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고린도전서의 종말론적 구원

        유은걸(Lyu, Eun-Geol) 한국신약학회 2018 신약논단 Vol.25 No.3

        본 소론은 고린도전서에 나타난 종말론적 구원론이 고린도 교인들의 윤리적 일탈 탓에 약화되고 있는지 점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바울이 선포한 구원은 칭의를 과거의 사건으로 이해함으로써, 변개할 수 없는 확실성을 강조했다. 문제는 그가 복음을 전했던 크리스천들이 ‘의롭다’고 선포된 새로운 정체성에 걸맞게 살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들을 효과적으로 교도하기 위해서 바울이 선포한 구원을 철회하면 될 것이나, 그것은 복음이 하나님의 계시로부터 유래한다는 그의 기본 입장을 허무는 일이 된다. 본 소론은 이 구원의 문제를 종말론적 차원에서 접근함으로써, 결국 바울은 케리그마의 일관성을 지켰다고 주장한다. 즉 복음에 합당하지 못하게 사는 사람의 멸망에 대해서 이야기한다고 하더라도(고전 10장), 그의 유기는 파루시아의 때까지만이다(고전 5장). 종말 때의 몸의 대속(롬 8:23)은 그에게도 적용된다. 곧 바울이 선포한 영속적 구원은 고린도전서 안에서도 유효하다고 할 것이다(고전 15장). 이러한 주석적 관찰은 구원을 최후 종말에 기대할 사건으로 이해하는 것에 변경을 동반한다. 구원은 육신안에서 투쟁하며 살아가는 지금 이미 누릴 수 있는 현재적 사건이기도 한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요한복음의 종말론

        유은걸(Eun-Geol Lyu) 한국신약학회 2012 신약논단 Vol.19 No.1

        본 논문은 요한복음의 전면에 드러난 현재 종말론과 미래 종말론의 긴장관계를 규명하고 상반되어 보이는 종말론적 구원이해를 표방한 요한 기자의 의도를 논구한다. 요한은 유대교와 원시 기독교에 있었던 종말론적 긴장을 극단화하여 이를 자신의 구원론과 연결시킨다. 이에 따르면 요한의 독자들은 이미 구원받은 존재이지만(요 5:24), 그리스도 밖에 있는 적대적 세계는 최후의 심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5:28). 아울러 독자들은 그리스도 안에 거한다는 기독론적 확신 덕분에, 재림하실 그분의 미래적 종말을 현재적으로 체험할 수 있다. 이런 종교적 확신을 효과적으로 예시하는 것이 나사로 기사이다. 나사로는 요한계 크리스천들과 동일시됨으로써 그들의 부활을 확증하며, 미래에 일어날 종말론적 약속을 ‘현재화’시키는 구상적(具象的) 범례로 기능한다(11:24-26). 이러한 신학적 고안은 박해의 정황 가운데 순교의 위험에 처한 독자들에게는 가장 효과적인 위로를 줄 수 있다. 전통적인 파루시아의 약속(14:2-3)보다 먼저 순교하게 된 그들은 하나님께로 돌아가 처소의 건립에 참여하게 된다(14:19,23). 요컨대 종말론에 근거한 요한계 기독교의 구원론은 기독론적 전망을 토대로 상황에 맞게 더욱 강화되었던 것이다. This essay concerns the tension between present and futuristic eschatologies in the Gospel of John, in order to investigate his intentions in expressing the eschatologically constituted soteriology. John radicalized the eschatological tension in the primitive Christianity, combining this with his own soteriology. According to this scheme the Johannine Christians are depicted as being who has already reached the salvation (John 5:24), whereas hostile opponents outside cannot escape the last judgment (5:28). Thanks to their christological conviction that the Johannine Christians dwell in Christ, who will come again at the end, they believe to have experienced the future in the present. This religious conviction is exemplified by the Lazarus story in the best way. The dead Lazarus, identified with the Johan-nine Christians, convincingly shows how they will be revived in the last judgment (11:24-26). So, the Lazarus story is a literary device to realize the future in present (Vergegemvartigung). This theological concept seems to have provided the readers with a consolation who were in danger of martyrdom. In contrast to the traditional image that Christ will come to judge (14:2-3), they now need to go to the Father by way of martyrdom in order to build for themselves (14:19, 23). In sum, John pursued his eschatology on the christological assumption and tried to give his readers soteriological conviction in accordance with their situation.

