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불교단(朝鮮佛敎團)의 연원과 사적(史的) 변천 ― 조선불교단 임원진의 구성과 이력을 중심으로

        윤기엽 ( Yoon Ki-yeop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97 No.-

        본고는 1920년대 일제 文化政治期의 대표적인 親日 불교단체인 朝鮮佛敎團의 창립과정과 변천 등을 고찰하고 또 그것과 연관된 佛敎振興會와 佛敎擁護會의 설립과 성격 등을 다루었다. 이 글은 1925년에 출범한 조선불교단이 그 전신이 되는 朝鮮佛敎大會는 물론이고, 1910년대의 불교진흥회와 불교옹호회와도 깊이 연계되어 있음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고에서는 조선불교단 임원진의 구성과 이력을 중심으로 이 단체의 친일적 성향과 특성, 그리고 역사적 의미 등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조선불교대회의 후신인 조선불교단은 불교진흥회를 연원으로 하면서 불교옹호회를 승계한 친일 성향의 불교단체였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조선불교단과 불교옹호회 두 단체에서 모두 주요 임원으로 활동한 李完用·李允用 형제, 韓昌洙, 權重顯 등을 통해서 명확히 드러난다. 또한 일본인 고바야시 겐로쿠(小林源六), 나카무라 겐타로(中村健太郞) 등은 조선불교단의 주요 임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929년 10월에 개최된 조선불교대회는 조선불교단의 성격이나 특징을 극명히 드러낸 행사로서 조선인에게 皇國臣民 의식을 심어주는가 하면, 식민통치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한 의도를 담고 있었다. 1930년 이후 조선불교단은 별다른 활동을 하지 않고 침체기로 접어들었다. 그러나 조선불교단은 1945년 해방 직후에도 해산되지 않고 사회구호단체의 일원으로 활동한 기록이 보인다. This paper examines the establishment and transition of Chosun Buddhist Association, a representative parent-Buddhist organization in Japan during the 1920s, and the establishment and nature of Buddhist Promotion Association and Buddhist Advocacy Association. This article intends to clarify that the Chosun Buddhist Association that was launched in 1925 is deeply connected with the Buddhist Promotion Association and the Buddhist Advocacy Association in 1910 as well as the Chosun Buddhist Assembly in its predecessor. In particular, this article focuses on the organization and history of the Chosun Buddhist Association, focusing on the pro-Japanese tendencies,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meaning of the group. The Chosun Buddhist Association after the Chosun Buddhist Conference was a pro-Japanese Buddhist organization that inherited the Buddhist Advocacy Association after the Buddhist Promotion Association. This is evident through Lee Yan-yong(李完用), Lee Yoon-yong(李允用)`s brother, Han Chang-soo(韓昌洙), and Kwon Jung-hyun(權重顯), both of whom served as chief officers in both the Chosun Buddhist Association and the Buddhist Advocacy Association. And Kobayashi Genroku(小林源六) and Nakamura Gentaro(中村健太郞)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as chief officers of the Chosun Buddhist Association. The Chosun Buddhist Assembly, held in October 1929, marked the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osun Buddhist Association. It contained the intention of planting the Japanese emperor`s servant to the Korean people and securing the legitimacy of colonial rule. Since 1930, the Chosun Buddhist Association has entered a period of stagnation without much activity. However, the Chosun Buddhist Association has not been disbanded even after liberation in 1945, but has been recorded as a member of a social relief group.

      • KCI등재

        특집 : 한(韓),중(中),일(日)의 동아시아 불교 근대화와의 만남 ; 일본 근대불교와 사회주의운동 -메이지기(明治期)의 사회주의에 한정하여-

        윤기엽 ( Ki Yeop Yoo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46 No.-

        본고는 일본 메이지기(明治期) 사회주의운동의 전개를 佛敎徒의 사회주의 활동 내용과 관련지어 다룬 글이다. 메이지 초(明治政初)에 소개된 사회주의사상과 이후의 사회주의운동은 근대 일본의 정치, 사회, 사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살펴보아야 할 부문이다. 사회주의사상은 메이지 초 국민운동인 自由民權運動이 활발히 일던 시기에 소개되었고, 이후 청일전쟁, 러일전쟁을 거치면서 社會主義運動으로 정착하게 된다. 청일전쟁 후에는 근대적 노동조합을 통한 노동운동, 사회주의 학술 연구단체인 社會主義硏究會(1898)와 社會主義協會(1900), 최초의 사회주의정당인 社會民主黨(1901), 그리고 平民社와 『주간 平民新聞』(1903)의 활동이 있었다. 러일전쟁 후에는 日本社會黨(1906), 『일간 平民新聞』(1907)의 활동과 無政府主義의 도입, 그리고 직접행동론이 활발히 제기되었다. 이 같은 일본 사회주의운동의 전개에서 불교계와 연관된 것으로 신불교동지회의 新佛敎徒, 無我愛運動의 이토 쇼신(伊藤證信), 大逆사건으로 희생된 불교도의 활동이 있었다. 특히 대역사건 때 死刑에 처해진 우치야마(內山)는 무정부주의자로서 佛道와 無政府主義의 일치를 꽤하며 無政府共産의 이상국가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일본 사회주의운동에서 불교도의 활동은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았지만, 당시 불교계의 현실을 감안한다면 그 활동이 갖는 역사적 의미는 적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socialist movements connected with the socialistic activities of Buddhists in the Meiji(明治) period of Japan. The socialist thought introduced into Japan from Western nations in the early Meiji government and the socialist movements are the section which should be studied by research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olitics, society, and thought of modern Japan. The socialist thought was introduced at the height of the Freedom and People`s Right Movement in the early Meiji period, and after that the socialist movements took root in Japan through the Sino-Japanese War and Russo-Japanese War. After the Sino-Japanese War, labor movements by modern labor unions, the Socialism Research Institute(1898) and Socialism Association(1900) for studying Socialism, the Social Democratic Party(1901) of the first Japanese Socialism Party, the Heiminsha(平民社) and Heimin Weekly News(1903) etc. were in activity. After the Russo-Japanese War, Japan Socialist Party(1906) and the Hemin Daily News(1907) were in activity, anarchism was introduced, an act of violence was raised actively. The socialist movements connected with Buddhism was behaved by the new Buddhists of the New Buddhists` Society, the absolute altruism Movement`s Itoushiyoushin(伊藤證信) and the Buddhists victimized to the case of high treason. An anarchist Uchiyamakuto(內山愚童), who was implicated in the case of high treason and punished with death, hoped to realize the ideal country of anarchy, trying to square anarchism with Buddhism. Though Buddhists` activities was not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Japanese socialist movements, it has important meanings in the history of the Japanese socialist movements, considering the realities of Buddhism at that time.

