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Call for Community-Based Suicide Prevention in South Korea

        육성필,Hirsch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6 No.2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community-based approaches to suicide prevention and national strategies for the decrement of suicide rate, and made some suggestions to decrease the suicide rate in South Korea. Until now, efforts to understand and prevent suicide have been pursued singularly by specialized interest groups such as psychiatrists, psychologists, mental health practitioners, and private organizations with little interaction between them, resulting in narrow approaches toward suicide that existed in relative isolation to one another and that have been largely ineffective. To decline the suicide rate in South Korea, the people lived in Korea community ought to have enough knowledge related to suicide and have to cooperate with other people. Through these efforts, Korea community would have established social safety networks to improve the community’s mental health.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uicide prevention and declining the suicide rate is reducing the stigma and increase the self-help seeking behaviors associated with suicide and mental health. Therefore, suicide is not an individual problem solved by suicidal patient, but a community’s problem solved by community in recognizing, managing and preventing suicide.

      • KCI등재

        한국형 심리부검 기반 이차원적 자살유형 연구: 자살행동과 자살위험요인을 중심으로

        육성필,서종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9 No.1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suicidal behaviors and risk factors of completed suicides using psychological autopsy and use them as index variables to classify suicidal types. In addition, this study looked into the influential factors that affect each suicidal type. related to suicidal behaviors and suicidal risk factors by psychological autopsy. In addiction, the distinctions among the classes were analyzed. For this, psychological autopsies were conducted on the families and the close ones of 128 completed suicides. Then, the index variables were finally chosen for classifying suicidal types. The selected index variables for suicidal risk factors were mental disorders, suicide/self-harm, significant changes in physical appearance, marital conflict, adjustment and relationship issues at work/school, unemployment/layoff, jobless status and serious financial problems. The selected index variables for suicidal behaviors were expressing their suicidal attempts, writing suicidal notes, asking for help, the time/place/method of suicidal behavior, past suicidal/self-harm experience and the first person who witnessed the suicide. The Latent Class Analysis(LCA) and the 3-step method were used for classifying suicidal types. Then external variables(financial changes, cohabitation, existence of stressors, changes in stress level or relationships and family members with mental disorder/alchohol problems/ physical disorders, and work/school stisfaction) were applied for distinguishing classes. As a result, 5 classes(financial problems, adjustment problems, complex problems, psychiatric problems, and response to event[s]) were revealed on suicidal behaviors and 3 classes(residence- suicidal attempt- found by family, nonresidence- nonsuicidal attempt- found by acquaintances, residence- nonsuicidal attempt- found by family) were presented on suicidal risk factors. External variables such as gender, marital status, cohabitation, changes in relationships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among the 3 classes. Especially, class 3(residence- nonsuicidal attempt- found by family) tended to cohabit with others, were married, and had a significantly high level of interpersonal conflicts. When comparing the 5 classes of suicidal risk factors, auxiliary variables such as economic changes, cohabitation, stress, relationship changes, and family-related problems, and school/work satisfaction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the 5 classes. Especially class 3 (complex problems) experienced comparatively less family-related problems, but showed an aggravating level of personal stress. Suicial prevention strategies should be provid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 and the influential factors. 본 연구는 심리부검을 통해 완결된 자살자의 자살행동과 자살위험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지표로 자살 유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이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128명의 완결된 자살자와 관련 유가족과 지인을 대상으로 심리부검 면담을 실시했고 유형 분석에 필요한 지표변수를 최종 선정하였다. 자살위험요인 지표변수로 정신장애, 자살/자해, 중대한 신체변화, 배우자간 갈등, 직장/학교 내 적응 및 관계문제, 실직/해고, 사업실패, 무직, 심각한 재정적 문제가 선정되었다. 자살행동 지표변수로 자살의지표현, 자살유서, 구조도움요청, 자살시간/장소/방법, 과거 자살/자해 시도, 자살자 최초발견이 선정되었다.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과 3단계 분석 방법(3-step method)을 이용하여 유형을 분석하였고 각 유형에 대한차이를 규명하고자 외부변수(경제적 변화, 동거, 스트레스 존재/변화, 관계변화, 가족 중 정신장애/알코올문제/신체질병, 학교/직장 만족)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자살행동을 기반으로 한 유형 분석에는 5가지 계층(경제문제, 적응문제, 복합문제, 정신과문제, 사건반응), 자살위험요인을 기반으로 한 유형 분석에서는 3가지 계층(주거지-자살시도-가족발견형, 비주거지-비자살시도-지인발견형, 주거지-비자살시도-가족발견형)이 탐색되었다. 자살행동 기반 3가지 유형 간에는 성별, 결혼상태, 동거여부, 관계변화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특히 유형 3(주거지-비자살시도-가족발견형)의 경우 다른 유형에 비해 동거중인 상태로, 기혼자일 가능성이 높고 대인관계 갈등이 두드러졌다. 자살위험요인 기반 5가지 유형 간에는 경제적 변화, 동거, 스트레스, 관계변화, 가족 관련 문제, 학교/직장 만족도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유형3(복합문제)은 상대적으로 가족 관련 문제는 없으나 개인적인 스트레스 발생과 악화가 두드러졌다. 향후 해당 유형과 유형별 영향요인에 맞는 자살예방과 위기개입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 중단 과정 탐색 및학업 중단 인식 연구 -강북 지역 학교 밖 청소년을 중심으로-

