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元干涉期 天台宗寺院의 흥성과 불교계 動向

        윤기엽 한국불교학회 2004 韓國佛敎學 Vol.37 No.-

        In the period of Yuan(元) intervention, one of the great changes in Buddhist community was remarkabl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eontaejong(天台宗) temples. As the main temples we can name Myoryonsa(妙蓮寺), Gukcheongsa(國淸寺) in the capital region, Geumjangsa(金藏寺), Yongamsa(龍巖寺), Yeongwonsa(瑩源寺) in the local region, and Gwanggyosa(光敎寺) in Daedo(大都), the capital of Yuan. Specially because Myoryonsa, which was developed by King Ch'ungryl(忠烈) and Yuan princess Jaeguk(齊國), was the major memorial hall of the Yuan imperial house as well as the central temple of Cheontaejong, it played a key role in wearing pro-Yuan inclination of Cheontaejong. In the reign of King Ch'ungryl Cheontaejong, Sonjong(禪宗) and Beopsangjong(法相宗) became the influential Buddhist sects on the basis of each central temple, such as Myoryonsa, Ingaksa(麟角寺), and Donghwasa(桐華寺). In the reign of King Ch'ungson(忠宣) and King Ch'ungsuk(忠肅) many Cheontaejong temples, including Gukcheongsa, were thriving. Also Beopjusa(法住寺) and Geumsansa(金山寺) were developed as the main temples of Beopsangjong. However, the development of Sonjong temples were sluggish. The periodical limitation of the Yuan intervention period brought the revival of Cheontaejong that was based on Cheontaejong temples which were very much pro-Yuan. On the other hand, it resulted in the dullness of Sonjong that was less pro-Yuan than Cheontaejong. 元干涉期 고려불교계의 큰 변화 중 하나는 天台宗寺院의 급격한 성장과 발전이었다. 그 주요사원으로 중앙의 妙蓮寺, 國淸寺 지방의 金藏寺,龍巖寺, 瑩源寺 元 大都의 光敎寺 등을 들 수 있다. 忠烈王과 齊國公主의 發願으로 창건된 묘련사는 天台宗의 중심사원인 동시에 元皇室의 중심願堂으로 기능하여 천태종이 親元的 성향을 띠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국청사는 無畏丁午의 住持를 계기로 하여 忠宣王忠肅王代에 천태종의 중심사원으로 성장하였다. 금장사, 용암사, 영원사 등은 丁午와 義旋이 주석하게 되면서 지방 소재의 주요 천태종사원으로 발전하였다. 그리고 光敎寺는 元 大都에 소재한 高麗系의 천태종사원이었다. 忠烈王代에는 천태종의 묘련사와 함께 禪宗의 麟角寺, 法相宗의 桐華寺가 각 종파를 대표하는 사원으로 성장하여 세 宗派가 불교계의 유력한 세력이 되었다. 그리고 忠宣王忠肅王代에는 국청사를 위시한 천태종사원이 흥성하였고 동화사를 비롯한 法住寺, 金山寺는 법상종의 주요사원으로 성장하였다. 여기서 인각사는 충렬왕 때 一然의 下山所가 되어 禪門을 결집시키는 역할을 하였고, 동화사는 충렬왕충숙왕대에 宗室勢力의 경제적 기반이 되었으며 또 國尊 惠永과 彌授가 주석한 사원이었다. 원간섭기의 시대적 한계성이 親元 성향이 강한 천태종사원에 기반을 둔 天台宗의 中興을 불러온 것이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조선 초 군소종파 소속의 자복사찰資福寺刹 실태 - 자복사찰 19사의 연혁과 변천을 중심으로

