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컨테이너터미널 작업의 인과관계를 고려한 생산성 측정모델 개발

        유동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급변하는 항만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 전 세계 컨테이너터미널은 선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던 서비스를 화주 및 운송사를 포함한 전체적인 관점에서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터미널의 관점에서는 장비별 단위생산성(예: QC당 처리능력(30 van/hr), TC당 처리능력(15 van/hr))이나 순 작업생산성 등을 중시하고 이러한 정보를 고객들에게 제공 및 홍보 할 수 있지만 선사의 관점에서는 선박당 총 작업생산성이 중요하고, 화주나 운송사의 경우에도 육상운송을 통해 컨테이너터미널로 반입된 컨테이너 또는 컨테이너터미널 장치장에 장치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육상운송으로 연계시키는데 처리되는 시간에 관한 생산성을 중시하게 되었으며, 컨테이너터미널 내에서 처리되는 컨테이너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요구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황에도 기존 컨테이너터미널은 여전히 안벽능력 또는 개별 장비 중심의 생산성을 관리하는데 주력하고 있고, 이와 관련한 기존 연구들도 각 컨테이너터미널의 장비별 생산성 비교 또는 각 부문별 생산성을 측정하는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의 추세를 고려한 전체적인 관점에서의 컨테이너터미널 생산성의 측정 및 관련 정보에 관한 대고객 서비스, 적용기술이나 장비의 유형을 고려했을 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산성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측정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 측정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의 현황을 분석하여 한계점이 무엇인지 파악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 즉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을 제안하였다.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론을 활용하여 기존 컨테이너터미널 주요 작업의 단선적이고, 정태적인 운영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순환적이고 동태적인 상황을 고려한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인과관계를 기반으로 생산성 측정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동태적 상황이 반영될 수 있도록 환경을 설정하였고 이러한 환경하에서 생산성이 측정될 수 있도록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측정해야 될 생산성 지표 제시를 위해 기존 문헌에 사용된 생산성 지표와 및 관련주체(선사, 운송사, 컨테이너터미널 등)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수행된 인터뷰를 통해 도출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기반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생산성을 분석하였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생산성 측정 모델의 활용도를 제시하기 위해 기존에 수행된 국가용역사업의 결과와 본 연구의 모델을 통해 분석된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는 이후 생산성 분석에 대한 연구의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고 현업의 의사결정자 및 관리자가 컨테이너터미널 생산성에 대해 보다 현실적인 관점에서 사전에 운영 결과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朝鮮後期 地方軍制의 變化와 下三道 兵營 運營

        유동호 충북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re-established the local military force organization to understand the multi-aspect roles of ‘byeongyeong’(military barrack)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within the comprehensive framework of local military organization and explored the organization, finance and function of ‘byeongyeong’in ‘hasamdo’(Chungcheong, Jeolla and Gyeongsang Province) military camps.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the government defense system changed from national land defense system to capital defense system. During this process, the central military organization and local military organization also changed. The key change in central military organization was the creation of ‘ogunmun’(五軍門) ; while the key changes in local military organization were the creation of ‘sogogun’(束伍軍) and enforcement of ‘yeonjangje’(營將制). The army branch and military unit of local military force became also diversified within such change. The military forces consisted of ‘gamyeong-gun’ force, ‘byeongyeong-gun’ force, ‘jinyeong-gun’ force, ‘sanseong-gun’ force and other forces. Among the forces, the ‘jinyeong-gun’ force had the biggest troop. Among the army branches, the ‘sogogun’ had the biggest weight, which was approximately 36% of total local military forces. This 36% implies that the existing understanding, which is that ‘sogogun’ was the representative army branch of local military organization force during Joseon period, is not correct. Therefore, more diversified study and wider knowledge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local military organization during late Joseon period. The main frame of local military organization during late Joseon period was ‘jinyeong’(military camp) system and the center of it was a ‘byeongyeong’. The ‘jinyeong’ system is most different from previous ‘jingwan’ system by having ‘sokeups’(belonging towns). In ‘jingwan’ system, the ‘eups’(towns) under ‘geojin’ (main camp) performed the role of independent military camps each as a ‘jejin’ branch camp; however, in ‘jinyeong’ system, a ‘jinyeong’ works as an independent military unit and other ‘eups’ did not have any military role. They just gave financial and military support to ‘jinyeong’ as ‘sokeups’. Within a ‘byeongyeong’ and ‘jinyeong, there were multiple units consisting of various army branches. Representative army branches were ‘ahbyeong’, ‘mabyeong’ and ‘pyoha-gun’. These three army branches could be actually mobilized for battle while ‘sogogun’ existed only on the military organization chart. ‘Gunbyeong’ (troop) in each ‘jinyeong’ and mountain fortress consisted of officers and common soldiers. For them, ‘gunbo’(軍保) was allocated. The ‘gunbo’ allocation principl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was 1 ‘gunbo’ for 1 foot soldier and 2 ‘gunbos’ for 1 ‘mabyeong’(mounted soldier). In reality, the principle was kept for ‘mabyeong’ but it was not kept for foot soldier. Meanwhile, there was ‘topo-gunbyeong’(law enforcement military force) in each ‘jinyeong’ of ‘hasamdo’. It means that the ‘gunbyeong’ in ‘jinyeong’ consisted of ‘sogo-gunbyeong’ with military function and ‘topo-gunbyeong’ with public order keeping function. ‘Byeongyeong’ was a commanding headquarters of each province so that soldiers can perform given duties. ‘Byeongyeongs’ in ‘hasamdo’ were installed at seacoast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to protect southwestern seacoast; however, some of them were relocat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as the importance of inland defense drew attention. There were many ‘gwanwons’(government employees) in a ‘byeongyeong’ so that soldiers can perform given duty without fail. According to the literature on legal system,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change; however, large number of government employees, who were not regulated in law books, increased or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politics, society and economy. Still, the dominating majority of ‘byeongyeong’ was ‘gunbyeong’. The ‘gunbyeong’ in ‘byeongyeong’ directly belonged to ‘byeongsa’, ‘wuhu’(虞侯) and ‘byeongyeong’. The number of ‘gunbyeong’ in Chungcheong ‘byeongyeong was the smallest among the 4 ‘byeongyeongs’ in ‘hasamdo’. The reason is that Chungcheong-do has smaller area, less population and less production than Gyeongsang-do or Jeolla-do. The common ‘gunbyeong’and lower rank officers are likely to have been ‘supogun’(守鋪軍); while higher rank officers with salary had actual military duty. The financial income of ‘byeongyeongs’ during late Joseon period was tax collection from counties and prefectures. Especially, the tax collection concentrated on the county or prefecture where the ‘byeongyeong’ was located. The collected tax was used on tribute to central government and ‘byeongyeong’ operation expenditure. Tribute to central government consisted of tribute to ‘gyeongsa-gunmun’(京司軍門) and tribute to royal court. The ‘byeongyeong’ operation expenditure was mostly ‘jigong’(支供 : salary and expense) of officers and common soldiers. Other than ‘jigong’, the collected tax was used on the repair of military equipment, maintenance of castle fence(城堞) and public buildings(公廨) and purchase of necessary goods. However, all these costs could not be covered by official income; therefore, ‘byeongyeong’ should find another source of finance. It is notable that this separate financial source was established as an official financial income item of ‘byeongyeong’. This implies that a ‘byeongyeong’ operated as an independent financial unit.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the production and supply system of weapon changed and the military equipment of ‘hasamdo’ ‘byeongyeongs’ also improved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The military equipment of ‘hasamdo’ ‘byeongyeong’ consisted of bows and arrows, gun powder weapons, spears and swords, other weapons, military band(吹打) and military flags(軍旗). However, the quality of them degraded in 19th century as the weapons and military facilities became obsolete and due to poor management system. The commanding system of local military force during late Joseon period was ‘gamsa-byeongsa/susa-yeongjang-suryeong’. However, the commanding system of local military force during late Joseon period gradually changed by the dynamic relation within the ruling structure. The commanding right was not decided by military aspect or the rank of government position but it was decided by job characteristic and job interest. Consequently, it tells that the military system during late Joseon period went bad. The major duty of military force was national defense and keeping of political system. The duty was allocated and performed by various members in military force such as ‘wuhu’, who is an ‘ajang’(亞將), officers, ‘ajeon’(working level persons), craftsmen, who made and repaired military flags, ‘gunbyeongs’ and ‘nobis’(servants). Especially, the administrative work and military desk work in ‘byeongyeong’ were systematically handled by the local government employees(鄕吏). The major function of all ‘byeongyeongs’ in ‘hasamdo’ during late Joseon period was the defense of southwestern seacoast from the invasion of Japanese enemies. However,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the military function of ‘hasamdo’ ‘byeongyeong’ changed. Jeolla ‘byeongyeong’ and Gyeongsang Left ‘byeongyeong’ concentrated on seacoast defense; while Chungcheong ‘byeongyeong’ and Gyeongsang Right ‘byeongyeong’ concentrated on inland defense. Military training was also one of the important functions. However, military training became just a formality because of the training burden on farmers, indifference and incapability of commanders and spoliation by ‘ajeons’ and officers. Meanwhile, the long peaceful period after the two invasions by Japanese and the changes in society and economy changed the ‘hasamdo’ ‘byeongyeongs’ into public order keeping organizations. This tells the function of local military force including‘byeongyeong’ during the peaceful late Joseon period.

