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태권도 표준교육과정 개발

        유창완 ( Yu, Chang Wan ),김기철 (Kim, Ki-Chul),최치선 (Choi, Chi-Sun) 국기원 2013 국기원태권도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태권도 교육이 지향하는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태권도 표준교육과정을 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체육교육과정 전문가 2인, 태권도 전문가 4인이 참여하여 1차적으로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고, 태권도 표준교육과정에 대해 총 7회의 전문가 협의회를 개최하였으며, 국내 태권도 권위자 2인과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운동 기술 분류와 전통적인 태권도 수련 기준에 의거하여 기본동작, 품새, 겨루기, 격파, 태권도 정신과 지식의 5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표준교육과정 내용을 정리하였다. 태권도 기본동작 수련은 유급자와 유단자 과정에서 기존 공인 품새의 체계를 따르되, 추가로 기술체계를 수준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태권도 품새는 기존의 품새 수련과정에 따라 태극 1장부터 8장까지 급별로 수련하며 유단자품새도 1단부터 9단에 이르기까지 고려부터 일여를 각각의 수련단계에 맞게 수련하도록 하였다. 겨루기는 유급자 과정에서 겨루기의 기본자세와 기본 기술을 익히고, 유단자 과정에서는 겨루기의 기술을 적용하고 실제 경기에서 다양하게 응용하도록 하였다. 격파는 유급자 과정에서 격파의 기초와 과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유단자 과정에서는 다양한 신체 부위와 기술을 활용한 격파를 수련하도록 하였다. 태권도 정신과 지식은 유급자 과정에서 기초적 내용을 이해하고, 유단자 과정에서 심화 내용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standardized Taekwondo curriculum to achieve a Taekwondo`s educational goal. Two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specialists of and four Taekwondo specialists carried out a literature review. Moreover, they had seven conferences, discussed the standardized Taekwondo educational curriculum, and collected qualitative data by interviewing two national Taekwondo authoriti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five categories basic movement, Poomsae, Kyorugi, Kyokpa, Spirit and Knowledge of Taekwondo based on exercise skill classification and traditional Taekwondo discipline criterion. The chapter of Taekwondo basic movement followed the existing public system of Poomsae and additionally described systems of skills for different achievers in the levels of junior and senior. The chapter of Poomsae consisted of practices from 1 to 8 of Taegeuk for juniors and from Koryo to Ilyeo for seni ors. The chapter of Kyorugi had a purpose to master Kyorugi`s basi c postures and skills in the level of junior. In addition, it aimed to apply the skills of Kyorugi and to develop more diverse applications for a real match in the level of senior. The chapter of Kyokpa had the purposes to understand basics and scientific principles of Kyokpa in the level of junior, and to practice Kyokpa applying diverse physical body parts and skills in the level of senior. Taekwondo`s spirit and knowledge was for understanding of basic contents in the level of Junior, and advanced contents in the level of senior.

      • KCI등재

        2015 개정 고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방안 탐색

        유창완(Yu, Chang-Wan) 한국체육교육학회 2018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3 No.2

        이 연구는 고등학교 체육교사들이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는 방안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대상 학교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의 표집 방법과 유사한 2단계 층화 군집 설계 방법을 사용하여 전국 고등학교의 10%를 무선 표집하여 150개 학교를 선정하였다. 설문 내용은 1) 교과 역량과 수업 개선에 대한 인식 및 적용을 위한 요구 사항, 2)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현장 안착을 위한 지원에 관한 것이었다. 연구 결과, 고등학교 체육교사들은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한 수업 환경 및 교구의 부족이 가장 큰 어려움이며, 수업 개선을 위해서는 학생참여에 필요한 교실 환경 및 교구 마련이 필요하고, 과정 중심 평가를 위해서는 평가도구 제작 및 보급이 우선 지원되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질적인 내용의 연수,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질적인 자료 내용, 과목별 주요 변화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자료 제공 등을 우선 지원 사항으로 꼽았다. 2015개정 고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성공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 및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첫째, 교과 역량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교육과정 개발 차원의 노력과 교과 역량을 체육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논의의 장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역량 함양에 적합한 체육 교수 · 학습 환경 구축계획을 수립하고 그에 맞는 중장기적 대책과 재정적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 셋째, 체육교사 연수와 자료 개발 방식이 개선되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pply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o the school site. Methods: we conducted questionnaires on teachers of general high school. The surveyed schools selected 150 schools by wireless sampling of 10% of the national high schools using a two - stage stratified cluster design method similar to the sampling method of national level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were 1) requirements for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curriculum competency and instructional improvement, and 2) support for the settlement of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Results: In order to improve the classroom,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classroom environment and the precincts necessary for student participation, and for the process-oriented evaluation, the p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the evaluation tool is the priority And that it should be supported. In addition, the first priority was the training of practical contents applicable to the field, the practical data contents applicable to the field, and the provision of data clearly summarizing major changes by subjects. Conclusion: In order for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o be successfully applied to the school site, the following improvement and support measures should be prepared.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subject competenc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ce for discussion to apply the curriculum development level and the subject capacity to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lan for constructing a physical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suitable for capacity building, and mid - to long - term measures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expanded accordingly. Third, physic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and data development methods should be improved.

