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帝强占期 古典唱劇 <金庾信> 檢閱臺本 硏究

        유춘동,김낙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1 No.2

        유춘동·김낙현, 2023, 일제강점기 고전창극 <김유신> 검열대본 연구, 어문연구, 198 : 315~328 이 글에서 검토한 것은 일제강점기 東一唱劇團에서 공연을 위해서, 사전에 조선총독부 경무국에 제출했던 古典唱劇 <김유신>의 검열 대본이다. 이 대본은 大東亞戰爭이 막바지에 이르렀던 1944년 11월에, 당시 연극계의 대표 극작가로 주목받았던 金健이 집필한 것이다. 한국 연극사에서 親日劇에 대한 연구는 공연 대본을 비롯한 관련 자료가 거의 남아 있지 않고, 여기에 참여했던 작가나 연출가가 내용 일체를 함구해 왔기 때문에 그동안의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창극 <김유신>은 1940년대 동일창극단에서, 음악과 무용을 가미한 소위, ‘신편 창극’이라 대내외적으로 홍보하며, 주요 레퍼토리로 공연되었던 작품이었다. 창극 <김유신>의 검열대본은 일제강점기 ‘친일극’의 실상을 보여주는 ‘공연대본’이자 ‘검열 대본’으로, 1944년 11월 6일에 당시 조선의 연극계의 핵심 기관인 조선연극문화협회를 통해서, 조선총독부에 제출되었다. 이 대본은 창극의 기획 의도, 창극 내용의 개관, 창극의 상세한 내용은 물론, 검열을 시행했던 조선총독부에서 이 창극에 대하여 어떠한 검열과 입장을 취했는지를 보여준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검열 대본의 실상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구활자본 고소설의 검열본과 납본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

        유춘동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72 No.-

        This article examines 650 ancient type settings existing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explains the fact that these materials were inspected and deposit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examined the censorship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ensorship. According to the data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he Old Type Textbook has been censored by submitting a manuscript published in advance, and it seems that most of the censorship has passed without much notic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date of publication in the license plate and the date of publication approval are almost identical But the element of the main censorship of old style novels was on the cover. This can be seen through the sehaepungpa. The previous one was that the Japanese had been used as the cover, and the latter was the object of censorship because of the drawing of Taegeukgi. In the case of the old type novel, it seems that the censorship passed through the censorship process unlike the contemporary literature, magazines, and socialist books. This is confirmed by several known statistics. Due to this, the old type textbooks boom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resulted in a situation where the same works were mixed up by each publisher. In the meantime, the research on the old type textbook existing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has been studied from the book (bibliography) to the analysis of the work, and it has been discussed only in the viewpoint of the novel of the novel.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fact that these materials are not only treated as mere jibbons but censored copies and deposits that were censored by submitting them to the jurisdiction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이 글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존재하는 650종의 구활자본 고소설을 검토하여, 이 자료들이 일제강점기 검열본과 납본이었다는 사실을 밝히고, 이 자료들의 검열 과정과 검열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을 밝힌 것이다. 국립중앙도서관의 구활자본 고소설을 보면 사전에 출판한 형태의 원고(原稿)를 그대로 제출하여 검열을 받았고, 검열은 별다른 지적 없이 대부분 통과했다. 그 근거는 판권지에 기재된 날짜와 검열을 받아 출판 허가가 이루어진 날짜가 대부분 일치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구활자본 고소설의 주된 검열의 요소는 표지에 있었다. 이것은 『죄악의 씨』, 『서해풍파』를 통해서 볼 수 있다. 앞의 것은 일본 순사를 표지로 삼았다는 점, 뒤의 것은 태극기를 그렸다는 이유에서 검열의 지적 대상이 되었고 이후에 수정되었던 모습을 볼 수 있다. 구활자본 고소설은 근/현대문학과 잡지(雜誌), 사회주의(社會主義) 서적과는 다르게 검열 과정에서 별 무리 없이 검열을 통과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이미 알려진 여러 통계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이로 인하여 구활자본 고소설은 일제강점기에 호황을 맞았고, 출판사 별로 동일 작품이 난립하는 상황을 초래했다. 그동안 국립중앙도서관에 존재하는 구활자본 고소설에 대한 연구는 서지(書誌)에서부터 작품의 분석에 이르기까지 여러 연구가 있었다. 하지만 고소설의 이본(異本)의 관점에서만 논의되어 왔었다. 이 자료들이 이제부터 단순한 이본으로만 취급할 것이 아니라 일제강점기 경무국 등에 제출하여 검열을 받았던 검열본과 납본이라는 사실을 새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고소설의 검열본과 납본에 대한 연구 - 검열본과 납본의 현황, 검열의 실태, 검열의 특징과 의미 -