      • KCI등재

        대동아공영권(大東亞共榮圈)과 경도학파(京都學派)의 이론적 후원

        윤기엽(Ki Yeop Yo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08 佛敎學報 Vol.0 No.48

        1930년대의 일본사회는 軍部의 정치적 영향력이 강화되며 대외침략이 한층 격화되는 軍國主義時代였다. 1937년 7월 중일전쟁이 발생한 다음 해인 1938년 11월 일본 고노에(近衛) 수상은 東亞의 안정을 위해 東亞新秩序수립을 선언했다. 이후 일본사회에서는 東亞聯盟體論과 東亞協同體論등과 같은 아시아주의가 활발히 논의되었다. 특히 동아협동체론은 고노에 수상의 동아신질서 선언을 쇼와연구회(昭和硏究會)가 이론화 한 것으로서 미키 키요시(三木淸)가 주도하였다. 일본, 만주, 중국의협동체를 구성하여 아시아의 解放을 지향한 이론이었지만 일본의 침략정책을 인정하고, 패권을 합리화하는 모순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1940년대의 大東亞共榮圈論에 그대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1940년 7월 고노에 수상이 大東亞新秩序를 선언하자 大東亞共榮圈이 국책으로 확정되고, 1940년대의 대표적인 이념으로 제창되었다. 대동아공영권은 그 범위를 확대해 가면서 서구 제국주의 침략으로부터 아시아의 해방과 共榮을 내세웠지만, 본질은 일본의 아시아침략 논리였다. 이러한 대동아공영권과 태평양전쟁을 사회적으로 담론화 하여 이론적으로 후원한 대표적인 부류가 니시다 기타로(西田幾多郞)를 필두로 한 교토학파(京都學派)였다. 니시다는 東亞民族의 世界史的使命과 대동아공영권과 같은 특수한 세계를 강조하였고, 동아민족의 共榮은 태평양전쟁을 통해서 이룩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萬世一系의 일본 皇室이 주도하는 세계사를 구상하였다. 니시다의 제자인 고야마 이와오(高山岩南)는 일본의 침략전쟁을 세계사적 意義가 있는 사건들로 간주하고, 대동아전쟁을 통해 새로운 세계질서를 수립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고야마는 대동아전쟁과 대동아공영권을 近代世界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과 그 대안으로 제시하였던 것이다. 그런가 하면 니시다와 고야마는 화엄교학에서 보이는 一多의 논리를 적용하여 대동아공영권을 설명하기도 하였다. 본래 華嚴經에 근거하여 圓融思想을 설하는 一卽多의 논리가 교토학파에 의해 대동아공영권을 설명하고 天皇制體制를 옹호하는 데 이용되었던 것이다. The Japanese society in the 1930s was the times of imperialism which came under the political influence of military authorities, and intensified overseas invasion. Japanese Prime minister Konoe(近衛) proclaimed the establishment of the East Asian new order for East Asia`s stability in Nov., 1938 just after Sino Japanese War had begun in 1937. Since then, East Asian Confederativism and East Asian Cooperativism out of various Asianisms were dominant discourses. Especially, East Asian Cooperativism which was theorized by Syouwa(昭和) Institute was the discourse led by Miki Kiyoshi(三木淸) belonged to that. Though being headed for the East Asian freedom from the Western powers, it had a discrepancy of recognizing the invasion policy and rationalizing supremacy in Japan. These problems had a great effect on the Greater East Asian Co prosperity Spherism in the 1940s. When Prime minister Konoe proclaimed the establishment of the Greater East Asian new order in Jul., 1940, the Greater East Asian Co prosperity Sphere as a national policy was decided and it became the typical ideology in the 1940s. In spite of expressing the freedom from Western powers` imperialistic invasion and the East Asian co prosperity with extending the category, it was essentially the logic for Japan intending to invade Asian countries. This Greater East Asian Co prosperity Sphere and the Pacific War was discoursed socially, then theorized prominently by Kyoto(京都) School from Nishida Kitaro(西田幾多郞) down. Nishida emphasized the East Asian peoples` mission in the world history and the unique world such as the Greater East Asian Co prosperity Sphere, and mentioned the East Asian peoples` co prosperity could be achieved through the Pacific War. Besides, he envisioned the world controlled by Japanese royal family transmitted to all ages. Kouyama Iwao(高山岩南) who was Nishida`s pupil regarded aggressive wars of Japan as the meaningful incidents in the world history, and insisted that East Asian peoples should establish the new world order. He suggested that the East Asia should overcome the modern world through the Greater East Asian Co prosperity Sphere and the Pacific War. Moreover, Nishida and Kouyama interpreted the Greater East Asian Co prosperity Sphere with the concept, the one contains the multitude and yet the multitude is as one, which was shown in the Hwaom doctrine. This concept interpreting all encompassing harmony on the basis of Avatamsaka sutra was used by Kyoto School to interpret the Greater East Asian Co prosperity Sphere and advocate the Japanese emperor system.

