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송과체부 종양에서 시험적 방사선치료의 역할

        김연실(Yeon Shil Kim),유미령(Mi Ryung Ryu),정수미(Su Mi Chung),김문찬(Moon Chan Kim),윤세철(Sei Chul Yoo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2

        목 적 : 뇌중심부에 위치한 종양의 치료에 수술적 절제는 높은 치사율과 합병증을 동반한다. 조직학적 진단을 얻지 못한 뇌중심부 종양의 치료로 20∼30 Gy의 시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할 수 있으며 방사선에 대한 반응 정도로 조직학적 유형을 예상하여 적절한 치료 방침을 정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조직학적 진단 없이 영상적 진단 하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송과체부 종양환자 30명의 치료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방사선치료의 유용성 및 방사선치료로 치유 가능한 종양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3년 3월부터 1995년 8월까지 강남성모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송과체부 종양으로 조직학적 진단을 얻지 못하고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연령범위는 7∼69세(중앙값 16세)였으며 종양의 위치는 송과선(pineal gland) 18명(60%), 뇌하수체상부(suprasellar) 4명(13.3%), 송과선과 뇌하수체상부(pineal gland & suprasella) 2명(6.7%), 송과선와 주변 뇌실(pineal gland and paraventricle) 6명(20%)이었다. 20∼30 Gy/ 2∼3주의 시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후 CT 혹은 MRI를 추적 검사하여 방사선 반응성에 따라 최종 치료방침 및 방사선조사범위를 다시 결정하였다. 총방사선치료선량 범위는 40.8∼59.4 Gy였으며(중앙값 : 50.4 Gy) 환자들의 중앙추적 기간은 36.5개월이었다(4∼172개월). 결 과 : 시험적 방사선치료 후 28명(93.3%)의 환자에서 임상증상이 호전 혹은 안정되었고 영상학적 검사상 19명(63.3%)에서 부분관해이상의 반응을 보였다. 전체환자의 2년 생존률과 5년 생존률은 각각 66.7%, 55.1%였다. 시험적 방사선치료 후 임상 증상, 방사선 영상학적 반응정도에 따른 생존률의 차이는 없었다. 연령, 원발종양의 위치, 활동수행정도(KPS≥70), 방사선치료 종료 후 최종 반응정도, 방사선조사야가 단변량분석에서 생존률과 무병생존률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였다(p<0.05). 결 론 : 시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63.3%의 환자에서 영상학적으로 종양의 반응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뇌중심부 종양의 임상적 조직학적 양상은 매우 복잡 다양하여 초기 방사선 반응성만으로 조직학적 진단의 유추 및 완치여부를 예측하기는 어렵다. 향후에는 이와 같은 종양에서 1차적 시험적 방사선치료의 적용보다는 좀더 정확하고 비침습적인 조직학적 진단방법의 개발과 이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urpose :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assess the treatment results of 30 patients with pineal region tumors who were underwent radiation therapy under the diagnosis by either CT or MRI. There was no histological verification. We analyzed the prognostic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verall survival (OS) and disease free survival (DFS) rates. Materials and Methods : A total 30 patients with pineal region tumors were treated between March 1983 and August 1995. After a trial radiation therapy of 20∼30 Gy/2∼3 weeks, the patients were evaluated for their clinical response and radiological response by either CT or MRI and the final treatment direction was then decided. According to their response to the trial radiation therapy and the involved site, radiation treatment was given in various fields i.e., local, ventricle, whole brain and craniospinal field. The radiation dose ranged from 40.8 to 59.4 Gy (Median 50.4 Gy). The median follow up was 36.5 months (4∼172 months). Results : An improvement or stability in the clinical symptoms was observed in 28 patients (93.3%) after the trial RT. Nineteen patients (63.3%) showed a partial or complete response by CT or MRI. The two-year and five-year survival rates of the patients were 66.7% and 55.1%,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rvival rat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radiological response was abserved after the trial RT. The results of un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age, the primary site, the performance status (KPS≥70), the degree of response after completing RT and the RT field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 and disease free survival rates (p<0.05). Conclusion : The clinical and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pineal region tumors are quite complex and divers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histological diagnosis and the possibility of radiocurability only with the initial response to RT. We think that the development of less invasive histological diagnostic techniques and tailored treatment to the histological type of each tumor are needed.