        유춘동 한국서지학회 2018 서지학연구 Vol.75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general status of the Censored texts, censorship status, censorship characteristics and meaning, which were confirmed through the Korean Old novel’s Censored Edition and Napbon. The censored texts version of the Korean novel can be divided into manuscripts, woodblock-printed books written with chinese characters and Hangeul, old printed novel. Korean Old novels were also censor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ut the actual censorship did not reflect the instructions issued during the publication process. This can be said to be a feature of the old book censorship when compared with the modern/modern literature, magazines, and socialist books. As such, the novel was censored but relatively loose, so the publishers focused on publishing the novel. As a resul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number of readers increased, and the publishing house was booming, resulting in duplication of the same works by different publishers. In the meantime, academics have discussed the reason why the novel has become popular from the 1910s to the 1930s. But I could not discuss it in terms of censorship and Nap-bon. Now we need to approach this aspect. 이 글은 고소설 검열본과 납본을 통해서 확인했던 검열본의 현황, 검열의 실태, 검열의 특징과 의미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살펴본 것이다. 고소설의 검열본은 형태적으로 한글 원고지에 내용을 작성하여 제출한 원고본(原稿本), 필사본(筆寫本), 한문 방각본(漢文坊刻本), 한글 방각본, 구활자본(舊活字本) 고소설로 나눌 수 있다. 고소설의 검열은 작품의 내용, 내용의 선정성, 표지의 선정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고소설 역시 일제강점기에 검열의 대상이었지만 검열에서 지시받은 사항이 출간 과정에서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 이는 근/현대문학, 잡지, 사회주의 서적과 견주어볼 때, 고소설 검열의 가장 큰 특징이다. 이처럼 고소설의 검열이 비교적 느슨히 적용되었기 때문에, 출판업자들은 고소설 출간에 집중하게 되었다. 그 결과 고소설의 독자는 늘어났고, 출판사는 호황을 맞게 되었으며, 여러 출판사에서 동일 작품을 중복 출판하는 일도 생겨났다. 학계에서는 그동안 고소설이 191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인기를 얻었던 이유에 대하여 여러 측면에서 논했다. 그러나 검열과 납본의 측면을 고려하여 논의하지 못했다. 이제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내용과 연관지어 살펴보았다.

      • KCI등재

        시대 변화에 따른 근대문헌 범주의 재설정 문제와 방안

        유춘동,오영식 한국서지학회 2021 서지학연구 Vol.87 No.-

        근대문헌은 우리 역사의 근현대시기의 사회상을 현재에 전달하는 중요한 국가기록문화유산이다. 그러나 근대문헌은 그동안 일반자료로 분류되어 사장될 위기에 있다. 최근 각 기관에서 이 문제를 인식하고 근대문헌의 체계적인 수집, 관리 등을 시도하고 있다. 현재 가장 시급한 과제는 근대문헌의 범주 설정, 별도의 규정과 관리 방안 마련이다. 그리고 이 규정에 의거하여 국내 핵심 기관을 선정하여 수집, 보관의 정책이 필요하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대표적인 기관은 국립중앙도서관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서는 현재 근대문헌을 수집, 보관, 관리하고 특화할 수 있는 여러 기반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과정을 바탕으로 기존에 구축해 놓은 개인 연구자의 연구 성과물, 기관별 기 수행 결과물, 근대문헌 분야의 특화된 학회의 결과물을 최대한 활용하거나 연계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서 근대문헌의 수집 및 관리 등의 효율적인 작업, 유형별 작업, 더 나아가 수집, 보존, 관리 등이 쳬계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근대문헌에 대한 수집, 정리, 체계화의 필요성은 일찍부터 제기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 작업은 이루어지지 못했고, 현재는 이러한 토대 작업 없이 오히려 근대문헌을 수집하고 있는 기관들이 더욱 확대되는 특이한 상황이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볼 때 국가 차원에서 기구의 재편, 근대문헌의 개념 정립 등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 KCI등재

