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완판(完板) 『홍길동전』 원간본(原刊本)의 출현, 그에 따른 판본(板本)과 간행(刊行)의 문제

        유춘동(兪春東) ( Yoo Choon-do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2

        새로 확인된 完板 『홍길동전』 36장본과 35장본, 경판의 낱장을 통해서, 완판『홍길동전』의 刊行과 流通과 관련된 다음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확인했다. 완판 36장본은 完西, 완판 35장본은 完山 坊刻所에서 간행되었다. 두 종의 완판『홍길동전』은 小說 販賣市場에서 競爭을 벌인 결과, 완판 35장본은 退出되었고 완판 36장본이 끝까지 살아남았다. 완판 36장본이 출현한 시기는 1857년, 완판 35장본이 출현한 시기는 1890년경으로 보았다. 1840년대 무렵, 즉 19세기 중반에 간행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경판『홍길동전』의 行文을 완판『홍길동전』에서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새 자료를 통해서 완판에서만 볼 수 있는 내용이 初期 경판『홍길동전』에서 부터 존재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곧 경쟁에서 死藏된 초기 경판『홍길동전』이 다른 지역으로 넘어가 復活했다는 證據라고도 이야기할 수 있다. 새로 확인된『홍길동전』 資料를 통해서 古小說『홍길동전』 出版을 둘러싼 圖書 市場의 다채로운 모습을 확인했다. 따라서 여러 經路를 통해서 坊刻本 小說이 만들어졌을 可能性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Th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newly identified Honggildongjeon (洪吉童傳. The Biography of Hong, gildong) was specifically confirmed through the 36 complete editions and 35 complete editions of the “Honggildongjeon” and the editions of the Gyeongpan, respectively. There are four known versions of Honggildongjeon, pu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o Wanpanbon(完板), these include the Gyeongpan (京板) edition printed in Seoul, the Anseong edition printed in Anseong, Gyeonggi-do, and the manuscript(安城板). However, the Wanpanbon version of Honggildongjeon, discovered this time, is the first original published in several later books. This is evaluated as evidence that Honggildongjeon was writt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was estimated that 36 complete editions appeared in 1857 and 35 complete editions in 1890. This is because the passage of the Gyeongpan “Honggildongjeon”,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published around the 1840s, or in the mid-19th century, was found in the complete version of “Honggildongjeon”. The new data showed that the contents that can only be found on the complete plate existed from the early “Honggildongjeon”. This can be said to be is evidence that the early Gyeongpan “Honggildongjeon”, which was lost in competition, was moved to another area and revived. The newly identified “Honggildongjeon” data showed the diverse appear ance of the book market surrounding the publication of the “Honggildongjeon” by the rumor of the accus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the novel was created through various channels.

      • KCI등재

        『조선인회사(朝鮮人會社)·대상점사전(大商店辭典)』에 수록된 1920년대 조선의 출판사와 인쇄소의 실태

        유춘동 (兪春東) ( Yoo Choon-do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2

        이 글은 1927년에 부업세계사에서 간행된 『朝鮮人會社· 大商店辭典』에 수록된 朝鮮 전역의 출판사와 인쇄소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과 운영 실태를 살펴본 것이다. 이 책은 조선을 9개 지역으로 나누어 주요 商業會社와 商店의 각종 정보(대표자, 소재지, 설립내역, 자본금, 주요 생산 품목, 영업 과목) 등을 상세히 기술해 놓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조선의 주요 출판사 27곳, 인쇄소 9곳에 대한 내용을 수록했다. 『조선인회사 · 대상점사전』을 통해서 사업장의 대표자는 대부분 일본 유학생 내지는 지식인이란 사실을 알 수 있다. 한편 사업장의 소재지는 출판사와 인쇄소의 대부분이 시내 중심가에 위치하고 있었고, 사업장은 당시 5천원에서 10만원 내외의 자금이 소요되었음을 볼 수 있다. 그동안 일제 강점기, 조선의 출판사와 출판물에 대한 연구는 상당한 양이 축적되었지만 경성(서울)에만 국한되었다. 이 책은 일제 강점기, 경성 이외에 조선 전역에 존재했던 출판사와 인쇄소의 실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자료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overall contents and actual conditions of the publishing houses and printing offices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published in 1927 in the book < The Dictionary of Korean Companies and Stores >. This book divides Joseon into nine regions and details various information (representatives, location, establishment details, capital, major production items, and business subjects) of major commercial companies and stores. In this process, 27 major publishing companies of Joseon, 9 printing places were recorded. Through the < The Dictionary of Korean Companies and Stores >, many of the representatives of the workplaces are self-made, but most of them are Japanese international students or intellectuals. Most of the publishing houses and printing offices were located in the city center. At that time, the company spent around KRW 100,000 to KRW 100,000. In addition, through the photographs in this book, I was able to find out the aspect of the publishing house and the print shop. In the meantime, a considerable amount of research on the publishing companies and publications of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accumulated. However, it was confined to Kyungsung(Seoul). This book is the most important data in that it shows the facts of publishers and print shops that existed throughout Korea during the colonial rule of Korea and Kyungsung. The ultimate goal of this work is to restore the reality of Joseon publishing, printing, and book market and reading market in the 1920s. Subsequent research will complement the insignificant aspects of this article.

