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SCOPUS

        작약(芍藥)의 주요병해(主要病害) 발생(發生)

        박소득,김기재,유오정,김세종,김재철,신종희 韓國藥用作物學會 1996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4 No.3

        1. 작약(芍藥)의 지상부(地上部)에 기생(寄生)하는 주요 병원균(病原菌)은 점무늬병균 등 7종(種)이었으며 점 무늬병은 잎, 검은무늬병은 줄기, 흰가루병은 잎과 줄기 등 지상부 전체에 발생이 심하였다. 2. 작약(芍藥)에는 점무늬병과 흰가루병이 우점종(優占種)이었고, 각각 4월 하순, 5월 중순부터 발생되기 시작하여 5월 하순 이후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의성작약(義城芍藥)이 영천종(永川種)보다 발병율이 높았다. 3. 시기별(時期別) 작약(芍藥) 지상부(地上部) 고사율(枯死率)은 95년의 경우 5월 하순부터 고사(枯死)하기 시작하여 6월 하순에 15.3%로 그 이후부터는 급격히 증가하여 8월 상순에는 50.6%가 고사(枯死)하였으며 5, 6월의 조기고사(早期枯死)는 주로 흰가루병 때문이었다. 1. The pathogenic fungi which infect to shoot of peony was 7 species. The infected parts were as followed, leaf spot disease was in leaf, leaf blotch was stem, powdery mildew was whole aeri­al part of both leaf and stem. 2. The major diseases were leaf spot and powdery mildew, and begin to occur from late April to mid­dle May, and then rapidly heavy infected. The 'Euiseongpeony' variety was more susceptible to those diseases than the 'Yeongcheonpeony' variety. 3. The blight of top part by seasonal in 1995 was begun at late May and increased rapidly 50.6% in Early August.

      • KCI등재

        Salmonella typhimurium 외막 단백질 OmpW의 발현조절 및 기능에 관한 연구

        아영(Ah Young Yoo),종언(Jong Earn Yu),양지선(Jiseon Yang),김영희(Young Hee Kim),백창호(Chang Ho Baek),오정일(Jeong-Il Oh),강호영(Ho Young Kang)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11

        Salmoenella를 포함한 그람 음성 세균의 외막 단백질들은 외부 환경 조건에 따라 그 발현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가 많으며, 이렇게 발현된 외막 단백질들은 수송에 관여하는 통로, 외부 물질의 인지, 병원체의 부착인자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외막 단백질 중 소수성 porin으로 알려진 OmpW 단백질에 주목하였다. ompW 유전자가 결손된 돌연변이주를 구축하여 CK10으로 명명하였으며, 야생주와 그 표현형적 특징을 비교한 결과 SDS에 대한 내성이 다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OmpW 특이적인 다클론성 항체를 조제하여 OmpW 단백질의 발현연구에 사용하였다. NaCl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OmpW 단백질의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OmpW의 발현이 최대인 조건은 NaCl이 배지에 첨가되지 않았을 경우이다. 따라서 OmpW는 Salmonella 균이 삼투환경에 대응하는데 관여할 것으로 예상되어 일차적으로 균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다양한 삼투환경 하에서 Salmonella의 생육에는 OmpW 단백질의 결손이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삼투환경 변화에 따른 OmpW 발현의 변화가 지니는 생물학적 의미는 앞으로 연구해야 할 숙제로 남는다. Outer membrane proteins (OMPs) expressed in the Gram negative bacteria such as Salmonella play multiple functions including material transports, adhesive factors and reception of external signals.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an OmpW protein known as a protein required to form a hydrophobic porin in outer membrane. We have constructed a S. typhimurium CK10 mutant deleting an ompW gene on chromosome. The CK10 strain was more tolerant to SDS than the wild-type strain did. As increase of salt concentration in the culture media, significantly decreased amount of OmpW protein in cells were detected. The maximum OmpW protein was expressed in the absence of salt supplement. However, the growth of CK10 strain was indistinguishable compared to that of the wild-type strain at the variable osmotic conditions. The biological role of differential OmpW expression in response to osmotic conditions remains to be investigated.