        새 자료 고소설 조봉추전 의 성격과 특성

        유춘동 중앙어문학회 2023 語文論集 Vol.93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the Gososol theory Jobongchujeon and to present the character and meaning of this work. "Jobongchujeon" is a single-volume Korean transcription novel, with 44 chapters in total. Set in the Ming Dynasty of China, this work focuses on the separation and reunion with parents experienced by the male protagonist Bongchu, and deals with Bongchu's achievement of affection and Bongchu's heroic activities in the process. Jo Bong-chujeon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 typical hero novel, and at the same time, places the main pixels of the high-profile theory that were popular among the people of the time in the work. For example, the main character's parents are in danger of dying and breaking up with their families, the main character is adopted as a thief's adopted son, the main character is aware of his identity from others, the main character is in danger of achieving marriage by himself. It is Jobongchujeon that is made by compressing these various pixels into single volumes. This novel was created under the influence of several works in the formation process, but the works that had the most direct influence are believed to be Wolbonggi and Samgukji. It is estimated that the time when Jobongchujeon was transcribed was 1902 through the transcription period called Imin. However, it is not known exactly when the novel was created. However, considering the structure of the ancient theory Wolbonggi, the appearance of Guan Yu and Jo Ja-ryong in the Three Kingdoms, and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notation found in this book, it seems that the Jobongchujeon was made at least in the early 20th century. 이 글은 고소설 조봉추전 을 소개 및 검토하여, 이 작품이 지닌 성격과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조봉추전 은 단권(單卷)의 44장으로 된 한글 필사본 소설이다. 이 작품은 중국 명나라를 배경으로, 남자 주인공 ‘봉추(鳳雛)’가 겪는 부모와의 이산(離散)과 재회(再會)를 서사의 중심으로 삼고, 이 과정에서 봉추의 애정 성취, 봉추의 영웅적 활약 등을 다루고 있다. 조봉추전 은 전형적인 영웅소설의 성격을 보여주는 동시에, 당대인들에게 인기를 얻었던 고소설의 주요 화소(話素)를 작품 속에 배치하고 있다. 예를 들자면, 주인공의 부모가 도적을 만나 죽을 위기에 처하여 가족과 헤어지는 이산담(離散談) 화소, 주인공이 도적의 양자(養子)로 입양이 되어 성장하는 양자 입양담(養子入養談) 화소, 주인공이 자신의 정체를 타인으로부터 알게 되는 자각담(自覺談) 화소, 주인공이 자신의 힘으로 혼사를 성취하는 애정담(愛情談) 화소, 주인공이 국가가 처한 위기를 타개하고 자신의 영웅적 능력을 과시하는 영웅군담(英雄軍談) 화소 등이다. 이러한 다양한 화소를 단권으로 압축하여 만든 것이 조봉추전 이다. 이 소설은 형성 과정에서 여러 작품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지만,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작품은 월봉기 와 삼국지 로 판단된다. 조봉추전 이 필사된 시기는 필사기의 ‘임인(壬寅)’이라는 기록을 통해서 1902년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이 소설의 창작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고소설 월봉기 의 구조를 차용했다는 점, 삼국지 에서 등장하는 관우(關羽)와 조자룡(趙子龍)이 작품에서 등장한다는 점, 그리고 이 자료에서 볼 수 있는 서지적인 특징, 표기법 등을 고려할 때, 적어도 20세기 초에 조봉추전 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고전문학 분야 출판물의 저작권 분쟁 -해방기부터 1960년대 시기의 주요 분쟁을 중심으로-

        유춘동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0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7 No.-