      • KCI등재

        1920년대 경성(京城)의 역사(歷史)/인문자원(人文資源) 아카이브 구축(構築)의 사례(事例) -『경성백승(京城百勝)』을 중심으로-

        유춘동(兪春東) ( Yoo Choon-dong ),오영식(吳榮植) ( Oh Young-sik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4

        『경성백승』은 1924년 6월 25일부터 8월 16일까지 <東亞日報> 문화면에 게재되었던 ‘一百洞町, 一百名物, 내 동리 名物’ 연재물을 재정리하여, 1929년 10월에 동아일보사 출판부에서 단행본으로 출간한 것이다. 1910년에서부터 1920년대 사이에는 朝鮮半島 전역을 다룬 案內書나, 국내주요 도시의 도시 안내서가 많이 출간되었다. 특히 경성의 지역 안내서는 타 도시와 비교해 볼 때 압도적으로 많았는데, 『경성백승』은 이 책들과 여러 면에서 차이가 있다. 이 책은 발간 및 기획주체가 宋鎭禹, 洪命熹, 鄭寅普 등의 민족지도자가 참여했고, 무엇보다 경성의 역사/인문자원의 원고를 당시 경성에 거주하면서 동아일보를 구독했던 독자들이 작성했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즉, 『경성백승』은 다른 경성 안내서와 다르게 ‘조선인에 의해서, 조선인이 선별한 경성의 주요 역사/인문자원이라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경성백승』의 전반적인 내용과 특성, 이 책에 수록된 1920년대 경성의 역사/인문자원의 아카이브의 특징 및 활용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the character of “Gyeongseong Baekseung” published by the Dong-A Ilbo in 1929 and the meaning of this book. This book was published in October 1929 by the Dong-A Ilbo Publishing House, summarizing the series published in the Dong-A Ilbo culture section from June 25 to August 16, 1924 Between 1910 and 1920, guidebooks on the entire Joseon Peninsula and city guides for major cities in Korea, Gyeongseong, Busan, Daegu, Pyongyang and Kaesong, were published in a flurry. Among them, the number of 'regional guides' for Gyeongseong is overwhelming compared to other cities. However, “Gyeongseong Baekseung” differs from these books in many ways. Most of the “Gyeongseong Guidebook” and “Regional Guidebook” published during this period were published by the Governor-General of Joseon or published by related organizations. However, the book was organized by the Dong-A Ilbo, which was recognized as a national newspaper at the time,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process by national leaders such as Song Jin-woo, Hong Myung-hee and Jeong In-bo, and most of all, it was written by readers who subscribed to the Dong-A Ilbo while living in Gyeongseong. In other words, “Gyeongseong Baekseung” is distinguished in that it is the main historical/human resources of Gyeongseong selected by the Joseon people, unlike other Gyeongseong guides. This article examines the overall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Gyeongseong Baekseung” with these characteristics, and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1920s Gyeongseong’s historical/human resources archives in the book, and how to study and utilize them in the future, and intends to proceed with the discussion.

