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四溟 惟政(1544-1610) 眞影 硏究

        박주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고승 진영 중 현전 수량이 풍부하며, 수염 등의 특징적인 상호표현을 지닌 사명 유정의 진영에 주목하였다. 진영의 조성주체 및 조성목적에 관한 문제, 정밀한 양식변천의 양상, 그리고 동일한 인물이 각기 다른 모습으로 등장하는 사명 유정 진영의 현상을 사명 유정의 생애 및 그에 대한 각계각층의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사명 유정의 생애를 관련 문헌을 통해 정리하여 사명 유정이 어떤 인물로 인식되어왔는지를 유교계, 불교계, 민간 등 각 계층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현전하는 사명 유정 진영을 소장한 사찰의 법맥계보와 동반 제작, 봉안된 진영의 예를 살펴 사명 유정 진영의 조성 주체 및 목적을 유추해 보았다. 연구대상이 된 22점의 사명 유정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각 진영별로 정리하였으며 이를 도표화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사명 유정 진영에 표현된 다양한 구성요소를 분석해 보았다. 구성요소는 좌식 및 배경, 상호, 의복, 지물 등 각 진영에 공통적으로 표현된 4부분으로 나누었으며, 진영에 나타난 요소들에 대한 연원과 의미, 표현의 변화과정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중, 보다 특징적인 변화과정을 보이는 상호표현을 중심으로 사명 유정 진영을 총 3기로 나누어 각 시기별 진영의 특징을 정리함과 동시에 진영에 표현된 인물상의 변화를 앞서 살펴본 사명 유전에 대한 인식과 연관지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사명 유정 진영은 진영의 일반적인 예와는 다르게 직계 법맥이 조성한 것이 아닌 18세기 이후로 경상북도 지역에서 활동하였던 편양법맥의 주도로 조성되었으며, 그 중심에는 도총섭 등 주요승직이 배치되었던 사액서원 표충사의 건립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명 유정 진영의 구성요소에 대한 분석을 종합하여, 생전에 사용한 가사 및 가사장식구, 지물 등의 유품을 표현하여 사명 유정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나타내려 하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양식이 혼용, 변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1기의 진영에는 불교계의 인식이 반영된 이상적인 승려의 모습을 표현하려 하였지만, 2기 및 3기의 진영에서는 유교계, 민간의 인식이 크게 반영되어 사천왕 및 시왕, 산신 등의 상호와 유사한 표현을 사용한 의승장이라는 전에 없던 유형의 불교인물상을 표현하려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A Study on the Portraits of Monk Samyeong Yujeong(四溟 惟政, 1544-1610)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large number of portraits depicting the Joseon dynasty monk Samyeong Yujeong(四溟惟政). Of the many high priests of Buddhism represented in Korean portraiture, Samyeong Yujeong is portrayed in an abundance of extant examples that display unique sangho (相 好,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Buddha) in aspects such as facial hair. In addition to an analysis of these physical traits and their stylistic transformation over time, the text examines the principal motivation for and goal of the portraits’ creation. The results of this examination reflect a correlation between the systematic changes in Samyeong Yujeong’s appearance present in his portraits to an awareness of the different stages in the monk’s life as well as the existence of contrasting perceptions of Samyeong by the different social strata of the time. The first approach to the subject of this thesis is to review the various historical records regarding Samyeong Yujeong and his life. Through these historical records, we review the manner in which Samyeong was perceived during his life by the different social classes and religious sects of the time including Confucian or Buddhist groups, the common public, etc. The principal motivation for and goal of the portraits’ creation is also determined by a study of the Dharma lineage of the temples that house extant examples of Samyeong’s portraits as well as a comparison to other portraits of Buddhist priests produced in the same period. A total of twenty two portraits of Samyeong Yujeong are analyzed and organized by the different visual elements expressed in each example. The apparent elements include the circumstances of production, background information, sangho, attire, and the various objects depicted among other visual details. These elements a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nd their origins are ascertained in order to chart the changes of each element in a sequential manner. As for the portraits themselves, they are separated into three periods based mainly on the expression of sangho. Finall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and their systematic transformation are related to the varying perceptions of Samyeong that endured during and after the monk’s life. The results of this thesis show that the portraits of Samyeong Yujeong are unique in that they were created by the Pyeonyang(鞭羊) Dharma lineage active in the region of North Gyeongsang Province after the 18th century. This is an unusual event in that the Buddhist tradition dictated the assignment of such a task be given to the Jikgye Dharma lineage. At the center of the Samyeong portraits’ production is the construction of a seoak seowon(賜額書院), a confucian education institute, at the site of Pyochungsa (表忠寺) temple that served as the base of operations for the main priesthood of Dochongseop(都摠攝). In terms of the physical attributes of Samyeong portrayed in the portraits, it is clear that the initial portraits took a naturalistic approach to depicting the various articles of the deceased such as the gasa(架裟) or ceremonial robes, robe decoration, objects, etc. However, as time passed, the disparate manner of portraying these aspects were combined and transformed to take on a more stylized appearance. Thus the three periods of the Samyeong portraits can be described as an intial first phase during which the monk was portrayed as an ideal of the Buddhist faith and a second and third phase during which the portraits reflect a particularly Confucian and folk perception of the monk through the incorporation and reflection of figures such as the four heavenly guardian kings, ten kings of hell, mountain guardian spirit, etc. The last two phases are particularly noteworthy as the portraits of the two periods took on a new approach to portraying figures of the Buddhist faith to produce never before seen forms such as the uiseungjang(義僧將) or military monk general.

