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을 활용한 박물관의 확장 -맨해튼어린이박물관의 ‘Health Curriculum’을 중심으로-

        유정규,배은석 한국박물관학회 2017 博物館學報 Vol.- No.32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museums is effective in strengthening participation of visitors and changes in museums. Furthermore, arts and culture education can be expanded by using educational theme that matches the identity of the museum. This study examines the usefulness and success factor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as a possibility of expanding museums through the case of the Manhattan Children's Museum in New York. The Manhattan Children's Museum is one of the smallest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The Manhattan Children's Museum has received attention by developi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obesity through healthy lifestyle and spread it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The health program of Manhattan Children's Museum's has been successfully expanded to many schools and cultural institutions in the United States. As in the case of the Manhattan Children's Museum, the success factors of museum expansion are the coexistence of localities and universality and possibility of transformation. Domestic museums should also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by actively promoti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본 연구는 뉴욕 맨해튼어린이박물관 사례를 통해 박물관 확장의 가능성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의 유용성과 성공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 맨해튼어린이박물관은 대부분 큰 규모인 미국 내 어린이박물관들 중에서 가장 작은 박물관에 속한다. 맨해튼어린이박물관은 뉴욕에 사는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과 함께 건강한 생활습관을 통해 비만을 방지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학교와 기관 등으로 보급하면서 주목받았다. 맨해튼어린이박물관이 확장에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은 지역성과 보편성이 공존하고 변형가능성이 높은 프로그램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국내 박물관들도 변화하는 경쟁 환경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경쟁력을 강화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로제 카이와의 놀이 이론으로 본 어린이 문화콘텐츠의 괴물이미지

        유정규 유럽문화예술학회 2020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1 No.1

        괴물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문화콘텐츠에 빈번히 등장하는 소재이다. 그림책이나 동화책 같은 출판을 비롯해서 영상, 공연, 전시, 테마파크 등 괴물을 소재로 한 문화콘텐츠 영역은 더욱 활발히 확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어린이 문화콘텐츠에 괴물이 주요 소재로 차용되는 이유가 무엇이며, ‘괴물 세계’가 어떤 의미를 함의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괴물을 소재로 한 어린이 문화콘 텐츠가 구매자인 어른과 이용자인 어린이가 결합된 복합적 소비 욕구를 어떻게 충족하고 있는지가 분석의 주요한 관점이다. 어린이 문화콘텐츠에서 괴물은 놀이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로제 카이와의 놀이 이론을 기반으로 어린이 문화콘텐츠에 표출된 괴물 이미지 분석을 통해 이러한 놀이화 경향을 살펴보았다. 로제 카이와는 놀이의 유형을 ‘아곤’(자신의 노력으로 경쟁에서 이기려고 하는 놀이), ‘알레 아’(자신의 의지가 아닌 운에 의한 놀이), ‘미미크리’(자신이 다른 존재라고 가장하는 놀이), ‘일링크스’ (놀람과 흥분을 추구하는 놀이)로 구분하였는데, 어린이 문화콘텐츠에 표출된 괴물은 미미크리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 분석 대상으로 삼은 그림책 <괴물들이 사는 나라>와 애니메이션 <몬스터 주식회사>에 나타난 괴물놀이는 가상성과 모방성을 동시에 강화함으로써 미미크리적 속성을 극대화하였다. 여러 생명체가 혼재된 듯한 낯선 이미지와 친구 또는 보호자처럼 친근한 이미지의 결합은 괴물을 놀이 대상화 하였으며, 어른의 세계와 어린이의 세계가 혼합된 불완전한 중간지대로 설정된 괴물 세계에서 괴물은 어린이의 심리를 잘 이해하는 조력자로 등장하여 사회화의 매개체로 작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어린이 문화콘텐츠의 소재로 차용된 괴물은 놀이의 미미크리적 속성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놀이 대상화되고 있으며, 사회화의 의미를 함축하면서 흥미성과 교육성을 내포하고 있다. 괴물 이미지의 이런 속성은 이용자인 어린이와 구매자인 어른의 소비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Monster is a frequent occurrence in cultural contents for children. In addition to publishing books such as picture books and fairy tales, cultural contents based on monsters such as images, performances, exhibitions, and theme parks are expanding more a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y monsters are used as a main material in children’s cultural contents and what the meaning of the ‘monster world’ means. In particular, the main point of analysis is how the children’s cultural contents based on monsters meet the complex consumption needs of the buyer, the adult, and the user, the child. In children’s cultural contents, monsters tend to be play. Based on Roger Caillois’s Play Theory, the trend of play was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monster images expressed in children’s cultural contents. Roger Caillois divided the types of play into ‘Agon’, ‘Alea’, ‘Mimicry’ and ‘Ilinx’. Monsters expressed in children’s cultural contents have mimicry attributes. The monsters in the picture book <Where the Wild Things Are> and the animation <Monsters Inc.> and the monster play in the monster world maximized the mimicry properties by strengthening virtuality and imitation simultaneously. The combination of unfamiliar images of mixed creatures and friendly images such as friends or guardians made the monsters playable, and in a monster world set as an imperfect intermediate where the world of adults and the world of children mix, monsters understand children’s psychology well. Appeared as an assistant to act as a medium of socialization. In conclusion, the monster borrowed as the material of children’s cultural contents has become the object of play in a way that maximizes the mimicry property of the play, and it implies the meaning of socialization and contains interest and education. This property of the monster image is effectively working to satisfy the consumption needs of children, children and adults, buy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