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세기 후반 李承五의 燕行과 對淸 인식 : 『觀華誌』를 중심으로

        유지혜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late 19th century is a point in time which the ruling class of Joseon turned their eyes to commerce·enlightenment, and Kojong engaged actively in treaties with foreign countries. Meanwhile, Qing Dynasty newly recognized the Joseon problem due to the Annexation of the Ryukyu Kingdom and Southward Advance Policies of Russia. Therefore, there wer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Qing. Through the The Military Mutiny of 1882 and the Gapsin Coup D'Etat, the Qing Dynasty deepened interference in domestic affairs about Joseon and Joseon made an effort to get out of the containment of the Qing Dynasty. Regardless of these changes, Joseon was regularly sending a envoy to Qing until 1894. The tribu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China was maintained diachronic and Joseon and the Qing Dynasty maintained a formal relationship through submiss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look over the fact that it was a continuous aspect of Chinese order which is an perception of the bureaucratic coordination group against the Qing Dynast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radical enlightenment group·moderate enlightenment group·group against enlightenment that was mentioned in the previous researches. Lee Seung-Oh (李承五, 1837~1900) and his yean-haeng-rok 『Gwanhwaji(觀華誌)』 shows this very well. The Hansan Lee family of Lee Seung-Oh was an influential meritorious family. Through intermarriage with the Noron family from the 17th century, they maintained a relationship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y especially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Andong Kim family that was the peak of the in-power government and was able to maintain family dignity and Lee’s father Lee Kyung-Jae(李景在) rose to prime minister of the Joseon Dynasty and his family rose to the peak. Lee Seung-Oh, living up to these standards, filled various upper echelons and in 1887 he went to Beijing as a envoy. People associated with Lee Seung-Oh were bureaucrats of influential families with a similar age. Most of them did not participate in reform but were conservative bureaucrats with friendly attitudes toward Qing and of them were follower of Yu Sin-Hwan(兪莘煥). Representative associated people were Han Jang-Seok and Kim Byung-Si. In his yean-haeng-rok 『Gwanhwaji』, Lee Seung-Oh focused on the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of the Qing Dynasty and acknowledged Qing as the middle of China. In 1887, through the Military Mutiny of 1882 and the Gapsin Coup D'Etat, the pressure from the Qing Dynasty became worser than any period. At this period, Kojong and radical enlightenment groups had conflicts with Qing but at the same time there were views against the Qing Dynasty of the conservative bureaucrats that viewed Qing as the middle of China. The late 19th century envoys had meetings with the Qing writers and this wa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Yonghuisa(龍喜社)‘s Literary-man and Manchurian bureaucrats. In Beijing, Lee Seung Oh was introduced by Seo Sang-wu who was the political affairs official of the previous envoy and exchanged poems when meeting the Han family of Yonghuisa Literary-man. This was an extension of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envoys and Qing Literary-man that was existent. Or it was a new form of a close relationship because it was a close relationship with a Manchurian. Lee Seung-Oh met various Manchurian bureaucrats on his diplomatic mission and did not show repulsion in meeting them. This was a change from Sinocentrism which had a negative attitude toward Manchurians. He showed negative views about the West and Yangmu Movement in his conversation by writing, In 「Soo-rok(隨錄)」 of 『Gwan-hwa-ji』, the customs of China is recorded. Lee Seung-Oh referred to 「Yeankyung Japji(燕京雜識)」 of Yu Eon-Sul(兪彦述) and copied most of it and showed the succession of the customs of yean-haeng-rok. Yu Eon-Sul was very close with Lee Tae-Joong(李台重) who is Lee Seung-Oh’s great grandfather and this relationship goes up to the relationship of Lee Jeong-Gi(李廷夔) and Yu Gae(兪棨). The descendant of Lee Jeong-Gi, who is Lee Seung-Oh became friends with Yu Shin-Hwan and received the writings of Yu Eon-Sul who was the great grandfather of Yu Shin-Hwan. However, Lee Seung-Oh referred to 「Yeankyung Japji」 and changed some of it and put it into 「Soo-rok」. This was the term on Qing. He changed many names related to Qing and reduced negative expressions about Qing and recognized the Qing Dynasty as the country of the emperor. At the same time, he imitated the Northern Learning(Bukhak) remarks that evaluated Qing positively. 19세기 후반은 조선의 지배층이 통상·개화에 눈을 돌리는 시점으로, 고종은 외국과의 조약에 적극 임했다. 한편 淸은 日本의 琉球倂合과 러시아의 南進政策으로 조선 문제를 새롭게 인식하였다. 따라서 이 시기 조선·청 관계에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었다. 壬午軍亂과 甲申政變 후 청은 조선에 대한 간섭을 심화하였고, 조선은 청의 屬國化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조선은 1894년까지 청에 정기적으로 使臣을 보냈다. 