      • KCI등재

        「황비호실기(黃飛虎實記)」를 통해 본 「봉신연의(封神演義)」의 유통 문제

        유춘동(Yoo, Choondong) 중앙어문학회 2021 語文論集 Vol.85 No.-

        「황비호실기」는 중국소설 「봉신연의」의 전체 내용 중에서, 30회부터 34회까지의 내용만을 발췌하여 단행본의 형태로 1932년에 간행한 것이다. 「황비호실기」의 본문은 장회(章回)의 구분 없이 내용만 기술되어 있다. 번역은 「봉신연의」의 축자역(逐字譯)은 아니지만 원전에 최대한 가깝게 내용을 실었고, 이해가 어려운 부분은 의역(意譯)을 해놓았다. 따라서 「황비호실기」는 「봉신연의」에 가까운 번역/번안본(飜案本)이라고 할 수 있다. 「황비호실기」는 「봉신연의」가 국내로 수용되고 번역되어 읽힐 때, 「서주연의(西周演義)」와 다른 경로로 번역되고 유통되었던 「봉신연의」의 존재를 짐작케 해준다. 이는 「봉신지(封神誌)」를 비롯한 번역본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황비호실기」의 존재를 통해, 「봉신연의」는 당대 고소설의 출판시장, 독자들의 성향, 구활자본 고소설 출판의 전략 등과 맞물려, 「소달기전」, 「강태공전」, 「황비호실기」로 분화(分化)/분권(分卷) 되어 출간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blems of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Chinese novel Fengshenyanyi (封神演義) through the Chinese novel Hwangbiho Silgi (黃飛虎實記). Hwangbiho Silgi was published in 1932 with only 30 to 34 parts of the Chinese novel Fengshenyanyi. The text contains only the content regardless of the chapter and is divided into ten paragraphs. In terms of the translation, Fengshenyanyi was not translated as it is, but the contents were translated as close to the original as possible, and the parts that were difficult to understand were loosely translated. Therefore, Hwangbiho Silgi is a relatively original translation/translation, and demonstrates that when Fengshenyanyi was accepted and translated in the Chosun Dynasty era, it was translated differently than Seojuyeonui (西周演義). This is also evident in various other translations, including Bongsinji (封神誌). Therefore, Fengshenyanyi indicates that there were several translations in the domestic book market. By confirming the Hwangbiho Silgi translation, this analysis demonstrates how Fengshenyanyi was read in the classical novel market and published as Sodal Gijeon, Gangtae Gongjeon, and Hwangbiho Silgi.