      • 鐵道驛舍 旅客利用 行態 分析을 통한 驛舍施設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유동호 忠南大學校 産業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철도역에 대한 역사 건물은 100여년이 지나는 장구한 세월속에서 철도건축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건축의 태동을 이끌어 나온 장본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건축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고 본다. 철도건축의 발전은 역사 건물이 단순히 교통수단으로서의 역할만이 아닌 지역발전과 함께 성장해온 점을 감안하더라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로써 본 연구의 목적도 이제는 철도역이라는 단순개념을 벗어나 세계화를 향한 국제적인 역사로서 함께 어깨를 견주고, 나아가 영원히 후손들에게 잊혀지지 않는 역사 건물이 되어지길 바라면서, 좀더 나은 우리 생활에 편리하고 이용객을 위한 배려와, 안전한 시설로서의 건축물이 되도록 설계되어 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철도역사에 대한 공공시설의 이용현황을 조사하여, 철도이용객을 위한 편의제공은 물론, 동선흐름을 관찰하여 역시설에 대한 개선방향을 찾아 기본계획 단계에서부터 공간계획을 잘 하여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각 역별 시설물에 대한 이용실태를 기술하고, 이에 따른 각 시설물에 대한 역별 비교분석으로 여러가지 문제점을 도출한 후, 이를 바탕으로 철도역사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 접근이 용이하도록 역사 전면광장에 교통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차종별 접근 Bay시설 설치가 필요하고, 둘째, 콘코스내 역무시설은 여객 동선을 고려하여 출입홀의 유입인원에 따라 순방향으로 하고, 여객이 교차되지 않도록 최대한 짧은 거리에 시설물을 배치할 수 있도록 고려한다. 셋째, 역사내 화장실 및 편의시설은 균등배분 보다 주동선 집중배치로 이용객의 편의를 최대한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특히 철도역사는 그 도시의 유래 및 특성이 종합적이고 상징적으로 표현되어 지역의 Landmark가 되어야 하고, 대기공간, 휴식공간 등으로 역을 이용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역사는 그 지역의 중심으로 생활과 문화의 거점, 도시의 상징, 주변도시 경관과 잘 조화되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It has analyzed that historical buildings of the railroad stations in Korea,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ose are the very ones that have led not only the station buildings but also the forthcoming activities of building constructions in Korea since the past long time period of more than 100 years. There have had many changes in a development of the railroad architecture since the past history taking into account for the fact that railroad station buildings have taken not only a role of communication simply but also a role to develop with their local societies. Railroad station buildings and facilities will be designed and constructed to be more convenient to our daily lives and more safe for travelers in the fucture getting rid of the concept that those are simply traffic stations but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of constructions of international stations toward a globalization to hope for becoming ones for the descendents in future.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current utilization status of railroad stations and facilities, it has analyzed that a space plan should be prepared well from the very beginning stage of planning for a railroad station when they will have found our an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facilities by surveying a status of utilizing public facilities and by observing a travelers' flow so as to provide for better convenience. Therefor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lies suggesting an improvement direction to secure the public community of a railroad station which will be under planning to construct, which is based on the problems which were brought from a comparison of the facilities of each of the stations from the description on utilization status of the facilities of railroad stations.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1) A bay facility for each of automobile kinds will be established on an entrance road to the square at a railroad station which will be convenient to access on it by users. 2) Office facilities in concourse will be arranged along the direction to passenger flow according to a number of passengers who will enter an entrance hall by considering the flow direction sufficiently and in the shortest distance not to make passengers to be crossed along it. 3) Toilets and convenience facilities in a station will be arranged to provide a maximum convenience for passengers by focusing on a main stream rather than an even distribution of those. 4) Especially, a railroad station will be a landmark of the region surroundings that represents synthetically and symbolically a history and features of the city and waiting rooms and resting places will be a central point of lives and cultures for the passengers in the city which will be planned to harmonize with symbols and scenes of the neighboring cities as well.

      • 국제화 시대의 중등 국어 교사 양성 과정 개선 방향 연구 : 전공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유동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ole of teachers is more important than ever to cultivate future talent, centering on core competencies that have been introduced in line with the trends in global education. Also, the role of teachers is very important in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If we acknowledge that education can not exist beyond the qualities and abilities of teachers, we must also accept the fact that the qualities and abilities of teacher in the same context are difficult to exist beyond the system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Problems raised in relation to teacher education policy are connected with a series of processes for teacher supply and training of competent teachers. In particular, pre-service teach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ssue of what kind of curriculum is efficiently operated in the field before they appear in the educational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 training courses in major countries (USA, Germany, Finland) in order to improve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in the era of internationalization. Based on this, the curriculum and subject, the status of establishment of the institute, educational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evelopmental trends in the process of cultivating secondary Korean Language school teachers in the age of internationalization.. In this paper, I focus on three research problems. First, the curriculum and subject were analyzed based on the number of basic credits and subjects, and major subjects. Second, the status of establishment of the institute was analyzed by college and department, graduate school and department. Third, we analyzed the educational practice through present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aching practice and present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practice course.