      • KCI등재

        寶雲義通의 생애를 통해서 본 高麗ㆍ中國의 天台佛敎 - 10세기 중국 天台敎學의 발전을 중심으로

        윤기엽(Yoon Ki-yeop) 보조사상연구원 2008 보조사상 Vol.30 No.-

          중국 천태종의 제13대 祖師인 寶雲義通의 생애는 크게 高麗에서의 20여 년, 吳越에서의 40여 년의 활동으로 나누어진다. 후삼국 통일전쟁기에 고려에서 성장기를 보낸 의통은 20세가 되던 947년(後晉 天福 12) 경 중국에 건너갔다. 당시 高麗의 天台學 연구는 부진한 상태였고, 중국의 천태학을 수용하는 입장이었다. 이때 의통은 求法僧으로서 吳越國에 건너간 것이다.<BR>  의통이 오월국에 도착한 후 20여 년(947~968) 동안의 求法修學期 중에 天台德韶에게 禪法을 깨우치고 螺溪義寂에게 천태학을 受業한 과정은 10세기 중엽 중국불교계의 상황을 그대로 반영하였다. 五代의 혼란기를 통하여 중국에서는 法眼宗과 雲門宗이 크게 발전하였고, 天台宗은 법안종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성장하고 있었다. 그리고 오대의 혼란기에 불교를 보호한 나라는 錢氏王朝의 吳越國이었고, 고려는 후삼국의 전란기에도 해상로를 통해 오월국과 빈번히 교류하고 있었다.<BR>  의통이 오월국에서 구법수학한 시기에 고려에서 智宗과 諦觀이 건너왔다. 지종은 959년에 건너와 의통의 구법 과정과 유사하게 永明延壽로부터 法眼禪을 수학하고, 나계의적으로부터는 천태학을 수학하였다. 그리고 961년 오월국에 도착한 제관은 불교서적을 전하고 교학을 전수하기 위해 파견된 고려의 문화사절이었다. 특히 제관은 오월국에 남아 천태학 입문서인『天台四敎儀』를 남김으로써 훗날 北宋代 천태종의 中興에 기여하게 되었다.<BR>  의통이 錢惟治의 만류로 귀국을 단념하고 20여 년간 傳敎院(후에 寶雲寺)에서 가르침을 편 傳敎時期는 중국 천태종 중흥의 기운이 싹튼 시기였다. 의통의 문하에 法智知禮와 慈雲遵式이 배출되면서 천태학 연구가 새로운 전기를 맞았기 때문이다. 특히『金光明經玄義』의 광본ㆍ약본의 眞僞문제로 시작된 山家山外의 논쟁이 더욱 확산되어 가면서 천태종의 中興期를 가져왔다. 지례는 산가산외의 논쟁을 주도하한 인물이었지만,『金光明經玄義拾遺記』와 같은 그의 주요 저술을 볼 때 상당 부분이 스승 의통의 사상을 계승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은 천태학의 정통이 된 산가파의 사상에 의통의 영향력이 지대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렇게 의통의 전교활동은 北宋代 천태종의 중흥을 가져온 중요한 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The eminent monk Bounuitong(寶雲義通), who became the 13th patriarch of Cheontaejong(天台宗) due to producing a worthy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Chinese Cheontaejong, was born in Koryo(高麗), in 927 and went over to China at the age of twenty, in 947 or thereabouts. When the monk Uitong lived in Koryo, it was in a state of political disorder because of a period of internal disorder for the unification of the Later Three Kingdoms, so the growth of Cheontae(天台) studies in Koryo was depressed at that time. Therefore, Uitong was the monk who went to the southern China, Owol(吳越) nation, for the purpose of studying the way of the Buddha.<BR>  Uitong had learned Son(禪) from the monk Cheontaedukso (天台德韶) and Cheontae studies from the monk Nagaeuijeok(螺溪 義寂) for about twenty years(947~968) after arriving in Owol. During this time, active cultural exchange through Buddhism between Koryo and China prospered. For good examples, the monk Jijong(智宗) from Koryo, who arrived in Owol in 959, learned Beopanson(法眼禪) from Youngmyongyunsu(永明延壽) and Cheontae studies from the monk Jungkwang(淨光). Jijong enhanced his reputation as the scholar of Cheontae studies there, and after that returning to his country, in 970, he introduced Cheontae studies of China into Koryo. Invited by the king of Owol, Junhongsuk(錢弘?), Koryo envoy Jaegwan(諦觀) went over to the nation in 961, and handed Cheontae publications there which had been destroyed at the time of chaotic Five Dynasties in China. He was dispatched as a cultural envoy by Koryo government for imparting Koryo Cheontae studies to China differently from Uitong and Jijong. Writing the Cheontaesakyoui (天台四敎儀) which was estimated as a immortal work in the history of Cheontae studies, he died there in 970 or thereabouts.<BR>  Having given up the idea of returning to Koryo by Junyuchi (錢惟治)"s persuasion, Uitong stayed at Junkyowon(傳敎院) for twenty years(968~988) and then produced brilliant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Cheontaejong as he educated many pupils. He had two pupils named Beopjijirae(法智知禮) and Jaunjunsik(慈雲 遵式) among many eminent pupils at that time. Jirae studied Cheontae studies and taught it eagerly, while Junsik disciplined himself and practiced what he had learned. Especially the 14th patriarch of Cheontaejong(天台宗), Jirae succeeding to Uitong called his group Sanga(山家) group, regarded it as the orthodox school. On the other hand he called the other group Sanuae(山外) group and criticized its theory. The controversy between two groups had been constant since Jirae generation, eventually Sanwae(山外) group became the orthodox school of Cheontaejong by group"s continuous succession. Cheontaejong in China was restored in the North Song(北宋) period by the lasting controversy between two groups. And it was Uitong who had them form the basis of this controversy. Therefore, the restoration of Cheontaejong in China started from Uitong"s teaching at Junkyowon, and then reached its zenith at the age of his pupil generation, the North Song(北宋) period. Because of this point, the position of Uitong in the history of Cheontaejong in China has significant meanings.

