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HP 기법을 적용한 부산시 구·군별 삶의 질 비교분석

        유영명(Yoo Yung Myung) 한국지방정부학회 2017 지방정부연구 Vol.20 No.4

        최근 도시경쟁력 관련 연구는 단순한 경제적 관점에서 벗어나 삶의 질 관점까지 적용되면서 구성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주요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군별 삶의 질 지수를 제시하여 지역 발전방안을 마련하고 궁극적으로는 지역활성화를 위한 기반조성에 기여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사회적 합의를 전제로 객관적인 지수화 작업과 주관적 비중평가 방법을 병행하여 지수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는 시도를 하였다. 주제별 전문가들의 브레인스토밍으로 평가항목을 객관적으로 선정하고, 항목별 가중치에 전문가 의사를 반영한 결과, 동부산권이 원도심보다 나을 것이라는 기존의 예상과 달리 중구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기장군, 서구, 강서구, 동구, 북구, 수영구, 금정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구와 서구의 경우 평가 항목에 있는 병원과 도서관 등 기본 인프라의 축적이 상대적으로 부각되었고, 인구규모 자체가 축소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최근 삶의 질에서 중요도가 커지고 있는 보육시설, 주택보급률, 자가비율, 녹지면적, 범죄발생율의 경우는 타 구·군에 비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 항목별로 극단적인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달리 주거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는 해운대구는 종합 순위는 낮지만, 삶의 질에서 중요도가 커지고 있는 문화공연시설과 보육시설, 환경녹지, 주거치안에서 상위권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지표 구성 항목별로 최대 지역대비 달성도를 통해 16개 구·군별로 삶의 질 수준을 높이기 위해 관심을 가져야 할 정책적 중요 항목을 파악할 수가 있었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에 국한하여 16개 구·군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향후에는 권역별 및 주요 대도시간의 비교분석으로 확대발전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research on urban competitiveness has been expanded from a simple economic standpoint to the viewpoint of quality of life. As a result,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city members is recognized as a major tas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ocal development plans by presenting indices in terms of quality of life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foundation for regional revitalization. In order to achieve such a goal, we made an objective index based on social consensus and conducted a subjective weight evaluation method. Through this process, we tri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dex. First, the evaluation items were objectively selected through brainstorming by subject matter experts. And the expert s opinion was reflected in the indicator weigh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Jung-gu had the highest rate compared to the previous forecast that East Busan area would be better than Old Town area. And the evaluation value was higher in the order of Gyujang, Seo-gu, Gangseo-gu, Dong-gu, Buk-gu. However, the accumulation of basic infrastructures such as hospitals and libraries in the evaluation items of Jung-gu and Seo-guhe has been relatively emphasized. And the population is declining too. However, child care facilities, housing supply rate, self rate, green area, and crime incidence rate, which are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quality of life, are weaker than other autonomy districts. The results show an extremely contradictory form for each item. In contrast, Haeundae-gu, which is emerging as a residential center, received a high score in cultural performance facilities, child-care facilities, environmental green spaces, and housing security, which are important in terms of quality of life.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policy items that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each of the 16 districts by the degree of achievement relative to the maximum area. However, in this study, we analyzed 16 districts only in Busan area.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develop by comparison analysis between wild regions and major metropolitan areas.

      • KCI등재

        광역권 경쟁력 변화추이와 지역경제 대응 방안

        유영명(Yoo, Young-Myung),김형빈(Kim, Hyung-Bin),주수현(Joo, Soo-Hyeon) 한국지방정부학회 2010 지방정부연구 Vol.14 No.1