      • KCI등재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enes Involved in Cysteine Auxotrophy in Salmonella typhi

        Sang Ho Lee(이상호),Sam Woong Kim(김삼웅),Jong Earn Yu(종언),Ah Young Yoo(아영),Young Hee Kim(김영희),Jeong-Il Oh(오정일),Chang Ho Baek(백창호),Ho Young Kang(강호영)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11

        오랜 기간 동안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사람에 특이적으로 장티푸스를 유발하는 S. typhi는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감염모델이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S. typhi의 병원성 유발기작에 관한 정보는 부족하다. S. typhi Ty2 균주는 최소배지에서 시스테인의 영양요구성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테인 영양요구성이, S. typhi Ty2 균주가 실험동물에서 균체형성을 하는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시스테인 영양요구성을 상보할 수 있는 유전자를 찾고자 하였다. S. typhimurium의 genomic library로 형질전환된 S. typhi 균들 중 시스테인을 함유하지 않은 최소배지에서 생육을 하는 3개의 형질전환 균주를 선별하였으며, 이들 중 2개는 S. typhi의 시스테인 영양요구성을 아주 약하게 상보하였고 하나는 명확하게 시스테인의 영양요구성을 상보하였다. 이 클론에 포함되어져 있는 3개의 ORF의 시스테인 영양요구성을 분석한 결과, STM1490을 가진 클론이 S. typhi의 시스테인 영양 요구성을 상보하였다. 비록 S. typhi에도 STM1490에 해당하는 유전자가 존재하지만 S. typhimurium의 STM1490에 해당하는 ORF와 비교하였을 때 2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서로 달랐다. 이들의 차이가 시스테인 영양요구성을 보이는 것은 아닌지 확인하기 위해 Overlapping PCR을 통해 S. typhimurium의 STM1490 아미노산(H229Y, C246W)을 치환하였다. 아미노산을 바꾼 돌연변이체도 역시 시스테인 영양요구성을 상보할 수 있어서 아미노산의 차이는 아닌 것을 확인되었으므로 그 외의 다른 인자들이 영양요구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고 후속연구에서 그 인자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n spite of long research period for Salmonella typhi, little information is known about the pathogenesis mechanism of human typhoid fever caused by S. typhi due to lack of infection model in animals. A wild-type of S. typhi Ty2 strain requires cysteine to grow on minimal media. We hypothesized that this cysteine requirement may restrict colonization of S. typhi in animals during infection process. Among the S. typhi strains carrying Salmonella typhimurium genomic library, we have isolated three S. typhi transformants growing on minimal media without cysteine. Although there were three ORFs in DNA of pBP71, the STM1490 ORF complemented cysteine auxotrophy of S. typhi. Analysis of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the STM1490 homolog in S. typhi reveal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wo amino acids. Plasmids containing amino acid substitutions in STM1490 supported S. typhi growth on minimal media without cysteine, indicating irrelevance of these two amino acids to STM1490 function. These results tells us that there are other factors or systems involved in cysteine requirement of S. typhi.

      • KCI등재

        낙동강 수계에서의 농약류 발생 및 위해성 평가

        김희영 ( Hee-young Kim ),정희진 ( Hee-jin Jung ),재정 ( Jae-jung Yoo ),임태효 ( Tae-hyo Lim ),임영경 ( Young-kyong Lim ),오정은 ( Jeong-eun Oh ) 한국환경분석학회 2016 환경분석과 독성보건 Vol.19 No.1

        In this study, eight pesticides belonging to the groups of carbamates, phenoxy-acids, heterocyclic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ir concentrations and distribution patterns at various sampling locations (20 sites) in the Nakdong River basin during various sampling periods (May, July, September, and November 2012). Among the eight pesticides, carbofuran showed the highest mean concentration (0.0335 μg/L), followed by methomyl (0.0138 μg/L) and quinoline (0.0070 μg/L), while aldicarb and molinate were observed below the method detection limit (MDL). Quinoline was the most frequently detected pesticide with a detection frequency of 85- 100% in all the sampling periods. The concentration levels and the detection frequencies of the pesticides seemed to be related with the pesticides’ shipment/production. Among the four sampling periods, September showed the highest mean and median concentrations, although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ncentration levels were higher in the midstream area than the up and downstream areas of the Nakdong River, because a number of potential contamination pathways such as wastewater treatment plants, industrial facilities and agricultural fields were located in this zone. All these non-cancer-causing pesticides, except quinolone, showed no risk value (risk assessment value < 1).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risk assessment and analysis procedures for quality assurance and quality control of pesticid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