        이 연구는 해방기(解放期)부터 1960년대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고전문학 분야 관련 출판물의 저작권(著作權) 분쟁의 사례와 그 문학/사회사적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이 시기의 일어난 고전문학 분야 관련 출판물의 저작권 분쟁의 대표적 사례는 1950년대 대중잡지 「야담(野談)」에 게재된 작품들의 표절 문제 제기, 1960년의 한자옥편(漢字玉篇)을 둘러싼 저작권 논쟁, 1965년에 일어난 「한국고전문학전집(韓國古典文學全集)」의 표절 문제 등이 있다.표절을 포함한 다양한 저작권의 침해 문제는 근/현대 문인(文人)과 문학작품, 영화의 시나리오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고전문학 분야에서도 저작권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가 있었다. 두 분야의 상황을 총체적으로 파악할 때, 문학(文學)에서의 저작권, 저작권 분쟁의 사회/문화사적 의미가 분명해질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고전문학 분야의 관련 출판물에 한정하여 해당 문제를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examples of copyright disputes and their literary/social meaningps of classical literature-related publications that occurred in Korea from the liberation period to the 1960s. The most notable examples of copyright disputes in ancient literature during this period include the plagiarism of works published in the popular magazine ‘Yadam’ in the 1950s, the copyright dispute over the 1960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and the plagiarism of th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collection in 1965. Problems of infringement of various copyrights, including plagiarism, are not limited to the scenarios of modern and contemporary writers, literary works and films. There were also various problems related to copyright in the classical literature field. In grasping the overall situation in both fields, the soci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copyright and copyright disputes in literature can be clarified. In this article, we took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and looked only at the relevant publications in the field of classical literature.

      • KCI등재

        방각본 소설의 새 자료와 과제

        유춘동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4 고전과 해석 Vol.17 No.-

        이 글은 방각본 소설의 새 자료와 과제라는 주제로, 경판본 『제갈무후전』, 『소대성전』, 『수호지』, 『임진록』, 『조웅전』, 『춘향전』, 완판본 『조웅전』, 안성판본 『흥부전』, 배접지를 통해서 확인한 경판본 『구운몽』과 『장풍운전』을 소개하며 그 의미를 확인했고, 더불어 기존에 논의되지 못했던 방각업체의 운영 방식, 완판본의 간행 양상, 경판본 간행소인 효교 방각소와 송동 방각소, 초기 경판본 간행에 대한 몇 가지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 다룬 중요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경판본 『제갈무후전』은 남곡방각소에서 간행되었는데, 이 방각소에서는 중국소설 『삼국지』를 『도원결의록』과 『제갈무후전』이라는 제명으로 나누어 완간(完刊)했음을 확인했다. 경판본 『소대성전』은 <30장본>을 확인하면서 <36장본>에 선행하는 판본이 존재할 가능성과 효교방각소의 성격을 논의하였다. 경판본 『수호지』를 검토하면서 <3권3책본>은 경판본을 분권해서 만들었다는 점, 이 본이 세책점에서 대여되었다는 점을 살폈다. 경판본 『조웅전』을 살펴보면서 조악한 방각본의 유통 문제, 경판본 『임진록』을 검토하면서는 판본의 계열이나 형태가 6계열이 존재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리고 경판본 『춘향전』과 안성판본 『흥부전』을 검토하면서 방각업체 송동(宋洞)과 안성판본의 관계에 대해 언급했다. 또한 완판본 『조웅전』을 검토하면서 정사본(丁巳本)은 1857년에 간행되었다고 보았으며, 완판 또한 장수의 축소를 통하여 생산단가를 절약하는 방안이 있었음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낱장으로 확인한 경판본 『구운몽』과 『장풍운전』을 검토하면서 전자는 1749년, 후자는 1722년경에 판각되어 유통되었던 정황을 설명하였다. With its subject, ‘The New Materials of Woodblock Novels and the Tasks Left for Them’, this study has examined the introduction and significance of gyeongpanbon Guunmong and Jangpungunjeon with the backing paper of gyeongpanbon Jegalmuhujeon, Sodaeseongjeon, Suhoji, Imjinrok, Joungjeon, Chunhyangjeon, wanpanbon Joungjeon, and anseongpanbon Heungbujeon and also investigated the operation of Woodblock companies, aspects of issuing wanpanbon, Hyogyo Banggakso and Songdong Banggakso, the publishers of gyeongpan, and some of the problems found in early gyeongpanbon. The contents mainly discussed here in this paper can be summed up as follows:Gyeongpanbon Jegalmuhujeon was published in Namgok Banggakso. This banggakso published the complete editions of Chinese novel Samgukji with the titles of Dowongyeoluirok and Jegalmuhujeon. And about gyeongpanbon Sodaeseongjeon, the researcher examined 30Jangbon and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presence of the panbon preceding 36Jangbon as well as the features of Hyogyo Banggakso. While looking into gyeongpanbon Suhoji, the study examined the fact that 3Gwon3Chaekbon was made by dividing gyeongpanbon into several volumes and also how gyeongpanbon was rented at the book rental shop. And with gyeongpanbon Joungjeon, the author studied the problems lying in the poor distribution of Woodbiock. Also, examining gyeongpanbon Imjinrok, the study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presence of the panbon’s lines or forms as 6 lines. In addition, while studying gyeongpanbon Chunhyangjeon and anseongpanbon Heungbujeon, it mentioned how banggak company Songdong had been related with anseongpanbon. Also, examining wanpanbon Joungjeon, the author supposes that the jeongsabon was published in 1857 and also looked into the ways to save production cost through wanpan or the reduction of pages. Lastly, investigating gyeongpanbon Guunmong and Jangpungunjeon as the leaves of the books, the study explains the situation that shows the former was carved and distributed in 1749, and the latter was around 1722.

