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턴도리 대죄(Tandori Dezső)의 탈 전통시(傳統詩) 시도

        유진일(Yoo Jinil)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5 동유럽발칸학 Vol.7 No.1

        턴도리 대죄(Tandori Dezső)는 헝가리 문학사에 있어서 중요한 업적을 남기고 있다. 특히 탈 전통을 추구하는 그의 새로운 작품들의 시도는 헝가리 문학의 수준을 유럽 문학의 주류 속에 접목시키는 역할을 했다. 뿐만 아니라 헝가리 현대 문학계에서 천재작가로 평가 받는 에스테르하지 피테르(Esterházy Péter)의 시작(詩作)기법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학계로부터 그에 응당한 평가와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는듯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턴도리 대죄의 탈 전통 시도들이 제대로 평가받을 수 있도록 그의 탈 전통 시작(詩作) 기법들을 소개함을 목적으로 한다. 턴도리 대죄의 네오 아방가르드 작품들은 시가 추구하는 본질적인 가치 면에서는 이후의 포스트모더니즘 작품들과 크게 다를 바 없지만 시어(詩語) 선택이나 시의 형식면에서는 다른 특징을 보여준다.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포스트모더니즘 작품들이 시의 형식면에는 최소한 전통시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지만 네오 아방가르드 작품들에서는 기존의 글 형식 자체를 파괴한다. 시연과 행을 모두 해체하여 가로 띄어쓰기 규칙을 거부하고 세로로 띄어쓰기 없이 한 행을 구성하는 파격적인 시도를 하였다. 또 시 내용에 대한정보를 고의적으로 누락시키거나 시 속에 화학공식이나 수학 공식을 삽입함으로써 시에 대한 독자의 자의적인 해석과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기도 하였다. 한 작품에서는 제목 외에 어떠한 글씨도 써 넣 지 않음으로써 시의 표현 수단인 언어라는 매개체로는 더 이상 작가의 사상을 표현할 수 없음을 지적하기도 하였다. 이후 포스트모더니즘 작품에서도 기존 시의 전통을 파괴하려는 노력은 계속되었다. 현대 사회 속에서 작가 『나』의 존재가 점점 의미를 잃어감에 따라 작품 속에서도 작가의 존재가 점점 사라지게 되었다. 화분 하나를 사면서 같이 받은 재배 설명서를 그대로 옮겨놓은 시가 등장하기도 하고 20세기 초 헝가리 작가이며 헝가리 문학잡지 ‘뉴거트’(Nyugat)의 동인 코스톨라니 대죄(Kosztolányi Dezső)의 시와 그 시에 대한 중고등학교 참고서에서 발췌(拔萃)한 문장들을 콜라 주(kollázs) 형식으로 그대로 엮어 시를 쓰기도 했다. 체제전환 이후에도 턴도리 대죄의 탈 전통시 시도는 계속되었다. 약 10여 년간 자신의 아파트에 칩거하며 새를 통한 새로운 시 창작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새 만을 소재로 한 작품을 썼다. 그의 이러한 일련의 노력들은 헝가리 문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특히 네오아방가르드와 포스트모더니즘 작품들은 에스테르하지 피테르의 포스트모더니즘 작품 창작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Dezső Tandori is a poet who has achieved important accomplishments in the literary history of Hungary. In particular, his attempts at new works to pursue detraditionalization have played a role in incorporating Hungarian literature into the mainstream of European literatures. In addition, they have greatly affected the poetic techniques of Péter Esterházy rated as a genius in Hungary's contemporary literary circles. evertheless, Dezső Tandori does not seem to receive any corresponding appreciation and treatment from the literary worl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his detraditionalized poetic techniques so that his attempts at detraditionalization can be appreciated. In terms of the essential worths pursued by poems, the neo-avantgarde works by Dezső Tandori are not greatly different from his following postmodern ones; but in terms of the selection of poetic words or forms, those show us other features than these. One of the greatest features is that his neo-avantgarde works destroy the existing text forms themselves, whereas his postmodern works leave the traditional poetic forms at least unchanged. He has made unprecedented attempts to deconstruct all of stanzas and verses, thus deny the rules of spacing words horizontally, and compose one verse vertically without spacing words. Also, he has induced readers to arbitrarily interpret or actively participate in poems by deliberately omitting the information about poetic contents or inserting chemical or mathematical formula into poems. In a certain work, he has indicated that it is not possible any more to express the author's thoughts with the medium of language, poetic means, by not writing in any alphabet except the title. In his following postmodern works, the efforts have been also continued to destroy the tradition of existing poems. As the being of 'I' increasingly loses its meaning in modern society, that of author is also increasingly disappearing in the works: one poem containing the transcribed cultivation manual of a flower pot appears, or another is written by connecting the poems of Dezső Kosztolányi, a coterie member of literary magazine 'Nyugat' at the early 20th century, with the sentences extracted from the reference works of middle and high schools on them in the form of kollázs. After the transition of system, Dezső Tandori's attempts at detraditionalization have been still continued. He has written works only on bird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creating new poems through birds, shutting himself up in his apartment room for 10 years or so. Such a series of his efforts have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Hungarian literature. Especially, his neo-avantgarde and postmodern works have had great influences on the creation of postmodern works by Péter Esterházy.