한반도와 중국의 朝貢冊封관계는 通時的으로 이어졌으며, 조선과 청 양국도 事大를 통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따라서 중화질서의 연속적 측면이라는 점에서 기존 연구에서 다루었던 급진개화파·온건개화파·위정척사파와는 다른 조정 관료군이 가진 對淸 인식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李承五(1837~1900)와 그의 연행록 『觀華誌』가 이를 잘 보여준다. 이승오의 韓山 李氏집안은 유력한 벌열가문이었다. 이들은 17세기부터 노론 가문들과의 通婚을 통해 대대로 관계를 이어나갔다. 특히 세도정권의 정점이었던 安東 金氏집안과 20세기 중반까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여 19세기 후반에도 家格을 유지할 수 있었으며, 부친 李景在는 영의정에까지 올랐다. 이승오는 각종 고위직을 역임하였으며, 1887년에는 進賀兼謝恩正使로 사행에 다녀오기도 하였다. 이승오와 교유한 사람들은 유력가문 출신 관료들인데, 대표적으로 김병시와 한장석이 있다. 대부분 청에 우호적인 보수 관료였으며, 개중에는 兪莘煥의 文人도 있었다. 연행록 『관화지』에서 이승오는 청의 富國强兵한 모습에 주목하였고, 청을 중화로 인정하는 태도를 보였다. 1887년은 임오군란과 갑신정변을 거쳐 청의 압박이 여느 때보다 심해진 시기였다. 이때 대청인식은 고종 및 개화파 세력과 청의 갈등이라는 흐름이 있었지만, 동시에 청을 中華로 인식하는 보수 관료들의 대청인식도 존재했던 것이다. 19세기 후반 사신들은 청 문인들과 만남을 가졌는데, 龍喜社 문인과 만인관료와의 교유였다. 북경에서 이승오는 이전 사행의 정사 徐相雨의 소개를 받고, 용희사의 漢族문인들을 만나 시를 주고받았다. 이는 이전부터 있어왔던 조선사신과 청 문인의 교유라는 연장선상이었다. 또한 滿人과의 교유라는 새로운 성격의 교유를 하였다. 이승오는 연행 중 여러 만인 관료를 만나 교유하며, 이들과의 만남에 거부감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과거 만인을 이적시하는 夷狄觀에서 탈피하는 변화를 반증한다. 그는 필담 중에서 서양과 양무운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일부 드러내기도 하였다. 『관화지』의 「隨錄」은 중국의 풍속이 기록되어 있다. 이승오는 兪彦述의 「燕京雜識」를 참고하여 대부분을 베낌으로써 연행록의 전통이 계승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유언술은 이승오의 고조부 李台重과 절친했으며, 이 世交는 나아가 李廷夔와 兪棨의 인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후손이었던 이승오가 유신환과 친분을 갖고 유신환의 고조부였던 유언술의 문집을 보았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이승오는 「연경잡지」 내용을 참고하되 수정을 가하여 「수록」에 반영하였다. 그것은 청에 대한 용어였다. 그는 청 관련 호칭들을 대거 수정함으로써 청을 멸시하는 부정적 표현들을 줄이고 청을 황제의 나라로 인정하였다. 동시에 청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북학론적 발언을 답습하였다.

      • 우리나라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과 뉴질랜드의 과학과 교육과정의 비교

        유지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과학 교육과정과 뉴질랜드의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문서의 구성 체제, 목표 및 내용을 비교 하여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 개선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제7차 과학 교육과정과 뉴질랜드의 과학 교육과정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과학 교육과정 목표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Klopfer의 과학 교육 목표 분류틀을 분석 준거로 사용하였고, 과학 교육과정 내용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TIMSS 과학 교육과정 분석틀을 분석 준거로 사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와 뉴질랜드 모두 교육과정 문서는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가 전체 학습 내용에 대해 끝부분에 일괄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반면, 뉴질랜드는 각 학습 영역의 성취 수준에 따라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가 제시되어 있어 구성 방법에는 차이점을 보였다. 둘째, 우리나라와 뉴질랜드 모두 과학 교육 목표를 여러 학년을 대상으로 진술하고 있었다. 목표 진술 체제는 우리나라는 1개의 총괄 목표와 총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4개항의 하위 목표로 구성되어 있었고, 뉴질랜드는 총 12개의 항목으로 진술되어 있었다. 또한 목표를 비교‧분석한 결과 두 나라 모두 과학 교육 목표에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 것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우리나라의 내용 체계는 크게 지식과 탐구로 구분하고 지식은 10학년을 제외하고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의 4영역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뉴질랜드는 크게 지식 영역과 통합 영역으로 구분하고 있고 지식 영역은 생명․물리학․물질․지구와 우주에 대한 이해의 4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통합영역은 과학의 본성과 기술관련 이해, 과학적 탐구 능력과 태도 함양의 2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내용 진술은 우리나라는 학년별로 주요 활동과 개념이 나타나도록 성취 기준 형태로 진술되어 있었고 뉴질랜드는 몇 개의 학년을 묶어서 8개의 수준으로 교육과정 내용을 성취 목표, 학습 상황의 예, 가능한 학습 경험, 평가의 예 등으로 다양한 형태로 진술하고 있었다. 과학 교육 내용을 학년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지구․물상․생명과학 영역의 내용은 두 나라 모두 비슷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STS 영역의 내용은 우리나라는 초등학교에서만 제시되어 있는 반면, 뉴질랜드는 학교 급별로 모두 제시하고 있었다. 환경 문제에 대한 영역에서도 우리나라는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에서만 제시되어 있는 반면 뉴질랜드는 모든 학년에 고르게 제시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차기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과학과 교육과정 문서가 현장 과학 교육에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지도 방법, 평가 등이 각 단원 내용에서 구성되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전통적인 과학 교육 내용체계에서 벗어나 내용 영역을 다양화 할 필요가 있고, 특정 내용을 반드시 특정 학년에 가르쳐야 하는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몇 개의 학년을 묶어서 학년 군에 따라 내용을 제시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 저온처리공정을 이용한 질소산화물(NOx)의 저감기술 개발 및 연구

        유지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order to reduce NOx emissions of SCV (submerged combustion vaporizer), a laboratory scale bubbling reactor was installed, and the NO removal efficiency was evaluated. Experiments were performed the effect of various process variables (excess O2 concentration, retention time, NaClO and NaClO2) on NOx conversion.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NO removal efficiency by excess oxygen, NaClO and NaClO2 removal efficiencies were analyzed to be 5%, 60% and 100%, respectively.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NaClO2 shows the highest efficiency in reducing NOx. In addition, it is more economical to mix NaClO and NaClO2. In this study, it can be said that it has enough competitiveness as a technology that can cope with strengthening environmental regulation.