      • KCI등재

        고교학점제에 따른 체육과 선택과목 개발 연구

        유창완(Yu, Chang-Wan)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교과교육학연구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electives unde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collect and analyze date, survey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field application training for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Physical Education Exploration> had relatively lower fitness in the adequacy of the titles, characteristics, goals and content elements of the subject. The subject goal is appropriate at the current level but it is required to avoid duplication of contents between elective subjects and reduce the scope and load of learning. Subjects to deepen students knowledge of physical education career and physical education are also needed. Considering these, future physical education and elective subjects should first strengthen their link to physical activity rather than focusing on theory-driven aspects. Second, the contents should be reduced so that students can complete the courses within one to two semesters in line with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ird, the subjects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classified as common subjects and the overlap of content areas and elements with other physical education elective subjects should be minimized. Fourth, separate subject development is required for the academic found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career exploration of students entering the physical education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고교학점제에 따른 고등학교 체육 선택과목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현장적용 연수에 참가한 교사들에게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선택과목 중 <체육 탐구> 과목의 명칭, 성격, 목표, 내용 요소의 적절성은 다소 낮았다. 목표는 현행 수준이 적절하지만, 선택과목 간 내용 영역의 중복은 피하고, 학습 범위 및 분량도 줄여야 한다. 체육계열로 진학하는 학생들의 체육 진로탐구 및 체육학적 지식을 심화하기 위한 과목이 필요하다. 따라서 향후 체육과 선택과목은 첫째, 이론 중심적인 측면보다는 신체활동과의 연계성을 높여야 한다. 둘째, 고교학점제에 부합하도록 1~2학기 내에 이수할 수 있도록 내용 분량을 축소해야 한다. 셋째, <체육> 과목은 공통과목으로 분류하고 다른 체육 선택과목과의 내용 영역 및 요소의 중복성은 최소화해야 한다. 넷째, 체육계열로 진학하는 학생들의 체육학 학문적 기초와 진로탐구를 위한 과목은 별도로 개발해야 한다.

      • KCI등재

        학교 단위 학생건강체력 증진 사업 운영에 대한 CIPP 모형 기반 성과 분석

        유창완(ChangWan Yu),신기철(KiCheol Shin),전영한(YoungHan Jeon),서장원(JangWon Seo),전세명(SeMyung Jeo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7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교육부)의 지원으로 초·중·고등학교에서 실시된 학생건강체력 증진을 위한 사업(이하 본 사업)의 운영 성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CIPP 모형을 적용하여 사업운영 성과를 상황 요인, 투입 요인, 과정 요인, 산출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교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본 사업의 운영을 담당한 교사와 이 사업운영을 지원하고 감독하는 업무를 수행한 장학사로 구성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 건강체력 증진을 위한 사업의 성과 분석에 있어서 학생의 만족도와 건강체력의 수준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합적으로 사업 운영 조건의 확인, 학교 실정 맞춤식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학생 참여 증대와 교육적 효과 촉진, 교사의 인식과 역할 증대 등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건강체력 증진을 위한 사업과의 차별성 부족이나 교육 대상 학생이 불명확한 점, 일률적인 예산 분배,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 등이 사업 운영상의 문제점으로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 of the project which was supported by government(ministry of education) for promoting students" health-related fitness through CIPP(Context, Input, Process and Product) model. CIPP model was developed by Stufflebeam(1983) to accomplish the evaluation requirements which oriented to the goals. So this model is useful for describing the information, context, input and process with program product.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included 5,741 students, 704 teachers and 20 supervisor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and then were analysed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 As the result of study the degree of students" satisfaction and health-related fitness promotion was progressed. This study identified the condition for conducting the project an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programs according to school environment, inducing students to the project and facilitate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and increasing teachers" perspectives and roles. And this study described about various problems and improvement when the project was propelling.