      • KCI등재

        외르키니 이쉬트반(Örkény István)의 『토트씨네(Tóték)』에 나타난 양면적 기법으로서의 그로테스크와 아이러니

        유진일(Yoo, Jinil)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12 동유럽발칸연구 Vol.29 No.-

        시대를 막론하고 작가들 중에는 기존의 문학 전통을 거부하고 새로운 문학 기법과 자신만의 문학관을 창조해나가려는 작가는 항상 있어 왔다. 헝가리 현대작가 외르키니 이쉬트반(Örkény István)은 '사회주의'라고 하는 특수한 상황 가운데서 양면성을 지닌 그로테스크와 아이러니 기법을 통해 그만의 문학적 특징을 수립한 작가이다. 그로테스크의 가장 유별난 특징은 부조화라는 기본 요소인데 이것은 갈등, 충돌, 이질적인 것의 혼합, 혹은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의 융합이다. 외르키니의 소설 『토트씨네』에는 이러한 양면적 요소를 기본으로 하는 그로테스크가 비교적 명확히 드러나 있다. 그로테스크 기법의 가장 큰 목적은 '풍자'에 있는데 서로 어울리지 않는 두 요소, 즉 희극적 요소와 비극적 요소를 동시에 등장시킴으로써 비극성을 더욱 고취시키고 이를 통해 세태를 비판하거나 조소한다. 『토트씨네』에서 그로테스크 기법이 공시적으로 소설 이곳저곳에서 사건들끼리 크게 연관성을 갖지 않고 독립적으로 등장한다면 아이러니 기법은 소설 첫 장에서부터 마지막장까지 통시적으로 소설 전체를 관통하며 소설의 기본구조를 형성한다. 여러 아이러니의 종류 중 『토트씨네』에는 상황의 아이러니가 드러나 있다. 소설 전체의 서사적 흐름을 통해 작가는 독자들에게 이미 토트씨의 아들 줄러의 죽음을 알려 준 상태이다. 그러나 토트씨네 가족들과 버로 소령 그리고 마을 사람들은 누구도 줄러의 죽음을 알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토트씨네 가족들과 소령사이에 아이러니 구조가 형성된다. 아이러니 기법 사용의 가장 중요한 목적 중 하나는 '풍자'에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안 잭(Ian Jack)은 '풍자는 항의하려는 본능에서 생기는 것이며 예술화된 항의이다'라고 주장한다. 결국 외르키니는 '사회주의'라고 하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당시의 분위기상 소비에트를 직접적으로 비판할 수 없었던 탓에 『토트씨네』를 통해 간접적으로 풍자하며 비판하고 있다. 『토트씨네』에 나타난 양면적 성격을 지닌 그로테스크 기법과 아이러니 기법은 자신의 생각과 사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없었던 당시 사회주의의 양면적 성격과 가장 잘 어울리는 문학적 기법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또 그로테스크 기법과 아이러니 기법의 주요 목적이 '풍자'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자유로운 출판이 제한 받았던 당시 사회주의 사회에서 외르키니가 이들 기법을 적용한 이유는 명약관화하다 하겠다. In any age, there have always been writers creating new literary techniques and views, refusing to follow the existing literary tradition. Modern Hungarian writer István Örkény established his own literary features using the dual techniques of grotesque and irony in the special conditions of "socialism." The grotesque is most strikingly characterized by disharmony, which is a mixture of conflicting, colliding, heterogeneous or different things. His novel Tóték clearly shows the grotesque based on such dual factors. The greatest objective of the grotesque is "satire," which stirs up the tragic by employing comic and tragic elements at the same time and thus criticizes or ridicules social conditions. In the novel, the grotesque synchronically appears, with incidents not greatly related with each other, whereas the irony forms a basic structure of the novel, diachronically penetrating the whole work from the first chapter to the last one. Of irony types, the irony of situation is found in Tóték. The author has already let readers know the death of Mr. Tót's son Gyula through the narrative flow of the whole work. Nonetheless, the death is not known to any of the Tót' family, Major Varró and the village people. In such circumstances, a structure of irony is built between the Tót' family and Varró. It could be said that "satir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urposes of irony. According to Ian Jack, "satire is born of the instinct to protest; it is protest become art." István Örkény indirectly criticizes the Soviet Union using satire in his novel, since it was impossible to directly criticize the country under the special conditions of socialism at that time. The grotesque and irony in Tóték belong to the literary techniques that harmonize with the dual character of the then socialism which made it impossible to freely express thoughts and feelings. Given the fact that they chiefly aim at satire, it is clear and distinct why István Örkény applied the both techniques to his work in the then socialist society which prohibited the freedom of publishing.