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internationalization' has been focused on internationalization/globalization as well as the transformation of our society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teacher training of secondary Korean language teacher and the process of cultivat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KSL) teacher who is accommodating diverse students as the composition of students in the school changes. Through the study, we suggest the following improvement directions in the process of training secondary Korean language teacher. First, the process of cultivating secondary Korean language teacher should be closely related to the school sit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courses should have the nature of course subjects, ie, teaching methodology aspects. In other words, in order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Korean language teachers, knowledge of teaching methodology knowledge based on knowledge of curriculum content should be added. Second,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secondary Korean language teachers by proposing a program for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multicultural faculty.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should recognize and learn Korean language and core competencies. In particular, the capacity of commun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 the ultimate ability and essential capacity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econdary Korean language teachers should go through in the era of multiculturalis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multicultur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courses. Third, educational practice and volunteer activities should be carried out at school level, while effective instruction at the school leve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at the national level should be mad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teacher internship in addition to the existing teaching practice activities and the practical time separator is needed to select appropriate exercise activities for each grade level in the existing 4 weeks training practice period. 세계적 교육의 추세에 발맞추어 도입된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미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또한 교육의 질을 개선하려는 노력 중에 교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교사의 자질, 능력을 뛰어 넘어 교육이 존재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면, 같은 맥락에서 교사의 자질이나 능력이 교사교육기관의 체제 너머에 존재하기 어렵다는 사실 또한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다. 교사 양성 정책과 관련해 제기되는 문제점들은 교원 수급과 유능한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들이 연결되어 있다. 특히, 예비 교사들에게 교육현장에 나아나기 이전에 어떠한 교육과정이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운영되는가에 대한 문제와 직결되어 있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제화 시대의 중등 국어 교사 양성 과정의 개선을 위해 주요 국가(미국, 독일, 핀란드)의 교사 양성 과정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및 교과목, 양성 과정의 개설 현황, 교육실습에 대한 항목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제화 시대의 중등 국어 교사 양성 과정에 발전적 발향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것은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대상으로 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및 교과목을 기본이수학점 및 과목 수와 전공과목을 분석하였다. 둘째, 양성기관의 개설 현황을 단과대학 및 학과, 대학원 및 학과로 분석하였다. 셋째, 교육 실습의 운영현황과 실습과목의 운영방식 제시를 통해 교육 실습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화’의 의미를 국제화/글로벌화와 함께 우리 사회의 다문화사회로의 전환에 초점을 맞추었다. 학교의 학생구성이 변화함에 따라 다양한 학생을 수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육의 교원 양성 과정과 중등 교사 양성 과정을 분석해봄으로써 국제화 시대의 중등 국어 교사 양성 과정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중등 국어 교사 양성 과정에 다음과 같은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중등 국어 교사 양성 과정은 학교 현장과 밀접한 관계가 유지되어야 하며 학부, 대학원 과정의 국어과 교육은 실습 과목의 성격 즉, 교과이론학적 측면을 띠어야 한다. 즉, 국어 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교과내용학의 지식을 기반으로 한 교과이론학의 지식을 더해야 할 것이다. 둘째, 중등 국어 교사의 다문화 교수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제안하며 중등 국어 교사의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해야 한다. 예비 국어 교사는 국어과 핵심 역량을 인지하고 학습하여야 한다. 특히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은 다문화 시대 속에 국어교육과 국어교사가 나아가야 할 궁극적인 능력이자 필수 역량이다. 따라서 이러한 다문화적 교수 학습 방법과 과목에 대한 이수를 강화해야한다. 셋째, 교육 실습 및 교육봉사활동은 이수학점을 유지하면서 학교 차원의 효과적인 지도와 더 나아가 국가적인 차원의 제도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기존의 교육 실습 활동에 더하여 교사 인턴제 도입 등을 고려해야하며 기존의 4주 교육실습 기간은 학년별로 적합한 실습활동을 선택할 수 있는 실습시간 분리제가 필요하다.

      • 크로톤 오일로 유발시킨 쥐의 직장 염증에 대한 웅담 또는 그 구성 성분의 치유효과

