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가 접착형 레진 시멘트를 코어재로 사용 시 미세누출

        유미선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Microleakage of self-adhesive resin cement used as core material Yoo, Mi-Sun Advisor : Prof. Min, Jeong-Bum, D.D.S., Ph.D. Department of Dentistry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evaluated the marginal leakage around Class-I cavity restored with Self-adhesive resin cement and core build-up material. Standardized class-I cavities were prepared on 78 caries-free extracted human premolars. Prepared teeth were randomly assinged to three groups and restored using one of the self adhesive resin cements and core build up material. 1) RelyX Unicem (Group1) 2) Maxcem (Group2) 3) Luxabond + Luxacore (Group3) The specimens were stored in distilled water for 24 hours, followed by immersion in 2 % methylene blue dye for 24 hours. The teeth were sectioned longitudinally and evaluated for microleakage under stereomicroscope. The degree of leakage was scored according to an ordinal ranking system (0-4).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Kruskal Wallis nonparametric test and Mann-Whitney U Tests (p = 0.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microleakage scores for groups were as follow: 2.7 (unicem), 4 (maxcem), 3.1 (luxacore)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2. Maxcem showed the largest degree of microleakage,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xcem and other groups. 3. RelyX Unicem showed the smallest dgree of microleakage,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Unicem and Luxacore. In the respect of microleakage, there is possibility of using RelyX Unicem as core material, but it shoud be applied with caution to the clinical situation. The final evaluation of material should be performed in long-term clinical studies.

      • 초등역사교육에서 유물·유적을 활용한 학습 방안 : 신석기 시대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중심으