      • KCI등재

        헝가리 시(詩)에 나타난 샤머니즘과 이교도적 요소를 통해 본 헝가리인의 정체성

        유진일(Jinil Yoo)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6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3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ungarian identity in Hungarian poetry. The Hungarian identity attracts attention, because the Hungarian people moved from Asia and settled in Europe. The Hungarians differ from neighboring peoples in nation, race, language and culture. Studies have been made of the Hungarian identity in terms of history and oral literature.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shamanistic and pagan motifs have been reflected in the poems the Hungarian people wrote after their acceptance of Christianity in Europe. First, it is the taltos motif that is most found in connection with shamanistic elements in Hungarian poetry. The taltos was in charge of religious rites before the Hungarians adopted Christianity. He connected humans with gods by invoking gods in a state of hallucination and exercising supernatural powers. József Attila’s Regősének is a representative poem that includes the taltos motif. Second, it is the vérszerződés motif that is representative among non-Christian ones in Hungarian poetry. The motif is shown, above all, by Reményik Sándor’s Vérszerződés. Third, the A csodaszarvas is also a pagan motif easily found in Hungarian poetry. The deer was a totem for the Hungarian nation before their settlement in Europe. The motif is seen, in particular, in Arany János’ Rege a csodaszarvasról and József Attila’s A csodaszarvas. Additionally, there are various non-Christian motifs in Hungarian poetry. Some people may question whether individual poems can the general identity of the Hungarians. Indeed, it is difficult to make an affirmative answer, but the individual poems seem to reveal the self-consciousness of the Hungarian people at least in that the poets using such motifs represent the Hungarian literature of each era and are still loved by the Hungarian public. In conclusion, the Hungarians do not forget their Asian identity despite 1000 years of life in Europe, as seen in the shamanistic and pagan elements in their poetry.

      • KCI등재

        케르테스 임레의 『운명 4부작』에 나타나는 폭력과 치유

        유진일(Jinil Yoo)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20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51