      • KCI등재

        고려 혼전(魂殿)의 설치와 기능

        윤기엽 ( Ki Yeop Yoon ) 한국사상사학회 2013 韓國思想史學 Vol.0 No.45

        고려왕실은 조상숭배 시설로 왕릉(王陵), 태묘(太廟), 경령전(景靈殿), 진전(眞殿), 혼전(魂殿) 등을 두고 상례(喪禮), 제례(祭禮) 등을 거행했다. 태묘와 혼전이 유교의 예제에 근거한다면, 진전과 경령전은 불교의 예제에 근거하고 있다. 본고에서 고찰한 혼전은 혼당(婚堂), 반혼전(返魂殿), 우궁(虞宮) 등으로 불리며, 왕이나 왕후의 장례를 마치고 봉안한 신주(神主)를 태묘로 옮길 때까지 존속한 시설이었다. 혼전이 태묘나 경령전에 비해 규모와 격이 다소 떨어지기도 하지만, 3년상(三年喪, 27개월)을 마칠 때까지 상중(喪中)에 있는 우제(虞祭)를 비롯한 각종의 제사를 거행한 까닭에 고려 상장례(喪祭禮)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결코 적지 않았다. 불교를 숭상한 고려왕실은 조선시대와는 달리 유교의 예제에 근거한 혼전을 매우 탄력적으로 운영하였다. 고려의 혼전은 보통 23~27개월 동안 존속하면서 선조의 신주(神主)만이 아니라 진영(眞影)이 봉안되었고, 우제를 비롯하여 소상제(小祥祭), 대상제(大祥祭)와 같은 다양한 형식의 제사가 거행되는 공간이었다. 그런가하면 각종 도량(道場)이나 반승(飯僧)과 같은 불교 의례가 베풀어지는 곳이기도 했다. 이러한 고려 혼전의 유불(儒佛) 혼용의 모습은 조선조의 혼전과 구분되는 뚜렷한 차별성이었다. 한편 고려왕실의 혼전은 3년상을 마칠 때까지 다양한 형태의 유교식 제례가 거행되는 시설이기도 하여 조선조(朝鮮朝)의 전형적인 유교식 혼전이 자리할 수 있는 기틀을 제공하기도 하였다. 고려 멸망 후 조선왕조가 유교국가를 지향하면서 고려의 혼전도 불교적인 색채가 탈색된 유교식의 혼전으로 변모되어갔다. 조선 초에 태조와 태종의 신주를 봉안한 문소전(文昭殿)과 광효전(廣孝殿)이 그 대표적인 예에 해당된다. Goryeo royal family performed funeral rites and ritual ceremonies, establishing ancestor worship facilities like Royal tombs, Royal ancestors` shrine, Jin-jeon(眞殿), Gyeongryeong-jeon(景靈殿), Hon- jeon(魂殿) and so on. It has been said that Royal ancestors` shrine and Hon-jeon were based on Confucian ideas, Jin-jeon and Hon-jeon were stemmed from Buddhist ideas. The Hon-jeon of Goryeo investigated through this paper was called Hon-dang(魂堂), Banhon-jeon(返魂殿), Ugung(虞宮). And it was a room where ancestor tablets were enshrined until they were moved into Royal ancestors` shrine after king and queen had died. Though the Goryeo Hon-jeon`s scale and status was lower in comparison with Royal ancestors` shrine and Gyeongryeong-jeon, it held an very important position in the funeral rites and sacrificial rites because many different kinds of memorial services were held in there for about two years in mourning for the dead. Unlike Joseon(朝鮮) period, Goryeo royal family managed flexibly the Hon-jeon which was connected with Confucian rites. The Goryeo Hon-jeon was the room where not only spirit tablets but also portraits were enshrined, and various kinds of sacrificial rites such as memorial services on the first and second anniversary of ancestor`s death including the sprit comforting services were held for about two years. Also, it was the room where many Buddhist rites like memorial services and food providing service for priests were held. The aspects of the Goryeo Hon-jeon which Confucian elements was mixed with Buddhist ones were distinct differences separated from the Hon-jeon in Joseon. Meanwhile, Goryeo Hon-jeon provided the basis lodging typical Confucian style Hon-jeon for Joseon`s because it was the worship facility in which many kinds of sacrificial rites were heldAfter Goryeo had fallen, Goryeo Hon-jeon turned into Confucian style without Buddhist elements as Joseon aimed for Confucian dynasty. Munsojoen(文昭殿) and Gwanghyo-jeon(廣孝殿) established in the early Joseon are a good example.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사학(史學) : 고려 경령전(景靈殿)의 건립과 동향