      • 고령여성 태극권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건강통제행위 및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유지혜 명지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39

        고령 여성들을 대상으로 태극권 참여가 신체적 자기개념, 건강통제행위 및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를 통계 처리하여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태극권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건강 위기감 및 건강통제행위, 건강증진행위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유연성, 스포츠 유능감, 근력이 60-70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배우자 유무는 외모, 근력, 자지존중감에서 이 배우자가 있는 그룹에서 높게 나타났다. 교육수준은 자기 존중감을 고졸이상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소득수준은 외모와 자기 존중감에서 100-200만원 소득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태극권 참여정도가 신체적 자기개념, 건강통제행위 및 건강증진행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극권 참여 기간이 길수록 자기 존중감을 높게 나타났으며, 태극권 참여 빈도가 높을수록 외모, 유연성, 스포츠 유능감, 근력, 자기 존중감 등 신체적 자기개념을 전반적으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실현, 운동영양, 대인관계지지, 스트레스 관리 등 건강증진행위는 높게 나타났다. 태극권 참여 강도가 강할수록 스포츠 유능감, 근력, 자기 존중감을 높게 나타났다. 셋째, 태극권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은 건강통제행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통제행위에 신체적 자기개념은 외모, 유연성, 스포츠 유능감, 근력이 높을수록 타인의존, 우연 건강통제행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모, 스포츠 유능감, 근력이 높을수록 내적 건강통제행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태극권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은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모, 유연성, 스포츠 유능감, 근력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관리, 운동영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모, 근력, 자기 존중감이 높을수록 자아실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of aged women to determine the effect that the Tai ji participation would have on the physical self-concept, health control behavior,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statistically for analysis. From the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a partial difference was observed in physical self-concept, sense of health crisis, health control behavior,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ai ji participants. The 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women aged between 60 and 70 in terms of flexibility, sports competence, and muscular strength. In relation to the existence of spouse, the outward appearance, muscular strength, and self-esteem were found to be high in the group that had the spouse. Regarding the education background, the group with high school education or above was found to have high self-esteem. The outward appearance and self-esteem were high in the group earning KRW 1 million to 2 million. Second, the extent of participation in Tai ji was found to have partial influence on physical self-concept, health control behavior,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self-esteem was higher when the period of participation in Tai ji was longer. Meanwhile, the physical self-concept, such as outward appearance, flexibility, sports competence, muscular strength, self-esteem, etc., was found to be usually highly perceived when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Tai ji was higher.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such as self-realization, sports nutri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upport, stress management, etc., was found to be high. The sports competence, muscular strength, and self-esteem was found to be high when the intensity of participation in Tai ji was stronger. Third, the physical self-concept of Tai ji participants was found to have a partial influence on the health control behavior. In relation to the physical self-concept in health control behavior, the reliance on others and coincidental health control behavior were found to be high when the outward appearance, flexibility, sports competence, and muscular strength were higher. Meanwhile, the inner health control behavior was found to be high when the outward appearance, sports competence, and muscular strength were higher. Fourth, the physical self-concept of Tai ji participants had an influence o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other words, stress management and sports nutrition were high when the outward appearance, flexibility, sports competence, and muscular strength were higher. The self-realization was found to be high when the outward appearance, muscular strength, and self-esteem were higher.