        A Hungarian writer Imre Kertész dedicated his lifetime to the report of violence and trauma on the basis of the experience he had at the Auschwitz Concentration Camp at the age of fifteen. Belonging to Camp Literature, his representative works are “Fatelessness”, “Fiasco”, “Kaddish for an Unborn Child”, and “Liquidation.” Called the “Tetralogy of Fate”, the four are autobiographical novels that are organically connected with each other in terms of theme. Especially, “Sorstalanság”, the 2002 Nobel Prize-winner, depicts a man named Köves György who was taken to Auschwitz for the mere reason of being a Jewish man and suffered hardships there for one year. Interestingly enough, the work describes Auschwitz as a place where life does not greatly differ from that outside of the Concentration Camp and even happiness sometimes exists, unlike other Camp Literature works, in reporting the site where the horrors of violence and massacre occur without a pause. This point of view derives from the experience of violence he had at home and school in his childhood and adolescence. Kertész presents writing as a method to cure the trauma he experienced at Auschwitz. His hero breaks the fragments of his memory into much smaller pieces through writing, unlike others who try to hide their memories of the Concentration Camp intentionally. After all, the writer is freed from the trauma of Auschwitz and cured by burning all the pieces using the burnt offering ritual in his last novel “Felszámolás.”

      • KCI등재

        헝가리 민속신앙 비교 연구

        유진일(Yoo, Jinil)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2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27

        Hungary is often characteristically referred to as “Asia in Europe.” This indicates that Hungarians currently reside in Europe, but migrated from Asia in the past. Their ancient Asian faiths are well shown by “taltos,” “eletfa,” “vilagfa,” etc. which appear in various forms in Hungarian traditional folklore culture and oral literature. In particular, the taltos is considerably similar to a Korean shaman, i.e. mudang in that he/she has long dominated the spiritual world of Hungarian people as a being that connects humans to gods. First, though Christianity is given more weight in them than other nations, the two countries still see the wide spread of ancient shamanistic faiths among their peoples. Second, the gods served by taltos and mudangs are different in shape from those served by the shamans in Siberia and Central Asia, which were pointed out by Eliade as the sources of shamans. The gods in Korea and Hungary are quite similar to each other in appearance, although this may be a mere accident. Third, shamanism is deeply rooted in the cultures and lives of the both countries. As the popular life in Korea is closely related to Feng Shui, shamanistic songs, etc, so that in Hungary is deeply infiltrated by astrology and exorcism, especially with shamanistic factors deeply involved in folk arts. Lastly, Hungarians regarded deer as holy animals, which is to be found in the golden crowns from the Silla Kingdom.<br/> In general, mudangs are roughly divided into two kinds, i.e. “possessed mudangs” and “hereditary mudangs.” No written record has yet been found on any taltos, who is specially born and subjected to a special disease a person destined for a taltos must put up with. Interestingly enough, Korean shamanism does not harmonize with Christianity, but is opposed to it, while Hungarian one peacefully coexists with Christianity without conflict. Despite of such differences, Hungarian shamanism is similar to that in Central Asia and Siberia which is not to be seen in other European countries. This makes it somewhat valid in religious terms as well to assert in linguistic terms that Hungarians are from Asia.

      • KCI등재

        헝가리 신화의 아시아적 모티프

        유진일(Yoo, Jinil)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8 동유럽발칸연구 Vol.20 No.1