      • KCI등재

        남산도서관 소장 고소설의 서지적 연구

        유춘동 열상고전연구회 2013 열상고전연구 Vol.37 No.-

        이 글은 서울의 남산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고소설 17종을 대상으로, 서지(書誌), 각 책의 계통과 특징을 검토한 것이다. 서울의 남산도서관에는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한문 방각본 소설 『구운몽』1종, 한글 필사본 『구운몽』1종(3책), 경판 방각본 『구운몽』, 『당태종전』, 『조웅전』, 『백학선전』, 『삼국지』(2종), 『신미록』, 『심청전』, 『양산백전』, 『양풍전』, 『임장군전』, 『장한절효기』, 『정수경전』, 『제마무전』14종, 등사본(謄寫本) 『열여춘향수절가』1종이 소장되어 있다. 이 책들은 모두 이화여대에서 국문과 교수를 역임했던 강윤호 교수가 기증한 것으로, 검토한 결과 대부분 학계에 알려진 것들이었다. 그러나 경판 방각본의 경우 대부분 한남서림(翰南書林) 판권지가 모두 붙어져 있었고, 경판 방각본 『삼국지』는 원래 있었던 간기(刊記)의 일부를 지운 채 유통되었다는 새로운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1910년대 한남서림에서 인수했던 경판 방각본 소설의 종류, 『삼국지』의 유통 양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 글은 이러한 서울 남산도서관 자료의 실상과 특성을 알리는데 주안을 두었다. This article targets Seventeen types of Gososol in the Seoul Namsan Public Library to examine the bibliography, system, and characteristics of each. Among the Seventeen types, Hanmun banggakbon Guunmong, Philsabon Guunmong, Hangul banggakbon gyeongpanbon Guunmong, Dangtaejongjeon, Choungjeon, Bakhaksunjeon, Samgukji, Shinmirok, Simchungjeon, Yangsanbaekjeon, Yangpungjeon, Limjanggunjeon, Janghanjeolhyogi, Jungsukyungjeon, Jaemamujeon, Chunhyangjeon have been already found in Korea, too. As of this article was a Gososol argument in the 1910s through the Hannamseolim could determine the type and distribution aspects. This article will focus on promoting the reality of these materials.