        윤기엽 ( Ki Yeop Yoo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9 No.-

        경령전(景靈殿)은 고려 왕실의 태묘(太廟)와 함께 조상숭배를 위한 가장 중요한 시설이었고, 제사의 한 형태였다. 송(宋) 경령궁(景靈宮)의 영향을 받은 경령전은 선왕(先王)의 진영(眞影, 초상)을 모시고 제사를 올리는 공간으로 현종 때 설립되었다. 경령전은 왕궁 내에 진영을 모신 진전(眞殿)의 한 형태로 불교식 예제이기도 했지만, 5묘제(五廟制)로 운영된 까닭에 유교식 예제가 가미된 매우 독특한 방식의 조상숭배였다. 따라서 경령전은 고려 왕실의 조상숭배 형태와 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대상이 되었다. 한대(漢代)에 기원을 둔 원묘(原廟)이기도 한 경령전은 현종이 친부모인 안종(安宗)과 효숙태후(孝肅太后)를 봉안하고자 재위 18년(1027) 쯤에 건립한 것으로 보인다. 경령전은 태묘와는 다르게 왕위계승이 아닌 혈연에 의한 직계 부모를 봉안한 점이 특징인데, 이것이 제16대 예종 때 태조를 비롯해 현 국왕의 직계 4대조(四代祖)를 5실에 모시는 형태로 정착되었다. 경령전의 운영과 기능은 고려의 역사와 더불어 많은 변화를 겪었다. 고려중기 왕권 안정기의 경령전은 태조와 국왕의 직계 4대조를 봉안하며 왕실과 국가의 사당으로 중요한 기능을 수행했다. 그러나 무인정권기 왕권의 추락과 함께 경령전의 운영이 순조롭지 못했고, 그 기능도 이전에 비해 현저히 축소되었다. 또한 원(元) 간섭기와 고려 말에는 경령전의 기본 형태는 유지되었지만, 그 기능이 크게 저하되어 최소한의 의식이 거행되는 정도였다. 경령전은 부침을 거듭하였지만 고려 멸망 때까지 그대로 유지되었고, 또 조선 초에는 문소전(文昭殿), 광효전(廣孝殿) 등에 영항을 주었다. Gyeongryeong-jeon(景靈殿)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stitutions and ritual forms for royal family together with Taemyo(太廟) in Koryeo(高麗) Dynasty. Gyeongryeong-jeon, which affected by Gyeongryeong-gung(景靈宮) of Song(宋) Dynasty in China, was a room for deifying ancestors` portraits and performing ancestral offerings. It was built during the reign of Hyeonjong(顯宗) in Koryeo Dynasty. Gyeongryeong-jeon was a very unique form of ancestor worship because it was Buddhist ceremony by the Jinjeon(眞殿) deifying ancestors` portraits and Confucian ceremony by the system of performing memorial rite in honor of five direct ancestors. Therefore it has been the subject of the study by researchers in order to understand forms and contents of ancestor worship of Korea`s royal family. Probably Kyeongryeong-jeon, which originated in wonmyo(原廟) of Han(漢) Dynasty in China, was in Koryeo Dynasty, was built to enshrine dead parents, Anjong(安宗) and queen mother Hyosuk(孝肅) by king Hyeonjong in 1027 or so. It was one of the notable features of Gyeongryeong-jeon that direct parents was enshrined regardless of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unlike Taemyo. After that time four direct ancestors aside from Taejo(太祖) was enshrined in the five rooms of Gyeongryeong-jeon during the reign of Yejong(睿宗) of Koryeo Dynasty. The operation and function of the Gyeongryeong-jeon had been changed a lot depending on the age in Koryeo. The Gyeongryeong-jeon in the middle of Korea Dynasty played an important function as a shrine of state and royal family with enshrining Taejo and four direct ancestors of present king in the stable period of royal authority. But its operation did not go well and the function was eminently reduced with the decline of royal authority in the regime period of soldiers. And though its basic forms has been maintained in the Won(元) intervention period and the late Koryeo period, a few rituals were performed due to the heavy decline of its function. Gyeongryeong-jeon had been maintained until Koryeo was ruined in spite of all sorts of ups and downs over the history, and Munso-jeon(文昭殿) and Gwanghyo-jeon(廣孝殿) succeeded the one as a shrine for ancestor worship in early Joseon(朝鮮).