        유미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ntangible and tangible lifestyle elements that people enjoyed in the past are now utilized in many ways in today's history education, according to its educational value. In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most materials that teachers and students can utilize in elementary school are those made as records in the form of written historical materials. However, it is necessary to provide diverse materials in history courses, to ensure students do not only experience boredom, but become more active and more interested. While there are many course materials available for history education, materials that motivate and intere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ost, come from actual historical sites or places, and can lead the class to be more vivid and realistic.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history practice which can utilize materials from relics and remains. Relics and the remains, unlike written history materials on record, are the specific materials used by early people and the places where they actually lived. In history learning, there are plans for the use of diverse materials in the classroom, encompassing authentic materials, reproduced materials, models, and image files, In addition there are materials for use outside the classroom, such as museum tours and field studies. However, unfortunately most relics and remains in textbooks can only inform about their purpose and use, with this information only for reading and going on to subsequent chapters. Methods of research should be taught to students, to let them build historical knowledge by themselves, as they come to know about the lifestyles of people in the past through relics and remains. Thus, consideration is needed on plans that can fit this use. I therefore thought about the value of utilizing relics and remains in history learning over other materials. After fully reviewing their use in the classroom through advanced research, I prepared effective and specific teaching plans which could lead to the use of relics and remains in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and tried to present an actual course example based on these plans. I suggested that there are steps in learning history utilizing relics the remains. These are: Finding traces, Studying deep in the traces, Reconstructing the traces. The key to this plan defines finding a trace as taking relics and remains as evidence left by early people, going deep in the traces to uncover the lifestyles of these people, and describing the trace after reconstructing it as historical knowledge. Finding traces offers historical materials to students. This study prepared and provided the most realistic and effective images of materials at a learning site. As a key step in researching relics and remains, students experience the process of making questions and answers themselves, learn to make them as evidence of history, and build historical knowledge. Questions can be divided into observational and analytical. I also presented divided course materials by level of learner experience and research, such as all presentation, keyword presentation, and make-your-own. While studying deep in the traces, leaners describe the history the understanding in various ways. However, suggesting actual course examples with leaning plan preparation, students could learn about the lifestyle of the people from the Neolithic, or New Stone Age era of Korea, which was the appropriate era for study of relics and remains in the educational process. It is also ahead of an era that has no records, so we can expect a greater learning effect as the relics and records are the only evidence whereby their lifestyles can be figured out. The periodical value of relics and remains in learning learn about New Stone Age's characteristics in Korea, the uniqueness of the historical material, and student interest were the reasons for selection, and students could build their historical knowledge by imagining past lifestyles, not by specific relics and remains, but across the whole scene of the era in the actual course. However, the course was designed to permit students to research on the basis of basic information, as compensation for the limitations of image and photo materials when they research relics and remain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viewpoints. First, it focused on non-textual historical materials, which was a step forward from written historical materials which are highlighted in the academic world. This was what I tried to utilize in the history course and sought the meaning of non-textual historical materials. Second, I suggested methods that could