      • KCI등재
      • KCI등재

        요한복음서의 교회론

        유은걸(Lyu, Eun-Geol) 한국신약학회 2017 신약논단 Vol.24 No.3

        본 소론은 요한복음서의 교회론 관련 진술을 독자반응비평적 관점에서 규명한다. 교회론이 복음서를 산출한 역사적 존재의 집단의식을 반영하는 한다면, 오늘날 독자는 자기 앞의 본문을 어떻게 받아들이며 스스로에게 적용하게 되는지 해석학적 문제가 제기된다. 전자를 저자 및 전승의 의도를 밝히는 통시적 성서해석이라고 부른다면, 후자는 오늘날 본문의 형태에 집중하는 공시적 성서해석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통시적, 공시적 접근 모두에서 독자는 단순히 수동적인 수용자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성서의 산출 및 해석 과정에 관여하는 인물로 부각된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1차 독자인 요한계 크리스천과, 이 역사적 정황과 독립적인 2차 독자의 본문 해석을 비교한다. 교회론적 정체성과 그 교회론이 어떻게 구체적으로 삶에 발현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1차 독자는 2세기 초 그들이 처한 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그들의 교회론적 정체성을 발현하며 고투했다. 반면 2차 독자는 자기만의 정황과 선이해를 토대로 새로운 해석을 할 수 있다. 이것은 모순 관계를 넘어 창조적인 긴장으로서 본문의 다의성을 재고하게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cclesiology in the Gospel of John through reader-response criticism. Theological reflections and claims in the Fourth Gospel, and ecclesiological views in particular, are identified on two levels. First, they are borne out of group consciousness of the primary readers who produced and read the text. Then new lights are shed upon the texts and a new set of theological reflections are formed by the secondary readers who read and apply the text to their own life independently of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primary readers. The primary readers’ response is decidedly diachronic for their life experience is reflected in the text in a direct manner. The secondary readers, on the other hand, respond to the text mostly synchronically and offer us more universal meanings applicable to the widerange of readers without regard to historical specificities. Taking both diachronic and synchronic approaches in tandem, we are not entrapped in contradiction necessarily. Rather, we will encounter a creative and productive tension which opens multiple possibilities of fresh meanings and implications from the familiar biblical texts.

      • KCI등재
      • KCI등재

        요한복음의 죄 이해

        유은걸(Eun-Geol Lyu) 한국신약학회 2011 신약논단 Vol.18 No.1

        본 논문은 요한복음에 나타난 ‘죄’(?μαρτ?α)의 개념을 분석하여 기독론과 구원론의 관계를 규명한다. 요한은 원시기독교의 ‘죄’에 대한 이해를 알고 부분적으로 이를 수용하지만, 행위로서의 죄 개념을 약화시키고, 죄를 ‘불신앙’으로 새롭게 정의한다. 이에 따라 세상이 요한계 기독교를 핍박하는 이유는 보다 근본적으로 취급된다. 세상은 그 행위가 악한 것이 문제이기 이전에, 세상이 하나님의 참 계시자 그리스도를 알지 못하기에 악한 행위를 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요한과 그 독자들은 요한복음 자체를 그리스도의 정체를 드러내는 전거로 이해한다. 그리스도를 아는 것이 불신앙으로서 죄를 극복하는 것이라면, 그의 정체를 온전히 드러낸 복음서야말로 세상에게 제시될 구원의 방편일 것이다(참조 20:31). 이러한 독특한 죄 이해는 그리스도를 구원의 매개자로 보던 상황으로부터 구원사의 주도자로 보는 전망에로의 변화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곧 하나님 나라의 선포자 예수를 믿는 것이 구원을 가져온다는 원시 기독교의 케리그마가 자명해 진 상황에서, 요한은 하나님을 가장 적실하게 계시하는 그리스도를 아는 것 자체가 구원이라고 선포한 것이다(요17:3). 이것은 원시 기독교의 사상이 점차 교리사적 발전을 겪으며, 구원론이 기독론 안에 예속되기 시작한 단면을 보여 준다고 하겠다.

      • KCI등재

        요한복음서의 제자도와 기독교교육

        유은걸(Eun-Geol Lyu)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0 기독교교육정보 Vol.2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cipleship reflected in the Gospel of John an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t to the Christian education today. Exegetical analysis of the text leads us to assume that there are three ecclesiological features in the Gospel of John: 'vertical discipleship' which illu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Christians; 'intracommunal discipleship' concerned with the Johannine commandment of brotherly love; and extracommunal discipleship which stresses the responsibility of mission. These models in the Johannine discipleship clearly offer suggestive and meaningful clues as to how the Christian education is to be carried out in the biblical sense. First, the Johannine identity as 'children of God' - either by means of one's own decision or through God's gracious choice - leads us to a 'creative tension', which places emphasis upon both our responsibility of mission and reinforced identity. Second, the Johannine commandment of love provides us with a perfect model of intra communal relationship between fellow Christians. Jesus called us to love each other, inasmuch as he humbled himself by becoming obedient to death. Third, the Johannine Christians, though they were exposed to severe persecutions, tried to fulfill their mission of preaching the Gospel. The church has no reason for existence, if it ceases to do missionary works. To sum up, the Gospel of John shows indisputably ecclesial discipleship, which has been neglected in the New Testament scholarship, could and should be applied to church educ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