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운봉고원 출토 마구의 의미와 등장배경 -비, 蛇行狀鐵器, 燈子를 중심으로-

        유영춘 ( Yeongchun Yu ) 호남고고학회 2015 湖南考古學報 Vol.51 No.-

        가야계 수장층 분묘유적으로 알려진 월산리, 두락리 고분군에서는 다양한 위세품(威勢品)과 함께 마구(馬具)가 출토되었다. 마구는 이 지역의 고대사(古代史)를 밝히는 중요한 자료지만 그동안 가야 마구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자료만 일부 소개되었을 뿐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운봉고원에서 출토된 비, 사행상철기, 등자를 주변지역 출토품과 비교·분석하여 유사성 및 의미를 밝히고 이러한 철기유물이 등장하는 배경을 추론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운봉고원 출토 마구 중 일부는 백제에서 전래된 마구 제작기술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수용 이후 이러한 제작기술을 대가야 지역으로 전파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일부는 대가야 지역 출토품과 형태가 달라 재지에서 생산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형태가 같더라도 출토 고분의 연대가 선행해 운봉지역 마구 제작기술이 대가야 지역으로 파급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자체 생산된 마구가 등장하는 배경에는 운봉고원 내에 산재한 22개소의 제철유적과 관련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Horse trappings are important archaeological materials that reveal interaction between Gaya and the Jeollanam-do region. However, systematic research on the remains of horse trappings has been scarce and only a selected range of archaeological remains are know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orse bits, snake-shaped (Sahaengsang) iron implements and stirrups excavated on the Woonbong Plateau and compares them with archaeological remains from the surrounding regions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social background of their emergence. The study reveals that the horse trappings excavated on the Woonbong Plateau are different from those excavated from the Daegaya region and are likely to have been locally produced. Although some artifacts from the Woonbong Plateau are morphologically similar to those from the Daegaya region, those of the Woonbong Plateau are chronologically earlier and likely exerted an influence on the production of the Daegaya artifacts. The indigenous origins of the horse trappings were possibly stimulated by the presence of irontool production loci distributed across the Woonbong Plateau, of which 22 sites are currently known.

      • KCI등재

        전북 동부지역 출토 철제무기의 전개양상과 의미 -남원·장수 삼국시대 분묘유적 출토품을 중심으로-

        유영춘 ( Yu Yeongchun ) 호남고고학회 2017 湖南考古學報 Vol.57 No.-

        최근 실시된 지표 및 발굴조사를 통해 전북 동부지역은 과거 우리나라 철기문화의 새로운 중심지였음이 점차 밝혀지고 있다. 특히 삼국시대 분묘유적을 중심으로 철촉, 철모, 도검 등 다양한 철제무기가 출토되었는데, 이는 피장자의 성격 및 이 지역의 철기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지만, 그 동안 연구가 미진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전북 동부지역을 남강, 금강, 섬진강수계(水系)로 나누고 철제무기의 전개양상과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이 지역의 철기문화를 단편적으로나마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수계별 철제무기의 전개 및 소유양상 등이 파악되었으며, 철제무기들은 이 지역 제작기술을 토대로 백제 등 주변지역의 영향을 받아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철기에서 고령, 합천 등 대가야의 중심지와는 다른 지역성이 확인된다. 따라서 전북 동부지역을 단순히 대가야의 영역으로 보고, 출토된 철제무기 역시 대가야에서 일방적으로 파급된 것으로 보아선 안 될 것이다. 이렇게 전북 동부지역에 가야계(또는 삼국시대) 고총고분이 조성되고 철제무기가 부장된 배경에는 이 지역에 분포한 130여개소의 제철유적과 관련이 깊을 것이다. 향후 제철유적에 대한 발굴조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이러 한 유적, 유물간의 관계가 명확히 밝혀져야 할 것이다. It is revealed by the recent earth surface and excavation investigation that the eastern part of the Jeonbuk province was a new hub of the Iron Age culture. In particular, a variety of iron arsenal such as an iron arrowhead, an iron spear, an iron swords, etc. was excavated mainly at the ancient tombs of the Three Kingdoms era located in the eastern part of the Jeonbuk province, these kinds of iron weapons provide a important clue to be able to examine the status of the buried person and the iron culture of the region, nevertheless the related study has not been carried out fully since the discovery of the iron arsenal. Thus,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take a look at the iron culture of the region, though fragmentarily, by classifying the eastern part of Jeonbuk province into Namgang water system, Geumgang water system, and Somjingang water system, and looking into the type and developmental aspect of iron arsenal in these reg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evelopment and possession aspect of the iron arsenal in the time series according to the respective water systems were comprehended, it is judged that the iron arsenal was produced by the combination between the newly introduced production technology from the neighboring political entities such as Baekje and Daegaya and the ancient residents’ existing iron production technology. Therefore, the different kinds of iron arsenal from the iron arsenal excavated in the center of Daegaya such as Goryeong and Hapcheon were uncovered in the region, which means an unique regionality of the region. Thus, we should acknowledge that though the eastern part of Jeonbuk province was a territory of Daegaya, the region had not been affected entirely by the Daegaya in terms of the iron production technolo-gy, namely the region possessed partly its independent iron arsenal production technology. It seems that the huge tombs of the rulers of Gaya(or the Three Kingdoms era) constructed in the eastern part of Jeonbuk province and the iron arsenal buried together inside the rulers’ tombs are deeply involved in more than 130 iron production remains located in the region. The clear connection between the related remains and the iron arsenal should be found out through the further excavation investigation of the iron production remains from now on.