maximize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relics and remains and could compensate for weak points in the study utilizing the relics and remains in the textbook. Third, I suggested effective learning steps that could be utilized when I used the relics and remains in an actual classroom, by developing history learning plans for relics and remains in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Fourth, as mentioned, I was able to make use of actual applied examples of the history course based on selection standards of the relics and remains available for use, steps for historical leaning, and the questioning strategy in the history course. In this study, I suggested a process for the course thinking about how relics and remains can approach learners in the elementary history class. I prepared and suggested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research historical materials, whereby they could build historical knowledge in steps. Through this process, I proceeded in envisioning that these could be samples while students try to use relics and remains as class materials. Looking at relics and remains with their own eyes offers them a chance to study in the most interesting way, which is not easy to practice in actual courses at school, but it is a great goal for brightening the boring and difficult study of history with a diversity of materials and course meth 과거 사람들이 향유했던 유형과 무형의 생활양식은 오늘날 역사 교육에서 교육적 가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초등역사교육에서 학생과 교사가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대부분의 자료는 기록으로 남겨진 역사, 즉 문자 사료이다. 그러나 학생들이 지루하게만 느끼는 역사 수업을 재미있고 활기차게 만들어주기 위해서는 학습 자료의 다양성을 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역사교육에 활용 가능한 수업 자료는 다양하나 초등학생의 흥미를 유발하고 관심을 유지시켜 생동감 있고 실감나게 역사를 가르치기 위한 자료는 역사 현장에 있었던 바로 그 물건 혹은 바로 그 장소일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물과 유적을 활용하는 역사 학습에 주목해 보았다. 유물과 유적은 기록으로 남겨진 문자 사료와 달리 과거 사람들이 사용하던 유형의 구체물과 그들이 살던 삶의 터전을 말한다. 역사학습에서 유물과 유적은 실물 자료, 재현품이나 모형, 이미지 자료 등 교실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있고 박물관 학습, 현장체험학습 등 교실 밖 수업에서도 활용 가능하다. 그러나 교과서 안의 유물과 유적은 대부분 용도와 쓰임을 알려주고 보고 넘어가기 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학습 가치에 비해 활용이 아쉽다. 그래서 학생들이 유물과 유적을 통해 과거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알아 스스로 역사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탐구 방법을 가르쳐야 하며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유물과 유적이 다른 학습 자료와 비교하여 역사 학습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치를 생각해보고 이를 수업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선행연구를 통해 검토한 후 초등역사교육에서 유물과 유적을 활용한 효과적이고 구체적인 지도 방안을 마련하여 이 방안을 바탕으로 실제 수업 사례를 제시해 보았다. 유물과 유적을 활용하여 역사 학습을 하고자 할 때 흔적 찾기 - 흔적 파헤치기 - 흔적 쌓기라는 단계로 학습을 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과거 사람들이 남겨 놓은 유물과 유적을 증거로 삼아 그 흔적을 찾아보고 흔적에 담긴 과거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파헤치고 다시 역사적 지식으로 구성한 후 표현하는 과정이 학습 방안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흔적 찾기에서는 학생들에게 역사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학습 현장에서 가장 현실적이며 활용도가 높은 이미지 자료로 제공하고 발문을 마련하였다. 흔적 파헤치기는 유물과 유적을 탐구하는 본격적인 단계로 학생들은 유물이나 유적에 질문을 만들고 답하는 과정을 겪으며 그것을 과거의 증거로 만들고 역사적 지식을 구성하게 된다. 질문은 크게 관찰 위주와 해석 위주의 질문으로 나눌 수 있고 학습자의 경험과 탐구 수준에 따라 학습지의 유형을 모두 제시, 키워드 제시, 직접 만들기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흔적 파헤치기에서는 이해한 역사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게 된다. 한편 학습 방안을 마련하여 실제 수업 사례를 제시할 때에는 우리나라 신석기 시대의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신석기 시대는 유물과 유적으로 학습하기에 적합한 시대이다. 또한 기록이 없는 기록 이전의 시대로 유물과 유적은 당시의 생활 모습을 파악할 수 있는 유일한 증거가 되어 학습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신석기 시대의 특징을 알 수 있는 유물과 유적을 시대적 가치, 사료의 고유성, 학생의 흥미 차원에서 선정하여 실제 수업에서는 개별적 유물과 유적이 아닌 전체적인 장면에서 과거의 모습을 생각하여 역사적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단, 학생들이 유물과 유적을 탐구할 때 이미지 및 사진 자료의 제약을 보완하고자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이를 토대로 탐구가 가능하도록 수업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첫째, 학계에서 강조되어 왔던 문자 사료에서 한걸음 나아가 비문자 사료에 주목하여 이를 역사 수업에 활용하고자 시도하였고 역사 수업에서 비문자 사료가 갖는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둘째, 교과서에서 유물과 유적을 활용한 학습의 취약점을 보완하고 유물과 유적이 갖고 있는 교육적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셋째, 초등역사교육에서 유물과 유적을 활용한 역사 학습 방안 구성함으로써 실제 수업 현장에서 유물과 유적을 활용하여 학습을 전개할 때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 단계를 제안하였다. 넷째, 앞서 논한 역사 수업에 활용 가능한 유물과 유적 선정 기준, 역사 학습을 위한 단계 및 발문 전략 등을 토대로 이를 적용한 실제 역사 수업 사례를 제시하여 역사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역사 수업에서 유물과 유적이 어떤 의미로 학습자에게 다가갈 수 있는지 그 의미를 생각해보고 수업의 과정을 제시하였다. 학생들이 역사적 사료에 다가가 탐구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역사적 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기회를 각 단계를 마련하여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역사 수업에서 유물과 유적을 수업 자료로 활용하고자 할 때 하나의