        윤기엽 한국국학진흥원 2015 국학연구 Vol.0 No.28

        This paper was a study on the 19 Jaboksa temples belonging to three minor sects of all 88 Jaboksa temples in the reign of Taejong(太宗), in the early Joseon period. It grasped the real facts of the 19 Jaboksa temples each along with the substance of minor sects and the trends and changes in Buddhism of the early Josoen dynasty. The studies of the early Joseon Buddhist history were mostly concentrated in the suppressing policy of Buddhism for a long while, but this study investigated another aspects of the Joseon period Buddhism through minor sects and affiliated temples reorganized by the state. The 19 Jaboksa temples consisted of 8 temples of Jungsingjong (中神宗) sect, 8 temples of Chongnamjong(摠南宗) sect, 3 temples of Sihuengjong(始興宗) sect, and they were relatively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except for Hamgildo Province and Pyeongando Province. The 8 temples of Jungsingjong sect, which Jungdojong(中道宗) sect and Sininjong(神印宗) sect were integrated into, were mostly built in the Silla era and distributed in the 3 south provinces, most of them were ruin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8 temples of Chongnamjong sect, which Jungdojong(中道宗) sect and Sininjong(神印宗) sect were integrated into, were temples mainly of the Goryeo(高麗) era and be influenced by Seon Buddhist temples. The 3 temples of only Chongnamjong sect were the fewest temples, but were distributed in a relatively large area, and there is little contents to which people have access. The 19 Jaboksa temples belonging to three minor sects were planned according to the country’s Buddhist policy, and ever since the reign of Taejong, tendenci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sect have been gradually tarnished. 본 연구는 조선 태종太宗 7년에 지정된 자복사찰資福寺刹 88사 중 3개의 군소종파群小宗派에 소속된 19사를 고찰한 것이다. 조선 초 군소종파의 존재와 더불어 그것에 소속된 19사 각 사찰의 실태를 파악하여 조선 초 불교계의 변화와 동향을 보고자 하였다. 그 동안 조선 초의 불교사연구는 대개 억불정책抑佛政策에 집중되었지만, 본 연구는 국가에 의해 재편성된 군소종파와 그 소속 사찰의 고찰을 통해 조선조 불교사의 또 다른 측면을 조명하였다. 자복사찰 19사는 중신중中神宗 8사‧총남종摠南宗 8사‧시흥종始興宗 3사로 편성되었고, 함길도와 평안도를 제외한 전국 지방에 비교적 균등히 분포되어 있었다. 중도종中道宗과 신인종神印宗이 통합된 중신종에 소속된 8사는 대개 신라시대에 창건된 고사찰로 주로 삼남三南 지방에 분포하였고, 임진왜란 때 대부분 폐사되었다. 총지종摠持宗과 남산종南山宗이 통합된 총남종에 소속된 8사는 주로 고려시대의 사찰로 선종사찰의 영향력이 강했다. 독자의 종파인 시흥종에 소속된 3사는 가장 적은 수효였지만 비교적 넓은 지역에 분포한 듯하나 전해오는 내용은 거의 없다. 자복사찰 19사의 소속 종파는 태종 때 조정의 불교시책에 의해 인위적으로 편성되었다고 보아야할 것이다.

