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황 분말 첨가 파운드케이크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유수인,김서린,신유진,이승아,장예진,장경태,김정환 (사)한국조리학회 2022 한국조리학회지 Vol.28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appropriate level of turmeric powder for pound cake. The moisture content, pH, sugar content, chromaticity, texture profiles, antioxidant activity, and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were examined using the samples in proportions of 0%, 10%, 20%, 30% and 40% by varying the ratio of turmeric powder.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the moisture content and pH of pound cakes were found to increase with an increased in the addition of turmeric powd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gar content between samples. Second, Hunter L valu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Hunter a value and b value were increased according to add the turmeric powder. Third, the hardness,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increase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adhesion or cohesiveness according to add the turmeric powder. Fourth,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add turmeric powder in the antioxidant activity. Based on these results, current study found that the level of addition that can minimize the effect of the flavor of turmeric was confirmed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sensory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founding will contribute to develop the formulation of pound cake according to add the turmeric powder.

      • KCI등재

        가변안내표지판 메시지 표출형식 및 지체수준 별 운전자 우회율 분석 연구

        유수인,김병종,김원규 한국ITS학회 2013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2 No.6

        본 연구는 가변안내표지판(VMS, Variable Message Sign)의 표출방식과 제공되는 정보의 지체수준에 따른 운전자 우회율을 분석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20대 이상의 운전면허소지자를 대상으로 차량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가상주행 실험 후 SP 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결과에 대하여 로짓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결과 문자식과 도형식 간 표출형식에 따른 운전자 우회에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우회도로가 원활상태 일 경우, 주도로의 지체수준 125% 시점에서 우회하기 시작하였고, 지체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우회율은 근소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회도로가 지체상태 일 경우, 주도로의 지체수준 125% 시점에서 우회하기 시작하였고, 지체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우회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운전자의 우회시점에 대한 기준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향후 교통성능향상을 위한 교통정보제공 전략 수립 시 이를 반영한 교통정보제공전략이 검토·적용 되어야 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version rate by the levels of delay and the types of display. For this study, we developed the logit model by analyzing the result of SP survey of drivers who have driver’s licence after manipulating a virtual driving simulator. The result of analysis was that the types of displa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diversion rate. On the other hand, the levels of delay was very meaningful factor with the diversion rate. When the main road was flowing smoothly, drivers started to detour at the levels of delay 125% under the traffic free flow state. Similarly, when the levels of delay got worse, the diversion rate kept the same percentage as it was at the levels of delay 125% state which represented a smooth road condition. Likewise, when the main road’s traffic flow was slow, drivers appeared to make detours at the same state of the levels of delay 125%. It was found that as the levels of delay got worse, the diversion rose higher than the diversion rate at the condition of slow traffic flow situation with the levels of delay 125%.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e criterion of drivers detour point. For the conclusion, the result of study would be a reasonable reference for establishing transportation strategies by reflecting drivers’ detouring property and would improve the efficiency of traffic flow.

      • KCI등재
      • KCI등재

        뇌졸중 노인을 돌보는 주간호제공자의 부담감과 예측요인 : 한방병원 입원 노인을 중심으로

        유수,김신미,이윤정,박연환 노인간호학회 2004 노인간호학회지 Vol.6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burden in primary caregivers caring for an elderly person who has had a stroke. Method : A convenience sample of 124 primary caregivers of elderly people with a stroke admitted to an oriental medicine hospital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terviews were done with a standardized questionnaire including Caregiver Burden Scale (Chang, 1995). Result: Average burden score was 93.19, indicating a moderate to severe level of burden. Time-dependent burden had the highest score of the sub-domain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ing caregiver burden were gender and age of the elderly person, age and educational level of the caregiver, whether living together or not, and the presence of another caregiver.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demonstrated that level of ADL of the elderly person,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person and the caregiver prior to the stroke, caregivers' relation to the elderly person and primary income were significant factors in explaining variance in overall burden. Conclusion : Recognition of high levels of caregiver burden and factors influencing burden will allow us to develop different nursing strategies to decrease caregiver burden in those caring for an elderly person with a stroke.

      • KCI등재

        스피노자의 "실체"와 "양태"개념을 통한 프랭크 게리 건축의 표현특성 연구

        유수정 ( Soo Jeong Yu ),홍지나 ( Ji Na Hong ),윤재은 ( Jaee Un Y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3