        언어학자인 셔이노비치 야노시 (Sajnovics, Janos) 가 헝가리 민족의 아시아 기원설을 처음으로 주장한 이후 언어학과 고고학, 그리고 민속학 등의 영역에서도 그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결과물들이 속속 제시되고 있다. 그 결과로 현재 헝가리 민족의 아시아 기원설은 어느 정도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헝가리 민족의 기원과 정체성 을 현재까지의 연구관점이 아닌 문학적 관점에서 밝혀보고자 시도하였다. 특히 구비문학의 한 장르인 신화는 한 민족의 공동의 신념과 사상을 투영하고 있어 민족 정체성을 밝히는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연구방 법론으로는 헝가리 민족의 아시아 기원설을 연역적 방법으로 증명해가는 방법을 채택하였고 동일 모티프를 가진 유사 신화의 해석과 관련해서는 인간의 보편적 무의식론과 전파론을 둘 다 수용하되 헝가리 민족의 아시아 기원설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는바 전파론에 좀 더 큰 비중을 두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헝가리 신화 속에는 다양한 아시아적 모티프가 융해되어 있음이 발견되었는데 본고에서는 그 중에서도 가장 두드러진 모티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헝가리 민족의 아시아 기원을 증명할만한 신화소로 우선 잠수(潛水) 모티프를 들 수 있다. 잠수 모티프는 헝가리의 창세신화, 핀-우그르 어속에서 분리되어 호수와 늪지대가 많은 서북쪽으로 이동하여 현재의 스칸디나비아 반도와 발트해 연안까지 옮겨간 핀-페르미 어족, 헝가리 민족과 함께 핀-페르미 어족에서 분리되어 나온 민족, 그리고 지리적 근접성으로 인해 핀-우그르 민족과 접촉했을 것으로 판단되는 몽골족과 헝가리 민족이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을 것으로 추측되는 루마니아의 창세신화에서 발견되었다. 둘째로 헝가리 신화에서는 세계수(世界壽)와 샤마니즘의 밀접한 연관 성이 발견되었다. 여타 민족의 신화에서도 발견되는 세계수는 하늘과 땅을 연결한다는 세계관의 표현에 그치는 반면 헝가리 민족과 아시아 북부지역 유목민들에게 있어서의 세계수는 천상세계와 지하세계를 연결하는 중심축일 뿐만 아니라 영(靈)이 머무는 신성한 존재로 나타나고있다. 결론적으로 헝가리 민족이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이주해 온 지 천 여 년이 넘어 외형적으로나 문화적으로는 유럽 민족들의 모습을 하고 있으나 수천 년 동안 헝가리 민족의 사상과 세계관이 농축되어 입에서 입으로 구전되어 온 신화 속에서는 아시아적 모티프와 사상이 다양하게 투영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헝가리인들의 민족적 혹은 사상적 정체성을 밝히는데 있어서 아시아를 제외한 유럽에서만 그 해답 을 찾으려든다면 그 결과의 오류는 자명하다 하겠다. Linguist Sajnovics Janos first argued that the Hungarian people come from Asia. Since then, the findings supporting his theory have been emerging in a successive way in archeology, folklore, etc. as well as linguistics. As a result, the theory that the Hungarians derive from Asia is currently regarded as established to some degree. This study attempted to make clear the origin and identity of the Hungarian people in literary terms. In particular, mythology, a genre of oral literature, is a valuable material in determining national identity, since it reflects a common belief and thought of a nation. The study adopted a method of demonstrating the Asia origin theory in deductive reasoning. In addition, as regards the interpretation of pseudo-myths with the same motif, the study accepted both universalism and diffusionism, but put more emphasis on the latter, considering that the Asia origin theory is considered to be established. The analysis showed that Hungarian myths have various Asiatic motifs melt, the most striking one of which was a main object of this study. First, the motif of diving can be referred to as a mytheme that proves the origin of the Hungarians from Asia. The motif of diving was found in the Creation myth of Hungary, the myths of the nations belonging to the Finn- Ugr language family as well as the Hungarian (Magyar) language family and the Creation myth of Rumania that enables to guess that there were, in the course of the migration from Asia to Europe, mutual influences between Mongolians and Hungarians which seem to get in contact with the Finn-Ugr people because of geographic proximity. Second. Hungarian myths showed close relationships between a world tree and shamanism. While the world trees found in other myths are no more than the expressions of the world view that they connect the sky with the earth, those in Hungarians and northern Asian nomads are the central axes connecting the celestial world with the underground world and the holy beings in which souls stay. In conclusion, the Hungarian people are not different from other European people culturally as well as physically, since more than thousand years have passed since their migration into Europe, but Asiatic motifs and thoughts are melt in various ways in the myths orally transmitted with their world view condensed. Therefore, the consequential fallacy seems to be self-evident, if one merely tries to find answers in Europe in determining the national or mental identity of the Hungarians.

      • KCI등재

        시(詩)의 혁명: 커샥 러이오쉬(Kassák Lajos)의 아방가르드 시 연구

        유진일(Jinil Yoo)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7 동유럽발칸연구 Vol.41 No.1