      • Think-aloud 방법을 통한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추론특성 비교

        유미선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언어연령일치 아동, 생활연령일치 아동의 think-aloud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이야기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추론의 특성 및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해 사용되는 생각이나 문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기억과정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이 정상발달 아동들과 비교해서 어떤 온라인(on-line) 추론특성을 가지고 있는지와 텍스트 추론의 기억과정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만 10세에서 12세 사이(초등학교 4~6학년)의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 9명,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정상발달 아동 9명,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정상발달 아동 9명으로 총 27명을 선정하였다.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정상발달 아동의 추론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었던 4가지 이야기를 우리말로 번안한 후, 초등학교 3학년 수준에 맞게 어휘를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각 이야기는 단문으로 구성되어있고, 이야기 요소는 인과적 관계로 연결되어 있으며 인과연결망 모델을 기초로 제작되어있다. 연구절차는 이야기의 텍스트를 한 문장씩 카드에 인쇄하여 아동에게 한 장씩 보여주고 소리내어 읽게한 후, 이해하거나 생각나는 것을 언어로 표현하게 하는 think-aloud 방법을 따랐다. 아동의 구어반응은 녹음한 후 전사하고 분석했으며, 분석방법은 Trabasso & Magliano(1996)의 구어 프로토콜 분석 방법을 Schmitter-Edgecombe & Bales(2005)의 연구에서 일부 수정하여 사용한 것을 기초로 하였다. 우선 아동의 구어를 절(clause) 단위로 나누고, 추론적(설명적, 예측적, 연상적 추론) 진술과 비추론적(바꾸어말하기, 반복, 상위논평) 진술을 구별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이야기 이해가 텍스트 기반 추론인지 지식 기반 추론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추론의 기억(memory operation)을 활성화(activation), 유지(maintenance), 인출(retrieval)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 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차이가 나는 결과는 Turkey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순언어장애 집단은 이야기를 읽으면서 발생되는 추론(설명적, 예측적, 연상적 추론)의 평균 빈도가 생활연령일치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낮았고, 언어연령일치 집단과는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비추론(반복, 바꾸어말하기, 상위논평)의 평균 빈도는 생활연령일치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고, 언어연령일치 집단과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단순언어장애 집단은 세 가지 추론유형(설명적, 예측적, 연상적 추론) 중에서 설명적 추론의 발생빈도가 가장 높았고 정상발달아동과 같은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단순언어장애 집단은 생활연령일치 집단에 비해 설명적 추론의 평균 빈도가 유의미하게 낮았다. 또한 단순언어장애 집단과 언어연령일치 집단은 예측적 추론에 비해 설명적, 연상적 추론의 빈도가 높았던 반면, 생활연령일치 집단은 연상적 추론에 비해 설명적, 예측적 추론의 빈도가 높았다. 즉, 단순언어장애 집단과 언어연령일치 집단이 생활연령일치 집단에 비해 연상적 추론을 더 많이 생성함으로써 초점문장과 관련된 배경지식을 활성화하여 이야기를 이해하는 과정이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단순언어장애 집단은 생활연령일치 집단에 비해 세 가지 비추론(반복, 바꾸어말하기, 상위논평)의 산출빈도가 높았고, 특히 초점문장을 그대로 다시 말하는 ‘반복’이 언어연령일치 집단과 생활연령일치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의미가 유지된 초점 문장을 변형시켜 표현하는 ‘바꾸어말하기’를 가장 많이 사용한 언어연령일치 집단과는 달랐으며, 생활연령일치 집단은 두 집단에 비해 비추론을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넷째, 단순언어장애 집단과 언어연령일치 집단은 추론의 세 가지 기억(활성화, 유지, 인출) 과정 중에서 ‘활성화’가 가장 높았고 ‘유지’, ‘인출’의 순서로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생활연령일치 집단은 ‘유지’, ‘인출’, ‘활성화’의 순서로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단순언어장애 집단과 언어연령일치 집단에 비해 ‘유지’와 ‘인출’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수행을 보였다. 단순언어장애 집단은 ‘인출’의 빈도가 언어연령일치 집단과 생활연령일치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았다.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단순언어장애 집단과 언어연령일치 집단은 이야기를 읽으면서 설명적, 연상적, 예측적 추론의 순서로 높은 빈도를 보였고, 생활연령일치 집단은 설명적, 예측적, 연상적 추론의 순서로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즉, 단순언어장애 집단은 언어연령일치 집단의 추론특성과 비슷하나 설명적 추론의 빈도가 생활연령일치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았다. 또한 텍스트를 이해하는 동안 발생하는 기억 과정에서 연상적 추론과 관련 있는 활성화를 가장 많이 사용했고, 유지와 인출은 생활연령일치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언어연령일치 집단과는 인출에서만 차이를 보임으로써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정보처리 전략과 저장용량의 한계 및 덜 효율적인 작업기억능력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설명적 추론을 적게 생성하는 것은 텍스트의 응집성 있는 정신표상에 어려움을 보일 것으로 추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n-line inferencing abilities in school-ag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and to investigate the memory operations in use of think-aloud metho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consisted of 3 groups. 9 children with SLI aged 10~12 in the fourth to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9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matched to language age(LA), and 9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matched to chronological age(CA). Four stories of this study were adopted from preceding studies and modified for the children in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ories consisted of a simple sentences, and identified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story elements. The children's responds were analysis to examine inferential(explanatory inference, predictive inference, associative inference) and non-inferential(repetition, paraphrase, metacomment) clauses and memory operations(activation, maintenance, retrieval).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inferential clauses, SLI group showed significantly fewer production to the CA control group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LA control group. But in non-inferential clauses, SLI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oduction to the CA control group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LA control group. Second, all three groups produced more explanatory inferences in the inferential clauses. But SLI group showed significantly fewer production to the CA control group. And SLI group, LA control group produced more explanatory, associative inference than predictive inference. The other side, CA group produced more explanatory, predictive inference than associative inference. Third, SLI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oduction to the CA control group in the non-inferential clauses and produced significantly more repetition than the control groups. Fourth, SLI group, LA control group produced a statistically greater proportion of activation than maintenance and retrieval. SLI group produced significantly fewer proportion of retrieval to the CA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LI group shows same patterns inferencing abilities to the LA control group. But SLI group produced significantly fewer proportion of explanatory inference to the CA group. This result proves that SLI group have difficulty in constructing coherent mental representation of the text and is interpreted as the limited capacity and inefficiency of working memory.