        유동호 충북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웅담은 동양, 특히 중국에서 간 손상이나 염증 치료를 위한 약물로서 많이 처방되어온 약물이다. 최근 수 십 년간 개개의 담즙산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그로 인해 암, 간 손상, 담석증 등에 대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특히 최근의 몇 몇 보고에 의하면 Ursodeoxycholic acid 같은 특정 담즙산의 경우 간과 관련된 질환 뿐 아니라 몸 안의 모든 염증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이런 담즙산의 항염 효과를 더 알아보기 위해 웅담과 그 주요 구성 담즙산인 Ursodeoxycholic acid (UDCA), Chenodeoxycholic acid (CDCA) 가 크로톤 오일로 인위적으로 유발시킨 쥐의 직장염증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웅담에 함유되어 있는 각각의 UDCA 와 CDCA 는 HPLC 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쥐의 직장염증의 유발은 크로톤 오일 용액을 적신 면봉을 쥐의 직장에 직접 삽입하는 방법으로 하였다. 항염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약물의 경구투여는 UDCA, CDCA 그리고 웅담을 각각 50 mg/kg 의 용량으로 염증 유발 후 1시간부터 8시간 간격으로 2회 투여하였다. 또한 약물의 국소투여는 웅담을 10 mg/kg 의 용량으로 염증 유발 후 1시간 후에 1회 직장에 액상좌제의 형태로 직접 투여하였다. 약물을 투여한 쥐들은 염증 유발 후 4시간 또는 24시간 후에 평가하였다. 염증상태의 평가는 외관상의 충혈, 직장의 무게, 직장의 두께 그리고 직장 조직의 현미경 사진 으로 평가하였다. 담즙산의 항염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In vitro 시험으로 NO assay 도 수행하였다. 사용된 웅담 1mg 에는 UDCA 가 39.26 ㎍/ml, CDCA 가 47.11 ㎍/ml 가 각각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웅담의 투여는 경구투여나 국소투여 모두에서 효과적으로 염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그에 반에 UDCA 나 CDCA 의 투여는 염증 완화에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CDCA 나 UDCA 와 비교했을 때 웅담의 투여는 염증의 진행을 억제하고 염증을 치유하는 효과가 매우 뛰어난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웅담에 함유된 다른 어떤 물질에 의한 것 이거나 몇몇 물질들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활성성분이나 작용 메카니즘의 규명을 위해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Bear biles has been used as therapeutics of cerebral and coronary thrombosis, convulsion, hepatitis, jaundice and abscess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In recent decades, it was studied many reports about the effects of bile acids on cancer, cholestasis, and liver injur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whole bear bile (WBB) and its two major components, CDCA and UDCA on rectal inflammation in rats. Bile acids in WBB was quantitatively analyzed by HPLC method. Rectal inflammation was induced to the male Sprague-Dawley rats by insertion of croton oil-absorbed cotton tips. WBB, UDCA or CDCA was administrated by orally at one hour after induction of rectal inflammation to rats. WBB also was administered by intra-rectal to rats. Rats were sacrificed 4 or 24 hours after induction of rectal inflammation. The evaluation was performed by measurement of weight and thickness of rectum and histopathologic examination of rectal tissue. Furthermore, we examined the inhibition effect of NO production of WBB, UDCA or CDCA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The contents of UDCA and CDCA of WBB were 39.26 ㎍/㎎ and 47.11 ㎍/㎎, respectively. WBB treated group significantly reduced the weight and thickness of rectum compared with UDCA or CDCA treated group. The inhibition of NO production of WBB, UDCA and CDCA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was much higher than the control. And WBB treatment suppressed the induction of NO synthase in rectum homogenate.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WBB could be related to the combination effect of UDCA, CDCA and other bile acids of WBB by inhibiting suppressed the induction of NO synthase and inhibition of NO production. Further study are need to be performed about other bear bile components and their interactions.

      • 부산 컨테이너터미널 최적 ERP 시스템 구축 방안

        유동호 동아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속한 세계화로 터미널간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기존 시설의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가 터미널의 경쟁력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부산 컨테이너터미널은 양적 확장에 치중한 반면 관리와 운영의 효율성에 대해서는 다소 소홀히 해 왔다. 그리고 대부분의 컨테이너터미널은 자사 운영시스템을 전문 업체에 의뢰하여 개발함으로써 컨테이너터미널마다 상이한 시스템이 구축되어 시스템의 유지 보수비용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최근 컨테이너터미널 개발과 운영 자체가 사업화 되고 있기에 향후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시스템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것이다. 그래서 컨테이너터미널마다 다른 운영시스템을 표준화하고 국제화한 ERP시스템 형태의 통합 운영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문형 방식에 의존하던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시스템의 고비용, 비통합화, 개발기간의 장기화 등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컨테이너터미널 ERP시스템이란 새로운 개념을 제안한다. 이 컨테이너터미널 ERP시스템은 통합된 운영시스템 구축, 개발기간의 단축, 개발비용의 절감, 쉬운 업그레이드를 가능하게 해 컨테이너터미널의 글로벌 사업에 전략적 도구로써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are enterprise-wide system that covers all the business functions and information resources, integrated database, built-in best industry practice, packaged software and open architecture. ERP enables reduction of system development time, flexibility, standardization of workflow and effectivebusiness planning capability. ERP is mainly for manufacturing industry. However, the principles of ERP can also be applied to container terminal operating systems. This paper presents an ERP system for container terminal. We have clustered the workflow of container terminal, and analyzed the business process to generate the best workflows. The integrated database is designed to eliminate redundancy and keep integration. The core of ERP for Busan container terminal is the planning facility such as berth planning and yard planning The planning capability is very tightly coupled with data flow from client entities such as shipping companies. The ERP can handles the existing problems of Busan container terminal operation that are mainly caused by lack of integration of whole of information resource in container terminal, ad-hoc and poor planning capability, disconnected and incorrect data from client companies. ERP approach not only van resolve the problems of container terminals but also promote adoption of information systems for container terminals in the world that have not yet implemented terminal operation systems.