      • 권리소진원칙의 해석에 관한 연구 : 특허권 및 저작권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유지혜 강원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exhaustion doctrine is to resolve conflicts between the owner of a patent(copyright) and the owner of a patented(copyrighted) product. The doctrine means when patented(copyrighted) product is transferred, the patent(copyright) is exhausted, thus the owner of patent(copyright) can not control use and disposition of the product, and the assignee of the product can fully enjoy the status as an owner. The doctrine grounds on the public policy in patent and copyright law, which try to promote dissemination and use of technological and cultural creation. The exhaustion doctrine has the following requirements. First, the owner of a patent(copyright) transfer an ownership of patented(copyrighted) product, not license. Second, the assignee of the product can freely use and dispose the product, but can not harm the exclusivity of patent(copyright). However, as new technologies are emerging and contract of product is diversified, whether assignee of product obtain full ownership through transaction of the product may be unclear. Therefore the exhaustion doctrine cannot guarantee assignee to use and dispose the product than used to. Hence, there is need to be clarified whether assignee has full ownership of the product through transfer contract of the product. Since the owner of a patent (copyright) tend to sell a product conditionally, whether the conditions are enforceable under patent(copyright) law should be construed. Transfer contract of the product can be consist of transfer of ownership and condition on assignee’s right to use and dispose. According to exhaustion theory, developed 19th Germany and have been ground of exhaustion doctrine, if the condition of assignee’s right is corresponding to the transfer of ownership, assignee can use and dispose the product under the condition. But if the condition is subsidiary provision, not affect transfer of ownership, assignee can freely use and dispose the product despite the condition, because when the product is assigned, the patent(copyright) has already been exhausted. Furthermore, there’s also need to discuss on how to reflect the advent of new technology in the exhaustion doctrine. In particular, copyright exhaustion doctrine allows assignee to use and dispose the product through limiting distribution right. However, in trading digital product, the exhaustion doctrine can not guarantee assignee to use and dispose of product anymore. Thus, there is need to amend the copyright act so that the assignee’s act of obtaining and using the digital product is not constitute infringement of reproduction right, and the notion of distribution contains act of dispose digital product. In conclusion, the exhaustion doctrine is for ensuring stability of the assignee’s legal position, unless assignee harm the exclusivity of patent(copyright), resulting in achieving the purpose of patent and copyright law. Even if it does not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exhaustion doctrine by changes in the way of trade and use, there would be required to interpret flexibly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urpose of the exhaustion doctrine. 권리소진원칙은 무형의 재산을 가진 지식재산권자와 지식재산을 내포하는 상품을 취득한 소유권자와의 충돌을 해결하는 법리로, 지식재산권자와의 거래를 통해 상품의 소유권을 취득하면 해당 상품에 미치는 지식재산권이 소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상품의 양수인은 지식재산권 침해의 위험 없이 소유권자로서의 지위를 마음껏 누릴 수 있다. 동 원칙은 특허법 및 저작권법에서 특히 발달하였는데, 이는 상품의 이전에 따른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여 거래의 안정을 도모하고, 유통을 원활히 하여 기술 및 문화적 산물의 보급과 이용을 증진하고자 하는 특허법 및 저작권법상 공공정책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특허권 및 저작권 소진원칙은 ⅰ) 특허권자·저작권자가 특허발명·저작물이 화체된 상품을 양도하여, ⅱ) 양수인이 그에 대한 소유권을 취득하였다면, ⅲ) 해당 상품의 사용·처분에 수반되는 행위는 특허권·저작권을 침해하지 않되, 양수인의 행위는 특허권·저작권의 독점성을 훼손하지 않아야 한다는 공통원리로 구성된다. 그러나 권리소진원칙이 발생할 당시에는 예정하지 못했던 신기술이 등장하고 계약 형식이 다변화되면서, 상품의 거래를 통해 양수인이 취득하는 권리가 완전한 소유권인지 여부가 불분명해지고, 양수인의 행위가 당초 권리소진원칙에서 보장하는 행위와 범위를 달리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 논문에서는 우선 상품 거래 시 양수인이 취득하는 권리범위를 획정하기 위해 양도계약의 해석론을 정리하였다. 특허권자·저작권자는 상품 양도 시 양수인의 사용 및 처분을 제한하는 조건을 부가하여 권리소진원칙을 회피하려 하는데, 이러한 조건이 특허법·저작권법상 강제될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되었다. 이 문제의 해석은 권리소진원칙의 법적 구조를 어떻게 파악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권리소진설을 지지하고 양도에 의해 상품의 소유권이 이전되었다면 해당 상품에 미치는 특허권 및 저작권이 소진되어 양수인은 권리침해의 위험 없이 자유로이 상품을 사용·처분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양도계약을 양도에 관한 부분과 사용·처분 조건에 관한 부분으로 분리하여, 조건이 형식·내용의 유효성을 갖추었다는 전제하에 조건이 소유권 이전에 대응하는 것이라면, 즉 조건부 소유권 이전이라면 해당 조건을 준수하지 않는 경우 소유권이 이전되지 않으므로 권리소진원칙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또한 소유권 이전과 별도로 부가되는 부수적인 조항이라면 상품의 소유권이 이전되면서 특허권 및 저작권은 이미 소진되었으므로, 조건에도 불구하고 자유로이 사용·처분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특허권자·저작권자가 가지는 처분의 자유와 양수인의 지위 안정을 모두 고려하는 합리적인 방안임을 주장하였다. 다음으로 새로운 기술의 등장으로 권리소진원칙의 요건이 원천적으로 적용되기 어려운 경우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하였다. 특히 저작권 소진원칙은 법률에 근거를 둔 법리로, 복제물의 양도가 있었다면 양수인의 사용·처분행위를 보장하기 위해 해당 복제물에 미치는 배포권이 제한되는 것으로 규정되었다. 그러나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저작물 거래 및 이용 방식이 보급되면서, 양수인의 사용·처분행위는 배포권 외에도 다른 저작재산권의 범위에 속하게 되어 현행 저작권 소진원칙으로 양수인의 사용·처분행위를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디지털저작물을 취득·사용하는 행위가 복제권의 침해를 구성하지 않도록 하고, 디지털저작물의 처분행위를 배포행위로 볼 수 있도록 저작권법 개정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결론적으로 권리소진원칙은 특허품·복제물의 소유자에게 안정된 지위를 보장함으로써 거래 안정과 유통 촉진을 통해 특허법·저작권법상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상품의 소유자에게 특허권·저작권의 독점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자유로운 사용·처분을 보장한다. 비록 거래 및 이용 방식의 변화로 외관상 권리소진원칙의 요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동 원칙의 목적과 취지를 고려하여 양수인의 행위가 특허품·복제물의 사용·처분에 관한 것이고, 해당 행위를 인정하더라도 특허권·저작권의 독점성을 훼손하지 않는 경우에는 권리소진원칙의 적용을 긍정하는 유연한 해석이 필요할 것이다.

      • 퓨전 사극의 블로거 역사 인식 : -<쾌도 홍길동>과 <경성스캔들>을 중심으로 -