      • KCI등재후보

        The Efficiency of Radiation Therapy in the Treatment of Intracranial Oligodendrogliomas : Factors Influencing the Prognosis

        윤세철(Sei Chul Yoon),계철승(Chul Seung Kay),정수미(Su Mi Chung),유미령(Mi Ryung Ryu),김연실(Yeon Shil Kim),홍용길(Yong Kil Hong),김문찬(Moon Chan Kim),강준기(Joon Ki Ka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3

        목적 : 희돌기교종은 천천히 자라는 낮은 빈도의 뇌 종양으로서 수술로 치유되지만 완전절제가 어려워 수술후 방사선치료가 추천되고 있다. 희돌기교종 환자의 방사선치료후 생존율과 이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들을 알아보기 위해 이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3년 3월 부터 1997년 12월 까지 177개월 동안에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는 조직학적 진단이 확진된 총 42예(남:여 = 25:17)의 희돌기교종 환자에 대한 방사선치료를 실시하였다. 방사선치료는 6 MV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180 cGy/일, 주 5회 씩, 총 조사선량 39.6~75.6 Gy (중앙값 54 Gy)를 실시하였다. 환자의 나이는 5~62세(중앙값 39세)에 분포하였으며 추적조사 기간은 8~152개월(평균 63.4개월)이었다. 방사선치료 종료일을 기준으로 생존율(Kaplan-Meier법)과 이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방사선치료후 5년 생존율(5YSR)은 65.3% 이었다(중앙값 90개월). 종양의 수술적 제거를 실시한 경우가 조직 생검 만을 한 경우 보다 생존율이 좋았으며(5YSR; 69.9% vs 26.7% p0.05). 결론 : 희돌기교종 환자의 방사선치료는 국소적으로 병소부위에 수술후 4주 이내에 실시하여 생존율 증가를 관찰 할 수 있었다. 또한 전통적인 분할 방사선치료 시 총 방사선조사선량이 60 Gy 이상은 생존율을 증가시키지 못하였다. urpose : Oligodendrogliomas (ODG) are a rare, slow growing, tumor in the brain, which can be cured by complete surgical resection, but as yet it is not known if postoperative adjuvant radiation therapy (RT) is essential, We analyzed the treatment results of patients with irradiated ODG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RT in terms of survival rates and other influencing prognostic factors. Methods and Materials : Between March 1983 and December 1997, 42 patients with ODG were treated with RT at our hospital. The RT was peformed dally at a dose of 1.8~2.0 Gy, at 5 fractions per week, to a total dose of between 39.6 Gy and 64.8 Gy (mean 53.3 Gy). The ages of the patients ranged between 5 and 62 years, with a median age of 39 year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63.4 months (8-152 months). The Kaplan-Meier method was used to assess the survival, and 5 year survival rates (5-YSR). Log rank tests and Cox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define the significance of prognostic factors. Results : The majority of ODG in this study were located in the cerebral hemisphere (83.3%). ODG are slightly more common in men than women, and commonly occurs in middle age, between the 3rd and 4th decades. It has been recommended that RT is commenced within 4 weeks following surgery (5-YSR; 86% vs. 49%; p0.05). Conclusion : A local involved field irradiation with conventional fractionation, commencing within 4 weeks following surgical excision of the tumor, was beneficial for the 5-YSR, but a total radiation dose exceeding 60 Gy did not improve the 5-YSR.

