종 전설과 관련된 것으로 성덕대왕신종을 만들 때 맑은종소리를 내기 위해 아이를 쇳물에 넣었다는 이야기를 동해안 무당이 별신굿 또는 오구굿에서 중모리장단에 맞춰 무당이 서서 구연한 것이다. 봉덕이타령은 그 당시 대중적 취향에는 부합하였으나, 굿거리로써 주술성이 없었기 때문에 관중의 외면으로 더 이상 전승되지 못하고 사라졌다. 동해안 무당들은 추남굿의 주술성을 수용하였고, 이를 토대로 소설 심청전을 무가의 모본으로 삼아 판소리 심청가 일부를 장면에 맞게 삽입가요로 구연함으로써 심청굿을 완성했다. 또한 무당들은 심청굿을 구연하면서 관객에게 별비를 요구하는 새로운 장면들을 삽입하여 자신들의 경제적 욕구를 충족시켰다. 현재 동해안별신굿의 심청굿은 사회적 상황에 적응한 결과로 재창출된 것이다.

      • KCI등재

        Predicting Consumer Segments in Determining Behavioral Intentions to Hotels’ Environmental Ads: Focus on Cognitive Domain

        윤동환 (사)한국조리학회 2020 한국조리학회지 Vol.26 No.1

        Prior hospitality literature that has examined how environmental advertising can more effectively persuade consumers has been limited. Although consumers’ demographical differences can differ behaviors according to advertising, previous studies have not fully answered in a context of environmental advertis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alient demographical factors with cognitive attitude toward the ad by answering what consumer segments can more effectively be persuaded in increasing intention to visit the hotel.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as an analytical approach, the study considered consumers’ demographical variables with cognitive attitude toward the ad. A total of 681 responden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rom the results of the decision tree, demographical segments were identified in relation to high visit intention to the advertised hotel. The results from the four splits indicate that consumers with a high level of cognitive attitude toward the ad (Aad) were identified as indicating high intention to visit the hotel. In addition, consumers with a low educational level were identified as the segment showing a high level of cognitive Aad. This study provides strategical directions for hotel marketers to effectively persuade aud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