        유지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역사에 접근하는 방식은 복합적인 시대적 변화를 기회로 변모하고 있으며, 점차 기존의 공식 역사를 그대로 재현하는 전통적 방법을 탈피하고 있다.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과 시대적 변화, 그리고 역사 재현 방식의 변화는 상호 보완적으로 융화되면서 연쇄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조금씩 확장되어온 틈새 공간은 대안 역사의 영역으로 흡수되고 있다. 특히 2002년부터 제작되기 시작한 퓨전 사극은 반복과 차이를 거듭하며 재현되는 과정을 통해 수용자들의 역사 인식에 영향을 주고 있다. 즉 ‘열린 역사’ 해석의 새로운 가능태로서 수용자들의 역사 인식 범위를 확장하며 거시적 역사를 미시사의 틈을 통해 보게 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생산에 수용자들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고 있는 것이다. 기존의 정통 사극의 대안으로 등장한 퓨전 사극은 공식 역사의 줄기를 재현하면서 권력 주체가 아닌 타자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우고 그들의 입장을 대변하고 있다. 기존의 가치 체계에 대한 전복과 그 질서에 대항하는 카니발적 경향은 과거와 현재의 긴 시간을 넘어 순환의 역사를 마주하게 한다. 이렇게 역사가 흡수하게 된 카니발은 정통 역사에 대한 다른 가능성을 제시함으로 인해 대안적 독해의 길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으로 역사는 ‘상상’을 현재에 소통되는 하나의 ‘언어’로 흡수해 수용자들과 대화 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이 바로 수용자들과의 ‘대화’이다. ‘TV’를 통해 접하게 되는 새로운 역사는 ‘인터넷 블로그’를 통해 수용자들과 대화하며 이러한 ‘공론 과정’을 통해 비로소 완성되는 의미 통합체인 것이다. 이런 공론 과정에 대해 우려의 시선도 있지만 미디어 메시지 해독 및 수용에 있어서 수용자들은 예전의 수동적 태도에서 크게 발전해 능동적인 수용자로서 스스로 드라마 텍스트를 컨텍스트적으로 해석·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논문에서는 역사적 시&#65381;공간을 퓨전적 상상력으로 현재의 시&#65381;공간까지 연장시켜 대중의 ‘공론장’을 조성해내고 있는 퓨전 사극을 ‘대안적 역사’로 보고자하며 퓨전 사극과 사회 및 역사 그리고 수용자가 매체를 통해 어떻게 만나고 어떻게 의사소통하는 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퓨전 사극의 역사의식이 어떻게 개별적인 사건의 의미를 뛰어넘어 객관성을 획득하며, 이를 통해 시청자의 주관성과 어떻게 만나고 결국은 수용자의 기억을 통해 어떻게 현재화되는가 하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드라마적 시·공간의 의미를 과거 역사의 영역에서 현재의 영역으로 확장시키는 개념으로 풀이했으며, 전체적 논문의 흐름에서 연구 텍스트들이 텍스트 내부적으로, 나아가 콘텍스트와의 관계에서 어떻게 대화적으로 운용되고 있는지 그 대화 방식을 살펴보는 차원에서 ‘바흐친의 대화주의’를 이론적 토대로 차용하였다. 또한 스튜어트 홀의 문화이론, 발터 벤야민의 아우라 이론, 그리고 미하일 바흐친의 카니발 이론을 검토한 후, 이를 바탕으로 공론장으로서 블로그 문화의 특징을 규명함과 동시에 블로그 문화와 퓨전 사극의 만남이 ‘퓨전 사극에 대한 의미 생산 및 수용’에 있어 수용자들에게 어떤 가능성을 획득하게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퓨전 사극이 수용자들과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탐구로 논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는 스튜어트 홀의 TV 담론을 토대로 수용자들이 퓨전 사극을 보고 공론화하는 과정에 대한 블로그 텍스트를 이용해 수용자들이 새로운 패러다임 안에서 역사를 재구성하고 역사를 인식하는 과정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퓨전 사극과 수용자, 그리고 블로그 문화는 서로 컨텍스트와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에서 동일하며, 이 세 존재의 만남은 상당히 역동적인 ‘소통’과 다양한 ‘역사 인식’의 가능성을 기대하게 한다. 블로그 공론장은 텍스트와 컨텍스트가 만나 의미를 형성하고 의제를 제시하는 열린 공간이며, 이러한 열린 공간에서 수용자들은 역사 재해석으로써의 의미 생산과 소통 가능성을 활용해 능동적으로 독해하고 질문을 던짐으로써 과거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과 만나고, 그것을 계기로 역사를 재발견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본 논문이 주목했던 ‘아래로부터 역사읽기’는 퓨전 사극과 블로그의 매체적 만남의 측면에서 하나의 의미 통합체로 기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물론 퓨전 사극이 미디어 산업적 요구로 인해 발생되었다는 점은 인정하지 않을 수 없지만 퓨전 사극이 단순한 재미만을 생산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전반적으로 볼 때 과거의 역사를 매개로 현재의 모습을 연장시켜 다양한 연령층에 대한 대화의 장을 열었다는 점에서 유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퓨전 사극과 블로그를 통해 ‘공론장의 가능성’과 수용자들의 ‘역사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를 통해 그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으며,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수용자들이 생산하는 의미를 중시하여 ‘역사’와 ‘미디어’와의 관계 및 그 기능을 분석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뿔렝끄의 가곡 '명랑한 노래들'(Chansons Gaillardes) 반주연구 : 가사와 음악과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유지혜 성신여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논문은 뿔렝끄(Francis Poulenc, 1899-1963)의 1926년 성악작품인 『명랑한 노래들』(Chansons Gaillardes)에 관한 연구이다. 뿔렝끄는 신고전주의(Neoclassicism)을 지향하는 프랑스 6인조(Les six)의 일원으로 가장 순수하게 프랑스 가곡의 전통을 이어온 작곡가 중 한 명이다. 그는 전통적인 음악 기법 위에 단순하면서도 아름다운 선율을 통해 시와 음악을 조화롭게 하였으며, 특히 초현실주의 시에 많은 가곡을 작곡 하였다. 『명랑한 노래들』은 뿔렝끄가 17세기 작자미상의 노래 모음집에서 발췌한 시에 붙여진 곡으로, 모두 여덟 곡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뿔렝끄의 생애와 시기별 작품 경향을 알아보고, 연구 대상으로 정한 『명랑한 노래들』의 가사와 음악과의 관계성을 분석한 뒤 성악 선율과 반주 부분의 연주해석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때 성악가와 피아노반주의 조화로운 해석이 작곡가의 의도를 보다 정확히 담을 수 있다는 전제를 가지고 본 논문을 연구하였다. This thesis is Francis Poulenc(1899-1963)'s research of 『Ribald Songs』(Chansons Gaillardes), a vocal music piece written in 1926. Poulenc is one of the members of 'French Le Six' which followed Neoclassicism. He is one of the composers who tried to help the tradition of French song's remain pure. He tried to maintain the balance between the poetry of his lyrics, and the music itself using the simple and beautiful melodies used in tradition music technique. Particularly, he composed several songs using surrealistic poetry. 『Ribald Songs』 is Poulenc's selection from a collection of songs written by an anonymous poet of the 17th century. 『Ribald Songs』contains a total of 8 songs. There are Poulenc's life and his work of timely tendency in the thesis. Moreover, this study is analyze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lation of the lyrics of 『Ribald Songs』and his music. As a result, this research plays significant roles in appreciating a better performance of both the vocal melody and the accompaniment as well as in understanding the composer's intention based on harmony between the singer and the accompanist.