      • KCI등재

        철기유물로 본 전북지역 가야의 교류

        유영춘 ( Yu Yeongchun ) 호남고고학회 2018 湖南考古學報 Vol.59 No.-

        최근 남원, 장수지역에 분포한 가야유적을 중심으로 심도 있는 발굴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어 이 지역 가야 정치체의 성격이 점차 구체화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는 남원 월산리·두락리, 장수 삼봉리·동촌리 등 총 390여기의 고분이 분포하며, 수장층 고분을 중심으로 다양한 종류의 위세품, 토기와 함께 철기유물이 다량 출토되었다. 그동안 남원, 장수지역의 가야유적을 단순히 대가야의 확장에 따른 결과물로 규정하고, 유적에서 출토된 철기유물 역시 대가야에서 일방적으로 파급된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발굴조사를 통해 대가야 이외에 다른 주변국과 의 관련성을 찾아볼 수 있는 철기유물이 출토되어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따라서 본고는 남원, 장수 가야 고분에서 출토된 마구와 철제무기를 가야, 백제 신라 등 주변지역 출토품과 비교·검토를 통해 상호 연관성을 살펴봄으로써 이 지역과 주변국 간의 교류관계와 의미 등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결과 남원에서 출토된 철기유물은 대가야뿐만 아니라 백제, 소가야, 신라, 왜와의 관련성이 있어 주변국의 철기문화를 다양하게 수용해 철기를 제작하거나 이 지역의 철기문화를 주변지역에 전파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갑주와 철촉에서 왜와의 연관성이 찾아지는 것으로 볼 때, 남원의 가야 정치체는 지리적 이점을 이용하여 철기 문화 전파에 한 축을 담당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장수는 도굴로 인해 철기유물의 수량이 많지 않아 그 실상을 면밀히 파악할 수 없지만 남원보다 대가야의 영향력이 높았던 것으로 파악되며, 지역성을 보이는 철기가 출토되기도 하였다. 타 지역에서 출토되지 않는 희소한 철기가 남원, 장수를 중심으로 집중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당시 이 지역 가야는 다양한 용도의 철기를 생산할 수 있었던 기술을 보유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가야 고분에서 출토된 다양한 철기유물들은 당시 우리 조상들이 남긴 첨단기술의 산물로 이 지역의 역사를 복원·연구하는데 있어 중요한 열쇠 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as the excavation work of the Gaya ruins located in Namwon and Jangsu is being conducted in depth, the characteristic of Gaya political group in the region is gradually being revealed. In particular, around 390 ancient tombs are located in Wolsan-ri, Durak-ri in Namwon and Sambong-ri, Dongchon-ri in Jangsu. In this region, a plenty of iron ruins along with various kinds of articles representing its power and earthenware potteries were discovered in the old tombs. Up to now, the Gaya ruins in Jangsu has been simply recognized as a output derived from the expansion of Daegaya force and it is widely accepted that the excavated iron ruins are spreaded from Daegaya in one-way direction. But a necessity of a study is suggested, because the iron ruins to imply the relation with other neighboring countries apart from Daegaya is unearthed. Thus, the study examines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is region and the neighboring nations by comparing the harness and the iron weapons discovered at the Gaya ancient tomb in Namwon and Jangsu with the articles unearthed in the neighboring regions such as Gaya, Baekje and Silla in terms of interconnection. In addition, the paper looks into the meaning of the iron article and ownership aspect according to hierarchy by examining the burial aspect of the harness and the iron weapons. The findings show that the iron ruins unearthed in Namwon seems to be connected with Baekje, SoGaya, Silla and Wae, people who made the iron ruins in Namwon accepted widely the iron culture from the neighboring countries and made their own iron articles or spreaded their iron culture to the neighboring countries. Particularly, judging from the trace of the connection with Wae found in armors and iron points, the Gaya political group in Namwon is presumed to play a role in spreading the iron culture as one axis by capitalizing on their geo-graphical advantage. We cannot exactly understand the real state of Jangsu ruins owing to the insufficient iron ruins caused by tomb theft. However, it seems that influence from Daegaya toward Jangsu is stronger than Namwon. The iron articles to show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not discovered in the region.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rare iron articles never discovered in other regions are excavated intensively in Namwon and Jangsu, at that time, Gaya in the region is assumed to possess a technology to be able to produce the various iron articles. The diverse iron articles discovered in the Gaya ancient tomb were then cutting-edge products that our ancestors left to us, thus it is expected that these ruins serve as a important key in restoring the regional history.

