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증강현실 기반의 공간 상호작용을 위한 깊이 카메라 적용

        윤경담(Kyungdahm Yun),우운택(Woontack Woo) 한국HCI학회 200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2

        기존의 증강현실 기반 상호작용 기법은 상호작용 주체의 원활한 추적을 위해 마커 기반의 패들이나 데이터 글러브 등의 부가적인 입력장치에 의존하거나 제한적인 3차원 입력만을 허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 논문에서는 대상 개체 주변 공간의 물리적 점유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해석하는 비접촉식 수동형 공간 상호작용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깊이 카메라로 구성한 증강현실 환경에 가상의 공간 센서를 배치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공간적으로 해석한다. 그 결과, 부가적인 입력장치의 착용이 필요하지 않으며, 입력 형태에 대한 제약을 최소화하고, 증강된 영상 내의 상호작용 객체 간에 정확한 거리감을 제시한다. 향후 이러한 기법은 미니어쳐 AR 시스템과 같은 동적 콘텐츠 전시 플랫폼의 인터페이스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Many interaction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has attempted to reduce difficulties in tracking of interaction subjects by either allowing a limited set of three dimensional input or relying on auxiliary devices such as data gloves and paddles with fiducial markers. We propose Spatial Interaction (SPINT), a noncontact passive method that observes an occupancy state of the spaces around target virtual objects for interpreting user input. A depth-sensing camera is introduced for constructing the virtual space sensors, and then manipulating the augmented space for interaction. The proposed method does not require any wearable device for tracking user input, and allow versatile interaction types. The depth perception anomaly caused by an incorrect occlusion between real and virtual objects is also minimized for more precise interaction. The exhibits of dynamic contents such as Miniature AR System (MINARS) could benefit from this fluid 3D user interface.

      • 마커 은닉을 위한 패치 기반 텍스쳐 합성

        윤경담(Kyungdahm Yun),우운택(Woontack Woo) 한국HCI학회 2007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2 No.2

        본 논문은 영상의 자연스러운 증강을 위하여 패치 기반 텍스쳐 합성에 의한 마커 은닉 방법을 제안한다. 마커는 증강현실을 구성하는 물체의 인식과 추적을 위해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되지만, 시각적으로 강조되어야 하는 특성으로 인해 증강현실의 실감성 감소와 사용성 저하를 유발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제안된 방법은 영상 속의 마커를 대체할 수 있도록 주변 배경과 어울리는 새로운 영상을 합성하여 마커를 은닉한다. 패치 기반의 텍스쳐 합성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실시간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배경 텍스쳐의 전역적인 특성을 유지하고, 영상 주변의 조명 변화에 유연하다는 장점이 있다. We propose a novel method to conceal fiducial markers observed in augmented scenes using patch-based texture synthesis. Despite the efficiency for simple object recognition and tracking, the markers deliver inherent obtrusiveness. They do not only reduce immersiveness, but also severely degrade usability of augmented reality. The proposed method constructs alternative images in real time to overlay markers present in the sequence of images. The global characteristics of background textures are retained and the results are more adaptive to illumination changes.

      • 작물모형 연구 및 교육을 위한 개발 프레임워크

        윤경담(Kyungdahm Yun),문경환(Kyung Hwan Moon),김수형(Soo-Hyung Kim)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환경요인에 따른 작물생리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작물모형(crop model)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최근 작물학 및 원예학 등 농업과학 전반에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생리에 관여하는 세부 기작을 직접 구현하는 과정기반(process-based) 작물모형은 기후변화와 같이 기존에 경험하지 못한 환경요인에 대한 컴퓨터 기반 실험을 가능하게 하여 작황예측이나 재배적지 탐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하지만 많은 경우 이미 발표되어 있는 해외 모형을 내부구조나 적용조건에 대한 고찰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밖에 없는 현실에 직면하게 된다. 이는 작물모형 개발이 식물생리, 토양, 농림기상, 수리, 통계, 전산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다학제적 접근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중에서 실제 컴퓨터 코드를 작성하는 단계는 여러 분야의 지식을 통합하는 접점으로써 기술적인 의존도가 높으며, 작물모형연구 및 교육 과정에서 핵심이 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에 작물모형 구현에 필수적인 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플랫폼으로써 Cropbox 프레임워크를 소개한다. Cropbox는 작물모형의 설계부터 코드 구현, 실험 수행, 결과 해석 및 시각화까지의 전 과정을 지원하는 도메인 특화 언어(domain-specific language)의 형태로 설계되었으며, 특히 모형을 구성하는 각 변수의 특성 및 다른 변수들과의 관계를 선언적(declarative)으로 표현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모형 구현을 위한 기술적인 상세를 직접 챙겨야하는 절차적(procedural)인 방식과는 달리 개발자가 모형의 표현적인 의미에 집중하여 보다 원활하게 모형을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프레임워크를 통해 선언된 모형은 Julia 프로그래밍 언어 기반으로 구동되며, 필요한 경우 다른 패키지나 언어와 연동하여 확장이 가능하다. 프레임워크 자체는 오픈소스로 공개(https://github.com/cropbox)되어 있어 누구나 개발에 참여할 수 있다. 본 발표에서는 Cropbox 프레임워크에 대한 개요와 더불어 Cropbox 기반 마늘모형 개발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 연구 사례, 워싱턴대학교 대학원 작물모형 수업에서의 Cropbox 활용 교육 사례를 소개한다. 이를 통해 국내 작물모형 연구개발의 저변을 넓히는 계기가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