      • KCI등재

        고려 경령전(景靈殿)의 건립과 동향

        윤기엽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9 No.-

        Gyeongryeong-jeon(景靈殿)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stitutions and ritual forms for royal family together with Taemyo(太廟) in Koryeo(高麗) Dynasty. Gyeongryeong-jeon, which affected by Gyeongryeong-gung(景靈宮) of Song(宋) Dynasty in China, was a room for deifying ancestors’ portraits and performing ancestral offerings. It was built during the reign of Hyeonjong(顯宗) in Koryeo Dynasty. Gyeongryeong-jeon was a very unique form of ancestor worship because it was Buddhist ceremony by the Jinjeon(眞殿) deifying ancestors’ portraits and Confucian ceremony by the system of performing memorial rite in honor of five direct ancestors. Therefore it has been the subject of the study by researchers in order to understand forms and contents of ancestor worship of Korea’s royal family. Probably Kyeongryeong-jeon, which originated in wonmyo(原廟) of Han(漢) Dynasty in China, was in Koryeo Dynasty, was built to enshrine dead parents, Anjong(安宗) and queen mother Hyosuk(孝肅) by king Hyeonjong in 1027 or so. It was one of the notable features of Gyeongryeong-jeon that direct parents was enshrined regardless of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unlike Taemyo. After that time four direct ancestors aside from Taejo(太祖) was enshrined in the five rooms of Gyeongryeong-jeon during the reign of Yejong(睿宗) of Koryeo Dynasty. The operation and function of the Gyeongryeong-jeon had been changed a lot depending on the age in Koryeo. The Gyeongryeong-jeon in the middle of Korea Dynasty played an important function as a shrine of state and royal family with enshrining Taejo and four direct ancestors of present king in the stable period of royal authority. But its operation did not go well and the function was eminently reduced with the decline of royal authority in the regime period of soldiers. And though its basic forms has been maintained in the Won(元) intervention period and the late Koryeo period, a few rituals were performed due to the heavy decline of its function. Gyeongryeong-jeon had been maintained until Koryeo was ruined in spite of all sorts of ups and downs over the history, and Munso-jeon(文昭殿) and Gwanghyo-jeon(廣孝殿) succeeded the one as a shrine for ancestor worship in early Joseon(朝鮮). 경령전(景靈殿)은 고려 왕실의 태묘(太廟)와 함께 조상숭배를 위한 가장 중요한 시설이었고, 제사의 한 형태였다. 송(宋) 경령궁(景靈宮)의 영향을 받은 경령전은 선왕(先王)의 진영(眞影, 초상)을 모시고 제사를 올리는 공간으로 현종 때 설립되었다. 경령전은 왕궁 내에 진영을 모신 진전(眞殿)의 한 형태로 불교식 예제이기도 했지만, 5묘제(五廟制)로 운영된 까닭에 유교식 예제가 가미된 매우 독특한 방식의 조상숭배였다. 따라서 경령전은 고려 왕실의 조상숭배 형태와 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대상이 되었다. 한대(漢代)에 기원을 둔 원묘(原廟)이기도 한 경령전은 현종이 친부모인 안종(安宗)과 효숙태후(孝肅太后)를 봉안하고자 재위 18년(1027) 쯤에 건립한 것으로 보인다. 경령전은 태묘와는 다르게 왕위계승이 아닌 혈연에 의한 직계 부모를 봉안한 점이 특징인데, 이것이 제16대 예종 때 태조를 비롯해 현 국왕의 직계 4대조(四代祖)를 5실에 모시는 형태로 정착되었다. 경령전의 운영과 기능은 고려의 역사와 더불어 많은 변화를 겪었다. 고려중기 왕권 안정기의 경령전은 태조와 국왕의 직계 4대조를 봉안하며 왕실과 국가의 사당으로 중요한 기능을 수행했다. 그러나 무인정권기 왕권의 추락과 함께 경령전의 운영이 순조롭지 못했고, 그 기능도 이전에 비해 현저히 축소되었다. 또한 원(元) 간섭기와 고려 말에는 경령전의 기본 형태는 유지되었지만, 그 기능이 크게 저하되어 최소한의 의식이 거행되는 정도였다. 경령전은 부침을 거듭하였지만 고려 멸망 때까지 그대로 유지되었고, 또 조선 초에는 문소전(文昭殿), 광효전(廣孝殿) 등에 영항을 주었다.