      • KCI등재

        삼국시대 사행검(蛇行劍) 일고찰(一考察)

        유영춘(Yeongchun Yu) 한국고고학회 2022 한국고고학보 Vol.- No.123

        사행검(모)은 고대 한반도와 일본열도의 교류 관계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유물 중 하나이다. 본고에서는 국내에서 출토된 11점의 사행검과 1점의 사행모를 대상으로 용도와 형태적 변천·전개양상 등을 고찰하였다. 사행검(모)은 실제 전쟁에 사용된 무기(武器)라기보다 비실용 목적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산해경』의 우사첩과 뱀의 상징성 등을 참고하면, 연안 및 내륙수로 항해 시 항해자의 안전을 기원하기 위한 제사용 의기(義器) 및 신물(神物)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피장자의 영생과 부활을 기원하는 의미도 내포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에서 출토된 사행검(모)의 시간적 변천을 보여줄 수 있는 속성으로는 신부의 형태가 있다. 초기에는 굴곡이 미미한 D형이 주로 등장하다가, 5세기 중반과 후반을 기점으로 굴곡이 많은 A~C·E형이 제작된다. 이러한 변화는 일본열도 사행검의 변화와 차이가 있다. 사행검(모)은 일본열도에서 기원한 후, 5세기 전반 무렵 왜와의 교류가 이루어지면서 연안항로를 따라 한반도에 전래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무렵에는 왜계 고분에서 주로 출토되다가, 5세기 중반~5세기 후반에 이르러 내륙 교통로와 가까운 재지(在地)의 고분에서 출토된다. 아마도 사행검 제작기술이 교통로를 따라 내륙으로 전파된 후, 고도의 철기 생산기술을 가진 집단을 중심으로 수용되면서 현지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6세기 전반 이후에는 사행검(모)의 출토 사례를 찾을 수 없어 이 무렵 매장의례가 소멸된 것으로 추정된다. The meandering sword (spear) is one of the artifacts that directly demonstrates the exchange relationship which existed between ancient Korea and Japan. In this paper, ten meandering swords and one meandering spear excavated in Korea were reviewed in order to examine the use, morphological changes, and development patterns of this artifact typ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meandering sword (spear) was made for non-practical purposes rather than as a weapon used in actual combat. Referring to the symbolism of the Yu Shiqie (‘Rain Master Concubine’) goddess that appears in Shan Hai Jing and of the snake, it is presumed to have been a ritual object or sacred object that was used to pray for the safety of navigators when sailing through coastal and inland waters.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believed that the sword also contained meanings of prayer for the eternal life and resurrection of the victim. A characteristic that can illustrate the temporal changes of the meandering swords excavated in Korea is blade form. The early swords (Type D) feature minor blade curves but from the mid-5th century to the late 5th century, Types A to C and E, which feature many curves, were produced. This change is different from the change observed in Japanese meandering swords. It appears that the meandering sword originated in Japan and was introduced into the Korean Peninsula along the coastal route as a result of exchanges with the Japanese that took place in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Around this time, they were mainly excavated from tombs demonstrating strong Japanese influences, but from the mid-5th century, they were deposited in the tombs of local communities close to inland transportation routes. It may be suggested that these later swords were locally produced, following the inland spread of the meandering sword manufacturing technology along the traffic route, and the adoption of this technology by communities with advanced iron production technologies. After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no cases of excavated meandering swords (spear) have been identified, so it is presumed that the associated burial ritual disappeared around this time.