      • 중등교사 임용시험 음악과 국악영역 경향분석 : 2014년~2018년 출제 문항을 중심으로

        유지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음악과 중등교원 임용시험의 교과내용학 중 국악영역의 경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기출문제의 유형이 2차시로 개정되어 기입형, 서술형, 논술형의 형태로 고착된 2014년부터 2018년까지이고, 임용시험 1차의 음악 교과내용학 중 국악영역 문항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육과정 개정에 의해 음악교과 내 국악영역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임용시험의 국악문항 중 기입형의 출제비율은 상승하게 되었으나 여전히 음악교사 양성기관인 사범대학과 비사범계, 교육대학원에서 지정하고 있는 기본 이수 과목 중 국악 관련 과목의 수보다 서양음악 관련 과목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광범위한 출제경향을 고찰하여 임용시험 응시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자 하는 본 연구에서는 첫째, 중등교원 임용제도의 개요와 변천과정을 알아보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1차와 2차 음악과 임용시험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둘째, 음악과 중등교사 선발현황을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을 기준으로 조사하였으며 셋째, 교육과정 개편에 의한 국악교육 현황과 교원 양성기관의 기본이수교과 중 국악영역 교과목의 비율을 알아보았다. 음악과 국악영역 경향분석에서는 지역별 실기고사의 유형과 출제문항 유형을 분류하였고, 영역별 평가내용을 항목별로 세부 조사하여 연도별 출제문항을 분석하였다.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출제되었던 국악영역의 문제유형 및 요목분석을 통한 경향분석 결과, 전체문항 수는 112문항이며 이 중 국악영역은 45문항으로 평균 40%의 비중을 보였고, 음악과 임용고사 문항 중 평가내용에서는 국악통론이 13%의 출제 빈도를 나타냈다. 특히 정악에서 29%, 민속악에서 30%가 출제되어 약 60% 정도를 국악 악곡이 차지하고 있었다. 음계, 선법, 악조 중에서는 유일하게 토리가 부분 출제되었으며, 국악기와 관련된 문항은 전체의 10% 수준에 그쳤다. 본 연구가 중등학교 음악교사가 되어 국악교육을 하게 될 예비음악교사들의 임용시험 대비학습에 기초자료로써 활용되어 효과적인 학업계획과 학습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subject contents of the national teacher employment exam of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The scope of the research is the teacher employment exams from 2014 to 2018, when the question types have been fixed as short answer type, descriptive type and essay type. The subjects were the questions belonging to Korean traditional music area in the Music subject contents of the first exam. As the propor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rea in the music curriculum has continuously increased due to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short answer type questions asking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national teacher employment exam. However, the number of courses related to Western music was higher than the number of subjects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among the basic courses designated by the music teacher nurturing institutions such as teachers’ colleges, teacher nurturing courses in non-teaching colleges and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It was tried to give practical help to teachers-to-be who want to take the employment exam by reviewing examination question trend extensively. First, the overview of and changes in secondary school teacher employment scheme were identified and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employment exams were reviewed. Second, the current recruitment status of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was reviewed focusing on 17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al Offices. Third, current statu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urriculum after the recent curriculum revision and the ratio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basic subjects of teacher nurturing institutions in Korea were reviewed. In the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rea in Music subject, the type of practical tests and the type of question items were classified by region, the evaluation contents were analyzed by area, and the question items were analyzed by year. When analyzing the trend of the exam through question types and syllabu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sked in the exams from 2014 to 2018, it was found that the total number of the questions was 112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occupied 40% as 45 questions. In the music teacher employment exam, questions relating with Overview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ere 13%. About 60% asked Korean traditional music notes such as 29% about classical music and 30% about folk music. Among scales, mode, and tone, only Tori was asked and the questions related to musical instrument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at most 10%. It is expected that the music teachers-to-be who will perform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 secondary school teachers use this study as basic materials to prepare for the employment examination and it will be used for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study plan and the improvement of learning capabilities of the music teachers-to-be.

      • 4학년 아동의 행정구역별 기호식품 섭취 빈도와 아동 및 보호자의 정책 인식 비교

        유지혜 창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requency of favorite food intake, the status of consumption of favorite food, and the perception of policy related to favorite food in 4th grade children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divisions. The survey subjects were 4th grade children and parents of the nationwide. The frequency of favorite food intake and their awareness of favorite food-related policies (recognition, usefulness, necessity, intention to select) were compared and analyzed after dividing 3 groups into metropolitan cities, small and middle cities, and small towns and villages(Eup, Myeon). The data of 1,971 children and parents respectively participating in the survey were analyzed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favorite healthy food intake and the frequency of high-calorie and low-nutrient food consumption by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In detail, ‘Soy milk' consumed more in small and middle cities' children than in other administrative district children(p<0.05). And ‘Fruits'(p<0.05) were consumed by the children of special metropolitan cities and small and middle cities compared with the children of towns and villages(p<0.05). ‘Chocolates and candies’(p<0.01) and ‘Beverages'(p<0.001) were more consumed in small and middle cities than in other administrative district, and ‘Ramen' in small towns and villages more than children in special metropolitan cities(p<0.05). The time spent watching TV, computer, and smartphone use was higher in small towns and villages than that of children in other administrative districts(p<0.01). As a result of the experience of receiving the nutrition education at the school was very low, there was no difference by administration area. In the case of the awareness for favorite food-related policies, while children in the small and middle cities had a lower perception rate than the children in other areas(p<0.05). Children’s awareness in small towns and villages regarding ‘TV advertisement restriction', was higher compared to other areas(p<0.01). In terms of policy-specific usability, children in metropolitan cities showed high awareness, responding that policies such as ‘Green Food Zone’, ‘Exemplary Business Places’, ‘Restrictions on TV advertising’, ‘Restrictions on advertising for free offer’, ‘Nutrition labeling’, ‘Education on food safety and nutrition’, ‘Prohibition detrimental to children’s emotional health’ were helpful in having healthy eating habits(p<0.05∼0.01). In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the policy, the children in the small and middle cities were lower than the children in the other administrative districts(p<0.01). In the ‘Expansion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of food safety and nutrition education', children in small towns and villages showed higher awareness(p<0.05).