      • 朝鮮後期 忠淸兵營의 編制와 財政

        유동호 충북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Byeongyeong(兵營) in Joseon Dynasty was established in the area and by connects the center military camp and the region military camp the duty which it did. If with structure of the Byeongyeong(兵營) and operation actual condition is examined closely consequently, The gain and loss which is synthetic is possible in about military system and rule structure of Joseon Dynasty. But the Byeongyeong(兵營) research of existing was very unsatisfactory. Consequently as one of Byeongyeong(兵營) case study it tries to grasp it does in about structure and the use actual condition of the ChungCheong-Byeongyeong(忠淸兵營). When it summarizes the contents, with afterwords it is same. In order to defend the infiltration of the frequent waegu(倭寇) in Joseon Dynasty early stage it was established in the thick sea fog, to Hyojong(孝宗) 2 years it was moved in Cheongju(淸州). This strengthens the after that capital defense which is Imjinwaenan(壬辰倭亂) and Byeongjahonan(丙子胡亂) be relocation of the military camp for equally under boil the military service of Hoseo(湖西) it was a method. After the ChungCheong-Byeongyeong(忠淸兵營) is moved in Cheongju(淸州), the Jinyeong(鎭營) setup five was established. With the military camp five of ChungCheong-Byeongyeong(忠淸兵營) together commanded Sangdang-sanseong(上黨山城) and Anheung-sanseong(安興山城). Number of these military man the Jinyeong(鎭營) about 4000~5000 and the Sanseong was about 2000~3000 degree. This it is the smallest size from in the Byeongyeong(兵營) but Chungcheong-Do(忠淸道) going toward the capital and being located in the corner important because the ChungCheong-Byeongyeong(忠淸兵營) militarily was very. The peaceful time is advanced to Imjinwaenan(壬辰倭亂) and Byeongjahonan(丙子胡亂) after that and the military function of the ChungCheong-Byeongyeong(忠淸兵營) is abridged and the maintenance of public peace function is considered seriously. When accomplishing like this function, the Byeongsa(兵使) with Kamsa(監司) and Yeongjang(營將) who have a same authority was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of indivisibility. These people according to the official post which it has an additional job is visible the change of relationship. The Yeongjang(營將) has an additional job the Toposa(討捕使) with the Jinyeong(鎭營) is considerable in late Joseon Dynasty and it secures the position which becomes independent. But the possibility becoming the maintenance of public peace organization which becomes independent completely there was not a Jinyeong(鎭營) because receiving the command of the Byeongyeong(兵營) from position Jinkwan(鎭管) insaide. The relationship of the Byeongyeong(兵營) and Kamyeong(監營) did Kamsa(監司) has an additional job the Sunchalsa(巡察使) with it exists institutionally as the upper grade agency of the camp. But actually it maintained the relationship which is equal. The reason the circumstance which is actual the Kamsa(監司) will be able to monopolize a military administration is not created not to be, if puts one person seizes a military power in, in the central government it is because has become the big threat. The relationship of the Byeongyeong(兵營) and Kamyeong(監營) will say that it shows the contradiction of region rule structure of Late Joseon Dynasty well. The ChungCheong-Byeongyeong(忠淸兵營) financial structure of Late Joseon Dynasty Yeongsumi · Yeongjapmi(營需米·營雜米) which it accepts from Cheongju-mok(淸州牧), from military service became accomplished at the Sinseongunjeon · Jujingunjeon(新選軍錢·主鎭軍錢) which it gets and Hwangok(還穀) income. The fact that from in these it is most important was Hwangok(還穀) income, the fact that it occupies the most part from in Hwangok(還穀) income was Gunhyanggok(軍餉穀). The financial fluctuation of the Byeongyeong(兵營) undergoed the influence of Gunhyanggok(軍餉穀) plentifully because of this. The Gunhyanggok(軍餉穀) which has like this feature increases until 18th century middles suddenly and from 19th century it decreases suddenly. Like this actual condition in order to supplement the finance where the ChungCheong-Byeongyeong(忠淸兵營) is the tribe increases a distribution rate occurred in because making. Problem point the distribution rate rises by the way according to sum total of Hwangok(還穀) gradually to exist with only an imagination, it becomes, also the distribution actually it does not become accomplished with without being, taxation became is the thing. The method where the Hwangok(還穀) secures a taxation according to becoming, the (逋欠) was augmented consequently and baekjing(白徵) were turning out generalization. The sum total of Hwangok(還穀) decreased finally and gradually the ChungCheong-Byeongyeong(忠淸兵營) it did to make be placed in the financial embarrassment which is serious. Like this charge was share of Cheongju-mok(淸州牧) and the neighborhood area people. When 1862 farmer contention occurs, the ChungCheong(忠淸) area occurred from the village of most Cheongju(淸州) and the Gongju(公州) vicinity. Like this point shows Byeongyeong(兵營) at that time and plundering of Kamyeong(監營) how many probably are serious, well. The ChungCheong-Byeongyeong(忠淸兵營) of Late Joseon Danasty was the military agency which comes to move the zone defense which is effective on 17th century middles in objective. The military function of origin is abridged but from 18~19 centurial social · economic fluctuation insides, the maintenance of public peace function is embossed. Change of function and it joined in and the financial system which is independent and a receiving system it formed. This also became the method of different control method and setup maintenance in the area people. And the receiving system of ChungCheong- Byeongyeong(忠淸兵營) which is operated from 19th century Samjeong(三政) disordered insides brings about the evil which is serious, this provided the opportunity where the region rule setup collapses.