      • KCI등재

        근대일본 법화계(法華系) 신종교의 역사적 성립과 발전-본문불립강(本門佛立講), 영우회(靈友會)의 역사적 전개와 교의(敎義)에 대한 일고-

        윤기엽 한국신종교학회 2010 신종교연구 Vol.22 No.-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Honmon butsuruyukou(本門佛立講) and Reiyukai(靈友會) affiliated to new religions for Lotus-Sutra group in modern Japan. Now Japanese new religions are estimated to be above two thousand, the believers in new religion reach 10-20 percent of entire population in Japan and a half of them are believers of Lotus-Sutra group. Therefore, Japanese new religions, especially Lotus-Sutra group is the section which should be studi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isting state of Japanese religions. And the Honmon butsuruyuko and Reiyukai were representative of Lotus-Sutra group in the period of Japanese new religions’ appearing and booming. The Honmon butsuruyukou succeeded to Happhong school(八品派) or Nichiruyu(日隆)’s followers, and Soka Gakkai(創價學會) which prospered in the postwar era succeeded to Hugi school(富士派) or Nikko(日興)’s followers. The Honmon butsuruyukou(本門佛立講) was founded by Nagamachi nissen(長松日扇) in 1857, worshiping Nichiren(日蓮) as the founder of Nichirensyu(日蓮宗) and Nichiruyu(日隆) as the founder of Happhong school. Nagamachi nissen leaving the Happhong school’s priesthood tried to return the former state of the faith in Lotus-Sutra and reform the religious body through the Honmon butsuruyukou. Because the Honmon butsuruyukou emphasized profits showing in this world, it asserted that diseases could be cured and poverty overcame only by reciting Namumyouhorengekyou(南無妙法蓮華經). And stressing on profits showing in this world, it refused the authority of priests who attached to importance to afterlife, and asserted a religious body managed by general believers. The Reiyukai(靈友會) was founded by Kubo kakutaro(久保角太郞) and Kotani kimi(小谷喜美) in 1924. Kakutaro, a believer in the Sutra of Lotus, tried to realize the ideal world, establishing the creative belief which combined Shamanism with the faith in the Sutra of Lotus. And Kimi(喜美) who became the Shaman after extreme asceticism devoted herself to the propagation of the Reiyukai depending on spiritual skill. The Reiyukai flatly denied the priests’ existence, and asserted that family and nation would enjoy happiness only by taking care of ancestors. It also have tried to realize the ideal world of the Sutra of Lotus by general believers’ taking care of ancestors, and put great stress on believers’ being engaged in missionary work, and made them execute ethical norms, Seikou(正行). Though the Honmon butsuruyukou and Reiyukai was all new religions for Lotus-Sutra group by general believers, the one headed toward moderate reformation as a pioneer and the other was very aggressive in pursuing the propagation, taking a reformer stand. 본고는 일본 신종교의 한 부류인 법화계 신종교에 속하는 본문불립강과 영우회를 고찰한 글이다. 현재 일본의 신종교 교단은 2,000여개 이상으로 추정되고, 신자수는 일본 전체 인구의 10∼20%에 이르며, 또 그 절반 이상이 법화계 신종교의 신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일본의 종교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신종교 특히 법화계 신종교는 반드시 연구되어야 할 분야이다. ‘법화계 신종교’란 법화경의 신앙전통과 그것을 재해석한 니치렌(日蓮)의 사상을 계승한 신종교의 한 부류를 말하는 것으로서 본문불립강과 영우회는 신종교의 발생과 붐이 일던 시기(幕末∼昭和前期)에 법화계 신종교를 대표하는 교단으로서 본문불립강은 니치류 문류(日隆門流)인 팔품파(八品派)를 계승하고 있다. 또한 전후(戰後)에 크게 발전한 창가학회는 닛코 문류(日興門流)인 부사파(富士派)를 계승한 일련정종(日蓮正宗)의 재가단체이다. 본문불립강(후에 本門佛立宗)은 니치렌을 종조로 하고, 니치류를 문조(門祖)로 하여 나가마츠 닛센(長松日扇)이 1857년 쿄토(京都)에서 창시한 재가신도 모임(講)이었다. 팔품파(本門法華宗)의 승려였던 닛센은 환속 후 본문불립강을 열어 법화신앙의 본 정신으로 돌아가 타락한 교단을 개혁하고자 했다. 본문불립강에서는 현증이익(現證利益)을 강조하여 나무묘호렌게쿄(南無妙法蓮華經)를 암송함으로써 질병을 다스리고,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가르친다. 본문불립강의 현증이익의 강조는 내세의 가치를 중시하는 승려의 권위를 부정하고 재가자 중심의 신앙활동을 주장하게 된다. 영우회는 1924년에 쿠보 카쿠다로(久保角太郞)와 코타니 키미(小谷喜美)가 창시한 법화계의 재가교단이었다. 법화신자인 카쿠다로는 법화신앙과 샤머니즘적인 전통을 결합한 독자적인 신앙을 확립하여 『법화경』의 이상세계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혹독한 수행을 거친 후 영능자(靈能者)가 된 키미는 영술(靈術)을 이용해 포교활동을 적극 펴나갔다. 영우회는 승려의 존재를 부정하며 각 개인이 가정에서 선조공양을 행함으로써 가정과 국가가 행복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재가자의 선조공양을 통해 법화경의 이상세계를 실현하고자 하는 영우회는 신자의 포교활동을 중시하여 가정모임의 성격인 법좌(法座)활동을 펴고, 윤리규범인 정행(正行)을 준수하도록 한다. 본문불립강과 영우회는 모두 니치렌의 사상을 계승한 혁신적인 법화계 재가교단이지만, 본문불립강이 선구적인 위치에서 온건한 개혁을 지향했다면, 영우회는 보다 개혁적인 입장에서 적극적인 포교활동을 전개한 교단이었다.