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favorite food consumption frequency and the policy perception by the guardians(r=0.059∼0.290, p<0.05∼ 0.01). Especially, the frequency of food consumption of children with high calorie and low nutri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perceived the policy usefulness by the guardians'(r=-0.051, p<0.05).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nutrition education in the children's schoo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health food consumption(r=0.111, p<0.01), and there was also a correlation in the policy awareness, usefulness and necessity(r=0.097∼0.376,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f school nutrition education is active, children will be able to improve their perception of behavior and policy to consume more healthy foods than high-calorie and low-nutrition foods. In addition,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s policy perceptions and the guardians' perceptions, so that nutrition education for the children as well as guardians may positively affect the ability of the children to improve healthy food selection and eating habits. 본 연구는 행정구역별에 따라 4학년 아동의 기호식품의 섭취 빈도, 기호식품의 섭취 관련 현황 및 기호식품과 관련된 정책 인식을 비교하여, 추후 아동의 기호식품 선택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조사로 실시되었다. 조사대상자는 전국의 4학년 아동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특별광역시, 중소 도시, 읍‧면‧도서벽지로 집단을 분류하여 기호식품 섭취 빈도, 기호식품 관련 정책별 인식(인지도, 유용성, 필요성, 선택 의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아동과 학부모 각각 1,971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행정구역별로 아동의 건강기호식품 섭취 빈도나 고열량‧저영양 기호식품 섭취 빈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세부적으로 보면 ‘두유’는 중소 도시 아동들이 다른 행정구역 아동들보다 더 섭취하고 있었으며(p<0.05), ‘과일류’는 특별광역시, 중소 도시 아동들이 읍‧면‧도서벽지 아동들보다 더 섭취하고 있었다(p<0.05). 그리고 고열량‧저영양 기호식품을 세부적으로 보면 ‘초콜릿‧캔디류'(p<0.01), ‘음료류'(p<0.001)는 중소 도시 아동들이 다른 행정구역 아동들보다 더 섭취하고 있었으며, ‘라면류’는 중소 도시, 읍‧면‧도서벽지 아동들이 특별광역시 아동들보다 더 섭취하고 있었다(p<0.05). 대중매체 노출 시간에서 TV시청과 컴퓨터,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읍‧면‧도서벽지 아동들이 다른 행정구역 아동들의 사용시간보다 많았다(p<0.01). 기호식품 관련 영양교육을 학교에서 받은 경험으로 행정구역별에선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항목별 중 ‘고열량‧저영양 식품’은 중소 도시 아동들이 다른 행정구역 아동들보다 경험이 낮게 나타났다(p<0.01). 기호식품 관련 정책별 인지도에서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의 경우 중소 도시지역 아동들이 다른 지역의 아동들보다 인지율이 낮았으며(p<0.05), ‘TV광고 제한’의 경우 읍‧면‧도서벽지 아동들이 다른 행정구역 아동들보다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p<0.01). 정책별 유용성에서는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우수판매업소’, ‘TV광고 제한’, ‘무료제공 광고제한’, ‘영양정보 표시’, ‘식품안전 및 영양교육’, ‘정서저해 식품 판매금지’는 특별광역시 아동들이 올바른 식생활 습관을 가지고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높은 인식을 보였다(p<0.05~0.01). 정책별 필요성 인식에서 중소 도시 아동들이 다른 행정구역 아동들보다 인식이 낮게 나타났으며(p<0.01), 항목별로 '학원가를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으로 지정·관리', ‘인터넷 정보노출 관리 방안 마련', ‘TV광고 제한시간 연장’은 특별광역시 아동들이 높은 인식을 보였으며(p<0.05~0.01), ‘식품안전 및 영양교육을 중‧고등학생 확대’에선 읍‧면‧도서벽지 아동들이 높은 인식을 보였다(p<0.05). 아동의 기호식품 섭취 빈도 및 정책 인식과 보호자의 정책 인식 간의 상관분석에서 아동과 보호자의 정책 인지도, 유용성, 필요성 및 선택 의향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059~0.290, p<0.05~0.01). 이 중 아동의 고열량‧저영양 기호식품 섭취빈도와 보호자가 정책에 대해 유용하다고 인식하고 있을 때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051, p<0.05). 그리고 아동의 학교에서의 영양교육은 건강기호식품 섭취와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으며(r=0.111, p<0.01), 정책 인지도, 유용성, 필요성에서도 상관성을 보였다(r=0.097~0.376, p<0.01). 결론적으로 학교 영양교육은 건강기호식품 섭취와 정책 인식들 간에 학교에서 교육을 적극적으로 한다면 아동들이 고열량‧저영양 기호식품보다 건강기호식품을 더 섭취하려는 행동과 정책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아동의 정책 인식들과 보호자의 정책 인식들 간의 상관성이 나타나 아동뿐만 아니라 보호자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한다면 아동의 식품 선택 향상능력과 식습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유아교사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실태 조사

        유지혜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awareness and difficulty of teachers on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Then, this research for develop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on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and provides basic materials for carrying out quality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To concentrate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How different in the awareness of teachers on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difficulty of teachers on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eachers who working at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four weeks from November 27th to December 27th, 2018 and collected data to analyze the results. Regarding the tool used in this study, the tool is based on the tool used in the study on the awareness of teachers on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performed by Ku Mi-Ran(2005) and Kim Young-Mi(2010) and the tool used in the study of investigating difficulties in the teachers who perform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achieved by Song Seon-hwa(2012). The collected data is analyz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according to determined study issues. First,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ccording to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and MANOVA and Scheffé were perform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awareness. Second, frequency and percentage according to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and chi-square test(x2) were perform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difficulty.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awareness of educational goal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found to have a higher awareness of the educational goal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hen we looked into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er's background,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Teachers with graduate degrees or higher are significantly more aware of their educational goals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 Second,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the awareness of teaching method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found to have a higher awareness of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eacher's background. Third,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awareness of the role of teacher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found to have a higher awareness of the role of teacher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hen we looked into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er's background,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Teachers who graduated from a four-year university are significantly more aware of the role of teachers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 Fourth, the reason why it is difficult to teach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eachers' lack of musical basic knowledge and basic skills” wa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lack of opportunities for education or training,” “environment of institutions lacking to provide music education,” “lack of confidence in teachers' music and music teaching,” and "other." When we looked a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depending on the type of institution and educational background. Fifth, according to a survey of