      • KCI등재

        일본 전통의 불교식 葬禮文化와 그 변화 양상

        윤기엽(Yoon, Ki-yeop) 불교학연구회 2011 불교학연구 Vol.28 No.-

        본고는 일본의 전통적 장례문화가 형성된 과정과 그것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 그리고 그 변화의 양상을 고찰한 글이다. 일본에서 불교식의 葬禮와 祭禮가 시행되고 있는 사실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함께 장례와 제례의 절차, 내용 등을 살펴본 것이다. 일본의 전통 장례문화는 중세 때 나타난 民衆佛敎와 조상숭배 신앙이 결합하여 형성되었고, 이것이 근대의 檀家制度를 통해서 제도적으로 정착되었다. 이 과정에서 일본 고유의 불교 형태인 葬儀佛敎도 형성되었다. 일본의 전통 장례문화는 민간신앙과 외래종교인 불교가 결합한 것으로서 이것을 크게 葬禮와 祭禮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일본에서의 장례와 제례는 불교의례에 의거해 죽은 사람의 死靈을 조상신으로 승화시켜 가는 과정이었다. 장례는 臨終으로 시작하여 유골의 매장 의식까지, 그리고 제례는 初7일 법요부터 33회기의 의례와 연중행사인 오봉(お盆), 히강(彼岸)의 조상공양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전통 장례문화는 아직도 일본에서는 지켜지고 있지만 사회변동과 더불어 많은 내적 변화를 겪고 있다. 그 변화의 양상은 의례에 있어서 종교적 색채가 약화되고, 또 간소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墓制는 火葬이 일반화되어 가족 納骨墓로 획일화 되고 있다. 최근에는 불교식 장례와 전혀 관련이 없는 無宗敎葬, 直葬, 그리고 散骨, 樹木葬까지 등장하여 앞으로의 장례문화에 더욱 더 많은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backgrounds of the traditional funeral culture which has formed in Japan, its contents and transformation. This thesis treat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dure and contents of funeral and ancestral rituals which have been performed in Japan. The traditional funeral culture of Japan was formed with an ancestor worship peculiar to Japan and the popular Buddhism of the Middle Ages, and took root through the danka(檀家) system. In this process funeral Buddhism made its appearance in Japan. The traditional funeral culture of Japan was divided into funeral ceremonies and ancestral rituals, and these are examined in this paper. Funeral ceremonies and ancestral rituals of Buddhism are ceremonies sublimating ghosts into ancestor spirits. Funeral ceremonies are rituals performed from dying to the storage of bones store, and ancestral rituals mean the Buddhist service from the 7th day to the 33th anniversary of ancestors’ death praying for souls and annual events such as Obong(お盆), Higang(彼岸). Though the traditional funeral culture is still maintained in Japan, many internal changes have happened accompanied social ones. First of all, changes include that the Buddhist influence over ceremonies is being weakened, and simplified. Accordingly as cremation is generalized, a type of tomb is being conformed to the charnel house for family. Recently, many types of funerals, which are not related to Buddhist funerals, are appearing; for example a direct cremation, an irreligious funeral, natural burials, and so on therefore it is clear that many aspects have dramatically changed.

      • KCI등재

        원(元) 간섭 초기 고려(考慮) 선종계(禪宗界)의 변화와 사원 동향 -주요 선종 사원의 변화를 중심으로-

        윤기엽 ( Ki Yeop Yoon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2 禪文化硏究 Vol.12 No.-

        본고는 고려 왕조가 몽고의 침략에 굴복한 후, 元帝國의 정치적 간섭을 받던 시기에 고려 禪宗界의 변화 양상을 주요 선종 사찰을 통해 알아보고, 이와 함께 당시 고려사원의 일반적인 동향을 고찰한 글이다. 고려 왕조가 원나라의 통치 아래에 놓이게 되면서 불교계의 변화도 불가피하게 되었는데, 무인정권기에 修禪社를 중심으로 주류를 이루었던 禪宗界의 변화는 초기부터 타 종파에 비해 더욱 두드러졌다. 이 때문에 元干涉期와 麗末불교계의 일반적인 동향과 사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원간섭 초기 선종계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원간섭 초기 선종계의 변화에서 우선 주목되는 현상은 무인정권기에 선종 사찰의 중심에 있었던 수선사가 급격히 쇠퇴하며 元皇室의 願刹로 변모해간 사실이다. 또한 수선사계 사찰인 강화의 禪源社역시 元世祖때부터 역대 황제의 원찰이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수선사와 선원사에 국한되지 않고, 賢聖寺, 普濟寺를 비롯한 개경의 주요 사원에도 유사하게 일어났다. 다음으로 迦智山門출신의 禪僧一然의 활동으로 무인정권기의 사굴산문을 대신하여 가지산문이 선종을 주도하게 되었다. 일연이 주석한 禪月社(禪源寺), 雲門寺,麟角寺가 크게 성장하였고, 특히 인각사는 선종 山門의 대집회인 九山門都會를 개최하며 산문 전체를 결속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산문 사이의 경계가 무인정권기에 이어서 계속 완화되어 갔다. 가지산문의 일연이 사굴산문의 수선사계인 선월사(선원사)의 주지에 임명된 것은 대표적인 사례에 해당한다. 이러한 산문 사이의 소통 현상이 결국 구산문도회의 개최를 가능하게 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시대의 변화에 부응하는 새로운 불교사상을 수용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여 충렬왕대 말부터 蒙山思想이 적극 수용되기도 하였다.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change aspects of Seon community through Seon school`s main temples, and the general trend of the main temples in Koryeo(高麗) during the Yuan(元) intervention after Goryeo dynasty yielded to the invasion of the Mongols. When Goryeo dynasty was ruled over by Yuan(元) Empire, the change of Buddhist community was inevitable as well. Especially, the change of Seon school which formed the mainstream in the center of Suseonsa(修禪社) during the military government was more outstanding than any other Buddhist school from the period of early Yuan intervention. Therefore, in the first place the change aspects of Seon community in the period of the early Yuan intervention will be researched in order to grasp the general trend of Buddhist community or the Buddhist thought in the period of Yuan intervention and in the late Goryeo age. First of all, it is remarkable phenomenon that Suseonsa, which was at the heart of the temples of Seon school in the period of the military government, was rapidly declining in power, and turned into the memorial temple of Yuan imperial house. Seonwonsa(禪源社) in lineage of Suseonsa became its memorial temple also since the reign of emperor Saejo(世祖). Such similar temples as this including Hyunsungsa(賢聖寺) and Bojaesa(普濟寺) appeared in Gaegyeong(開京) and the nearby areas, as well. Secondly Gajisan(迦智山) school played a leading part in Seon school instead of Sagulsan(嶋窟山) school of the military government period because National Master Ilyeon(一然) from Gaji - san school took an very active part in Buddhist community. Seonwolsa(禪月社), Unmunsa(雲門寺) and Ingaksa(麟角寺) in which Master Ilyeon stayed greatly improved, and of them Ingaksa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olidifying nine mountain Seon schools` unity, holding the general meeting of nine mountain schools. For the last time, the boundaries among Seon schools kept mitigating since the period of military government. It was a typical example that Master Ilyeon(一然) from Gajisan school became the head of the Seonwolsa in lineage of Suseonsa. It is thought that in the end the mutual understanding among Seon schools resulted in holding the general meeting of nine mountain schools at Ingaksa. The mutual understanding made it possible that the Seon thought of Mongsan(蒙山) was actively accepted from the reign of King Chungyul (忠烈) because of its creating the environment absorbing the new Buddhist thought to meet the change of times.