        현대의 건축공간은 공간 그 자체에 의미를 두기보다 공간이 인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어떻게 지각하는지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다원화된 사회로부터 인식의 사유 또한 변화하게 되어 유형적 가치에 머물렀던 과거와는 반대로 무형적 가치를 우선시하는 현대에 와서 공간개념에 대한 본질적 의미로서의 접근은 보다 근원적 공간연출과 동시에 새로운 철학적 공간으로 자기 매김하고 있다. 현대 사회의 대표적인 해체주의 건축가 프랭크 게리는 개성적이고 독특한 형태로 나타나는 자신만의 확고한 디자인을 가지며 실험적인 시도와 다양한 표현방법으로 공간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스피노자의 ‘실체’와 ‘양태’의 개념을 분석하여 이러한 특성들이 프랭크 게리의 작품 특성과 어떠한 관계성을 담고 있는지 보여주고자 한다. 이에 건축의 본질적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철학적 사유를 통해 그 속에 담겨있는 존재적 가치를 통하여 실체와 양태의 개념에서 바라보는 사유를 통해 프랭크 게리 건축의 의미를 더욱더 확장 시키고자 했다. 미래의 건축 공간을 이해하는 또 다른 근본적인 시각의 틀로써, 실체와 양태의 개념을 통해 의미적 공간, 존재적 공간, 생성적 공간으로의 개념을 확장시키면서 공간속에 무한 가능성을 바라본다. A study of modern architectural space, rather than focusing on space itself, is more interested in the way space affects our life and how it is perceived by us. As the way we perceive the world change in today``s more pluralistic society and in the modern world where the importance of intangible values are emphasized on the contrary to the past where the values remained tangible, architects are approaching the idea of space in its more fundamental meaning and not only producing space in its more fundamental form but also making it a philosophical one. Frank Gary is a deconstructionist architect of the modern world and has a design philosophy based on his unique and characteristics style. He proposes a new concept of space by making experimental attempts and diverse methods of expression.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use Spinoza``s idea of substance and mode to explore how these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the works of Frank Gary. By analyzing fundamental significance of architecture, the significance of Frank Gary``s architecture will expand through philosophical reasoning, existential values and the ideas of substance and mode. As another fundamental analytical framework to understand architectural space of future, infinite possibilities can be explored in space through the idea of substance and mode and its idea can be expanded to that of meaningful space, existential space and creative space.

      • KCI등재

        18~19세기 族譜를 통해 본 大丘徐氏 동족집단의 구성

        유수 조선시대사학회 2023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5

        Daegu Seo Clan was active in the center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ir genealogy was published in the early 18th century. Daegu Seo first published "Daegu Seo Clan Sebo" in 1702, and then published a total of five copies until 1852, the mid-19th century. This paper analyzed the Daegu Seo clan group described in the preface and introductory remarks of the Daegu Seo clan from 1702 to 1852, and examined the composition of the clan group from the 18th to the 19th century. However, the Daegu Seo clan at this time was limited to the Daegu Seo clan, based in Seoul. This is to prevent confusion with Dalseong Seo, who is recognized as the same clan. Daegu Seo clan tried to distinguish itself from the Dalseong Seo clan through a genealogy in 1702. For this reason, Dalseong Seo was excluded from the main report of the genealogy and recorded as a separate report for the historical fact. Later, in 1775, they were moved back to Bonbo from Eulmibo, but the degree of description of Dalseong Seo Clan was the same as Imobo. Although the Dalseong Seo clan group was recognized as a kinship, the Daegu Seo clan tried to organize the mainstream kinship group embodied in the genealogy only with Gyeongpa with Seo-han as its founder. However, not all Daegu Seo Clan was published in the Daegu Seo Clan Sebo. In the genealogy, the Daegu Seo clan continued to mention the prosperity of the family of Seo-seong and his sons. Seo-seong and his descendants were those who had a marriage relationship with the royal family, produced government officials continuously, and had a higher social and political status than other Daegu Seo Clan at the time. In other words, the Daegu Seo Clan tried to show the social and political status of the Daegu Seo Clan by using them as the mainstream of the Daegu Seo Clan Sebo. This was particularly noticeable in Eulmibo, the most complete genealogy. In Eulmibo, unlike before, the distinction between grandchildren and sons-in-law was clarified to emphasize the four households under Seoseong. It was not until the late 18th century that the construction of a genealogy centered on paternal blood ties was attempted. However, it did not completely exclude grandchildren and sons-in-law. This is because they still acted as beings that could represent relationships with other clan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genealogy report centered on four households under Seo Seong led to the exclusion of descendants of the same Daegu Seo Clan in the mid-19th century. They were the descendants of Bokgyeong, who were excluded because the genealogy was not clear and wrote a separate paper. However, in fact, it is believed that this is because they were descendants of the Seo Geo-jeong family, unlike the four households under Seo-seong, the Seo Geo-gwang family. As such, Daegu Seo tried to maintain a genealogy centered on certain households until the 19th century, and a more expanded form centered on paternal blood ties did not take place until the 20th century. 대구서씨는 조선 전 시기를 통틀어 중앙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巨姓이었다. 그러나 그들의 족보는 18세기 초반에서야 비로소 작성되었다. 대구서씨는 1702년 첫 『大丘徐氏世譜』를 간행한 이후 19세기 중반인 1852년까지 총 5권의 세보를 간행하였다. 본고는 1702년부터 1852년까지 『대구서씨세보』의 서ㆍ발문과 범례에 서술된 대구서씨 동족집단을 분석하여 18세기부터 19세기까지 이들이 나타내고자 했던 동족집단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단, 이때의 대구서씨는 徐閈을 시조로 하는 京派인 대구서씨로 한정하였다. 같은 성관으로 인식되고 있는 鄕派인 달성서씨와의 혼동을 막기 위해서이다. 대구서씨는 1702년 족보인 『임오보』부터 향파인 달성서씨와 구분하고자 하였다. 때문에 그 역사적 사실을 이유로 향파인 달성서씨를 족보의 본보에서 배제하여 별보로 기재하였다. 이후 1775년 『을미보』에서 이들을 다시 본보로 옮겼지만, 향파인 달성서씨 인물들의 기재 정도는 『임오보』와 같았다. 달성서씨 향파를 동족으로는 인식하였지만, 대구서씨는 족보에서 구현되는 주류의 동족집단은 서한을 시조로 둔 경파만으로 구성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런데 모든 경파인 대구서씨가 『대구서씨세보』에 실린 것은 아니었다. 대구서씨는 족보에서 서성과 그 이하 아들 가계의 번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언급하였다. 서성과 그 이하의 후손들은 왕실과 혼인관계를 맺고 꾸준하게 관직자들을 배출하며 다른 대구서씨 가계 보다 당대 사회적ㆍ정치적으로 위상이 높은 이들이었다. 즉 대구서씨는 이들을 『대구서씨세보』의 주류로 하여 사회적ㆍ정치적 위상을 나타내고자 한 것이다. 이는 특히 족보 중 가장 완성도가 높은 『을미보』에서 두드러졌다. 『을미보』에서는 서성 이하 네 가계를 강조하기 위해 기재상 이전과는 달리 외손 및 사위와의 구분을 명확히 하였다. 18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부계혈연 중심의 족보 구성을 시도한 것이다. 그러나 외손 및 사위를 완전히 배제하지 않았다. 이들은 타성들과의 관계를 나타낼 수 있는 존재로 여전히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서성 이하 네 가계 중심의 족보 수보는 19세기 중반 같은 대구서씨 후손들을 배제하는 결과를 불러왔다. 바로 福慶 이하 자손들로, 이들은 계보가 명확하지 않다는 이유로 배제되어 따로 파보를 작성하기도 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이들은 서거광 계열인 서성 이하 네 가계들과는 다르게 서거정 계열의 후손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이처럼 대구서씨는 19세기에 이르러서도 특정 가계를 중심으로 한 수보 형식을 유지하고자 했으며, 좀 더 확장된 형태의 부계혈연 중심의 동족집단화는 20세기가 되어서야 이루어졌다.