children's most difficult activitie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ody expression and creative expression activities" were "handling instruments," "listening to music," "singing" and "oth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n looking at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eacher's background. Sixth, according to the survey of the most difficult section of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activity type"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teaching musical concept," "managing music classes" and "other." When we looked a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depending on the type of institution. Seventh, the survey on the reasons for the difficulty in teaching musical concept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lack of teaching or basic skills" were found to be the most common, "lack of opportunities for education or training," "lack of self-confidence in the teacher's music and music teaching," and "other." When we looked a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depending on the type of institution. Eighth, the survey on the reasons for the difficulty in implementing teaching method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wed that "the teacher's lack of musical basic knowledge and basic skills"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lack of opportunities for education or training," "environment lacking in music education," "lack of self-confidence in the teacher's music and music professors," and "other." When we looked at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of the infant teac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al background. Ninth,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reasons for the difficulty in the operation of classe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lack of opportunities for education or training," "lack of musical basic knowledge and basic skills by teachers," "environment insufficient to provide music education," "lack of self-confidence in the teacher's music and music teaching," and "other" followed. When we looked at whether there w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ckground changes of the teach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enth,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reasons why find it difficult to utilize the physical environment in music education, “because of the lack of budget by the institution, it was most difficult to purchase teaching materials, dioceses and instruments,” “because they are not in a position or place where they can be used easily,” and "other" were found in order. When we looked at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changes of the teach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vealed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background.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awarenes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s very high. While there is a high awareness o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t has various difficulties in providing music education for inf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solutions are available to solve the difficultie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lementation of higher quality infant music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infant music programs.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만 3-5세 담당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그에 따른 어려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들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에서 보다 질 높은 유아음악교육의 실시와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유아음악교육(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방법,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어려움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에 재직하고 있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 27일부터 2018년 12월 27일까지 총 4주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를 수집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유아교사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구미란(2005)의 유아음악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육환경과 교육의 실제에 사용된 설문지와 김영미(2010)의 음악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활동의 실태에 사용된 설문지를 기초로 하였고, 유아교사의 어려움에 관한 설문지는 송선화(2012)의 유아음악 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어려움 연구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변량분석(MANOVA)과 사후검증 Scheffé를 실시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어려움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어려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x2)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음악교육의 교육목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유아교사들은 유아음악교육의 교육목표에 대한 인식이 보통 이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학원 이상의 학력을 가진 교사가 전문대를 졸업한 교사에 비해 교육목표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음악교육의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유아교사들은 유아음악교육의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이 보통 이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유아음악교육의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유아교사들은 유아음악교육의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보통 이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4년제 대학교 졸업의 학력을 가진 교사가 전문대를 졸업한 교사에 비해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음악교육 지도 시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교사의 음악적 기초지식 및 기초기술 부족’이 가장 많았고, ‘교육이나 연수받을 기회 부족’, ‘음악교육을 실시하기에 부족한 환경’, ‘교사의 음악 및 음악교수에 대한 자신감 부족',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기관유형과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유아음악교육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활동을 조사한 결과, ‘신체표현 및 창의적 표현활동’이 가장 많았고, ‘악기 다루기’, ‘음악 감상’, ‘노래 부르기’,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유아음악교육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영역을 조사한 결과, ‘활동유형에 따른 교수방법’이 가장 많았고, ‘음악적 개념지도’, ‘음악수업 운영’, ‘기타’ 순으로 나타 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기관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곱째, 유아음악교육에서 음악적 개념 지도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교사의 음악적 기초지식 및 기초기술 부족’이 가장 많았고, ‘교육이나 연수받을 기회 부족’, ‘음악교육을 실시하기에 부족한 환경’, ‘교사의 음악 및 음악교수에 대한 자신감 부족’,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기관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덟째, 유아음악교육에서 교수방법 실시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교사의 음악적 기초지식 및 기초기술 부족’이 가장 많았고, ‘교육이나 연수받을 기회 부족’, ‘음악교육을 실시하기에 부족한 환경’, ‘교사의 음악 및 음악교수에 대한 자신감 부족’,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아홉째, 유아음악교육에서 수업 운영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교육이나 연수받을 기회 부족’이 가장 많았고, ‘교사의 음악적 기초지식 및 기초기술 부족’, ‘음악교육을 실시하기에 부족한 환경’, ‘교사의 음악 및 음악교수에 대한 자신감 부족,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열째, 유아음악교육에서 물리적 환경 활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기관의 예산부족으로 교재, 교구 및 악기 구입이 어려워서’가 가장 많았고, ‘활용하는 것이 번거롭고 귀찮아서’, ‘활용하는 방법을 잘 몰라서’, ‘교재, 교구 및 악기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위치나 장소에 있지 않아서’,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을 때,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이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은 반면 유아음악교육을 실시하는데 다양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어 유아음악교육을 실시하기 어렵다는 문제에 부딪히므로 그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어떠한 해결방안이 있는지 모색하고, 보다 질 높은 유아음악교육의 실시와 유아음악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