      • 초등학교 6학년 영어 교과서 보조 게임집 개발

        유미선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 foundation of the development of supplementary game book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of six grade. First of all, sixth grade students’ cognitive, affective and linguistic states were check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7th curriculum of Korea. The concept of game which was used in this study was defined on the basis of the idea of game in the 7th curriculum and general idea of game. Four materials related to this study were chosen and were classified by seven categories: the purpose of a game,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on, the organization of the game, the participants of the game, the reaction of the game, the victory of the game and the linguistic skills of the game. These categories were made by the multi-dimension characteristic of a game. Result of the studies so far indicates that games, which are not appealing to the students, are caused by students’ lack of interest or by the lower level of games than students’ actual level. Students need a game that is interesting as well as challenging. Another issue is the lack of authenticity and the insufficient explanation of games. The developed material in this study tried to overcome these weaknesses and focus on the advantages for both students and teachers. First, in this new material, the competitive characteristics of games was suggested which triggers students to interact with other classmates and keeps their active involvement throughout the class. Second, the material supplied sufficient explanation of each games and offered “Classroom English” which will be used by teachers. Third, developed material enables students to experience four language skills-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in an unit by offering speaking and listening-related games for the first and second class, reading game for the third and writing game for the fourth. The material consists of sixteen units and each unit is finished after four classes. Each class has one game. In total, the material will have 64 games, and sixteen games of four units were presented as a sample.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영어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을 게임을 통해 가 르칠 수 있는 교과서 보조 게임 자료집 개발을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7차 교육과정의 특징을 살펴보고, 교수 대상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언어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또한 게임의 일반적인 의미와 초등학교 6 학년 영어 교과서에 사용된 게임의 의미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할 게 임의 의미를 규정하였다. 개발하고자 하는 교재와 관련 있는 4가지 교재를 선정하여 각 교재에 나 타난 게임을 7가지 항목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게임의 다 측면적인 특징을 고려한 분석 기준으로 첫째, 게임의 목적, 둘째, 게임의 동력, 셋째, 게 임의 조직, 넷째, 게임의 참가자, 다섯째, 게임의 반응, 여섯째, 게임의 승부, 일곱째, 언어 기능에 따라 게임을 분류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학습자의 흥 미를 끌지 못하는 게임과 학습자의 수준보다 낮은 수준의 게임들이 문제점으 로 지적되었으며 게임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고 게임 내용에 실제성 (authenticity)이 부족하다는 것도 개선해야 할 점으로 지적되었다. 이와 같은 점을 보완하여 본 연구의 개발 교재는 다음과 같은 점에 중점 을 두었다. 첫째, 학습자의 흥미를 고려하여 경쟁심을 요구하는 게임을 많이 편성하였다. 둘째, 교사가 교재를 활용하기 편리하도록 게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교실영어를 제시하였다. 셋째, 언어의 4 기능을 고르게 발달시킬 수 있도록 언어의 4기능, 즉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와 관련된 게임을 한 단원에서 모두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개발 교재의 전 단원은 교과서 내 용을 준하여 16 단원으로 구성하였고 각 단원은 4차시로 이루어지며, 각 차 시별로 학습 목표와 관련된 게임을 하나씩 제시하였다. 전체 64개의 게임으 로 구성되며 본 연구에서는 4단원 16개의 게임을 견본으로 제시하였다.

      • 정보화교육을 위한 이 러닝의 질적 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

        유미선 수원대학교 공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ur rapid changing worlds, organizations are confronted with many organizational, learning challenges, as for example : ∙ Knowledge and training become obsolete very rapidly. ∙ Training budgets are often not controllable. ∙ Training is often necessary here and now(not next week, miles away from the work place). ∙ In the globalising market economy, the most cost-effective way is sought to meet the global learning models. ∙ The number of training providers is increasing. In the future, organizations need to ensure that they recruit and keep the talented employees. By fulfilling learning needs, they ideally want to create additional returns and profitability. By offering new learning mechanisms, they want to create strong partnerships with their customers and suppliers. e-Learning has been mushrooming with wide range of learning groups from pedagogy to andragogy. As e-Learning opportunities increase, many people raise question about whether e-Learning show positive learning effects. The related research emphasized that e-Learning would be a failure in terms of understanding of e-Learners and activating intuitive learning activities from learner's long-term memory span. The e-Learning strategies based on the traditional classroom and resulted boring and ineffective learning outcomes, should be changed to provide authentic and effective learning results. This paper analyzed that how learners have received e-Learning for the last few years from the research and explained what could be the failing aspects in e-Learning. To be successful, e-Learning should consider the e-Learner's individualized learning style and thinking patterns. When considering of various e-Learning components, th quality of e-Learning should not be focused on any specific single factor, but develop every individual factor to be integrated into high level of quality.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 that it is needed new understandings of e-Learning and e-Learner. Also the e-Learning strategies should be examined throughly whether they are on the side of learners and realized how they learn from e-Learning. Finally, we should add enormous imagination into e-Learning for next generation because new generation's learning patterns significantly differ from their parent's generation.