      • KCI등재

        조선시대 자복사찰(資福寺刹) 88사의 시기적 변동양상과 위상 연구 - 18세기의 존속 사찰을 중심으로 -

        윤기엽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2

        In this study, among the 88 Jabok temples designated in 1407 (7th year of King Taejong’s reign), the main temples that survived until the 18th centu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18th century surviving temples’) were the focus of this study, and the status and trends of surviving temples were examined. In addition, it were reviewed that the temple sites, which has been ruined since the 19th century, but whose value has recently increased. The 88 Jabok Temples designated during the Taejong era were famous in the entire country at that time, and only 56 temples survived in the 16th century and 36 temples in the 18th century. The social status of the temples that have survived can be divided into famous temples linked to the state or royal family, symbolic famous temples of Joseon Buddhism, and famous temples in local society. It can be seen the Buddhist belief was firmly maintained at the bottom of society through the surviving temples, and a result of the poor environment society of Joseon Buddhism through the ruined ones,

      • KCI등재

        일본 近代佛敎의 北美지역 布敎

        윤기엽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48 No.-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propagation of the Japanese Buddhism in North America which had become one of the modern developments of Buddhism in Japan. The propagation of Japanese Buddhism in Asia was carried out in the process of Japanese imperialistic invasion, but on the other hand the propagation in North America was done due to Japanese immigrant workers who went over to Hawaii and America. The propagation of Japanese Buddhism in North America is an important field of study which should be researched in order to grasp generally the foreign propagation of the modern Japanese Buddhism, to understand its launching into the Western nations. The propagation in North America by several Buddhist denominations were developed actively because the Japanese immigrants increased suddenly in accordance with Meizi(明治) government's foreign emigration policies and the tendency of preferring Japanese laborers to Chinese ones in Hawaii and America. However, the expulsion agitation against Japanese took place and immigration laws on Japanese exclusion was legislated due to the growing Japanese immigrants. The Japanese Buddhist denominations propagating in North America were Shinshu(眞宗) Honganji Sect(本願寺派) and Otani Sect(大谷派), Zyoudoshu(淨土宗), Nichirenshu(日蓮宗), Soutoushu(曹洞宗), Rinzaishu(臨濟宗), Shingonshu(眞言宗) and so on, and they have been leading Buddhist denominations in the country. Honganji Sect assigning propagators to Hawaii and America in 1898∼1899 embarked on the formal propagation in North America, and after that it has led the North American propagation. Zyoudoshu started the Hawaiian propagation at first in 1896, and Oriental Seon(禪) was propagated for the first time in America through Chicago's International Religion Congress in 1893. Especially, Shaku Soyen(釋宗演) and his disciples made efforts to propagate Seon to white people in America. Though the various forms of propagation by several denominations had been suspended by the outbreak of Pacific War in 1941, it was resumed just after the war came to an end. After the end of the war, the North American propagation was diversified and developed as new religion of Buddhist line starting with Soka Gakkai International(創價學會) set about the propagation. Shinshu Honganji Sect celebrated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North American propagation in 1999. 본고는 일본불교의 근대적 발전 중 하나로 거론되는 海外布敎의 실상을 北美지역에 한정하여 살펴본 것이다. 아시아 지역의 포교가 日帝의 아시아 침략과정에서 수행되었다면, 北美지역의 포교는 하와이와 美대륙으로 건너간 일본인 勞動移民이 증가하면서 이루어졌다. 일본인의 미국 移民史와 연계되어 전개된 북미지역 포교는 일본불교의 해외포교 전반을 파악하거나, 동아시아 불교의 西歐진출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연구해야 할 분야이다. 불교 각 宗派의 포교활동은 메이지정부(明治政府)의 해외이민 장려책과 하와이·미국에서 중국인 대신 일본인 노동자를 선호하게 되어 일본인 이민이 증가하면서 활발히 전개될 수 있었다. 하지만 일본인 이민의 급증으로 인해 미국 내에서 排日運動이 일어나고, 排日移民法이 제정(1924)되기도 하였다. 북미지역의 포교에 참여한 종파는 일본 내의 유력 종파인 眞宗 本願寺派와 大谷派, 淨土宗, 日蓮宗, 曹洞宗, 臨濟宗, 眞言宗 등이었다. 북미지역의 포교를 주도한 종파는 진종 본원사파로서 1898∼1899년에 開敎使를 파견하며 공식적인 포교를 시작하였고, 淨土宗은 하와이 포교에 가장 일찍 착수하였다(1896). 그리고 동양의 禪이 미국에 처음 전파된 것은 1893년 시카고 萬國宗敎大會를 통해서였고, 臨濟宗의 샤쿠 소우엔(釋宗演)과 그의 제자들은 특히 백인사회에 禪을 전파하는데 힘썼다. 北美지역에서 각 종파가 행한 다양한 형태의 포교활동은 1941년 12월 태평양전쟁의 발발로 開敎使와 신도들이 억류되면서 중단되었지만, 종전 후에는 그것이 거의 재개되었다. 大戰 후 북미지역의 포교에는 創價學會(SGI)를 위시한 佛敎系의 新宗敎도 참여하게 된다. 진종 본원사파는 1999년 미국포교 100주년을 맞았다.