      • 어머니의 자아상태와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유정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이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자아상태(비판적, 양육적, 어른, 자유스런, 순응적)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G시에 소재한 A유치원과 B유치원의 어머니 205명과 담임교사 12명이었다. 어머니의 자아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자아상태검사프로파일(the Ego State Check Profile)을 사용하였고, 유아의 문제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유아문제행동질문지(the Korean Child Behavior Check List; K-CBCL)를 사용하였다. 먼저 연구에 동의한 만 3~5세 유아를 둔 어머니 230명을 대상으로 자아상태 검사를 실시하였고, 해당 유아들을 가르치는 담임교사들에게 유아문제행동척도(K-CBCL)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어머니의 자아상태와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 SPSS 20.0K 프로그램으로 다변량분산분석(MANOVA)과 Scheff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여 다음의 결과들이 도출되었다. 첫째, 어머니의 느슨한 자아상태 보다 주도적 자아상태 하에서 유아는 낮은 위축과 우울·불안감을 보였고, 유아의 공격성은 어머니의 느슨한 상태보다 통제적 상태에서 더 낮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헌신적이거나 방임적 자아상태보다 보호적 자아상태 하에서 낮은 유아의 위축성과 불안·우울감이 나타났다. 어머니의 보호적, 방임적 자아상태 보다 헌신적 자아상태 하에서 유아의 공격성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기계적 자아상태는 현실적 자아상태에 비해서 유아의 위축성과 더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어머니의 기계적이거나 즉흥적 자아상태는 현실적 자아상태 보다 유아의 높은 우울·불안감과 관련이 있었고, 유아의 공격성은 어머니의 현실적, 즉흥적 자아상태보다 기계적 자아상태에서 더 낮게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자유분방한 자아상태보다 폐쇄적 자아상태에서 유아의 공격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어머니의 순응적, 독단적 자아상태 보다 의존적 자아상태 하에서 유아는 더 낮은 위축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자아상태는 유아의 위축감, 우울·불안감, 공격적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쳤고, 유아의 사회적 미성숙과 주의집중문제는 어머니의 자아상태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문제행동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어머니의 자아상태 변화와 함께 유아 개인에 초점을 맞춘 지도 방향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go states and infant problematic behaviors.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230 mothers with infant and 12 class teachers of the infants in two kindergartens of Gimpo City. The Ego State Check Profile was given to the mothers and Korean version of the Children Behavior Check List administered to the teachers to carry out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Version 22.0 program and MANOVA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mother’s ego states on infant problematic behaviors. When the significant F-value was shown, Scheffe's post hoc test was used to find specific group differ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trophy and the depression-anxiety of the infant were higher in the loose ego state than the self-directed ego state of mother. The lower infant aggression was shown in the control ego state compared to the loose ego state of mother. The atrophy and the depression-anxiety of infants were lower in the encouraging ego state than the devoted and the permissive ego states of mother. Infants in the devoted ego state had the lower level of aggression compared to the encouraging and the permissive ego state of mother. The infant atrophy was lower in the rigid ego state than the analytical and unplanned ego state of mother. The recognition of the depression-anxiety was lower in the analytical ego state than the rigid and unplanned ego state of mother. The aggression in the rigid ego state was lower in the analytical and unplanned ego state of mother. The infant aggression wa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closed ego state compared to the bobo ego state of mother. The infant atrophy was lower in the unselfish ego state than the disciplined and the stubborn ego state of mother. In conclusion, mother’s ego state have influence on infant atrophy,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and no effect on the immaturity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problematic behaviors of infants. In order to fix infant problematic behavior, it was recommended to change the ego state of mother and improve problematic behaviors of infants with individual approach.