        자본주의 시장체제가 거대한 단일시장으로 확대 재편되는 과정에서 지역별 거점 대도시를 중 심 으로 한 광역권이 기존의 국가를 대체하는 새로운 경쟁단위로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자립형 광역경제권 구축에 있어서 가장 큰 장애요인이 지역 성장요소들의 수도권 집중과 이에 따른 불균형 심화이다 본 연구에서 광역권 단위로 총량경제력의 개별 구성항목의 격차발생 추세와 양적.질적 측면에서의 경제력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과 비수도권간의 경제적 격차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비수도권에서 중부권이 각종 지표에서 급속한 성장추세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최근 수도권과 충청권을 합친 용어로서 자주 언급되는 이른바 ‘수청권’ 이라는 신 거대 수도권의 탄생우려가 근거 없는 사실이 아니라는 점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그리고 비수도권 내에서의 상대적인 경제력 격차는 비록 작지만 수도권-비수도권과 마찬가지로 장기간에 걸쳐서 고정되어 있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대경권은 전반적으로 경제력지표가 악화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다만 질적인 측면에서의 경제력 격차는 광역권별로 증가와 감소추세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수도권 경제력은 타 권역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evolution of capital market globalization have prompted the wide-regional zone as alternative economic growth factor. This study examines competitiveness changes in wide-regional zone using an analysis methods of Gross Economic Capacity Disparities. The results indicate the effect of "National Capital Region" concentration and regional inequality. And the economic divide between the Seoul-metropolitan area and local region has recently widened. Since the election of heads of local government in June of 1995, local autonomy has been fully developed. The central government has initiated various regional innovation projects. But according to Gross Economic Capacity Disparities survey, the competitiveness of Seoul-metropolitan Area has intensified, and that of local region has been weakened. In spite of a series of policy execution the central government to balance development between Seoul-metropolitan area and other areas, economic inequalities between two regions have been deepened. Morever this inequality trends have accelerated the formation of 'Su-cheong area' as Korea's new Seoul-metropolitan area. This study suggests that to strengthen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economic divide between two regions should be narrowed by promoting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in relation to a wide-regional zone.

      • KCI등재

        DEA 윈도우를 이용한 부산 유통산업의 효율성 변화와 안정성 분석

        유영명(Yoo, Young Myung),주수현(Joo, Soo Hyeon) 한국지역사회학회 2014 지역사회연구 Vol.22 No.2

        After the distribution market opening, a rapid growth and spread of large-scale retailer resulted in the subsequent collapse of Small and medium distributors and the national capital region concentration. To solve this problem, the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have invested significant funding for the activation of the small number of retail business. However, most of the development projects did not consider industrial characteristics, just uniformly focused on facilities improvement. Eventually, support business could not get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and thus to establish differentiated support project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B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Windows (DEA-Window) model this research measures the trends and changes of the local retail industry and confirm the growth stability. Finally, based on the estimates of the relative efficiency and dynamic efficiency, we divided local distribution industry into six zones and suggested differentiated ways to improve efficiency.

      • KCI등재

        부산시 고령친화산업의 성장요인분석과 발전방안

        유영명(Yoo, Yung-Mung),김형빈(Kim, Hyung-Bin),주수현(Joo, Soo-Hyeon) 한국지방정부학회 2009 지방정부연구 Vol.13 No.3

        급속한 고령화는 성장추세 둔화라는 문제점과 더불어 고령친화 관련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소비욕구 증대로 산업으로서의 잠재력도 내포하고 있다. 그동안 추진된 고령친화산업 관련 사업 논의에서 고령화문제 인식부족, 중장기 마스터플랜 부재, 관련 산업 활성화를 위한 자체사업 부진 등의 문제점들을 지적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부산지역 고령친화산업의 지역 경제적 위상을 고찰하고 성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지역의 여건을 고려한 차세대 동력산업으로서의 활성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의 결과로서 고령친화 산업 전체 구조 및 입지여건이 양호하여 지역특화산업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제조 유통 서비스 측면에서는 입지여건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업적 측면에서 상대적 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As the population's aging progresses at an unprecedented rate in Korea, there have been concerns about its negative effect on the economy, such as the decrease in labor population, saving rate and the increase in social welfare expenses. Thus, the old-age friendly industry is referred to as the most critical sector of the economy. But the current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s not based on an objective validity. Moreover, the results are uncertain.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concentrated on analyz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old-age friendly industry in order to identify growth factors. After classifying the criteri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ources of industrial growth in the old-age friendly industry during the years 2003~2006 using a shift-share analysis. The industry has features of remarkable linkage effects on the regional economy.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old-age friendly industry were determined and useful policy suggestions were derived.

      • KCI등재

        부산지역 기계부품소재산업 성장요인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유영명(Yoo Young-myung) 21세기정치학회 2008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8 No.1