      • 국내ㆍ외 일괄입찰제도의 비교분석을 최적화방안 연구

        유동호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1. 서 론 최근의 국내 건설산업환경을 보면 엄청난 외형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건설의 질적수준은 국민여망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앞으로 건설시장 개방시 외국업체와의 경쟁에서 생존하기 어려운 전망이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정부발주공사의 경우 정부는 기본적인 수요 또는 기준만 제시하고 민간기업이 설계부터 공사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시공 일괄입찰을 활성화하는 정책을 추진중에 있다. 2. 이론적 고찰 2.1 연구의 목적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계․시공 일괄입찰제도에 대하여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일괄입찰에 참여하는 업체의 성공적인 기업 활동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국내 연구기관 및 학계의 논문, 연구자료 등의 문헌고찰을 통하여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선행연구들과 두산중공업의 일괄입찰공사의 성공사례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2.1. 연구현황 국내ㆍ외의 일괄입찰 분야에 대한 연구현황을 알아보기 일괄입찰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관한 연구문헌들을 조사하였다. 3 . 본 론 3.1 일괄입찰제도의 정의 및 발주추의 엄밀히 말해 턴키제도는 설계.시공 일괄입찰 공사의 특별한 계약으로서 일괄입찰 공사의 도급자가 건설공사에 관한 모든 서비스를 발주자를 위하여 제공하는 의미로서 사용된다. 즉 도급자가 공사의 자금조달, 토지구매, 설계와 시공, 시운전 등의 모든 서비스를 제공한 후 시설물이 완전한 상태로 발주자에게 인계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턴키제도는 흔히 일괄입찰 제도와 혼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본 연구에서는 편의상 일괄입찰 제도와 턴키제도를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자 하며 해외의 경우에는 프로젝트 성격상 일괄입찰로 표현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많아 턴키로 표기하며 국내의 경우에는 일괄입찰로 표기하고자 한다. 3.2 일괄입찰제도의 장점 일괄입찰 공사의 긍정적인 효과로는 설계와 시공을 동일한 도급자가 함께 수행함으로서 예상되는 다음과 같은 이점들을 예상할 수 있다. (1) 시공자의 설계참여 기회가 확대되어 시공성을 고려한 설계, 과다한설계지양 등으로 공사 진행을 위한 설계와 시공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2) 신규공사의 경우 발주자는 공사계획의 내용이 명확하지 않은 사항에 대하여 낙찰자 선정 과정에서 다양한 대안을 검토할 수 있다. (3) 공사수행의 각 단계 사이에 발주자의 개입이 최소화되어 발주처의 업무가 감소된다. (4) 하나의 주 계약에 의하여 공사가 발주됨으로써 공사 전반에 관한 책임한계가 명확해 진다. (5) 설계와 시공의 조직이 동일하여 공사기간 중 신공법의 적용 또는 공법 변경 등이 용이하다. (6) Fast-track 을 이용하면 실시설계 완료 이전에 착공함으로써 공사기간의 단축이 가능하다. 3.3 일괄입찰제도의 단점 일괄입찰 공사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설계가 확정되기 이전에 도급자와 낙찰금액이 확정됨으로써 발생하며 이로 인한 주요 단점으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있다. (1) 일반적인 단점 - 실시설계 완료 이전에 낙찰자가 선정될 경우 정확한 공사금액의 책정이 어렵다. - 공사의 품질과 성능보다는 업체의 이윤 추구를 위한 설계의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단정은 특히 공익성이 요구되는 공사에서 문제시될 가능성이 크다. - 공공 공사인 경우 결과물의 공익성에 배치되게 도급자가 영리를 추구할 가능성이 있다. (2) 발주자 측면의 단점 - 기본적으로 공사수행의 모든 책임을 도급자에게 위임함으로써 발주자의 참여 폭이 상대적으로 축소되고 발주자의 설계 및 시공과정의 체크가 소홀해진다. - 일반방식의 공사발주에 비하여 발주에 장기간이 소요된다. - 입찰업체가 제안한 설계대안에 대하여 그 타당성을 정확히 분석할 수 있는 기술적인 능력이 필요하다. - 한번 발주된 공사의 내용에 대해서는 변경이 곤란하다. (3) 업체 측면의 단점 - 설계안의 미확정으로 인하여 공사범위가 모호하며 착공 이후 발생하는 상황에 대한 위험부담이 커진다. - 설계도서를 작성하여 입찰함으로써 입찰부담이 증가한다. - 일반적으로 설계, 엔지니어링, 시공 능력을 갖춘 대형업체에 유리하여 중소기업 및 신규업체의 참여가 제한된다. 4. 일괄입찰제도의 문제점 분석 국내 일괄입찰제도의 문제점은 여러가지 측면에서 매우 다양하게 제기되었다. 특히 입찰자 평가방법, 입찰안내서, 낙찰자 선정방식, 입찰기간 등이 특히 높은 비중의 개선항목으로 지목되었으며 기타 문제점의 개선도 일괄입찰 제도의 시행절차의 거의 전과정에 걸쳐서 요구되고 있다. 4.1 발주기관 측면의 문제점 (1) 발주절차의 번잡성 현행 일괄입찰 공사의 발주를 위한 설계지침서의 심의,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입찰은 현실적으로 복잡하여 발주기관이 일괄입찰 공사를 기피하는 주요 이유가 되고 있다. 