      • KCI등재

        坊刻本 小說의 檢閱本과 納本에 대한 硏究

        유춘동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6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al with classic novels’ censored edition and nap-bon, censorship process, and change resulted from censorship. Compared with modern or contemporary literature, classic novels have not been discussed in terms of these points. A series of these matters related to classic novels need to be discussed in order to examine the censorship of literary publications during the colonial era in general. This study has examined the status of censored editions and nap-bon in Seoul National University’s Gyujanggak and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 aspects and types of censorship. Through the research, several aspects have been found. Chinese-written novels seem to have been passed censorship without any particular problems. Also, when republished in hwalpan-bon, they passed censorship and became published easily with no particular problems. Meanwhile, compared to Chinese editions, Hangul banggak-bon novels indicate some other aspects. First of all, we can find that when publishers submitted a large amount of censored editions (manuscript forms) for publication, not all books were censored but only some particular works were selected to conduct censorship selectively. Also, in some cases, only one censored edition (manuscript form) was submitted commonly for two publications, and the same permission was gotten for each publication. In fact, among the cases of classic novels’ censorship, Hannamseorim’s <Imjanggunjeon> received an order of censorship to omit “Daemyeong” or “The Country of Chosun”. However, when making nap-bon, those parts were not omitted but covered with white paper to get an approval of publication. Regarding banggak-bon novels, when performing censorship, only the divis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n charge of it conducted censorship, and in the actual process of publication, they were distributed with no improvement in that condition. Considering these cases, we can assume that compared with modern or contemporary literature, classic novels went through censorship rather roughly, and classic novels’ censorship followed only some fixed rules, but it was, in fact, different from the actual distribution of publications. 이 글에서는 坊刻本 古小說의 檢閱本과 納本 자료, 검열 과정, 검열로 인한 고소설의 변화 등을 살폈다. 이를 위해 규장각과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검열본과 납본 자료 60여 종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몇 가지 양상을 확인되었다. 漢文 坊刻本 고소설의 경우, 검열 과정에서 별다른 문제없이 통과되었다. 活版本으로 再 刊行될 때에도 별 문제 없이 검열에 통과하여 출판되었다. 반면, 한글 방각본 소설의 경우는 종류가 많은데, 이때 모든 책을 검열했던 것이 아니라 특정 작품만을 선별하여 검열했던 정황을 볼 수 있다. 또한 두 출판사에서 검열본(원고본)을 공동으로 한 부만 제출하여 출판허가를 받았던 사실도 보인다. 그리고 한남서림의 『임장군전』처럼 “대명”, “조선국”처럼 특정 단어를 삭제하라는 검열 지시를 원고본에서 볼 수 있지만 실제 간행물에서는 이와는 상관없이 그대로 출판되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사례를 종합해 보면, 방각본 고소설의 경우, 근/현대문학 자료와 비교해서 검열이 비교적 허술했던 것으로도 보이며, 실제 출판과는 별개였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一樂亭記』의 異本, 『徐卿忠孝誌』 硏究

        유춘동,이대형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2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Seogyeongchunghyoji, The Different Versions of Iillagjeonggi. This novel was only known for the title, but it has not been confirmed As a result of reviewing Seogyeongchunghyoji, It was the same as the Classic novel Iillagjeonggi and New possibilities for novel distribution can also be. There are three species of Iillagjeonggi known to date. This novel is largely classified into Kyujanggakbon(奎章閣本) series and Kim Dongwookbon(金東旭本)/Kangjeonsupbon(姜銓燮本) series. The Seogyeongchunghyoji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two series. Therefore, the Iillagjeonggi can not be determined only by two series, but can be divided into at least three series. Next,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is novel was called as Iillagjeonggi or Seogyeongchunghyoji from the beginning. It is not easy to find out the name of Iillagjeonggi in the list of the existing novels or in the bibliography of Maurice Kouran, but we can see more Seogyeongchunghyoji. Considering this point, it is more likely that this novel was called Seogyeongchunghyoji. In this article, we discussed these issues in turn. 이 글은 새로 發掘한 長篇 漢文小說 『一樂亭記』의 異本 『徐卿忠孝誌』의 性格과 意味를 살펴본 것이다. 자료 검토를 통해서 확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경충효지』는 장편 한문소설 『일락정기』와 同一 작품이며, 題名을 다르게 불렀던 것임을 확인했다. 둘째, 이 자료의 筆寫者와 筆寫 時期는 裏面에 있는 日記를 통해서 1850년대 公州에 居住했던 坡平 尹氏 윤상열 집안의 人物이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서경충효지』와 『일락정기』의 검토를 통해서 지금처럼 『일락정기』를 두 계열로만 볼 수 없고, 적어도 세 계열 이상의 이본이 존재했으며, 두 계열을 아우르는 先本/善本의 존재도 생각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일락정기』와 『서경충효지』의 先後 문제, 처음 命名한 작품의 題名을 推論해 보았다. 현재로서는 이 문제의 結論을 내릴 수 없었다. 하지만 『서경충효지』의 서문에서 필사자가 ‘일락정기’가 의미하는 내용을 지운 것이나 『일락정기』와의 관계 등을 본다면 『일락정기』라는 제목을 처음에 쓰다가 후대에 와서 『서경충효지』로 改名되어 사람들에게 읽혔던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