        커샥 러이오쉬(Kassák Lajos)는 헝가리 최초의 아방가르드 문학잡지『행동(A tett)』을 창간한 대표적인 헝가리 아방가르드 작가이며 본고에서 분석대상으로 삼은 그의 시 <말은 죽고 새들은 날아가고(A ló meghal a madarak kirepülnek)>는 헝가리의 대표적인 아방가르드 시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599행으로 이루어진 커샥 러이오쉬의 이 장시(長詩)가 헝가리를 대표하는아방가르드 시로 평가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방가르드 문학의 특징인문학적 기법과 내용의 난해함으로 인해 그동안 많이 연구되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서보 졸탄(Szabó Zoltán)과 버쉬 기저(Vasy Géza)가 정리한 아방가르드 문학의 문체론적 특징에 기초하여 아방가르드의 여러 경향 중 다다이즘, 표현주의, 미래주의, 그리고 초현주의를 중심으로 <말은 죽고 새들은 날아가고>에 나타나는 문체론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먼저 <말은 죽고 새들은 날아가고>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 중 하나는 의미론적 합리성을 상실한 채 단지 음성학적 특징만을 보여주는 다다이즘적 특성을 보여주는 무의미한 어휘들이 눈에 띄는데 이러한 어휘들은 단순한 말장난이나 재미의 발로가 아닌 모든 예술의 합리성과 가치체계가 붕괴된 당시의 시대적 본질을 보여주는 것들이다. 또 이 시에서는 의미 파악에 지장을 줄 정도로 빈번하게 비유와 상징이 사용되고 있으며 감탄사가 자주 사용되고 있고 또 과장을 표현하는 roppant, nagy, tele, óriás, világ, minden 등의 어휘들이 빈번하게 등장하는데 이는 20세기 초 유럽을 휩쓴 전쟁의 공 포와 이성의 붕괴, 그리고 목표를 상실한 인류의 내적 혼돈을 나타내는 표현주의적 특징들이다. 다음으로 <말은 죽고 새들은 날아가고>에서는 미래주의 작품의 가장 큰 특징인 동시성과 역동성을 보여주는 부분이 자주 등장하는데 서로 다른 시간과 공간에서 일어나는 사건이 무질서하게 서로 뒤섞여 나타나기도 하고 역동성을 표현하는 감정적인 외침, 의성어, 혹은 감 탄사들이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 시에서는 무의식을 통해 의식을 고의로 교란시키는 장면들이 자주 등장하는데 판타지와 현실, 혹은 꿈과 현실이 교묘하게 겹쳐져 나타난다. 이는 초현실주의적 특징으로 화자의 의식이 일정한 단어(예를 들면 de와 같은 접속사)를 매개로 현실과 초현실을 수시로 넘나드는 것을 볼 수 있다. Lajos Kassák founded A Tett, Hungary s first avant-garde literary magazine and his A ló meghal a madarak kirepülnek (The Horse Dies the Birds Fly Out, 1922) is considered to be a Hungary s representative avant-garde poem. Consisting of 599 lines, the long poem has not yet been widely studied due to the difficulty in the understanding of techniques and meanings. This study analyzed the poem with a focus on dadaism, expressionism, futurism and surrealism on the basis of the stylistic features of avant-garde literature established by Zoltán Szabó and Géza Vasy. First, the poem is most strikingly characterized by meaningless vocabulary that shows only phonetic features without semantic rationality. Such vocabulary does not simply derive from pun or fun, but reveals the essence of the times when artistic rationality and value system collapsed completely. Second, the poem uses exclamations and exaggerative words, such as roppant, nagy, tele, óriás, világ and minden, and metaphors and symbols so frequently as to prevent the understanding of poetic meanings. They are expressionistic features that represent the fear for war, the destruction of reason and the inner confusion of mankind. Third, the poem often shows simultaneity and dynamics, which are the greatest features of futurism. Specifically, events sometimes occur in disorder and mixture in different times and spaces, and emotional shouts, imitative words, or exclamations are frequently employed. Lastly, the poem has surrealistic features: fantasies or dreams are artfully mixed with realities, with many scenes intentionally disturbing consciousness through unconsciousness; the narrator s consciousness hovers between reality and fantasy by the medium of specific words, e.g. conjunction like de.

