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국제관계이론 구축 시도와 21세기 국제질서: 이론과 권력의 중첩적 동학

        유희복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24 아태연구 Vol.31 No.1

        이 글은 중국의 주요 국제관계이론 유파의 시각 고찰과 전략에 의한 검증을 통해 중국의 21세기 국제질서 구상과 실현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중국의 주요 국제관계이론 유파의 주장과 2011년 ‘평화발전’ 백서 및 2023년 ‘인류운명공동체’ 백서에 나타난 중국의 대외전략 인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이론과 전략의 중첩을 통해 나타난 중국의 2세기 국제질서 인식을 파악하고, 기존 국제질서의 수립자이자 유지자인 미국의 21세기 국제질서 및 관련 대중국 인식을 ‘국가안보전략’ 보고서에 기초해 분석함으로써 중국이 구상하는 국제질서의 실현 가능성을 검토했다. 연구 결과, 중국의 국제관계이론 유파들은 공히 중국 고유의 정치문화에 착안한 이론 개발을 통해 현행 국제질서의 문제점을 비판하며 기존 국제질서 개혁에 신흥 강대국으로서 중국이 건설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본다. 두 백서 역시 기존 국제관계이론과 거버넌스 이념의 문제점을 비판하며 이를 중국의 고유문화 개념과 경험에 기초해 개혁하려 한다. 그러나 중국 국제관계이론 자체의 한계, 기존 국제질서의 수립자인 기성 강대국 미국의 전략 등을 고려할 때, 21세기 국제질서의 개혁이 중국의 국제관계이론과 전략에 따라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China’s conception of the 21st century international order and its feasibility through examination of the perspectives of China’s major schools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nd verification through strategy. To this end, this article examines the feasibility of China’s vision of international order through the overlapping of theories and strateg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rguments of China’s major schools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China’s foreign strategies in the 2011 White Paper on China’s Peaceful Development and the 2023 White Paper on Global Community of Shared Future. It then examines the feasibility of China’s envisioned international order through an analysis of the United States’ perceptions of China and the 21st-century international order, the founder and supporter of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The result of the study finds that Chinese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ies commonly criticiz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international order through theories based on China’s own political culture, believing that China should play a constructive role in reforming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The two white papers also criticiz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nd governance ideology, and try to reform them based on China’s unique cultural concepts and experiences. However, it is unlikely that the reform of the international order in the 21st century will b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China’s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nd strategy, given the limitations of China’s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itself and the strategy of the United States, the dominant power that has established and maintained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 KCI등재

        중국의 미·중 ‘신형대국관계’ 구축 폐기 혹은 전환 여부에 관한 연구

        유희복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2023 중국지식네트워크 Vol.22 No.-

        2010년을 전후로 신흥 강대국으로 부상한 중국은 시진핑 집권 이후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라는 ‘중국몽’의 실현을 표방하고, ‘두 개의 백년’ 시간표에 맞춰 금세기 중반까지 ‘사회주의 현대화 강국’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분투하고 있다. 이를 위해 평화적이고 안정적인 국제정치 환경의 유지는 중국에 필수 불가결하며, 그 관건은 기성 강대국인 미국과의 충돌 회피다. 이에 따라 시진핑 정권은 2013년 오바마 행정부에 ‘미·중 신형대국관계’의 구축을 제안했고, 미국은 이를 원론적 차원에서 평가했다. 그러나 이후 미국은 중국이 규정한 ‘핵심이익’에 대해 의구심을 제기하면서 결국 동 제안을 수용하지 않았고, 2014년을 끝으로 중국도 미국에 대해 ‘신형대국관계 구축’을 다시 제기하지 않고 있다. 중국이 제기한 '신형대국관계'는 세력전이론의 적실성에 대한 이론과 현실 차원의 중요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중국이 이 제안을 폐기한 것인지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이 글의 목적은 2013년 중국의 미·중 ‘신형대국관계’ 구축 제안 이후 동 제안의 폐기 혹은 대체 여부 및 그 변인과 그에 따른 강대국 정치의 비극 재현 가능성을 세력전이론(power transition theory)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중국은 '신형대국관계' 구축을 폐기하지 않았으며, 다만 그 추진 방식을 전환한 것으로 파악된다. 즉, 중국은 미국에 '신형대국관계'의 직접적 수용을 계속 요구하기보다는 ‘중국특색 대국외교’, ‘신형국제관계’, ‘인류운명공동체’ 추진 등의 포괄적 전략을 통해 충돌을 회피하고 미·중 '신형대국관계'의 실질적 구축을 추진하려 한다. 중국의 이러한 추진 전략 변화는 미국과의 국력 격차 지속 축소, 중국특색 대국 외교의 본격 추진과 대상 및 범위의 확대, 미·중 신형대국관계 구축 전략의 시험과 견지 등의 요인이 작용했다. Emerging as a rising power, China, since Xi Jinping took power in 2012, has been struggling in earnest to realize the 'Chinese Dream' of 'great rejuvenation of the Chinese nation' to become a ‘great modern socialist country’ by the middle of 21st century in line with the 'two centennial goals' timetable. To this end, maintaining a peaceful and stable international political environment is essential for China, and the key to this is avoiding conflict with the U.S, an established power. Accordingly,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a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hip between the U.S. and China’ to the Obama administration in 2013, and the U.S. evaluated this in principle. However, the U.S. eventually did not accept the proposal, raising doubts about the “core interests” defined by China, and since 2014, China has not again raised the idea of “building a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hip” with the U.S. Given that th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hip' proposed by China ha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ortance regarding the adequacy of the power transition theory, there is a need to review whether China has discarded this proposal.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whether the China’s proposal to establish a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hip' between the U.S. and China in 2013 was scrapped or replaced, the variables thereof, and the possibility of repeating the tragedy of great power politics based on the power transition theory. This study finds that China has not abandoned the establishment of a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hip', but has changed its method of promotion. In other words, rather than continuing to demand the U.S. to directly accept th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hip', China is indirectly pursuing the substantial construction of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hip' between the U.S. and China through strategies such as 'great power diplomacy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new type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promoting 'community of shared future for humanity'. This change in China's strategy is due to factors such as the continued narrowing of the power gap with the U.S, the full-scale promotion and expansion of targets and scope of great power diplomacy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and the adherence to the strategy of building a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hip between the U.S. and China.