      • 생물형태 이미지의 회화적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유정임 慶熙大學校 1998 국내석사

        RANK : 1855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세계에 존재한 많은 이미지들과 만나게 되고 자연과 우주의 무수한 이미지들은 그들 인식 속에 고착되어 창작체험에 접하게 된다. 즉, 그러한 수많은 이미지들을 복잡하고 다양한 현상들과 문화들 속에서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각자의 정신 내면 어디엔가 자리하여 기억되어지고, 체험되어지게 된다. 이때 그렇게 내재된 이미지들이 예술작품으로 구체화되는 과정에서 회화가 다른 아무 것도 아닌 회화자체가 되기 위해 작품에서 직관이 지각인지(知覺認知)의 형태로 인간의 가장 총체적이며 순간적인 판단에 의해서 출발하게 될 때 논리적 개념보다는 감각적 형식을 매개로 하여 회화적 표현을 하게 된다. 이때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내재된 심상이 작품으로 구체화되는 과정에서 본인은 자연발생과 우연을 의도하여 작업의 시작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다음으로 어떤 정체불명의 이미지에 자신의 연상작용이 작동하여 그려지게 하고 그 연상작용은 번식하듯 또 다른 상황을 낳게 하여 어떠한 하나의 독립된 생명체의 원초적 이미지의 정착을 갖게 한다. 그것은 생명의 본질적인 표현으로써 생명체의 근원적 존재 이유와 그 실제에 접근할 수 있는 통로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잠재의식 속에 남아 있던 형상들을 끌어낼 자율적인 공간 구조 안에서 생성과 소멸의 성장과정을 겪으며 생명력을 지닌 하나의 생명의 근원적 형태로 형성되어 가는 과정을 보이고자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본인의 작품에서와 흡사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무의식 상태에서 형성되는 생물의 원초적 이미지들과 더 나아가 상징적 생물 형태들이 작품의 소재로 등장하게 된 1940年代 전후 초현실주의의 한 형태로 간주되어지는 '바이오 모르픽 아트(Biomorphic Art)'의 개념과 작품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자연발생적인 자동기술에 의해 표현되어지는 어떤 생물 형태가 형태(形態) 이전의 생명의 본질로써 표현되어지는 생명적 이미지의 전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본인 작업에서 이루어지는 무의식 상태에서의 내재된 심상표현의 의의를 알아보고 그에 수반되어 나오는 생물의 원초적 이미지의 의미는 무엇인가 모색하고자 한다. 이는 앞으로 본인 작업 진로에 나타나게 되는 내재 심리의 형상화 과정에서 보다 개성화된 작업에 필요한 깊이 있는 사고력과 상상력을 위한 내적 형식을 단단히 하고, 또 방법적 측면에서 새로운 탈출구로에 도움을 얻어 생물의 본질적 이미지 표현을 통해 삶과 존재의 본질에 접근하고자 함이 본 논문의 연구 의의이다.