      • KCI등재

        일본 법화계(法華系) 신종교의 한국 전파와 교의(敎義) -국내 본문불립종,영우회,입정교성회의 포교활동과 교의-

        윤기엽 ( Ki Yeop Yoon ) 한국신종교학회 2012 신종교연구 Vol.26 No.-

        본고는 현재 국내에서 활동 중인 일본 법화계(法華系) 신종교의 교단 중 본문불립종(本門佛立宗), 영우회(靈友會), 입정교성회(立正僑成會)의 포교활동과 교의를 고찰한 글이다. 이들의 교세(敎勢)는 한국 창가학회(한국SGI)와 같은 교단에 비하면 매우 미미한 편이나, 일찍 한국 땅에 전파되어 현재까지 존속해 오며 일본계 신종교가 갖고 있는 여러 가지 특징들을 보여주고 있어서 주목할 만하다. 본문불립종은 한국에 전파된 지 100년의 긴 역사를 갖고 있고, 영우회와 입정교성회는 재가주의(在家主義) 불교를 지향하며 이곳에 정착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다. 본문불립종은 1910년 국내에 들어와 학송사(鶴松寺)를 중심으로 포교 활동을 시작하였고, 현재 본산인 학송사와 서울의 신청사가 그 맥을 잇고 있다. 본문불립종은 사찰을 운영하고 신도를 지도하는 교무(敎務)를 두고 있으며 현증이익(現證利益)을 강조하고 있다. 영우회는 1960년대에 제주도 포교를 시작하여 부산, 서울·경기 지역까지 확대해 갔지만, 현재 부산본부 ``영우회 인너트립(inner trip)센타``가 그 맥을 잇고 있다. 또 입정교성회는 1979년 한국연락소를 설치하며 포교를 시작해 서울 한남동 교회를 중심으로 활동하였고, 부산지부를 운영해 오고 있다. 국내의 영우회와 입정교성회는 모두 재가주의(在家主義) 불교를 지향하며 개인의 생활 속에서 부처의 가르침을 실천할 것을 강조하고 회원들의 선조공양(先祖供養)을 중요시한다. 현재 한국 본문불립종, 영우회, 입정교성회가 처한 내외적 상황은 매우 열악한 상태로서 이들의 미래는 밝지 않다. 이들이 추구하는 『법화경』의 이상세계 실현을 위한 보다 구체적이고 혁신적인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propagation and doctrine of Honmon Butsuryushu(本門佛立宗), Reiyukai(靈友會), Rissho Kosei-kai(立正僑成會) among the Japanese new religions for the Lotus-Sutra group in Korea. Though their total number is slight in comparison with the Korea Soka Gakkai International(韓國SGI) now in Korea, they deserve to be researched because of the long history of propagation and the several characteristics of Japanese new religions. The propagation history of the Honmon Butsuryushu is 100 years old, and the Reiyuka, Rissho Kosei-kai have tried to plant their roots in Korea since they arrived in Korea. Honmon Butsuryushu came into Korea in 1910, and its Haksongsa(鶴松寺) took the lead in the propagation since then. Now Haksongsa and Shinchungsa(新淸寺) is keeping Korean Honmon Butsuryushu in existence. In the Honmon Butsuryushu, koymu(敎務) or priest has run temples and led their members, and the earthly profit have been emphasized. Starting the propagation in Jaeju province, 1960s, Reiyukai expanded propagating area in Seoul and Kyoungki province, but only ``Reiyukai inner trip center`` in Pusan keeps maintaining Korean Reiyukai`s existence now. Founding its liaison office in Seoul, 1979, Rissho Kosei-kai started missionary work in Seoul, and a Buddhist seminary in Hannamdohg of Seoul has been the lead in the propagation with managing its Busan branch. Reiyukai and Rissho Kosei-kai in Korea, which has pointed to Buddhism with focus on general believers, has put emphasis on practicing Buddha`s teaching in their daily lives and regarded their taking care of ancestors very highly. Because now they come to inferior circumstances inside and out, they don`t hold a bright future in developing their religious order. At this point, they have to lay out concrete and innovative plans in order to realize the ideal world of Lotus Sutra which they have been pursing.