        육성필(Yuk, Sung Pil),남옥남(Nam, Ok Nam),박지란(Park, Ji Ran),박성혜(Park, Sung Hae),김은영(Kim, Eun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0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 중단 과정을 탐색하고 학업 중단에 관한 인식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16년 7월초부터 9월말까지 강북 지역의 청소년 16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바탕으로 한 면담을 실시, 분석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면담에 참여한 학교 밖 청소년들은 대부분 현재 실시되고 있는 학업 중단 예방 관련 제도의 적용을 받지 못한 채 비교적 간단 하게 학업 중단을 결정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들이 대부분 후회하며 학업 중단을 부정적으로 인식할 것이라는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면담 대상 청소년 중 2/3가 학업 중단 결정에 만족하고 학업 중단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학업 중단 결정을 후회하는 청소년들은 학교생활 부적응 경험의 아픔 으로 인해 학교 복귀에 대해 양가감정을 가지고 있었고, 학업 중단에 만족하는 청소 년들은 모두 학교 복귀를 거부했다. 넷째, 학업 중단에 만족하고 현재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70%가 사회적 인식, 현실적 어려움 등을 이유로 주변에 학업 중단을 권유하지 않겠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업 중단 예방과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지원정책의 다양화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rop-out process and analyse the perception of out-of-school adolescents of their regret or satisfaction on their drop-out decisions. We hope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out-of-school youths. For study, 16 of out-of-school adolescents in gangbuk area were interviewed. The research results are like those; First, out-of-school adolescents relatively processed drop-out in short time without application of prevention system on drop-out. Second, unlike the myth that the almost of out-of-school adolescents might be regret for their drop-out decisions, considerable numbers of adolescents have positive perception. Third, adolescents of the regret group, who had experienced maladjustment in the school life, hesitated to return to school. On the other hand, adolescents of satisfaction group would not like to return to school. Fourth, adolescents of satisfaction group, who had experienced social barrier, didn t recommend drop-ou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olicies of prevention to drop-out and intervention for out-of-school adolescents need to be diversified.

      • KCI등재

        자살관련행동의 명명과 분류

        이혜선,육성필,배진화,안창일 한국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preceding researches on the terms and definitions of suicide-related behaviors and to introduce the nomenclature and classification for suicidology. We hope it could enhance the clarity in communication among researchers, clinicians, and therapists who work with suicidal person, and improve studies on suicide in Korea. The terms in the suicidal researches are used without clear definition. The term such as ‘Suicide Attempt’ can be used as different meaning among study participants. The complexity, variability, and multi-dimensionality of suicide require the nomenclature and classification of suicide-related behaviors which are able to specify the subtype of suicide and to include all the suicide-related behaviors. We investigated the definitions of suicide-related behaviors, the nomenclature and classification of suicidology and suggested Korean terms. We also present advantages of the Silverman et al. nomenclatures and classification(2007) and our comments. 본 논문은 자살관련개념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자살관련행동의 정의와 체계적인 명명법을 제시함으로서 연구자 및 치료자 간의 의사소통의 정확성과 명료함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자살관련연구를 발전시키고자 하는 의도를 담은 문헌연구다. 현재 자살관련행동을 명명하는 용어들은 그 의미가 불분명한 상태에서 사용되고 있어 임의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자살관련행동을 정확하게 정의하지 않은 경우, ‘자살시도’로 분류했지만 자살을 시도한 것으로 볼 수 없는 경우나 ‘자살생각’이라고 분류했지만 자살생각이 아닌 경우가 혼입될 수 있다. 자살은 복잡하고 다양하며 다차원적이기 때문에 자살의 연구는 이러한 복잡한 현상을 담아낼 수 있으면서 동시에 적절한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는 명칭과 체계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그동안 자살을 연구해 온 학자들이 자신의 이론과 주장을 펼치기 위해 사용한 수많은 자살관련용어들을 정리하여 그 의미를 분명히 하였고, 한국어 명칭을 제안하였으며, 자살관련행동의 분류를 위한 그간의 시도를 정리하고, 마지막으로 Silverman 등(2007)의 분류체계의 유용성과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따돌림 종류에 따른 피해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충동성과 문제해결 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경아,육성필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2