      • KCI등재

        각진국사 복구(復丘)와 불교계 동향

        윤기엽 보조사상연구원 2014 보조사상 Vol.42 No.-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career of the national preceptor Gakjin Bokgu(覺眞復丘), the 13th abbot of Suseonsa Temple(修禪社), and the trend of Buddhism circle of Won(元) intervention period in Goryeo dynasty, focusing on the history of Goseong(固城)-Yi(李) family and Baekamsa Temple(白巖寺). It is a very meaningful because the achievements of Bokgu who was born into a good family in the Won intervention period and resided in the Suseonsa which was the typical temple in the late Goryeo including Baekamsa, Bulgapsa Temple(佛甲寺), reflected many kinds of changes of Buddhism circle and politics at that time. Bokgu who was born into Yi family, which leaped into a good clan in the Bokgu's father generation, had relatives of new Confucianism scholars such as Baek i-jung(白頤正), Park chung-jwa(朴忠佐), but it seems that he became a Buddhist monk because he was influenced by his mother and uncle Yi haeng-geom(李行儉) on his mother's side, both of them had devout faith in Buddhism. He who made the 5th abbot of Suseonsa, Wono Cheonyeong(圓悟天英), his mater and became a monk, resided in the Suseonsa as the 13th abbot for twenty years until he moved in Baekamsa in 1320 or thereabouts. Suseonsa was declining in those days, and it is speculated that Suseonsa was influenced by the thought of Mongsan(蒙山) than Jinul(知訥) unlike the soldier government period in the context of the general trend of Buddhism circle. The thought of Mongsan was actively accepted by Mt. Gaji-san(迦智山) sect as well as Suseonsa, and was very popular among Goryeo monks during the Ueon intervention period. Bokgu resided in the Baekamsa in his infancy and twenties, and he greatly reconstructed the temple with his cousin Yi am(李嵒) in 1340 or thereabouts. This fact was a starting point that Baekamsa was changed into the temple of being managed by Yi family. When Bokgu resided in Bulgapsa, he was proclaimed royal preceptor in 1350, 1352. He died at Baekamsa in 1355, and was granted a