      • KCI등재

        일본 토야마[富山]대학 소장, <조선개화기대중소설원본(朝鮮開化期大衆小說原本)컬렉션>의 서지적 연구

        유춘동 ( Choon Dong Yoo ),함태영 ( Tae Young Ham ) 겨레어문학회 2011 겨레어문학 Vol.46 No.-

        이 글은 일본 국립 토야마대학의 <朝鮮開化期大衆小說原本컬렉션>(이하 컬렉션)을 소개하고 그 성격과 특성을 살펴본 것이다. 컬렉션의 규모는 방각본·활판본 소설, 활판본 간독, 재담(야담)집, 기타 자료 등을 포함하여 총 233종 267책이다. 고소설과 고전시가는 모두 179책으로, 고소설은 경판본 24종, 완판본 16종이며 나머지는 활판본이다. 근대소설(번역서 포함)은 69책으로 대부분 활판본으로 간행된 것이며, 한일 합방 전후의 역사전기문학과 <신소설>, 번안·번역소설, 통속대중소설 등이다. 이처럼 이 컬렉션에는 고전문학과 근대문학, 기타 서적에 이르기까지 한국문학과 관련된 자료들이 망라되어 있다. 이 자료들은 대부분 국내 주요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거나 영인본으로 소개되어 있다. 다만 고소설의 경우, 경판본 『임진록(권3)』, 『춘향전』과 활판본 『웅변대가 볌휴 채택』(현병주, 이문당, 1918). 『호상몽(湖上夢)』(손수근, 봉양서원, 1924) 등은 제명(題名)만이 알려졌거나 학계에 소개되지 않은 것이다. 근대소설의 경우, 『백의처녀』, 『불쌍한 남매』, 『실연의루』, 『의협의 아』, 『청춘의 애인』, 번역서 『데모쓰테네쓰』, 기타로 분류한 종교서 『극락가는 길』은 처음으로 확인된 작품이다. 이 중에서 이 글에서 다루었던 유일본을 다시 정리해본다면 다음과 같다. 경판본 『임진록(권3)』은 22장본을 가져다가 장차 표시를 변형하여 20장본으로 만든 것이다. 이 본을 통해서 경판본 『임진록』 22장본이 존재했고, 20장본의 선행본이 23장본이 아닌 22장본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경판본 『춘향전』 20장본의 발굴을 통해서, 안성판본은 경판본 23장본을 토대로 축약-개각한 것이 아니라 20장본을 저본으로 해서 만든 것임을 알 수 있으며, 경판본의 『춘향전』의 이본은 <35장본>, <30장본>, <23장본>, <20장본>, <17장본>, <16장본>은 순차적으로 축약해왔음을 새롭게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근대소설의 경우, 유일본에는 번역/번안소설이 포함되어 있다. 대표적인 예가 『불쌍한 남매』와 『의협의 아』이다. 그러나 이 소설의 원작이나 번역/번안 대본에 대해서는 현재 알 수가 없는 상황이다. 이 자료들의 원작이나 번역/번안자, 번역/번안 대본이 밝혀진다면 한국 근대소설 연구는 작품 생산과 소비 양측면의 문제에서 연구영역의 확대는 물론 새로운 연구방법론의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이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다루었다. 本論文は日本富山大學所藏<朝鮮開化期大衆小說原本コレクション>を紹介し,その性格と特性について考察したものである.このコレクションの規模は坊刻本及び活版本小說,活版本書簡,才談集(野談集)などを含め,計233種267冊である. 古小說と古典詩歌は計179冊であり,そのうち古小說は京板本24種,完板本16種,その他は活版本である.計69冊の近代小說(飜譯書含む)はほとんどのものが活版本で刊行されたもので,日韓倂合前後の歷史傳記文學と新小說,飜案·飜譯小說,通俗大衆小說などである.このようにこのコレクションには韓國の古典文學と近代文學,その他の書籍に至るまで,韓國文學に關する資料が通時的に網羅されている. このコレクションの資料は韓國の主要圖書館にも所藏されており,また復刻本も出版されている.ところが,古小說の場合,京板本『壬辰錄(卷3)』,『春香傳』と活版本『雄弁大家範수と蔡澤』(玄丙周著,以文堂,1918),『湖上夢』(孫洙根著,鳳陽書院,1924)などは,これまでその存在だけが知られており,本のそのものはまだ學界に紹介されていない作品である.近代小說の場合は,『滿洲哀話 白衣處女』,『人情悲劇小說 可哀想な兄妹』,『新小說失戀の淚』,『義俠の兒』,『靑春の愛人』,飜譯書『デモステネス』,宗敎書『極樂に行く道』などが今回初めて確認された作品である. このうち,本論文で取り上げた,このコレクションにのみ現存する本について整理してみると,京板本 『壬辰錄(卷3)』は22張本を對象にし,張次標を變更し,20張本に書き直したものである.この作品を通じて京板本『壬辰錄』22張本が存在したこと,20張本の先行本が23張本ではなく22張本であったことがわかる.そして,京板本』春香傳』 20張本の發掘を通じ,安城版本は京板本23張本をもとに縮約-改刻したものではなく,20張本を底本として書き直したものであることもわかる.京板本『春香傳』の異本は<35張本>,<30張本>,<23張本>,<20張本>,<17張本>,<16張本>は順次縮約されてきたものであることを新たに確認することができた.また近代小說の場合,このコレクションにのみ現存する本は計5冊(作品)で,これら5作品はすべてが通俗大衆小說であり,このなかで』人情悲劇小說可哀想な男妹』と』義俠の兒』は各タ飜案,飜譯小說である.しかし,この2作品を含めて,このコレクションのほとんどの作品は,現在,作者や飜案者,飜譯者,飜案飜譯台本などに關する確實な情報がない.これらの資料の作者や台本に關する樣タな問題が解き明かされれば,韓國近代小說硏究は作品の生産と消費との兩面において,硏究領域の擴大はもちろんこと,新たな硏究方法論が生まれるものと判斷される.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수호전≫의 국내 현존 중국판본과 어록해에 대한 연구

        유춘동(Yoo, Choon Dong) 동아인문학회 2011 동아인문학 Vol.20 No.-

        This present study tried to observe the Shuihuzhuan(水滸傳)"s Block Books and Eoroghae in Korea. The investigation resultant 70chapters edition and 120chapters edition remains. But 100chapters edition conveys only with only record. The fact that is to domestic is most 70chapters edition of PyeonglonchulsangShuihuzhuan& Huidojungsang 70 chapters edition: Edited by Jin Shengtan in the late Ming Dynasty. And the reason Gwanghaksepho& liyeopsanbang because being the same publishing company is. Meantime Eoroghae was not difference almost.