        Busan led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economic growth in the 1960s and 1970s. focusing on the labor-intensive light industry. Dominance of export-leading industry e.g. footwear, textile, plywood weakened in the 1980s as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rearranged and the 2nd oil shock occurred. Busan failed to promote technology-intensive alternative industry, resulting in the downhill of the regional economy. As Busan economy is faced with the acceleration of the downhill, it is very important to build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promote innovation cluster by enforcing innovation cluster and network focusing on strategic industry by region. Before fostering a regional strategic industry and intensifying local industrial structure through Regional Industry Road Map, we should consider evaluating whether the regional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are effectively functioning in terms of Performance Maximization of Regional Strategic Industry. Until now, there have been few research efforts aimed at estimating policy effect of regional strategic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for the second stage Regional Strategic Industry Project and present a fosterage direction of strategic industry to lead the regional economy.. This performance analysis lays emphasis on location quotient analysis(LQ), Shift-Share Analysis and measuring total factor productivity(TFP). Especially, we set quantitative analysis standard and qualitative analysis standard with professional survey to consider possibility to develop growth potentiality for the region in the future as well as objective innovation capacity that the region carrie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be contributed to settle a policy fostering the growth power industry for the local community development. we expect that this research will arrange the framework of various policies fostering regional strategic industry.

      • KCI등재후보

        부산 영상산업 성과분석과 육성방안

        유영명 ( Yung Myung Yoo ),김형빈 ( Hyung Bin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09 유라시아연구 Vol.6 No.4

        한국영화의 산업적 측면에서 2000년 들어와 다양한 변화 중에 하나가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나타난 지역 영상산업의 구축을 위한 시도이다. 물론 이러한 변화는 동일한 시기에 한국영화에 있어 나타난 산업화의 가능성에 따른 영화를 둘러싼 주변 환경의 변화와도 밀접한 연관성을 찾을 수 있다. 실제로 그 이전 영산산업을 논할 때는 서울을 제외한 지방의 가능성은 언급조차 되지 않았는데, 이는 대부분의 산업에서 인력과 자본 그리고 관련 인프라가 거의 서울에 집중화되어 있기 때문에 영상산업 역시 예외일 수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언어나 문화적으로 한국이라는 제한된 영화시장의 규모 자체가 서로 나눠 갖기엔 시장이 너무 작다는 인식이 지배적 이였기에 각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의 영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거의 없었다. 그러나 고착화될 것 같던 상황이 몇몇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특성화된 지역발전이라는 가치아래 서서히 변화의 가능성을 엿보게 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부산이다. 그동안 부산은 부산국제영화제의 성공적인 개회를 기반으로 하여 영상산업이 수도권 이외 지역으로서 처음으로 영화중심 도시로서의 성장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갖게 되었다. 그리고 주요 영화영상 관련시설이 서울중심의 수도권에 편중되고, 이에 따른 국가 영상산업경쟁력 저하와 자원의 중복투자가 우려되는 시점에서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영화산업에 대한 확고한 지원 의지는 향후 영화도시로서의 도시 이미지 제고와 중앙정부의 지역 특화 지원을 유도하는 근거가 되고 있다. 하지만 지역특화산업으로서 영상산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기존 지역산업 정책성과에 관한 구체적이고 종합적인 분석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는 지역차원에서 지역 영상산업의 추진과정과 성과에 대한 객관적 평가시스템이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다. 이는 과거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의 이러한 전례가 없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이다. 향후 제시될 지역산업 중장기 비전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존 영상산업 정책성과에 관한 구체적이고 종합적인 분석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할 때 지역영상 산업육성정책은 연속성과 구체성을 지니는 차원으로 개선될 수 있으며, 단순한 비전제시가 아니라 구체적인 실행력을 갖춘 로드맵 수립과 이에 근거한 투자우선순위 및 신규사업 선정이 가능하며, 지역전략산업의 지속적인 고부가가치화를 기대할 수 있다. 부산이 지역전략산업으로서 영상산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기존 지역산업 정책성과에 관한 구체적이고 종합적인 분석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즉, 영상산업의 정확한 현황파악과 성과분석으로 실질적인 영상산업 중장기 비전 수집을 위한 객관적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상산업을 대상으로 지역산업정책 평가의 기본적 틀을 제시하고 향후 지역경제 개선방향 도출의 기회로 삼고자 한다. 이는 무엇보다도 ‘영화축제’ 중심적인 영상산업을 산업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계기로 삼고자 하는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영상산업을 정보통신 및 관광산업 등 타산업과의 연계 등으로 미래지향적인 산업으로의 발전을 가져오는데 필수적이다. The year 2000 may prove to be a watershed year in the development of korea`s fledgling film industry with several significant accomplishment and local films making inroads in the korean marketplace. With the success of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Busan has started organizing Busan film community. As part of its continuing efforts in film industry development, Busan organised the Film and the Visual Arts industry bringing in film productions from Seoul and other countries. The Film and the Visual Arts industry is a civilian and government joint organization offering administrative support and all kinds. Based on success of the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PIFF), the Film and the Visual Arts industry in Busan has grown the major industry that will lead the Busan economy. Before fostering the Film and Visual Arts as a regional strategic industry and intensifying local industrial structure through Regional Industry Road Map, we should consider evaluating whether the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are effectively functioning in terms of Performance Maximization of Regional Strategic Industry. Until now, there have been few research efforts aimed at estimating policy effect of regional strategic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process of the Film and Visual Arts industry growth in Busan, suggest the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for the Regional Strategic Industry Project and present a alternatives focusing on promotion strategy. This performance analysis lays emphasis on location quotient analysis(LQ) and Shift-Share Analysis. Especially, we set quantitative analysis standard and qualitative analysis standard with professional survey to consider possibility to develop growth potentiality for the region in the future as well as objective innovation capacity that the region carrie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be contributed to settle a policy fostering the growth power industry for the local community development. we expect that this research will arrange the framework of various policies fostering regional strategic industry.