      • 여성주의 의식향상집단으로서의 자전적글쓰기 체험연구 : 일하는여성아카데미 '홀가분글쓰기'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유정임 성공회대학교 시민평화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이 연구는 여성의 자전적글쓰기 실천을 통한 치유효과와 여성주의 의식향상의 교차점을 드러내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의식향상집단으로 운영된 일하는여성아카데미 ‘홀가분글쓰기’프로그램 (14주, 28시간)에 참여한 중장년 여성들의 글쓰기 체험에 주목하면서 치유과정의 단계적인 효과와 여성주의 의식향상을 집중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문제 제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의 자전적글쓰기에서 치유의 과정은 어떠한 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지는가? 둘째. 자전적글쓰기에서 여성주의 의식향상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홀가분글쓰기의 의식향상집단 운영 방식은 치유과정과 여성주의 의식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 위 문제제기에 대한 연구방법으로는 관련 문헌자료와 함께 홀가분글쓰기 참여자들의 온라인 ‘카페’ 게시 글 172편을 수집 분석하였다. 또한, 홀가분글쓰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장년 여성 5명과 프로그램 안내자 2명을 심층면접조사 하였다. 치유글쓰기 과정에서 참여자는 준비 정도에 따라 개인별 치유단계의 진입과 전환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참여자들은 기억의 활성화단계를 거치며 자신의 장기적 기억, 자전적 기억을 탐색하였다. 이들은 글을 쓰는 동안에 다양한 불안과 망설임, 두려움 등 내면의 저항과 마주쳤다. 이때의 개인적 심리적 어려움은 집단구성원 간의 신뢰와 수용적인 격려로 인하여 글쓰기의 저항적인 요소를 극복하고 앞으로 나아가게 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여성주의적 임파워먼트라 볼 수 있다. 위 모든 과정은 자기주도적인 글쓰기 실천으로 이루어졌으나 의식향상집단의 수용적이고 공감적인 분위기는 폭넓은 개인의 자기표현을 가능하게 했으며, 개인적인 경험들은 가부장제 사회구조의 맥락과 닿아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의식의 확장은 치유적 효과를 더욱 증폭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의 자전적글쓰기란 여성의 삶을 표현하는 수단이며 자신의 생각을 키우고 자신의 언어를 찾기 위한 활동이다. 이는 여성이 자기 자신의 생각과 감정과 판단에 대한 자기 신뢰가 있어야 가능하다. 그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수용적인 환경에 의한 재사회화 과정이 중요한 조건임을 참여자의 글쓰기 체험분석을 통하여 확인 하였다. 여성주의 의식향상은 비교와 측정으로 드러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지만 의식향상집단 안에서 여성들의 안전한 고백과 발설, 글쓰기를 통해서 드러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여성주의 의식향상은 여성주의 글쓰기공동체를 이루어 함께 쓰고 함께 나누며 서로 돌볼 수 있을 때 가능해질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적 함의는 2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여성의 자전적글쓰기 실천은 여성의 주체화과정이 될 수 있으며, 여성의 언어를 재창조하는 작업으로서 여성주의적 의식향상의 가능성을 드러냈다. 둘째, 여성의 자전적글쓰기를 통한 치유적 단계와 여성주의 의식향상은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 의식향상집단 운영방식이 주요한 효과로 작용했다.