        Since 2009, suicide has been the first reason of the adolescents’ mortality in Korea.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 of bully-victim experience on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impuls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differences of effect depend on the types of bullying. The data, collected from 685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boy: 452, girl: 233) in Seoul and Kyungsang Bukdo province,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s software SPSS 19.0 in which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multiple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are util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types of bullying have different effect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Boys experienced bullying more than girls. Girls who were bullied had more suicidal ideation than boy. The relational bullying and cyber bullying give greater effect than physical and verbal bullying on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impuls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re presented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when adolescents are victimized by bullying. 본 연구는 청소년의 따돌림 피해경험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충동성과 문제해결 능력의 조절효과와 따돌림의 종류에 따른 피해경험이 자살생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중, 고등학교와 경북지역 중학교 학생 685명(남학생: 452명, 여학생: 233명)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따돌림의 피해 경험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많았지만, 자살생각과 자살시도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따돌림의 네 가지 종류 즉 신체적, 언어적, 관계적 및 사이버 따돌림 중에서 관계적 따돌림과 사이버 따돌림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일하게 따돌림을 당한다고 해도 청소년의 충동성이나 문제해결 능력의 정도에 따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따돌림 피해경험과 자살생각 간의 예방적 함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기성인의 충동성과 자살행동의 관계: 습득된 자살실행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종혁,육성필 한국상담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9 No.3

        본 연구에서는 초기성인의 충동성과 자살행동의 관계를 습득된 자살실행력이 매개하며, 습득된 자살실행력이 자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사회적 지지가 이를 조절하는지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8세에서 35세 사이의 성인을 대상으로 충동성, 습득된 자살실행력, 사회적 지지, 자살행동을 측정하고, SPSS 22.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 상관분석결과 충동성, 습득된 자살실행력, 자살행동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결과 충동성이 습득된 자살실행력에 영향을 미치고, 습득된 자살실행력은 충동성과 자살행동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습득된 자살실행력과 자살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회적 지지가 습득된 자살실행력과 유의한 상호작용을 통해 자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충동성이 자살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습득된 자살실행력이 이를 매개하며 습득된 자살실행력과 자살행동의 관계가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임상적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해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through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ulsivity and suicidal behavior. Participants included 471 early adults (18 to 35 years old) who completed self-report. SPSS 22.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mpulsivity,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and suicidal behavior. Second, the mediating model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mpulsivity and suicidal behavior was partially mediated by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Thir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effect of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on suicidal behavior. Moreover,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mediation effect of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via impulsivity and suicidal behavior. Academic and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비(非)자살적 자해 경험이 있는 20대 청년들의 자해가 습득된 자살실행력을 매개로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영지,육성필 한국건강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AC)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on-suicidal self-injury (NSSI) and suicidal behavior among young adults. For this study,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Self-Mutilation (FASM), the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Scale (ACSS) and the Suicidal Behavior Questionnaire-Revised (SBQ-R) were used as measurements. Among the total number of 572 samples collected, the data of 322 individuals with NSSI were analyzed. Two characteristics of NSSI (frequency and number of methods) were measur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NSSI frequency, number of methods, and the AC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icidal behavior. Second, the AC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SSI frequency and suicidal behavior. Third, the AC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methods used in NSSI and suicidal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stud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자살적 자해 경험이 있는 20대 청년들의 비자살적 자해와 자살행동의 관계에서 습득된 자살실행력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20대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자해기능평가지 척도, 습득된 자살실행력 척도, 자살행동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총 572명의 연구 참여자 중에서 비자살적 자해 경험이 있는 322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비자살적 자해는 빈도와 방법의 다양성이라는 2개의 특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자살적 자해 빈도와 방법의 다양성, 습득된 자살실행력이 자살행동에 있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비자살적 자해 빈도와 자살행동 간의 관계에서 습득된 자살실행력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비자살적 자해 방법의 다양성과 자살행동 간의 관계에서 습득된 자살실행력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