      • R.Schumann의 Faschingsschwank aus Wien, Op.26에 관한 연구

        유미선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Classical period, large-scaled works in sonata form were preferred by composers. In the Romantic period, however, composers preferred character pieces in which many short pieces were tied to the related big title and each short piece had its own title. Robert Alexander Schumann(1810-1856) was a representative composer of the Romantic period and he had written many character pieces for piano solo. In this thesis, musical feature of Romanticism, Schumanns life, and his piano works are examined according to the sequence of opus numbers. Also his characteristic compositional features in his piano works are identified. His compositional activity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early, middle, and late. In the early period, Schumann composed most of his representative solo piano works. And the early period can be subdivided into the first, the second, and the third period. Most of Schumanns character pieces were witten in the third period, thus <Faschingsschwank aus Wien, Op.26> which was composed in the third period is analyzed and researched. 낭만주의시대 음악의 특징으로 작곡가들은 곡을 형식에 맞추어 쓰기 보다 작곡가 자신의 감정과 주관적인 내면을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작곡을 위한 소재는 문학과 시에서 많은 영감을 얻었다. 고전시대에 주로 작곡 되었던 대규모의 소나타 형식과는 대조적으로 낭만시대에 와서는 짧은소품 여러 개를 각 곡의 성격에 따라 제목을 붙히며 연관성 있는 큰 제목으로 묶는 형태의 성격 소품(Character Piece)이 작곡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낭만주의 대표적 작곡가이며 많은 피아노 곡을 성격 소품 형식으로 작곡한 슈만(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의 피아노 곡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슈만이 작곡활동 하던 낭만주의 시대적 배경과 음악의 특징을 살펴보고 슈만의 생애를 통해 작품활동 시기를 크게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었다. 초기, 중기, 후기중 대부분 피아노 곡이 초기에 작곡된 곡이므로 초기를 1기, 2기, 3기로 세분화 하여 작품번호 순으로 작곡 배경과 특징을 알아보았다. 그 중 3기가 성격 소품을 많이 작곡하던 시기이므로 슈만의 성격 소품이 갖는 특징과 3기에 작곡된 <Faschingsschwank aus Wien, Op.26(비인 사육제의 어릿광대)>곡을 통하여 슈만의 피아노 음악이 갖는 특징을 연구하였다

      • 유방암 환자에서 수술후 보조적 항암치료가 심혈관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

        유미선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to investigate its risk level in 432 breast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anticancer chemotherapy, radiotherapy and endocrine therapy after operation at the breast cancer center in an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3 to December, 2006. For data collection,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individually under the permission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the hospital.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s, as an indicator of the effect on heart failure due to chemotherapy were 65.7% and 61.9% before and after treatment, respectively, showing a decrease of mean 3.8%p. This decreas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us did not affect heart function. The range of decrease was narrower in the patients treated with dexrazoxane, anthracyclin drug family which were known to prevent cardiac toxicity than in patients not treated with dexrazoxane. Therefore it was proved that dexrazoxane has protective effect on heart. 2. Significant increase in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as an indicator of the effect on ischemic heart disease, was observed in the patients treated with endocrine therapy at 2 and 5 years after treatment compared to those of a baseline. Age and menopause were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of total cholesterol and the related factors for the increase of triglyceride were age, body mass index, disease stage and chemotherapy. And significant increase in total cholesterol was also observed in the patients without endocrine therapy at 2 and 5 years after treatment compared to a baseline and but the width of this increase was broader in the patients with endocrine therapy. Triglyceride level in the patients without endocrine therapy decreased at 2 years, but increased at 5 years after treatment compared to that of the patients with endocrine therapy. The associated factors for the increase of triglyceride were age, menopause, body mass index, disease history and blood pressure levels. 3.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measured to reveal the effect on ischemic heart disease depending on anticancer therapy methods. Total cholesterol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atients with chemotherapy, radiotherapy and endocrine therapy at 2 and 5 years after treatment compared to that of a baseline. However, triglyceride also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atients only with chemotherap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hanges on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chemotherapy, radiotherapy and endocrine therapy. 4. The risk of occurrence of ischemic heart disease calculated as 10 year-risk score, as an indicator of the effect on ischemic heart disease increased by 0.44%p in the final observation compared to that of a baseline. Influential factors for this increase were age, menopause, educational level, body mass index, disease history, blood pressure level,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and endocrine therapy drugs. From the results above, chemotherapy, radiotherapy and endocrine therapy in breast cancer patients did not show significant adverse effects on cardiovascular system. However, additional follow-up studies on the increase of older breast cancer patients, short-term adverse effects on cardiovascular system due to chemotherapy, long-term changes in serum lipid and thromboembolic effects by endocrine therapy and increased risks of cardiovascular disease by radiation therapy are needed. Also, cancer recurrence in short term and healthy status monitoring of cardiovascular system in the long run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during the treatment for breast cancer. And versatile considerations such as regular follow-up, exercise and nutrition supply during the treatment for breast cancer patient need to be allowed.