      • KCI등재후보

        부산지역 문화산업의 성장편차를 이용한 성장영향요인 분석

        유영명(Yoo Yung-myung),주수현(Joo Soo-hyeo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0 문화산업연구 Vol.10 No.3

        Contrary to the disinterestedness from the academics, ‘cultural industry’ are receiving much interests nowadays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ources of industrial growth in the Busan cultural industry during the year of 2000~2007, using input-output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With 2000 to 2007 regional I/O table the sources of industrial growth were decomposed into five sources, i.e. production, consumption expenditure, investment, export, import substitution of intermediate and final demand, and technical change. The analysis shows that the media industry sector were contributing much more to the growth of the regional industry than the other cultural industry sect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 industry including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greatly influenced the growth of cultural industry. Contrary to the disinterestedness from the academics, ‘cultural industry’ are receiving much interests nowadays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ources of industrial growth in the Busan cultural industry during the year of 2000~2007, using input-output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With 2000 to 2007 regional I/O table the sources of industrial growth were decomposed into five sources, i.e. production, consumption expenditure, investment, export, import substitution of intermediate and final demand, and technical change. The analysis shows that the media industry sector were contributing much more to the growth of the regional industry than the other cultural industry sect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 industry including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greatly influenced the growth of cultural industry.

      • KCI등재

        효율성 및 생산성 지수 분석을 통한 도시형 성장산업 유형에 대한 연구 -부산과 OECD 유통산업 비교-

        유영명 ( Young Myung Yoo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4 유라시아연구 Vol.11 No.1