      • KCI등재

        국제질서의 다면성과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미래: 중국의 시각을 예로

        유희복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8 아태연구 Vol.25 No.4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there has been many serious international crisis happened in various realms including international politics, security, economy, etc. As a result, different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on the changes in the current international order, including the return of geopolitics and the crisis or end of liberal international order.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purports to reexamine the contents of international order, including what is international order, what constitutes it, and how the current international order can be characterized. The international order is composed of multiple material and non-material elements such as power, institutions, norms, and values, and therefore, rather than defining it from one specific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mponents and the changes of their combinations to maintain the objectivity and balance of the view of international order. Despite the realist view and the U.S.-Sino competition for leadership, the future international order can be expected to remain liberal rather than realist in character. 21세기 초입부터 전 세계 각지에서 정치, 경제, 안보 등 여러 영역에 걸친 많은 사건들이 발생함에 따라 세력전이, 지정학의 귀환,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위기 등 현행 국제질서의 변화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분석이 진행되어 왔다. 동 배경하에서 본문은 국제질서란 무엇이며 현 질서의 특징은 어떻게 규정될 수 있는가 등 국제질서에 관한 내용을 재검토하고 있다. 국제질서는 힘, 제도, 규범, 가치관 등 복수의 물질 및 비물질적 요소로 구성되므로 이러한 구성 요소들과 그 조합의 변화를 함께 고려할 때 국제질서에 대한 시각의 객관성과 균형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냉전 이후 미국이 주도해 온 국제질서를 자유주의 국제질서라고 보는 시각과 이를 부정하는 현실주의적 시각은 미국은 물론 세력전이의 당사자로 주목 받아온 중국에도 존재한다. 중국은 미국 주도의 혹은 미국의 시각에 입각한 국제질서가 패권적이고 수정이 필요하다고 보며, 전통적 ‘천하관’을 비롯해 ‘공정과 합리’를 강조하는 글로벌 거버넌스관 등 자신의 질서관이 갖는 장점과 우위를 주장한다. 질서에 대한 미중 양국의 현실주의적 시각과 주도권 경쟁에도 향후의 국제질서는 현실주의로 경도되기보다는 자유주의적 성격을 일정 정도 유지할 것이다.