      • KCI등재

        일본 쓰쿠바 대학[筑波大學]의 조선(朝鮮) 관련 서적과 오카쿠라 요시사부로(岡倉由三郎)의 장서(藏書)

        유춘동 ( Yoo Choondong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7 東洋學 Vol.69 No.-

        이 글은 일본 쓰쿠바 대학[筑波大學] 중앙도서관에 있는 조선(朝鮮)시대 전적, 조선 관련 서적과 오카쿠라 요시사부로(岡倉由三郎, 1868~1936)의 장서(藏書)를 살펴본 것이다.일본 이바라키 현[茨城縣] 쓰쿠바 시에 있는 쓰쿠바 대학은 ‘일본 동경교육대학(東京敎育大學)’을 개명하여 현재의 모습으로 자리 잡은 곳이다. 이 대학에는 총 60종의 조선시대 전적(典籍)이 있다. 이 사실은 1976년 후지모토 유키오(藤本幸夫) 교수를 통해서 알려졌다.그러나 이곳에 “누가, 어떤 이유로 이 책을 수집했는지, 그리고 총량은 어느 정도인지”는 보론(補論)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이 대학의 전신(前身)이었던 ‘동경교육대학’ 시절에 작성되었던 『도서원부(圖書原簿)』와 『괘도목록(掛圖目錄)』를 보면 지금보다 더 많은 조선시대 전적, 조선 관련 서적들의 기록이 남아있기 때문이다.아울러 함께 밝힐 문제는 “이 책의 수집가”이다. 이 책들은 대부분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에서 대학으로 보낸 것도 있지만 오카쿠라 요시사부로가 수집했던 것도 포함되어 있다.오카쿠라 요시사부로는 현재 일본의 유명한 영문학자로만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는 1891년 조선에 한성일어학당(漢城日語學堂)이 처음 만들어지자 이곳에 부임했던 최초의 일본어 교사였다. 그는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조선의 책들을 틈틈이 수집했고, 1893년 『철학잡지(哲學雜誌)』에다가 한글로 쓴 서적의 의미와 조선의 대중문학(大衆文學)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개진했다. 이 과정에서 세책(貰冊) 고소설과 조선시대 대표적 대중가요집인 『남훈태평가』를 소개하기도 했다. 그가 썼던 글은 이후 모리스쿠랑(Maurice Courant)의 『한국서지(Bibliographie Coreenne)』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글을 발표하기까지 오카쿠라 요시사부로는 조선시대 책들을 착실히 수집했고, 이후 그의 책은 이 대학의 장서(藏書)가 되었다.이 글은 이처럼 그동안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쓰쿠바 대학의 있는 조선시대 전적과 관련 서적에 대한 부분, 오카쿠라 요시사부로가 수집했던 장서(藏書)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books related to the Joseon Dynasty at the University of Tsukuba and discusses the collection of the books of Yoshisaburo Okakura (1868~1936).It is already known that there are a total of 60 kinds of Joseon Dynasty Rare Books in this university. However, there is a need for a supplementary argument in this university about “who collected books through which path, and how much the total is.”The reason is that I can see more books of Korea and books related to Joseon in the view of the books and documents that were written in the days of Tokyo University of Education.In addition, we need to look at this issue with “The person who collected this book”. These books were collected and sent by the Chosun Governor-General’s Office, but included a book by Saburo Okakura.He was a researcher of Joseon scholarship who came to the Joseon Dynasty and studied various aspects of the Joseon dynasty and book culture. In 1893, he introduced the popular literature of Chosun, the Rental book of Joseon(sechaek), and the poetry of Namhuntaepyongga through philosophical magazines. This was reflected in Maurice Courant’s Bibliographie Coreenne (Korean Bibliography).The books collected by Okakura Yoshisaburo became collections of this university.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things related to this in turn.

      • KCI등재

        구활자본 고소설의 출판과 유통에 대한 몇 가지 문제들 -원고/저본, 저작권, 판권지, 광고, 서적목록을 중심으로

        유춘동 ( Choon Dong Yoo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50 No.-

        This study has looked into several issues with regards to old printed classical novels, including manuscript/original script issue in publishing(producing) old printed classical novels, copyrights of old printed classical novels and issues in distribution such as ads by publisher and library catalog. First, I have stressed again that each publish has utilized the manuscript of a book for lending to create a manuscript/original script required for publication in the process of publishing old printed classical novels. Next, I mentioned issues relating to authors, copyrights and publication rights of old printed classical novels. It was a general view that old printed classical novels are considered to have no copyrights and/or publication rights but the catalog of books published by Gwanghan Bookstore has identified a new possibility about this issue. It was difficult to pinpoint the original authors of classical novels in the first place but it has been found that the very first author and publisher of the first edition, at least, had a certain extent of rights and that there were a climate where these were clearly stated. Finally, I have noted a variety of ads and distribution methods that were printed on the opening and ending pages of a book and on the printer`s imprint. Publishers introduced a variety of differentiated advertisements using the opening and ending pages of a book as well as on the printer`s imprint. In addition to this, publishers and distributors located in local province as mentioned on the printer`s imprint were also mentioned. I hope this discussion will further advance the debate on the characteristics of old printed classical novels in the ‘commercial publication classical novels’ market.

