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양성평등에 관한 인식 비교- 5 6학년을 중심으로 -

        유문숙 한국모자보건학회 2006 한국모자보건학회지 Vol.10 No.1

        Objectives: Today, there are no differences in opportunities between genders to enter the school, but unequal education is still happening because of paternalism. Moreover, teachers are not prepared enough to teacher gender equality to their students. This study is to assess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teachers regarding gender equality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their perception of gender equality. Methods: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is based on the Korean Gender Equalitarianism Scale for adult and adolescents published by the Korean Women Development Institute and was used to assess the perception of gender equality. The subjects were 594 students enrolled in 5th and 6th grades and 110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Korea.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r. 1 to May 30, 2004. Results: Teachers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in the section of school life than students. However, students had lower scores in home and social life. The female stud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male ones and students who learned sexual education from father higher scores than those who didn'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level of studying by male and female students about sex education. Teachers' gender equality perception would affect on student's gender equality perception, so they must be educated well before they teach to their students as well as their parents. 및 결론본 연구는 초등학생과 담임교사의 양성평등 인식정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로써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5·6학년생 594명과 담임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4년 3월 1일부터 5월 30일까지이었으며, 교사는 한국형 남녀평등의식검사도구를, 학생은 청소년용 한국형남녀평등의식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WIN (11.0)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로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대상자 중 초등학생의 일반적 특성은 5학년이 49.2%, 6학년이 50.8%이었으며 남학생이 55.2%, 여학생이 44.8%이었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학력은 고졸 이하가 각각 많았으며, 어머니로부터 성교육을 받은 경험은 23.9%, 아버지로부터의 성교육 경험은 6.6%에 불과하였다. 또한 대상자 중 월경을 경험한 여학생이 18.7%, 몽정을 경험한 남학생이 5.5%로 여학생의 생리적 변화가 더 많이 나타났다. 초등교사의 경우 남교사가 17.3%, 여교사가 82.7%이었으며 연령은 35세 이상이 51.8%, 교직경력은 10년 이상이 54.5%, 학력정도는 학사가 78.2%, 종교가 있는 경우가 65.5%이었다.초등학생과 교사의 양성평등 인식도를 전체적으로 비교하였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영역별로 보았을 때, 학교생활 영역에 있어서 초등학생의 인식정도가 교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가정생활 영역과 사회생활 영역에서는 교사의 평균평점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생 중 여학생의 양성평등 인식이 남학생보다 높으며, 아버지로부터 성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교육생활 영역에서의 양성평등 인식이 높았고, 어머니로부터 성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직업영역과 사회영역에서 그 점수가 낮았으며, 몽정경험이 있는 남학생이 가정영역과 직업영역에서 각각 양성평등 인식이 낮은 것으로 규명되었다. 교사의 경우, 종교가 없는 경우가 있는 경우보다 양성평등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초등학생과 교사간의 양성평등 인식이 성장발달정도와 환경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이며, 초등학생의 경우 교육적 환경에 의해 양성평등 인식이 달라질 수 있고, 부모의 성교육 역시 양성평등 인식에 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성별에 따라 양성평등 인식정도가 다르며, 특히 남학생에게 있어 몽정이라는 신체적 변화는 양성평등 인식을 낮출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으므로 남학생의 양성평등 교육은 특히 이 시기를 유의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교사측면에서도 교육영역에서 보인 낮은 양성평등 인식은 앞으로 교사들에게 보다 많은 교육과 훈련이 제고되어야 하는 상황으로 이러한 여러 결과는 양성평등 인식확립에 있어 교육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하겠다.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을 제언하고자 한다. 1) 초등학교 양성평등 교육에 있어 남·여학생을 구분하여 각각의 수준에 적합한 교육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남학생에게는 몽정이전 시기에 보다 집중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2) 부모의 성교육과 자녀들의 양성평등 인식정도는 관련이 있으므로 교육기관에서는 학생들의 양성평등교육과 함께 부모의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3) 초등교사에게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양성평등 교육을 제공하고 이를 강화하여, 성별 차이가 없는 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자 ...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의 관계

        유문숙,김용순,황명숙,안정아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의료커뮤니케이션 Vol.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elf-esteem,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roblem-solving capacity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ll of 601 nursing students from 8 universities in South Korea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between November and December of 2011. The self-esteem,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roblem-solving capacity were measured by using the Korean versions of the Self-Esteem Scale,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and the Problem-Solving Inventory,respectively.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M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SPSS 19 softwar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ean scores of the self-esteem,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roblem-solving capacity were 28.91 (ranging 10 to 40), 56.81 (ranging 15 to 75), and 95.01 (ranging 32 to 192), respective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f-esteem,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roblem-solving capacity, according to the nursing school years, grade point average, and satisfaction of their chosen major. Further,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for problem-solving capacity with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Conclusions: Nursing students in this study had moderate degree of self-esteem,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roblem-solving capacity. Also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is important to promoting problem-solving capacity in nursing students. In addition, the faculty of nursing needs to develop effective and specialized programs to improve those capacities for nursing studen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비디오활용 사례기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의사결정능력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유문숙,박진희,이시라 한국간호과학회 2010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0 No.6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ase-base learning (CBL) using video on clinical decision-making and learning motivation. Method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etween June 2009 and April 2010 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The study population was 44 third year nursing students who enrolled in a college of nursing, A University in Korea. The nursing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e CBL and the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was the CBL with three cases using video. The controls attended a traditional live lecture on the same topics. With questionnaires objective clinical decision-making, subjective clinical decision-making, and learning motivation were measured before the intervention, and 10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linical decision-making and learning motivation. The post-test scores of clinical decision-making in the CBL group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Learning motivation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B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BL using video is effective in enhancing clinical decision-making and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by encourag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creating more interest and curiosity in learning.