      • 웹을 기반으로 한 동적 평가방법과 학습평가 저작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유미선 숙명여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Before emerging World Wide Web(WWW), the systems for education have been designed and developed by using texts and the simple graphs. Besides the existing systems only gave the one-way learning and evaluation. In Other words it didnt gave the interactive environments bi-directly between the learners and the systems. The Courseware based on the WWW can give the educational background in real-time education and evaluation by interacting bi-directly. In my thesis we proposed the educational system that gives the real-time education and evaluation by using the WWW. Therefore learners can directly access a web server without installing the separate programs. The users of the system are instructors and learners. By the using web browser, the instructor can make the problem bank and the learner can solve the problem and be evalua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transcend the limit of time and space in education. Our system is characterized by problem bank, level of difficulty, multimedia problems and evaluation information. The instructor can manage the problems of a subject by using problem bank. And he can set various problem types by using the multimedia problems. According to level of difficulty, the learner can select the problems from problem bank using searching function and he can be showed the evaluation information of a test. In addition to solving the problem, our system focuses on showing the guides of next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sult of evaluation and understanding the level of difficulty. It makes the learners can be reached to goal of education as assistant role. It serves as not only communication media and but also intelligent recommend and suggestion on the education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do individual learning. WWW이 나오기 이전의 교육용 시스템들은 대부분 텍스트나 간 단한 그래픽 기반으로 설계 개발되어 왔다. 이 시스템들은 단방향 의 학습과 평가가 가능했을 뿐 양방향의 상호작용적 학습이 이루 어지지 못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개발되어온 CAI 코스웨어가 단방향의 학습만 이 가능했었다면, WWW기반의 코스웨어는 양방향의 상호작용적 학습이 가능해졌을 뿐만 아니라, 실시간 학습과 평가를 가능하게 해주었다. 기존의 WWW 상에서의 원격 CAI 시스템은 단순히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만을 제공하는 수동적인 프로토콜로 인해 사용자를 모 델링하고, 각 개인에게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는 개별화를 위한 능 력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시스템의 대부분이 학습내용교육에 치중하고 있고, 평가교육에서는 이미 만들어진 문제의 문항들을 한번 확인하는 형태에 그치고 있어 진정한 원격교육시스템으로서 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WWW상에서 문제를 통한 실시간 학습과 평가가 가능하게 하여 학생들이 직접 서버에 접근해 학습할 수 있도록 하 였다. 또한 기존에 나와있는 학습 시스템들은 그것을 사용하기 위 해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지만, 본 시스템은 인터넷 에 연결할 수 있는 환경만 갖추어지면, 웹 브라우저를 통해 문제 은행을 제작할 수 있고, 평가를 받을 수 있어 시간과 공간의 한계 를 벗어날 수 있다. 특정과목에 대한 문제들을 문제은행방식으로 교사가 관리하도록 하였고, 학생들의 평가에서는 문제 추출 시에 검색기능을 활용하 여 학생의 수준에 적합한 문제들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한 기존의 텍스트문자 위주의 문제방식을 보완하여 멀티미디어 문 제를 출제할 수 있게 하였고, 문제 유형도 다양화하였으며, 학생들 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한 수준별 개별 화 수업을 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평가 시스템 을 구현하였다. 학습내용을 학습한 이후에 문제를 풀어보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평가에 의해 학생의 학습 수준을 파악하여 다음 학습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학생 스스로 목표수준 에 도달하도록 보조역할을 하면서도, 단순 전달매체로서의 기능뿐 만이 아니라 지능적으로 교육학습 방향을 추천하고 조언해줄 수 있도록 하여 인터넷 학습의 핵심인 개별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 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