      • KCI등재

        한‧중‧일 분재산업의 특성에 관한 연구

        유수,정준래,박율진 한국전통조경학회 2019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7 No.3

        For this purpose, research was made to look into the style, material, organization, and legal as well as institutional system of the bonsai industry in the three countries. In order to understand what significance it has and how it has changed historically, related literature was surveyed a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concerned people to collect the data needed for them to plan bonsai industry.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Analysis of awareness of bonsai culture, respondents replied that the motive and purpose of bonsai is because they like flower trees, and the technical information about bonsai is usually obtained by visits to bonsai gardens. The analysis revealed that respondents usually join more than one bonsai club and are active more than once a month, which means longer than 4 hours each month, and their activities are more frequently in the metropolitan area. From the analysis of preference for bonsai culture, it was made known that the favorite bonsai size is less than middle one(20~50㎝),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vorite species are beauty. A research and analysis of bonsai-related technical education found that bonsai is trimmed manually in general, bonsai experts are usually kept in contact with, and the bonsai technique is learned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experts. 본 연구는 동양 문화권으로 분재 역사가 깊은 한 ‧ 중 ‧ 일 분재문화산업의 양식 및 소재 등에서 분재특성을 이해하고 문화적으로 어떤 의미와 변천이 있는지 관련 문헌자료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분재산업의 계획입안 자료를 제공하고자 관련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국가, 연령, 연간소득수준, 분재관련 활동경력 측면에서 교차분석, 인식 및 선호조사를 하였다. 분재문화의 인식조사 분석에서 분재를 하게 된 동기 및 목적은 꽃나무가 좋아서, 평소 분재에 관한 기술정보를 획득하는 곳은 분재원이며, 대부분 1곳 이상의 분재동호회에 가입하여 월 1회 이상, 평균 4시간 정도 작품 활동을 하며, 주로 대도시 지역에서 왕성하게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재문화 선호도 분석에서는 좋아하는 분재의 크기는 중품(20~50㎝) 미만, 좋아하는 수종의특성은 수형의 아름다움으로 나타났다. 분재관련 기술교육에 관한 분석에서는 분재관리 시 손질은 직접 손질, 평소 분재전문가와는 교류를 한다가 높게 나타났고, 전문가와의 교류를 통해서는 분재기술을 배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