      • KCI등재

        아태 재균형과 중미 신형대국관계 구축의 전개 현황 분석 : 상호 경쟁과 협력의 이중성을 중심으로

        유희복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6 국가안보와 전략 Vol.16 No.1

        With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the US has spent enormous amount of money and power into the “war on terror,” and also suffered financial crisis which has led to the further loss of its national power. During the same period, China has focused its full attention on economic development and military modernization, emerging as a great power that has the potential to replace the US hegemony. The US and China, respectively as an established power and a rising power, have begun to form a relationship of cooperation as well as of competition as they try to push for their “Asia-Pacific Rebalance” and the “establishment of Sino-US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Through “Rebalance,” the US aims at securing its leadership in the region, while China seek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ino-US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to rise further to become a super power or global power beyond a mere rising or regional power. This article purports to examine the developments and current situation of the “rebalance” and the “establishment of Sino-US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and, based on that evaluation, also to briefly predict how these strategies shall develop. The US and China, respectively through their strategic frameworks, try to secure their national status and interests in the region, and the realms their strategies cover are comprehensive to include not only security and prosperity but also values. The US identifies itself as leader, and for that reason, tries to check and guide China whereas China seeks to preserve its own values and exclusiveness as a potential future leader while recognizing the military and economic superiority of the US. Notwithstanding the across the board exchange and cooper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US and China have entered the initial stage of power transition, and whether they proceed to the next stage will be dependant upon several variables such as their ability for mutual nuclear deterrence, economic development, accordance with universal values, change of leaderships, etc. 미국은 금세기 초 테러와의 전쟁을 시작하며 중동에서 막대한 전쟁비용과 전력을 투입했고, 이후 금융위기까지 겪으며 국력을 소모시켰다. 같은 시기 중국은 경제발전과 국방현대화에 주력하며 신흥 강대국으로 부상했고 미국과의 세력전이를 언급할 정도로 성장했다. 기존 강대국 미국과 신흥 강대국 중국은 태평양을 사이에 두고 서로 협력하면서도 경쟁하는 관계를 형성하기 시작했고, 이는 각각 “아태 재균형”과 “중미 신형대국관계 구축”이라는 전략으로 구체화 되었다. 미국은 아태 재균형을 통해 아태지역에서의 리더십을 유지하려 하고, 중국은 미국과 신형대국관계를 구축함으로써 신흥 강대국 혹은 지역차원의 강대국을 넘어 초강대국 혹은 글로벌 강대국으로 성장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미국의 아태 재균형과 중국의 중미 신형대국관계 구축 내용과 전개 상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미중 관계의 현황을 진단하고 향후를 간략하게 전망해 보고자 하였다. 미국과 중국은 각자의 전략을 통해 역내에서 자신의 지위와 이익을 확보하려 하며, 그 영역은 안보와 경제는 물론 가치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이다. 미국은 스스로를 리더로 규정하며, 모든 영역에서 중국을 견제하고 안내하려 하는 반면, 중국은 미국의 군사, 경제적 우위를 인정하면서도 잠재적 리더로서 자신만의 가치와 특수성을 유지하려 한다. 교류와 협력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중국은 세력전이의 초기단계에 진입했다고 볼 수 있으며, 향후의 단계는 미중의 군사적 억제능력, 경제성장, 보편적 가치의 실현, 리더십의 교체 등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 KCI등재

        건설현장 안전보건성과 영향요인 연구 - C 건설현장 종사자 의견 청취 중심으로 -

        유희복,이준원,이양우,김범수,정상민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 No.28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nd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which has been in effect since January 27, 2022, specify that workers' opinions must be heard regarding safety and health. This study was conducted because it was judged that listening to workers' opinions can identify potential harmful and risk factors at construction sites and establish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ultimately affecting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In this study, three legal factors and four system factors were configur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was configured as a dependent variable through interviews with 37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managers, safety managers, and health managers of C Construction Company and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11, 2024 to January 24, 2024 targeting 162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managers, main contractor management supervisors, main contractor safety managers and health managers, partner company management supervisors, and partner company safety manager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data collected using the SPSS program. As a result of research on the survey items,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confirmed to be good, and in terms of legal factors, committees and councils, listening to opinions in risk assessment, and in system factors, meetings and TBM (Tool Box Meet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future,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is expected to improve at construction sites through active listening to workers' opinions on the legal and systemic factors identified in this study.