      • 초등교사들의 과학실험수업 유형 실행에 영향을 미친 PCK분석

        유정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과학실험수업에서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해당되는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PCK)는 과학내용 지식과 과학교수방법 지식의 합성체인 과학교사 전문성의 요체로서 개개인의 수업을 통해 발현되고 있어 교수학습과정에서의 교사 PCK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들의 과학실험수업 유형 실행에 영향을 미친 PCK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먼저 제7차 4, 5, 6학년 과학과 교과서 및 지도서를 실험수업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실험수업 유형 중 가장 많이 나타난 발견실험수업 유형과 연구실험수업 유형의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는 각 차시를 선정하여 초등교사 5인의 실제 실험수업을 촬영하고 그 내용을 전사하였다. 이를 통해 과학과 교과서 및 지도서에 제시된 실험수업 유형과 초등교사들이 전개하는 실제 실험수업 유형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실제 실험수업을 전개한 초등교사들에게 개별 설문과 면담을 실시하여,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제시한 과학과 PCK 연구 분석틀을 근거로 초등교사들의 과학실험수업 유형 실행에 영향을 미친 PCK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7차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 및 지도서를 실험수업 유형으로 분류한 결과 초등학교 교과서 및 지도서에 제시된 실험수업 유형에는 발견, 확인, 탐색, 연구실험수업 유형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으며, 그 중 발견실험수업 유형과 연구실험수업 유형이 가장 많이 제시되어 있었다. 둘째, 발견, 연구실험수업 유형에서 초등교사들이 전개하는 실제 실험수업 유형을 비교분석한 결과, 초등교사들은 과학과 교과서 및 지도서에 제시된 실험수업 유형과 서로 다른 실험수업 유형으로 실제 수업을 전개해 나갔다. 셋째, 초등교사들의 과학실험수업 유형 실행에 영향을 미친 PCK를 분석해 본 결과, 교사들은 자신이 갖고 있는 PCK에 따라 서로 다르게 실제 수업을 전개해 나갔다. 그 중 발견실험수업 유형 실행에는 과학내용, 학생, 교수환경 및 전략, 자원 및 관계 측면의 네 가지 영역의 PCK가 모두 영향을 미쳤으며, 연구실험수업 유형 실행에는 학생 측면에서 학생이해에 관련된 PCK, 교수환경 및 전략에 관련된 PCK, 자원 및 관계에서 수업자원에 관련된 PCK가 많은 영향을 미쳤다. 학생 측면, 교수환경 및 전략 측면의 PCK분석 결과, 교사들은 과학과 교과서 및 지도서에 제시된 실험수업 유형과 서로 다르게 실제 실험수업을 전개해 나가는 이유를 과학 전담교사와 보조교사의 부족, 과학실 사용 시간의 제약, 정확치 못한 실험도구 등 학교 및 교육환경의 여러 가지 어려운 여건과 문제들 때문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교사들이 지닌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해 주고 교사들의 PCK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교사연수나 수업컨설팅 등 다양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야 한다. 또한, 자원 및 관계 측면에서 교사들은 동료교사와의 나눔의 시간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으므로 학교 현장에서는 교사들에게 동료교사와의 나눔의 시간을 충분히 확보해주어 상호보완의 시간을 통해 과학실험수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초등 및 중등 과학실험수업에서의 더욱 구체적인 PCK 연구, 그리고 탐색 및 연구실험수업 유형에서의 다양한 PCK 연구도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겠다.

      • 초등학교 학생의 학교부적응 요인분석 : 학교사회사업 도입방안을 중심으로

        유정임 동의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55

        The school education in Korea is left on the overcompetition and the state of tension restlting from a changeable educational policy with disregard the humanistic aspects and individual properth of students. The frustation and the maldaptiveness to the campus life caused by this school, the misded and belived to be resposible for the dropping out of school, the misdeed and violence, suicide of students, but an effective action to settle the various social problems of students has not been arranged. To solve this pathlolgical conditions of education, the counseling teacher system was introduced in our school. The present counseling sysrem in school has not been making its effective services available to the students, owing to the shortage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ique, and the overwork of the counselors, and their various heavy adminstrative affairs. For this reason, the necessity of school social work has constantly been raise in school as well as in society. Ther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importance and urgent necessity of school social work system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student maladaptibeness in school which is recently being one of the important issey in Korean society, to suggest some improvement measures in ordet to practice it with efficiency, that is, the school-based approach posting expert school social worker exclusively responsible for counseling affairs, and the institution-based approach supporting the students with some requierd oragnic services at the social weaflare facilities in community. For the activatiom and specializatiom of schll social work, first of all, the spectific design and the educational policy to practice it must be planned and carride out with our vigorous enceavou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