      • KCI등재

        삼국시대 복환판비의 전개 과정과 의미 —남원 두락리 고분군 출토품을 중심으로—

        유영춘(Yeongchun Yu) 한국고고학회 2024 한국고고학보 Vol.- No.130

        복환판비란 하나의 철봉으로 함유가 만들어진 재갈이다. 본고에서는 한반도 남부와 일본열도에서 출토된 복환판비의 현황 및 전개 과정을 정리하고, 남원 두락리 고분군에서 출토된 복환판비의 고고학적 의미를 제시하였다. 국내 복환판비는 5세기 후반~7세기 후반 무렵 신라와 가야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연결 방법(유환의 존재 유무)에 따라 신라·가야 복환판비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가형식 복환판비의 함유(A류)는 시간성을 반영한다. 신라에서 기원한 가·나형식 제작기술은 신라와 가야가 우호적인 관계였던 6세기 초반~6세기 전반 무렵, 가야로 전파되었다. 일본열도에서 출토된 복환판비는 국내의 그것과 출현 시기가 크게 다르지 않다. 일본열도 복환판비 중 가~다형식이 있어 국내 복환판비와 공통점 및 연관성이 있다. 그러나 일본열도에서는 이른 시기부터 다형식이 사용되어, 국내와 시기별로 유행했던 형식이 다르다. 또한 국내에 없는 라형식도 존재한다. 이는 일본 복환판비의 독자성이다. 남원 두락리 17호분 출토 복환판비는 가-4형식으로, 이러한 형식의 재갈은 동아시아에서 6세기 초반 무렵에만 사용되었다. 따라서 복환판비를 근거로 고분의 연대를 추정할 수 있다. 가-4형식의 원류는 신라에 있으나, 남원 두락리 출토품의 경우, 합천으로부터 개량된 제작기술을 받아들여 운봉고원 현지에서 생산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유물은 6세기 초반~전반 무렵, 신라와 가야의 우호적인 대외관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합천으로부터의 최신 마구 제작기술의 수용과정을 보여준다. The double ring bit is a bit made of a single iron rod. In this paper,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of the double ring bits excavated from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are summarized. Based on this, the archa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double ring bits of Durak-ri, Namwon, are examined. The double ring bits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mainly used in Silla and Gaya from the early fifth to the late seventh centuries. They can be classified into Silla or Gaya double ring bits according to the connection metho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ring); the guard in the bit of the ‘Ga’ type double ring bit reflects the change over time. It seems that the technology for producing the ‘Ga’ and ‘Na’ types, which originated in Silla, spread to Gaya from the early 6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when Silla and Gaya maintained a friendly relationship. The double ring bits excavated from the Japanese Archipelago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Korea. The Japanese Archipelago double ring bits have many things in common with domestic examples, such as the use of the type ‘Ga’ to ‘Da’ types. However, in the Japanese Archipelago, ‘Da’ type examples were used from an early age, and the forms that were popular in Korea and their period of use were different. There is also the ‘Ra’ type that is not observed in Korea. The double ring bit excavated from the Durak-ri tombs, in Namwon, are of the ‘Ga-3’ type, used only around the early 6th century in East Asia. Therefore, the age of the ancient tomb can be estimated based on the double ring bits. Although the ‘Ga-3’ type is of Silla origin, the excavation of the Durak-ri tombs suggests that the artifacts may have been produced locally in the Unbong Plateau through the adoption of improved production technologies from Hapcheon, which was well equipped with a high-level ironmaking technological system. The bits not only demonstrate the friendly foreign relations between Silla and Gaya from the early to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but also illustrate the acceptance process of the latest harness manufacturing technology from Hapch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