      • KCI등재

        신흥 강대국 중국의 국제질서 인식과 실천

        유희복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7 아태연구 Vol.24 No.3

        Since the opening-up and reform in 1978, China has emerged as a rising power based on its steady economic growth. As a result, Western developed countries, mainly the United States, that designed and established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have raised concerns that China, as a rising power, will seek to change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China argues that it has grown within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and therefore has no reason to revise it. As a result, the atten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been focused on China’s state orientation, whether it is a status quo power or a revisionist power, and many related research results have been produced. However, there is no consensus on China’s state orientation, and it seems that there are more views on China, though discontent with the established order, as a status quo power, than as a revisionist power. Besides, there are claims that, rather than concentrating on defining China’s state orientation, there needs to be more comprehensive and future-oriented researches related to the emergence of China, including the desirable international order,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and the status and role of China in it, China’s vision of international order, etc.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China has consistently raised complaints and required reforms to the existing international institutions and rules, despite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and China’s own claim that China is a status quo power. Accordingly,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nt of the complaints and reforms that China has raised as a rising power and its related actions based on its multiple identities such as socialist country and Asian country, and argues that such actions are intended to supplement and reform rather than to make a full-scale revision, being pursued as part of China’s great power strategy.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중국은 꾸준한 경제성장을 기초로 신흥 강대국으로 부상했다. 이에 따라 기존 국제질서의 설계자이자 수립자인 미국 등 서구 선진국들은 신흥 강대국으로 부상한 중국이 기존의 국제질서에 대해 변화를 추구할 것이라는 우려를 제기해 왔다. 중국은 이에 대해 자신은 기존의 국제질서 내에서 성장했으며 따라서 이를 수정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한다. 이에 따라 중국이 현상유지세력인가 수정세력인가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간의 연구는 중국을 불만은 있지만 현상유지세력에 가깝다고 보는 시각이 다수인 것으로 보이나, 중국의 국가성향에 대한 의견은 일치하지 않는다. 한편, 중국의 부상과 그에 따른 국제질서의 변화와 관련하여, 중국의 국가성향을 규정하는 데 집중하기 보다는 향후의 바람직한 국제질서, 기존 국제질서의 문제점과 중국의 지위와 역할, 중국이 주장하는 국제질서 등 보다 포괄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본 논문은 중국이 기존의 국제제도와 규칙에 대해 꾸준히 불만과 수정의 요구를 제기해 왔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중국의 국가성향을 규정하기보다 중국이 구상하는 국제질서의 모습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비중을 둔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신흥 강대국으로 부상한 중국이 증강된 국력과 자신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기존의 국제제도와 규칙에 대해 제기해 온 불만과 개혁의 내용 및 관련 행위를 검토한 후, 중국은 국제경제신질서의 구축과 신안보관을 통해 향후 국제질서에 대한 보완과 개혁을 추진하려 하며, 이것이 중국의 강대국화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중국 경제의 진화: 국가발전에서 글로벌 거버넌스 변화의 도구로

        유희복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9 아태연구 Vol.26 No.2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 이후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며 신흥 강대국 반열에 올랐다. 2001년 9·11사건과 뒤이은 세계무역기구 가입으로 전략적 기회의 시기에 돌입한 중국은 지속적인 국력 제고와 이를 위한 국제정치경제 환경의 조성 및 유지를 위해 ‘경제’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2004년 이후 본격화된 중국의 ‘경제’ 전략은 대내적으로는 지속적인 경제발전과 이를 통한 공산당 집권 정당성의 유지 및 확보, 대외적으로는 중국의 위상 제고와 강대국화 즉, 중국몽의 실현을 목표로 한다. 세계 2위의 경제체로 성장한 중국은 방대한 시장과 국유자산 그리고 사회주의 유산을 활용해 대내적으로 경제성장의 질적 전환, 대외적으로 글로벌 경제 거버넌스 개혁을 추진해 왔다. 중국은 IMF, WB, WTO 개혁 등 기존 거버넌스 체제 내부에서는 물론, 체제 외부에서도 ‘일대일로’ 건설, AIIB, NDB, CRA 설립 등 다자와 함께, FTA 체결과 원조, 제재 등을 통해 양자 차원에서도 개혁을 추진해 왔다. 중국은 이러한 경제의 전략적 활용을 통해 남남연대를 형성하고, 자국의 글로벌 거버넌스관을 ‘신국제경제질서’ 수립 등을 매개로 UN헌장 취지에 연동시켜 정당성을 확보하며 체제와 발전을 포함한 ‘핵심이익’을 수호하면서 글로벌 거버넌스 개혁을 추진해 자신의 국제적 위상을 제고하고 중국몽을 실현하고자 한다.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in 1978, China has made rapid economic growth and become a rising power. Entering a ‘period of strategic opportunity’ in around 2002, China has begun to use its economy strategically since 2004 to enhance its national power and create favorable international environment for it. For this purpose, China has taken advantage of its vast market, state-owned assets and socialist heritage to push for a qualitative transition in its economic development and reform of global economic governance. China has been pushing for global governance reforms not only within the existing institutions, such as the IMF, WB and WTO, but also outside the system by suggesting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establishing MDBs such as AIIB and NDB. In addition to the multilateral-level reform efforts, China also sought to promote reforms at bilateral level using economic carrots and sticks. China seeks to promote its international status and realize the Chinese dream through the strategic utilization of its economy, forming a South-South coalition and linking its view on global governance to that of the United Nations via such a shared mandate as the establishment of a ‘new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to secure its foreign policy legitimacy and defend its core national interests including development interests home and abroad.