      • 뇌수막종에서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방사선수술 효과

        계철승(Chul Seung Kay),윤세철(Sei Chul Yoon),정수미(Su Mi Chung),유미령(Mi Ryung Ryu),김연실(Yeon Sil Kim),서태석(Tae Suk Suh),최규호(Kyuho Choi),손병철(Byung Chul Son),김문찬(Moon Cha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2

        목 적 :뇌수막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방사선수술을 시행한 결과에 대하여 환자의 임상적 증상과 방사선학적 추적검사를 통해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8년 7월부터 1998년 8월까지 20명의 뇌수막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6 MV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방사선수술을 시행하였다. 20명의 환자들 중 4명(20%)은 남성, 16명(80%)은 여성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1세(22∼78세)였다. 종양의 뇌내 위치는 측시상동 부위(parasagittal area)와 접형골 부위(sphenoid wing)가 8례(40%)로 가장 많았다. 방사선 수술 전에 시행한 신경외과적 수술의 횟수를 보면 1회 시행한 경우가 11례, 2회가 2례, 3회 시행한 경우가 1례였으며, 수술을 시행하지 않고 방사선수술만을 시행한 경우는 6례였다. 종양의 평균 부피는 5.72 cm3 (0.78∼15.1 cm3)였으며, 2차 시준기(secondary collimator)의 지름의 중간 값은 2 cm (1∼3 cm)이었다. 종양변연부의 평균조사량은 19.6 Gy (9∼30 Gy)였다. 추적관찰기간은 2.5∼109개월로 중앙값은 53개월이었다. 결 과 :방사선학적 검사와 신경학적 검사상 모두 반응률은 95%였다. 방사선추적검사상 종양의 부피가 줄어든 경우는 5례(25%), 종양의 부피에 변화가 없는 경우는 14례(70%), 그리고 종양의 부피가 증가된 경우가 1례(5%)였다. 종양의 부피가 증가된 1례를 제외한 19명의 환자중, 4명의 환자에서 추적 영상 검사상 중심부괴사의 소견이 보였다. 임상적 증상의 호전여부에 따른 신경학적인 검사상 증상의 호전이 있었던 경우는 9명(45%), 증상의 변화가 없었던 경우는 10명(50%)였다. 증상이 악화되었던 1명(5%)의 환자는 수술을 시행하여, 방사선 괴사의 소견을 보였다. 결 론 :뇌수막종 환자들에서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방사선수술은 부작용 없이 시행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evaluate the role of linac based radiosurgery (RS) in the treatment of meningioma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results of clinical and follow up CT/MRI studies . Methods and Materials : From the 1988 July to 1998 April, twenty patients of meningioma had been treated with 6 MV linear accelerator based radiosurgery. Of the 20 patients , four (20%) were ma le and 16 (80%) were female. Mean age was 51 years old (22∼78 years old). Majority of intracranial location of tumor for RS were parasagittal and sphenoid wing a rea. RS was done for primary treatment in 6 (30%), postoperative res idual les ions in 11 (55%) a nd regrowth after surgery in 3 (15%). Mean tumor volume was 5.72 cm3 (0.78∼15.1 cm3) and secondary collimator s ize was 2.04 cm (1∼3 cm). The periphery of tumor margin was prescribed with the mean dose of 19.6 Gy (9∼30 Gy) which was 40∼90% of the tumor center dose. The follow up duration ranged from 2.5 to 109 months (median 53 months). Annual CT/MRI scan was checked. Results : By the follow up imaging studies , the tumor volume was reduced in 5 cases (25%), arrested growth in 14 cases (70%), and increased s ize in 1 case (15%). Among these respons ive and stable 19 patients by imaging studies , there showed loss of contrast enhancement after CT/MRI in four patients . In clinical response, nine (45%) patients were cons idered improved condition, 10 (50%) patients were stable and one (5%) was worsened to be operated. This partly resulted in necros is after surgery. Conclusion : The overall control rate of meningiomas with linac based RS was 95% by both imaging follow- up and clinical evaluation. With this results , linac based RS is cons idered safe a nd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meningio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