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전환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유영신 ( You Young Sin ),이영선 ( Lee Youngsun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8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8 No.1

        전환이란 생애적인 관점에서 고찰되어야 하며 특히 장애유아의 유아교육기관에서 초등학교로의 전환은 장애유아의 인생에 가장 특별한 시기로서 유아의 삶에 있어서 개개인의 성취, 사회, 정서발달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전환 과정이다. 본 연구는 장애유아의 초등학교로의 전환교육에 대한 영향요인, 부모 및 교사의 인식, 프로그램의 방법 및 효과 등을 주제로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장애유아의 전환교육에 대해 폭넓은 이해와 필요성을 인지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총 29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며, 장애유아를 비롯하여 이들의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져왔고,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장애로 인한 어려움과 부정적 경험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교 전환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은 장애유아의 적응을 직접적으로 돕거나 부모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활동으로 구성되었고 대부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환을 위한 후속 연구와 현장을 위한 논의와 제언이 이루어졌다. 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is the most special period in the life of a child with a disability and their famil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related research focusing on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identify factors that promote better transi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ir families and school professional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review. Total 29 studies selected, were about school readiness, parent and teacher perspectives on transition practices,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impact of the intervention programs. A review of these studies showed that (a) there have been consistently conducted focusing on this issue; (b) participants of studies includ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ir parents and teachers; (c) factors affecting transition to school were concerns and difficulties related to children’s disabilities and negative experiences as mothers having a child with disabilities, and (d) intervention programs work both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ies and practic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삶의 질 및 회복탄력성의 관계모형 검증

        유영신 ( You Young-sin ),이영선 ( Lee Young-su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8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0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 및 인천 소재 특수교육기관을 이용하는 장애아동의 부모 164명을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 삶의 질, 회복탄력성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보기위해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경로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는 회복탄력성과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아동 양육 스트레스와 삶의 질과 관련하여, 장애아동 부모의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실제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resilience mediated in relation to parenting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par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64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in Inche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path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also employed to investigate whether resilience was medi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quality of lif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arenting stress of parents with disabilities had a negative effect on resilience and quality of life. In addition, the resilience played as mediator in parenting stres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quality of lif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practices and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구개파열 아동과 정상 아동의 마찰음과 파찰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비교

        유영신(Young-Sin You),장승진(Seung-Jin Jang),백승재(Seung-Jae Baek),최예린(Yae-Lin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5

        소음에너지가 시작되는 주파수 즉, 선행 모음이 끝나는 지점을 절삭주파수라 한다. 본 연구는 구개파열 아동과 정상 아동을 대상으로 마찰음과 파찰음의 절삭주파수 값, 후행모음에 따른 절삭주파수 값, 절삭주파수와 비음 치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아동으로 구개파열 진단을 받고, 생활연령이 6세 이상인 아동, 생활연령과 성별을 일치시킨 6세 이상 정상 아동 각각 6명씩 총 12명이었다. 실험과제는 마찰음 및 파찰음의 무의미음절 환경과 문장 환경(50환경)으로 구성하였다. 구개파열 아동 집단은 정상 아동 집단에 비해 마찰음, 파찰음의 절삭주파수 값이 무의미음절 환경 및 문장 환경 모두에서 낮게 나타났다. 구개파열 아동과 정상 아동의 절삭주파수와 비음치 간 상관관계 연구 결과 정상 아동 집단에서는 무의미음절 환경과 문장 환경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구개파열 아동 집단에서는 문장 환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The frequency in which noise energy is generated, that is, the point where the preceding vowel ends is the cut-off frequency. Thereupon,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cut-off frequencies, cut-off frequencies changed by the following vowel, and cut-off frequencies and nasalance score, of fricatives and affricates with the subjects of children with the cleft palate and normal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otal 12 children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 Six are the children diagnosed to have the cleft palate and whose chronological age are more than six, and another six are the normal children who are also more than six and whose chronological age and sex correspond to those of the former. Each subject was presented with nonsyllable environment and sentence environment(50 environment) of fricatives and affricates. Regarding meaningless syllable environment and sentence environment of fricatives and affricates, children with the cleft palate had lower cut-off frequencies than normal children. As a result of comparative study on correlations between cut-off frequencies and nasalance score of children with the cleft palate and normal children, it does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both meaningless syllable environment and sentence environment of normal children, but it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sentence environment of children with the cleft palate.

      • 하절기 농산물의 생산단계 잔류농약 모니터링

        조한울 ( Han-ul Joh ),송영진 ( Young-jin Song ),심은선 ( Eun-sun Shim ),김민주 ( Min-ju Kim ),조마리아 ( Ma-ri-a Jo ),유민형 ( Min-hyeong You ),유영신 ( Young-sin Yu ),황신구 ( Sin-gu Hwang ),송태화 ( Tae-hwa Song ) 한국환경농학회 202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3 No.0

        우리나라에서는 1968년부터 농산물에 대한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시작하였으며, 현재에도 여러 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다. 농약은 농산물의 생산성 증진과 재배 편리성 등으로 농작물에 사용을 하고 있지만, 잔류량이 허용기준치를 초과하면 해당 농작물의 출하나 판매를 중지하고 있다. 여름철은 폭염, 장마 등으로 병해충 발생이 우려되어 농약의 살포가 빈번해지는 안전성 취약시기이므로 하절기 농산물의 안전성 조사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조사에서는 풋고추, 오이, 자두, 살구, 방울토마토, 메론 등 여름철 출하 농산물에 대하여 주요 검출농약 및 농약잔류허용기준 초과성분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전처리는 균질화된 시료 10 g을 50 mL 원심분리관에 칭량하여 Acetonitrile을 10 mL 주가한 후 1분간 진탕하고, 4 g MgSO<sub>4</sub>, 1 g NaCl, 1 g NaCitrate, 0.5 g Disodium citrate sesquihydrate를 첨가한 후 다시 1분간 균질기로 진탕한 다음 3,000 rpm/min으로 5분간 원심분리를 진행하였다. 상등액 1 ml를 Dispersive SPE (25 mg PSA, 150 mg MgSO<sub>4</sub>) tube에 넣고 1분간 진탕하고, 10,000 rpm에서 1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0.2 μm 시린지 필터로 여과하여 LC/MS/MS, GC/MS/MS 분석시액으로 사용하였고, 분석방법은 「농산물 잔류농약 다성분 분석방법」에 따라 463종의 농약성분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의 농약잔류허용기준 초과 판정은 「식품 중 농약 잔류허용기준」(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을 적용하였으며,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경우는 해당농약의 생산단계 감소상수를 적용하여 잔류허용기준 이내로 추정되는 기한까지 적절한 조치를 취하였다. 검출농약 중 품목별 최대 검출비율은 풋고추에서 살충제 Chlorfenapyr 7.9%, 오이에서 살균제 Propamocarb 11.9%, 자두에서 살충제 Etofenprox 10.8%, 살구에서 살균제 Pyraclostrobin 10.0%, 방울토마토에서 살충제 Dinotefuran 16.1%, 메론에서 살충제 Flonicamid 12.5%, 대파에서 살균제 Fluquinconazole 19.0%, 부추에서 살충제 Clothianidin 11.8%로 높게 나타났다.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성분 중 살충제 Phorate가 전체 초과성분 중 2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절기 농산물에서 다빈도 검출성분은 살충제 Dinotefuran, Chlorfenapyr, Etofenprox, 살균제 Tebuconazole, Pyraclostrobin으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