      • KCI등재

        체육과 선택 과목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편성 현황 분석

        유창완 ( Chang-wan Yu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8 체육과학연구 Vol.29 No.3

        [목적] 본 연구는 2015 개정 고등학교 체육과 선택과목에 대한 일반 고등학교의 체육교사들의 인식과 학교별 선택 과목의 편성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고교학점제에 대비한 향후 고등학교 체육과 선택 과목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방법] 설문 조사를 통해 체육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고, 총 65개 일반 고등학교 편성현황 사례를 조사하여 중점 계열 및 학기에 따른 개설 계획을 파악하였다. 결과는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첫째, 체육교사들은 과목 개설 취지는 잘 알고 있으나 일부 과목에 대해서는 과목의 성격정도만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 계열에 진학을 희망하는 일반고 학생들에게 필요한 전문 교과과목 개설에 대한 필요성은 낮았다. 체육 계열 진로에 따른 선택과목 선정 시 ‘체육에 대한 기본 소양’의 함양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 일반고 학생들은 체육 과목 선택 시 ‘관심과 흥미’를 가장 중요시 여겼다. 셋째, 중점 계열별로 체육 선택과목의 편성 계획 현황은 <체육>의 선택 비율이 가장 높았고,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체육 이수단위를 10~12단위로 편성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고등학교 체육과 선택과목은 체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학생들의 선호도를 충분히 반영할 필요가 있고, 체육 계열로 진학을 희망하는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체육과 선택 과목이 재구성되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elective courses of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examining the awarenes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f general high school and the selection of elective courses by school for elective courses of 2015 revised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Methods] We surveyed the percep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questionnaires and examined cases of the current status of 65 general high school program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know the purpose of the course, but they know only about the nature of the subject for some subjects. Second, There was little need to open specialized subject courses fo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wishing to enter the physical education field. It should be helpful to cultivate 'basic skills for physical education' in selection of elective subject according to the course of physical education.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s regarded ‘attention and interest’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selecting physical education subjects. Third, the selection schedule of physical education elective courses was the highest in < physical education >, and in most schools, 10 to 12 units of physical education degree were organized. [Conclusion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elective subjects need to fully reflect the social needs of the physical education and students' preferences, and the physical education and elective courses fo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wishing to enter the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should be reconstructed.

      • KCI등재
      • KCI등재

        미래사회 학교교육의 변화에 따른 체육교육의 방향 고찰

        박정준(Park, JeongJun),유창완(Yu, ChangWa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7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사회의 변화가 학교교육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학교교육과 사회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체육교육의 역할과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사회 중심적 관점에서 미래사회의 변화를 개인 생활양식의 변화, 과학 · 정보기술의 변화, 사회구조의 변화로 보고, 이러한 변화가 학교교육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예측해본다. 둘째, 교육 중심적 관점에서 학교교육의 변화 방향을 지식 중심에서 감성 중심으로의 전이로 설정하고, 감성 중심 학교교육에서 체육교육의 역할과 가능성을 이론적 측면에서 제시한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감성중심 미래 학교교육을 위한 체육교육의 두 가지 방향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한다. 첫째, 과학적 접근에서는 미래 과학 기술의 발전을 수용하여 신체활동의 체험 영역과 수준을 확장하고 감성교육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둘째, 인문적 접근에서는 신체활동 경험의 의미 발견과 간접체험을 통해 감성적 인식을 확대하고 다양한 미래사회의 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future social change on school education and explore the role and direction of physical education that can lead to desirable school education and social change. First, we look at changes in future society from a social-centered viewpoint as changes in individual lifestyles, changes in science and information technology, and changes in social structure, and predict the impact of these changes on school education. Secondly, the transition of school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education to the transition from knowledge-centered to emotional-centered is set as a theoretical aspect of the role and possibility of physical education in emotion-centered school education. Based on the above, we propose educational implications on two directions of physical education for emotion-centered future school education. First, the science-oriented approach can accommodate the development of future science and technology, expanding the experience domain and level of physical activity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emotional education. Second, in the humanities-oriented approach,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emotional awareness through the discovery of the meaning of physical activity experience and indirect experience, and to develop the ability to improve various future social problems.

      • KCI등재

        학교체육정책 운영 현황 및 성과분석: 정량지표를 중심으로

        박정준(Park, Jeong-Jun),유창완(Yu, Chang-Wan),양종현(Yang, Jong-hyun),최창환(Choi, Chang-Hwan)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1 교과교육학연구 Vol.25 No.5