      • KCI등재

        일본 동양문고 소장 세책 고소설의 성격과 의미

        유춘동 ( Choon Dong Yoo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4 民族文化硏究 Vol.64 No.-

        이 글은 그동안에 이루어졌던 동양문고 소장 세책 고소설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이 자료들의 전반적인 면모, 세책 고소설이 지닌 성격과 위상, 앞으로의 과제등을 차례대로 살펴본 것이다. 일본 동양문고에 세책 고소설이 확인되면서 얻게 된 가장 큰 수확은 방각본이나 활판본의 특성으로 알려졌던 것들이 사실은 세책 고소설이 원래부터 지녔던특성이거나 이들과 상업적으로 경쟁하면서 생겨난 것이라는 점이다. 아울러 번역고소설 또한 세책 고소설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 상업출판물로 간행된 작품, 필사본으로 존재하는 고소설이나 한글 번역고소설의 경우에는 작품의 올바른 이해와 해석을 위해서 세책 고소설의 존재를 염두에 두고 작품을 다루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또 하나의 수확은 세책점의 운영 실태와 세책 독자들의 문제를 실증적으로 다룰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동양문고에 소장되어 있는 세책 고소설은 각 작품마다 이면(裏面)의 배접지에 세책점에서 사용하던 세책 장부, 세책을 빌려 보았던 독자들의 다양한 낙서가 남아있다. 이 자료들을 통해서 그동안 막연히 추정되어 왔던 세책 독자의 신분, 직업, 성별 등이 파악되었고, 세책 낙서를 통해서 독자들의 내면 의식은 물론, 세책점의 실상, 당대의 독서 문화, 세책 독자들의 내면 풍경 등이 분석되고 있다. 고소설 연구에서 세책 고소설에 대한 연구는 신생(新生) 분야이지만 단기간에 주목할 만한 성과들이 있었다. 그러나 한정된 자료를 통해서만 세책 고소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다보니 몇몇 쟁점들이 부각되었다. 대표적인 문제는 이 자료들이 모두 19세기에서 20세기 초까지 세책점에서 대여했던 것들이기 때문에, 이전과 이후에 존재했던 세책 고소설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현재 남아있는 세책 고소설은 대부분 단편이기 때문에 세책점에서 대여했던 주요 품목이었던 장편소설의 유통 문제를 어떻게 규명할 것인가는 앞으로 세책 고소설 연구에서 풀어야 할 숙제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overall aspects, characteristics and stature of the lending library manuscripts, and prospective problems in order, based on research on the lending library manuscript in the Oriental Library in Japan. The biggest gain resulting from the identification of the manuscript in the Oriental Library was learning that the characteristics which had been known as woodblock printing and movable type printing had either been originally included in the lending library manuscript or had originated through competition between woodblock printing and movable type printing. Moreover, it could be identified that the translated version of the manuscript i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lending library manuscript. Thus, in the case of commercial publications, classical novels created by the manuscript and Korean translations of these classical novels must be treated with circumspection, and the existence of the lending library manuscript must be kept in mind. Another result stemming from the identification of the manuscript in the Oriental Library was the ability to empirically deal with the state of management within the lending libraries and problems with the lending library manuscripts’ readers. On the inner side of the back pages of each manuscript in the Oriental Library there remained numerous amounts of scribbles from readers who had rented books from the lending library account. By using this data, scholars could discover the readers’ status, occupation and gender which had previously been assumed vaguely, and through analysis of the scribbles, the real state of the lending library, reading culture of the time, and the consciousness and mental background of the readers was also investigated. Although research on the lending library manuscript is quite a new area in the field of classical novels, there has been some remarkable results in a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since research has only been conducted through limited materials, several issues have emerged. Problems that must be solved in the future research of classical novels are the following representative issues: as all of the materials found included information about the lending books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there is difficulty in the explanation of lending classical novels which appear before and after that period, and as most of the existing lending manuscripts are short stories, there is also difficulty in determining the distribution of long stories which were the main items loaned to rea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