      • KCI등재

        한강과 페퇴츠 언드라쉬의 소설에 나타나는 생태비평 비교 연구:

        유진일(Jinil Yoo)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6 동유럽발칸연구 Vol.4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헝가리의 대표적인 생태비평 작가라 할 수 있는 한강과 페퇴츠 언드라쉬(Petőcz András)의 작품을 생태여성주의 관점에서 상호 비교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양국의 전반적인 생태비평의 경향을 살펴보고 동시 에 동시대 문학 속에서 한국과 헝가리를 대표하는 두 생태여성주의 작가의 문학기법적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본다. 한강과 페퇴츠 언드라쉬 작품의 사상적 기반이 되는 생태여성주의는 현대사회에서 인류에게 가장 큰 위협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문제의 원인과 해법을 인간과 자연, 그리고 남성과 여성의 관계에서 찾고 또 해결하려는 생태비평 중 하나이다. 이들은 환경오염 문제를 여성주의 관점에서 바라보면서 산업화이후 진행된 인간들의 자연 개발과 환경 파괴 문제를 수렵문화 이후에 진행된 남성의 여성 지배와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다. 그러나 이들은 인간과 자연, 그리고 남성과 여성을 서로 대립적 관계에서 바라보고 않고 오히려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동반자로 바라보고 있다는 점에서 미래지향적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 서 분석한 작품 <채식주의자>와 Sárga virág a feleségem의 작가가 각각여성과 남성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관점에서 작품을 창작할 수 있었던 것도생태여성주의의 이러한 동반자 의식에서 기인한다. 인간과 자연, 그리고 남성과 여성의 관계를 동일한 인식 속에서 바라보는 한강과 페퇴츠 언드라쉬의 유사한 관점에도 불구하고 작품 속에 드러나 있는 문학적 기법들은 서로 독창적임을 볼 수 있다. 먼저 가부장적 사회로 인한 여성의 파멸을 한강은 육식주의자 아버지와 채식주의자 딸의 대립을 통해 보여주고 있는데 비해 페퇴츠 언드라쉬는 자연과 대도시의 대립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또생태여성주의자들은 가부장적 사회는 반드시 가시적, 혹은 비가시적 폭력을 동반한다고 보고 있는데 이 폭력과 관련하여 <채식주의자>에는 남성의 가시적이고 직접적인 폭력이 드러나 있는 반면 Sárga virág a feleségem에는 남성 과 유사한 의미망에 속하는 도시의 비가시적이고 간접적인 폭력이 드러나 있다. 다음으로 두 작품에 공히 등장하는 여성의 식물로의 변신 모티프는 <채식주의자>에서는 꿈의 형식을 통해 나타나지만 Sárga virág a feleségem에서는 실재 현실 속에서 일어난다는 차이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생태여성주의의 핵심 사상 중의 하나인 ‘타자에 대한 사랑’이 채식주의자에서는 유방으로 상징화되는 둥근 것에 대한 갈구의 형식으로 표출되고 있는 반면 Sárga virág a feleségem에서는 날카로운 것으로 인한 고통을 강조하는 형식으로 나타나고있다. 그런데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한강과 페퇴츠 언드라쉬가 둘 다 1998년에 미국 아이오와 대학에서 주최한 국제창작 프로그램에 참가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과 한강의 채식주의자가 2007년에 발표되었고 페퇴츠 언드라쉬의 Sárga virág a feleségem이 2005년에 발표되는 등 두 작품의 발표시기가 비슷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작가가 국제창작 프로그램에서 생태비평 혹은생태여성주의에 관한 의견 교환이 있었거나 한 작가가 다른 작가에게 혹은 상호간에 영향을 주고받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 필댐 심벽재료 지반 물성 변화 초기 연구

        박동순 ( Park Dongsoon ),유진일 ( Yoo Jinil ),이지은 ( Lee Jieu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2

        국내 다수의 필댐과 저수지의 노후화율이 심각한 수준이며, 차수기능을 담당하는 심벽 재료의 건전성은 매우 중요하나 시간에 따른 물성 변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10개 용수전용댐에 대한 직접 지반조사 및 토질시험을 통해 심벽 재료의 지반공학적 물성변화를 분석하였다. 검토 결과, 건설 당시에 비해 심벽 지반의 물성이 부지 고유의(site specific) 특성에 의존적이었으며, 상대적으로 연약한 심벽 재료의 경우 강도 및 투수성능 저하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과거 제체 보강을 위해 수행한 그라우팅 보강 심벽 재료의 물성도 시간의존성이 확인되어 향후 유지관리에 참고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