      • KCI등재

        근대일본 법화계(法華系) 신종교의 역사적 성립과 발전 -본문불립강(本門佛立講), 영우회(靈友會)의 역사적 전개와 교의(敎義)에 대한 일고-

        윤기엽 ( Ki Yeop Yoon ) 한국신종교학회 2010 신종교연구 Vol.22 No.-

        본고는 일본 신종교의 한 부류인 법화계 신종교에 속하는 본문불립강과 영우회를 고찰한 글이다. 현재 일본의 신종교 교단은 2,000여개 이상으로 추정되고, 신자수는 일본 전체 인구의 10~20%에 이르며, 또 그 절반 이상이 법화계 신종교의 신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일본의 종교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신종교 특히 법화계 신종교는 반드시 연구되어야 할 분야이다. `법화계 신종교`란 『법화경』의 신앙전통과 그것을 재해석한 니치렌(日蓮)의 사상을 계승한 신종교의 한 부류를 말하는 것으로서 본문불립강과 영우회는 신종교의 발생과 붐이 일던 시기(幕末~昭和前期)에 법화계 신종교를 대표하는 교단으로서 본문불립강은 니치류 문류(日隆門流)인 팔품파(八品派)를 계승하고 있다. 또한 전후(戰後)에 크게 발전한 창가학회는 닛코 문류(日興門流)인 부사파(富士派)를 계승한 일련정종(日蓮正宗)의 재가단체이다. 본문불립강(후에 本門佛立宗)은 니치렌을 종조로 하고, 니치류를 문조(門祖)로 하여 나가마츠 닛센(長松日扇)이 1857년 쿄토(京都)에서 창시한 재가신도 모임(講)이었다. 팔품파(本門法華宗)의 승려였던 닛센은 환속 후 본문불립강을 열어 법화신앙의 본 정신으로 돌아가 타락한 교단을 개혁하고자 했다. 본문불립강에서는 현증이익(現證利益)을 강조하여 나무묘호렌게쿄(南無妙法蓮華經)를 암송함으로써 질병을 다스리고,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가르친다. 본문불립강의 현증이익의 강조는 내세의 가치를 중시하는 승려의 권위를 부정하고 재가자 중심의 신앙활동을 주장하게 된다. 영우회는 1924년에 쿠보 카쿠다로(久保角太郞)와 코타니 키미(小谷喜美)가 창시한 법화계의 재가교단이었다. 법화신자인 카쿠다로는 법화신앙과 샤머니즘적인 전통을 결합한 독자적인 신앙을 확립하여 『법화경』의 이상세계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혹독한 수행을 거친 후 영능자(靈能者)가 된 키미는 영술(靈術)을 이용해 포교활동을 적극 펴나갔다. 영우회는 승려의 존재를 부정하며 각 개인이 가정에서 선조공양을 행함으로써 가정과 국가가 행복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재가자의 선조공양을 통해 『법화경』의 이상세계를 실현하고자 하는 영우회는 신자의 포교활동을 중시하여 가정모임의 성격인 법좌(法座)활동을 펴고, 윤리규범인 정행(正行)을 준수하도록 한다. 본문불립강과 영우회는 모두 니치렌의 사상을 계승한 혁신적인 법화계 재가교단이지만, 본문불립강이 선구적인 위치에서 온건한 개혁을 지향했다면, 영우회는 보다 개혁적인 입장에서 적극적인 포교활동을 전개한 교단이었다.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Honmon butsuruyukou(本門佛立講) and Reiyukai(靈友會) affiliated to new religions for Lotus-Sutra group in modern Japan. Now Japanese new religions are estimated to be above two thousand, the believers in new religion reach 10-20 percent of entire population in Japan and a half of them are believers of Lotus-Sutra group. Therefore, Japanese new religions, especially Lotus-Sutra group is the section which should be studi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isting state of Japanese religions. And the Honmon butsuruyuko and Reiyukai were representative of Lotus-Sutra group in the period of Japanese new religions` appearing and booming. The Honmon butsuruyukou succeeded to Happhong school(八品派) or Nichiruyu(日隆)`s followers, and Soka Gakkai(創價學會) which prospered in the postwar era succeeded to Hugi school(富士派) or Nikko(日興)`s followers. The Honmon butsuruyukou(本門佛立講) was founded by Nagamachi nissen(長松日扇) in 1857, worshiping Nichiren(日蓮) as the founder of Nichirensyu(日蓮宗) and Nichiruyu(日隆) as the founder of Happhong school. Nagamachi nissen leaving the Happhong school`s priesthood tried to return the former state of the faith in Lotus-Sutra and reform the religious body through the Honmon butsuruyukou. Because the Honmon butsuruyukou emphasized profits showing in this world, it asserted that diseases could be cured and poverty overcame only by reciting Namumyouhorengekyou(南無妙法蓮華經). And stressing on profits showing in this world, it refused the authority of priests who attached to importance to afterlife, and asserted a religious body managed by general believers. The Reiyukai(靈友會) was founded by Kubo kakutaro(久保角太郞) and Kotani kimi(小谷喜美) in 1924. Kakutaro, a believer in the Sutra of Lotus, tried to realize the ideal world, establishing the creative belief which combined Shamanism with the faith in the Sutra of Lotus. And Kimi(喜美) who became the Shaman after extreme asceticism devoted herself to the propagation of the Reiyukai depending on spiritual skill. The Reiyukai flatly denied the priests` existence, and asserted that family and nation would enjoy happiness only by taking care of ancestors. It also have tried to realize the ideal world of the Sutra of Lotus by general believers` taking care of ancestors, and put great stress on believers` being engaged in missionary work, and made them execute ethical norms, Seikou(正行). Though the Honmon butsuruyukou and Reiyukai was all new religions for Lotus-Sutra group by general believers, the one headed toward moderate reformation as a pioneer and the other was very aggressive in pursuing the propagation, taking a reformer st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