      • KCI등재

        중국의 미중 신형대국관계 구축 제의와 함의

        유희복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3 국가안보와 전략 Vol.13 No.4

        Since the reform and opening-up policies were introduced in 1978, China has successfully accomplished the "Four Modernizations" and risen to become the "G2" with US thanks to its steady and high rate economic growth. Casting off its "century of humiliation," China now looks forward to making “China Dream”of“the great revival of Chinese nation" come true. With its strategic principle of "keeping a low profile" gradually making its way to "peaceful rise" and "getting something accomplished," China, with the transition of power in mind, has suggested to the US the building of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trying to reshape traditional great power relation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China's suggestion of building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can be seen as a reflection of its judgement and confidence that its national power has grown enough not to be hidden its light and external environment is not unfavorable for China to seek such a change, either. Although the US accepted China's suggestion in principle, the US finds China's requirements one-sided, some of which unacceptable, which means that building sino-US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will not be easy in reality and that the prospects of building the relations will be dependant upon how and to what extent the two countries can narrow the cognitive gaps in terms of their national identity, interests and strategy.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중국은 꾸준한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4개 현대화(四个现代化)’를 성공적으로 추진하며 G2로 올라섰고 ‘100년의 치욕’을 벗어나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라는 ‘중국의 꿈’을 실현하려 한다. 도광양회(韬光养晦)는 점차 화평굴기(和平崛起)와 유소작위(有所作为)에 자리를 내주고 있으며 중국은 이제 세력전이까지를 염두에 두고 초강대국 미국에 ‘신형대국관계’의 구축을 제기, 기존 강대국 관계와 국제관계의 재정립을 시도하려 한다. 중국의 신형대국관계 구축 제의는 더 이상 빛을 감추지 않아도 될 만큼 국력이 강화되었으며, 변화를 도모할 수 있을 만큼 외부환경 역시 중국에 불리하지 않다는 중국 지도부의 판단과 일정한 자신감의 반영이라 할 수 있다. 미국은 중국의 동 제안을 원칙적으로 수용하였지만 신형대국관계의 구축을 위한 중국의 요구사항이 일방적인 측면이 강하며 그 일부는 수용하기 어렵다고 인식한다. 이는 양국 간 ‘신형’ 대국관계의 구축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을 것이며 향후 미중 간 신형대국관계의 구축 여부가 양국이 정체성과 이익 및 전략에 대한 상호인식의 괴리를 어떤 방식으로 어느 정도 줄여 나아갈 수 있을 것인가에 따라 달라질 것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중국에 대한 시장경제지위(MES) 부여의 국제정치적 함의: 세력전이론의 관점에서

        유희복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2022 중국지식네트워크 Vol.20 No.-

        이 글은 중국의 시장경제지위(Market Economy Status) 인정을 둘러싼 미·중 간 분쟁을 세력전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을 통해 시장경제 요소의 도입으로 산업화와 경제발전을 추진하고, GATT에 이어 WTO 가입을 적극 추진해왔다. 그러나 시장경제를 전제로 설립된 WTO의 비시장경제에 관한 제도적 미비는 2001년 중국의 가입 의정서에 규정된 15년의 체제전환 유예기간이 종료되는 시점인 2016년을 전후로 예상된 분쟁 발생의 원인을 제공했다. 중국은 2016년 12월 이후 대체국 제도의 중지와 시장경제지위의 자동획득을 주장하고, 동 지위의 인정과 반덤핑 관세 산정에 중국의 국내 가격을 사용할 것을 EU와 미국에 촉구해왔으나 미국은 중국의 체제전환 정도가 불충분할뿐만 아니라 오히려 역행하고 있으므로 중국은 여전히 비시장경제이며 따라서 시장경제지위를 인정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시장경제지위를 둘러싼 미·중 간의 분쟁은 단순한 조항의 해석이나 경제적 득실을 넘어 체제 정체성과 발전모델 및 글로벌 거버넌스를 둘러싼 기존 강대국과 신흥 강대국 간 세력경쟁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 문제와 관련한 중국의 WTO 제소 및 조사 중단 요청은 미국이 여전히 세력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것과 향후에도 미·중 간 세력전이 차 원의 체제경쟁이 상당 기간 이어질 것임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