        본 연구는 교육부의 학교체육정책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정책 운영의 성과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2차 학교체육 진흥 기본계획을 근거로 성과지표를 선정하였으며,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지역교육지원청,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성과지표별 자료를 수집하고, 빈도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체육수업의 양적 확대를 통한 학교체육 활성화의 기초가 다져지고 있지만, 생존수영교육의 시·도교육청별 격차가 있으며, 건강체력교실 운영 관심도와 프로그램 실행률이 낮아 향후 개선이 요구된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종목, 지원 예산, 대회 참여 학생 비율이 확대되고 있지만,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참여비율이 감소하고 있으며, 초등학교 저학년 및 여학생의 참여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학생선수의 수업 참여 비율은 상급학교일수록 낮고, 최저학력 미도달 비율은 높아지고 있으며, 향후 학생선수 학습권 보호를 위한 실효성 높은 지원 전략이 요구된다. 넷째, 시·도교육청 및 지역교육지원청의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지역 협업의 기초가 마련되고 있으며, 협력 사업이 활성화될 수 있는 지속적 지원 대책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urrent status and the outcome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policies implementation and explore ways to improve the policies. To this end, outcome indicators were selected based on the 2nd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Plan, and data was collected from 17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regional education support office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 the foundation has been strengthened to promote school physical education through quantitative expans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but there remains room for improvement as the gap still exists between the provinci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of survival swimming education and interest in the implementation of health classes and programs remains low. Second, despite expansion of curriculum at school sports clubs, support budget and the participation rate, the number of participants is decreasing as it goes over to higher education schools, and the percenta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is lower. Third, as student athletes participating rate in classes is lower in higher schools and the percentage of underachieving students is increasing, effective support strategies are required to protect student athletes rights to education in the future. Fourth, the foundation for regional cooperation to promote school physical education is being established by provinci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nd continuous support measures are required to promote cooperative projects.

      • KCI등재

        조립식 수영장을 활용한 중학교 생존수영 수업에 관한 사례연구

        윤현수(Youn, HyunSu),유창완(Yu, ChangWa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7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4 No.1

        이 연구는 조립식 수영장을 활용한 중학교 생존수영 수업 사례를 기술하고 이 수업 사례가 지니는 교육적 의미들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사례는 S 시의 맑은 호수 중학교에서 2016년 7월 한달간 진행했던 조립식 수영장을 활용한 생존수영 수업 과정이다. 유목적 표집법 중 결정적 사례 표집에 따라 대안적 수영교육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맑은 호수 중학교의 세 체육교사를 정보제공자로 결정하였다. 자료는 집단 면담 1차례와 개인면담 2차례의 비구조화 된 공식면담과 정보제공자들의 문화적 인공물들을 중심으로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생존수영 수업 사례의 사실적 기록을 중심으로 한 사례 내 분석과 핵심 주제를 밝혀내는 사례 간 분석을 병행하였다. 다각도 검증, 동료 연구자 확인, 정보제공자 확인, 예외적 사례검토를 통해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맑은 호수 중학교의 조립식 수영장을 활용한 생존수영 교육 사례는 조립식 수영장과 부대시설 등의 대안적 수영장 시설을 창의적으로 제작하는 데에서 시작하였다. 또한, 학생수준에 맞는 생존수영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협력적 수영 교수방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을 지도하였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영수업 참여를 위하여 개방적 학습자 관리를 시도하였고 학생들의 안전 확보를 위하여 수영장 환경 관리에도 만전을 기하였다. 이 대안적 수영교육이 갖는 교육적 의미는 첫째, 인식적 차원의 수영수업을 실천적 차원으로 이끌어 내었다는 데 있다. 둘째, 영법수영 교육에서 생존수영 교육으로 패러다임 전환을 시도하였다는 데 있다. 셋째, 성공적인 수영교육을 위해 중학생들의 문화코드를 이해하였다는데 있다. 마지막으로 생존수영에 관한 학습공동체를 통해서 지식을 탐구하고 공유하는 노력을 하였다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cases of survival swimming lessons using an assembly swimming pool by thre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f a middle school, and also to deeply explore the educational meanings of the lesson cases. The lesson process of survival swimming using an assembly swimming pool in ‘Clean Lake’ Middle School of ‘S’ city for a month in July 2016 was selected as a research case. Data was collected focusing on a one time group interview, two time individual unstructured formal interview, and information providers’ cultural artifacts. For data analysis, the analysis on internal cases focusing on the realistic records of swimming lessons was combined with the analysis between cases to reveal the core theme. The case of survival swimming education using on assembly swimming pool of ‘Clean Lake’ Middle School began by creatively producing the alternative swimming facilities like the assembly swimming pool and additional facilities. Also, students were instructed by developing a survival swimming program suitable for their level and then applying the cooperative swimming instruction method. Moreover, for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n swimming lessons, open learner management was attempted while students’ safety was secured through the thorough management of the swimming pool environment. This alternative swimming education had four educational meanings. First, the swimming lesson was changed from a cognitive level to a practical level. Second, the change of paradigm was shifted from swimming-skill education to survival swimming education. Third, middle schoolers’ cultural code was understood for successful swimming education. Lastly, it was attempted to study, share, practice, and connect knowledge through a learning community for survival swimm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