posthumous epithet, national preceptor Gakjin(覺眞). Deviated from the control of the government, Baekamsa was also managed by descendants of Yi family since Bokgu and Yi am generation. We can get a glimpse of Buddhist secularization from the fact that Baekamsa was transformed into the temple for praying to Buddha for the happiness and good luck of one family. 본 연구는 수선사의 제13세 각진국사 복구(復丘)의 생애와 그가 활동했던 고려 원간섭기(元干涉期)의 불교계 동향을 고찰한 것으로 복구의 가계인 고성(固城) 이씨의 내력과 그가 주석한 백암사(白巖寺, 현 백양사)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원간섭기에 명문사족(名門士族)의 가문에서 태어나 고려후기의 대표적 사원인 수선사(修禪社)를 비롯해 백암사, 불갑사(佛甲寺) 등에 주석하며 활동한 복구의 행적은 당시 불교계의 다양한 변화 양상과, 정치계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어서 연구의 의미는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존비(李尊庇) 대에 명문가로 부상한 고성 이씨 가문에서 태어난 복구는 친인척으로 백이정, 박충좌와 같은 성리학자도 있었지만, 불교신앙이 돈독했던 어머니와 외가(外家)인 이행검 가계의 영향을 받아 불가에 귀의했던 것으로 보인다. 수선사의 제5세 천영(天英)을 스승으로 하여 출가한 복구는 1320년경 수선사 제13세 주지로 부임하여 1340년경 백암사로 옮겨갈 때까지 약 20년간 주석하였다. 수선사는 당시 원간섭기 불교계의 전반적인 동향에 비추어볼 때 무인정권기와는 달리 사세(寺勢)는 쇠락한 상태에 있었고, 지눌보다는 몽산(蒙山)의 선사상에 영향을 크게 받았던 것으로 예견된다. 몽산선은 원간섭기에 들어와 수선사뿐만 아니라 가지산문에서도 적극 수용되면서 크게 유행했던 것이다. 복구는 만년인 1340년경 유년시절과 20대에 머물었던 백암사(白巖寺)에 주지하였을 때 친조카 이암(李嵒)과 함께 발원하여 중창(重創) 불사를 크게 열었다. 이것은 후대에 백암사가 이씨 가계의 원찰(願刹)로 변모되는 단초가 되기도 했다. 복구는 불갑사에 주석하던 때인 충정왕 2년(1350)과 공민왕 1년(1352)에 왕사(王師)로 책봉되었다. 그리고 공민왕 4년(1355) 백암사에서 입적하였고 시호를 각진국사(覺眞國師)라 하였다. 백암사는 복구와 이암 후대에도 이씨 가문에 의해 운영, 유지되며 국가의 통제를 벗어나기도 했는데, 이처럼 한 사원이 특정 가계의 원찰로 변모된 사실에서 당시 불교계 세속화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 KCI등재

        고려시대 지배층관료의 가족생활상 연구

        윤기엽 한국국학진흥원 2022 국학연구 Vol.- No.47

        본 연구는 고려시대 지배층 관료의 가족생활상을 현전하는 부부의 묘지명墓誌銘을 중심으로 고찰한 글이다. 고려시대 묘지명 40여 점을 면밀히 분석하여 당시 지배층 가족의 구체적인 생활상을 살펴본 것이다. 당시 가정생활을 주도해 간 주체는 부인이었고, 남편은 가정사에 소홀한 편이었다. 가정의 대소사大小事에서 자녀의 교육에 이르기까지의 많은 일이 부인의 책무였다. 당시 부인들에게는 남편에 대한 순종과 수절 등 유교윤리가 권장되었지만, 조선조의 경직된 가부장제 사회에서 보기 어려운 면도 적지 않았다. 가정에서 가장 경사스러운 일은 자식의 과거 급제였고, 반면 불행사不幸事는 죽음에 의한 가족과의 이별이었다. 남편을 먼저 보내고 비구니가 된 부인들의 생활에서는 고려 불교사회의 일면도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