      • KCI등재후보

        요양병원 노인환자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

        유문숙,서은지,황명숙,Yoo, Moon Sook,Seo, Eun Ji,Hwang, Myoung Sook 한국가정간호학회 2013 가정간호학회지 Vol.20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among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59 patients from 2 long-term care hospitals in Kyungk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2 to February 5, 2013, by conducting a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dministered by researchers. Results: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education level and marriage.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and economic status.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gnitive function, which in contras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mong our subjects, those older than 80 years showed low cognitive function and those with low educational attainment showed high scores of depression. Conclusion: We conclude that, elderly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who have low educational attainment should be carefully monitored, especially by nurses, for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addition, nurses should have constant communication with their patients. Moreover, long-term care hospitals should apply early detection of and a management system for cognitive impairment and depression among their patients.

      • KCI우수등재

        신입간호사의 근무기간에 따른 이직의도차이의 영향요인

        유문숙,정망래,김경자,이영진 간호행정학회 2019 간호행정학회지 Vol.25 No.5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differences in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work period for new nurses and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differences in turnover intention. Methods: A longitudinal survey design was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regarding CC (Clinical competence), MNC (Missed Nursing Care), WE (Work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was administered twice (at 2 months and 5 months of employment) to 98 new nurses working at a tertiary hospital. Results: The regression model with each of the differences for MNC, WE, and subjective satisfaction with department against differences of turnover int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11.98, p<.001). This model explained 26% of differences in turnover intention (Adj R2=.26). Especially, differences in WE (β=-.43, p<.001), and differences in MNC (β=.18 p=.044) were identified as factors influencing differences in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 The turnover intention of new nurses decreased between the first 2 months and 5 months and this difference was influenced by WE and MN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oci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such as effective adaptation programs with sufficient periods of time for newly graduated nurse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입간호사의 근무기간에 따른 이직의도 차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종단적 조사연구로 상급종합병원 1곳에 근무하는 신입간호사 9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임상수행능력, 간호업무누락정도, 직무열의 및 이직의도 수준을 2회(2개월, 5개월)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회귀분석 결과, 2개월과 5개월 시점의 신입간호사 이직의도 차이에 대하여 현 부서 만족도, 간호업무누락의 시점별 차이, 직무열의의 시점별 차이를 투입한 모형의 설명력은 약 26%로 나타났다(F=11.98, p<.001). 특히 각 시점별 신입간호사의 이직의도 차이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진 것은 직무열의의 차이(β=-.43, p<.001), 간호업무누락의 차이(β=.18 p=.044)로 나타났다. 결론: 신입간호사의 입사 후 2개월 및 5개월 시점에서 이직의도의 차이는 직무열의 및 간호업무누락의 차이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신입간호사에게 충분한 기간을 두고 효과적인 적응프로그램과 같은 사회적, 제도적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유문숙,손연정,김용순 한국모자보건학회 2007 한국모자보건학회지 Vol.11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Methods: The instruments in this study were Palmore's FAQ Ⅰand the 15 items scale developed by Won. The subjects were 658 students enrolled in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Korea.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ug. 25th to Sep 11th, 2006.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Win 11.0 program. Results: The level of knowledge toward the elderly was relatively low. The level of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showed relatively high. Also,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ccording to sex and co-living status with the elderly.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familiarity and friendly contact with elderly, knowledge of aging and sex significantly predicted th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and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to increase the knowledge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본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3개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658명으로 자료수집기간은 2006년 8월 25일부터 9월 11일까지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Palmore가 개발하고 임영신(2002)이 번역한 노인에 대한 지식 측정도구와 원영희(2005)의 노인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를 연구자가 초등학생 수준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초등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 정도는 평균평점 1점 만점에 0.47±0.19점으로 약 50%의 정답률을 보였으며 노인에 대한 태도는 최대 4점 만점에 평균평점 3.31±0.46점으로 비교적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초등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에서는 노인과 친밀감이 높고, 만남이 즐겁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점수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여학생과 친(또는 외)조부모와 동거한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회귀분석한 결과, 노인과의 친밀함, 노인에 대한 지식, 노인과의 만남, 성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인은 총 변량의 24.4%를 설명하고 있었다.이상의 결과에서 초등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노인과의 친밀도가 높거나, 노인과의 만남이 즐겁다고 생각하는 학생일수록 긍정적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위해서는 어렸을 때부터 다양한 매체나 사회활동들을 통해 긍정적 노인상을 꾸준히 제시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고, 본 연구결과, 노인에 대한 지식 또한 노인에 대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변수로 나타났는데, 본 연구대상의 노인에 대한 지식점수는 비교적 부족한 상태를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 초기인 초등학교 5, 6학년 시기부터 노화과정과 노인에 대해 보다 정확하고 풍부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노인과 친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실시하여 긍정적으로 노인을 인식하도록 꾸준히 지도하는 것이 요구된다.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첫째, 초·중·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노인 관련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할 것을 제언한다.둘째, 초등학생들이 노인과 친화적인 교류를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도록 한다.셋째, 한국 실정에 맞고, 연령별 수준에 맞는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