        국내 유통산업의 발전과정은 미국과 일본에 비해 늦었으나 진행속도는 빨라지고 있다. 특히 국내 유통산업의 국민경제적 비중은 효율성 향상에 따른 외형감소와 성장둔화로 인한 양적 축소로 다른 OECD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과정에서 선택과 집중에 따른 불균형 압축 성장의 영향으로 주요 생산요소들이 수도권으로 집중되면서 양극화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지역 산업구조의 후진성으로 부산경제는 지속적인 침체의 패턴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산업구조 분석이 선행되고 이에 근거한 지역경제 체질 개선안과 전략들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부산은 산업간 시너지 효과를 높임으로써 경제전체의 성장 능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제조업뿐만 아니라 지역경제 차원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서비스 산업의 발전이 필수적이다. 실제로 경제의 서비스화 진전에 따른 전반적인 성장 둔화 가능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산업이 저생산성 인력의 흡수원이 아니라 주요한 도시산업의 혁신의 주체가 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서비스산업은 생산성을 주도하는 산업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혁신과 생산성 제고가 필요하다. 현재 부산지역 서비스산업 현황을 살펴보면,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업 등 유통관련 산업의 잠재력과 역량이 매우 높은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불균형 심화현상이 반영되면서 동시에 지역내 산업비중이 높은 유통산업을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에 기초해서 산업분류를 하고, 업종별 특성이 반영된 경쟁력 개선에 대한 정책적함의를 순차적으로 제시하였다. DEA모형을 이용하여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투입변수와 산출변수의 선정이 가장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매출액을 산출변수로 선정하였고, 투입변수로는 기업이 노동과 자본을 투입하여 산출물을 얻는다고 가정하고, 노동에 관한 변수로 종사자수를, 유동자산과 고정자산에 대한 변수로서 매출원가, 사업체 건물면적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단순히 소매유통업종으로만 국한하지 않고, 지역 시장경기를고려한 광의의 개념에 근거한 유통산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무엇보다 현재의 지역 시장경기를중심으로 지역 유통경제 현황과 변화추세를 판단하고 예측하여 향후 지역 유통산업에 대한 지원정책의 판단근거로 활용하기 위한 차원에서 업종을 선정하였다. 구체적으로 2006년에서 2011년까지 지난 6년 동안의 총생산성의 변화와 CCR 모형과 BCC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된 상대적 효율성을 종합하여 지역 유통산업을 6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정책함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전체 유통산업을 6영역으로 구분 정리하여, 각 영역별로 제시된 정책적 지원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업단위별 규모확대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업종으로 출장 및 이동음식업이 선별되었으며, 규모의 적정성과 생산기술의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적당한 업종으로는 컴퓨터 및주변장치소프트웨어및통신기기소매업을 포함한 9개 업종이 제시되었다. 아울러 의약품의료용기구화장품 및 방향제소매업을 포함한 6개 업종은 시설의 축소가 우선적으로 필요한 산업으로 나타났고, 규모의 확대와 생산성 향상 노력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는 업종으로는 예술품 및 선물용품소매업과 음반 및 비디오물소매업이 분류되어졌다. 또한 현재의 생산규모는 적정하지만 효율성 향상을 위한 경영상의 노력이 필요한 업종으로는 철물페인트유리 및 건설자재소매업을 포함하여 9개 업종이 제시되었고, 끝으로 음식료품위주종합소매업, 비알콜음료점업, 서적 및 문구용품소매업, 기타무점포소매업은 규모 축소와 생산성 향상 노력이 함께 필요한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 현실파악은 지역 유통산업이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포괄적이면서 장기적인 산업정책을 제시하는데 하나의 판단기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이러한 산업분류매트 릭스는 향후 지역에서 연구되어질 다른 도시형 성장산업에 대해서도 적용함으로써 장기적인 성장방안에 대한 하나의 안으로서 검토되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태적인 효율성 분석방법으로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 분석을 활용하였다. 그러나 향후 연구에서는 최근 시간적 변화를 고려한 종단적 비교분석 기법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DEA 윈도우 분석방법을 보완적으로 도입해보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Domestic distribution industry began later than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However, the development speed is very fast. But the domestic distribution industry percentage of national economy appears to be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OECD countries. This phenomenon is judged to appear due to the restructuring caused by increased efficiency and business scale reduction caused by slow growth. In the process of those changes, disproportionately compression growth caused by choice and concentration growth made the main production factors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economic polarization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and local economic difficulties were aggravated due to underdeveloped industry structure. Since the 1960s Busan have made economic growth based on export-oriented light industry , but in 1970 the economic structure transformed into the consumption-led service econom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eded to analyze the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and suggest various means to improve the local economic fundamentals. This study evaluate the CCR and BCC efficiency of distribution industry in Busan. And we estimates changes in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technical efficiency change index and the technology development index using the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of distribution industry in Busan over the time period spanning 2006-2011. The model considers employment, cost of sales and gross area as input factors, and sales as output factors. This study analyzes the regional distribution industry regional imbalances is reflected in significantly with a large proportion of local industry. Finally measure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industry is proposed based on the industrial classif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efficiency and productivity level. Specifically, combining the total change in productivity from 2006 to 2011 in the past six years with the relative efficiency based on CCR and BCC models, we can divide the local retail industry into six regions and derive the policy implications. In conclusion this type of industry classification matrix can be applied to many other iurban industries and used as a criteria necessary for the long-term industry development plan.

      • KCI등재

        포스트 APEC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주수현(Soo hyeon Joo),유영명(Yoo Young-myung),김형빈(Kim Hyungbin) 21세기정치학회 2005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5 No.3

        This study aims to help establish strategies to host mega events in Busan by continuously analysing outcome of post-APEC projects. It also seeks its objects of maximizing and, further, keeping up APEC impact on host-city by developing post-APEC projects in many sides. In analyzing the impact on regional economy, the research presents post-APEC development plans to maximize the regional economy Busan is now more than ready to host the APEC 2005 expecting opportunity to show the name of Busan to the worldin terms of rich culture, tourism and economics as well as diverse aspects of the city. During the APEC 2005 meetings and related events, Busan will receive very large flows of visitors, including APEC leaders and all other delegates, reaching 15,000 people. When the economic effect of the APEC 2005 is compared with that of other special grand events (e.g. the 14th Asian Games, 2002 FIFA World Cup), it exceeds the effect of those at the production multiplier effect, the value added multiplier effect and the employment effe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Regional Linkage Effects of APEC 2005 in BUSAN using regional input-output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