특히 거의 유사한 프로젝트의 반복적인 설계지침서 심의는 그 효용성이 작은 것으로 판단되어 경우에 따라 심의생략이 가능하여야 할 것이다. (2) 발주 소요기간의 장기화 일괄입찰 공사는 그 채택여부를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에서 심의하고, 재무부에서 이를 공고한 후(3월 말)에야 비로소 설계가 착수되므로 1월 말부터 설계착수가 가능한 일반 공사에 비해 발주가 지연되며 적정공기를 확보하는 데 지장이 초래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발주 소요기간이 약 240 일 (실적 예 : 140 - 260일 소요) 이 소요되어 적정 시공시기인 3월 - 10월을 입찰 및 계약 절차에 소모하므로 연도 말 계약을 할 수 밖에 없어 예산 이월 및 공사기간의 부족이 우려된다. (3) 적격업체 선정에서 발주기관의 의견반영이 미흡 현행 적격업체 선정방식은 공공기관 발주공사일 경우에는 시행기관의 자체 계약에 의해 수행되므로 발주기관 해당부서의 검토가 가능하지만, 중앙관서에서 발주하는 공사일 경우 설계평가는 중앙위원회에서 실시하고, 계약은 조달청에서 위임받아 이행함으로써 실제 시행기관 또는 사용자인 발주기관의 자체 검토 및 의견 반영이 미흡하다. (4) 낙찰자 선정방식 현행 낙찰자 선정방식인 (총공사입찰금액 ÷ 설계점수) 의 최소업체에 낙찰은 기술과 가격을 동시에 고려한 낙찰자 선정방법이 될 수 있으나 대부분의 설계절수가 70 - 80 점에서 결정되는 현실하에서는 저가낙찰자에게 유리하게 적용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부실업체의 저가투찰을 조장할 수 있어 기술경쟁을 유도한다는 일괄입찰 공사의 취지에 부합되지 못하고 있다. 4.2 입찰참가자 측면의 문제점 (1) 입찰 참여업체의 설계부담 과중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2회 입찰 후 낙찰자를 선정하는 입찰방식은 낙찰자가 아닌 입찰 참여업체에게 과도한 설계비 부담을 주게되어 입찰의욕을 저하시키고 우수업체간의 경쟁을 유도하는데 미흡하다. 이를 비용 측면에서 분석하여 보면 90년 공사실적 평균 200억원을 기준으로 볼 때 기본설계비용 약 1.9억원 (개략공사비의 0.96 %), 실시설계비용 약 5.8억원 (개략공사비의 2.89 %) 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또 일괄입찰공사에서 실시입찰에 의한 낙찰자 선정은 도급자 책임하의 설계와 시공이라는 일괄입찰공사 본래의 취지와 배치되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 (2) 설계기간의 부족 일괄입찰 공사의 입찰을 위한 설계기간은 대형공사의 현장설명 (입찰공고 후 최소 7일) 과 30억원 이상 공사의 견적기간(최소 30일) 의 적용을 받는 외에 별도의 규정이 있어 적정한 기준이 미비하며 통상적으로 30 - 40일의 짧은 입찰기간은 부실 설계의 우려가 크며 특정업체를 대상으로 설계기간을 설정한다는 오해의 소지가 크다. (3) 실시설계 완료이전에 조기 착공 불가 실시설계 완료 후 낙찰자를 선정하는 것은 원래 일괄입찰 공사의 주요 장점인 설계 완료 이전 착공 (Fast-Track) 에 의한 공기 단축의 효과를 원천적으로 포기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4.3 심의기관 측면에서의 문제점 (1) 일괄입찰 방식 채택 기준의 불분명 일괄입찰 제도는 실시설계 완료 이전에 낙찰자가 선정되어 정확한 공사금액의 책정이 어렵고, 공사의 품질과 성능보다는 업체의 이윤추구를 위한 설계가 될 가능성이 있는 점등의 본질적인 단점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일괄입찰 방식의 선정시에는 그 사업의 유형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선택되어야 한다. 이에 비하여 현행 특례규정에 의한 중앙위원회가 일괄입찰 방식에 의한 공사 발주가 적합하다고 의결한 공사는 일괄입찰 제도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준이 구체적이지 못하다. (2) 평가기준의 불합리성 현행 중앙위원회 운영규정에 의한 설계평가의 배점기준은 공사를 일괄입찰로 발주하는 주 목적이 되는 일괄입찰대상 공종에 대한 평가항목이 확실하지 않고 신기술 및 신공법의 적용에 의해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 데에 대한 배점이 고려되지 않아 입찰 참여업체의 기술개발을 유도하기에는 부적정하다. 또 평가항목의 배점기준을 토목, 건축, 기계/전기의 3개 분야공사로 일률적으로 분류라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각 대상사업별 특성을 고려하여 배점표 작성이 가능하도록 배점기준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3) 설계심의위원 운영 설계심의위원의 구성은 전문분야별로 건설교통부의 전문가명부를 활용하여 20인 범위 내에서 선정하며, 점문분야별로 중요도 등을 고려하여 2인 이상 선정한다. 구성원은『표.3』참조 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가항목의 비중에 격차가 있을 경우 심의위원 수의 배정이 불합리하다. 또 부적격 설계시 심의 위원의 보완사항 및 의견제출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고 설계점수의 총합계만을 통보하게 되어 있어 심의위원의 주관적인 배점으로 치우칠 우려가 있다. 특히, 2003년 7월에 15~30명의 평가위원이 전문분야별로 평가하던 방식을 기술위원회와 평가위원의 역할과 같이 기술위원회와 평가위원회로 이원화하여 운영한다. (건설기술개발 및 관리등에관한 운영규정 제21조 2의3항 건설교통부 훈령) (4) 심의 대상공사의 과다 현행 일괄입찰제도는 그 대상공사를 금액으로만 규정하고 있어 심의 대상공사가 과다하여 전반적인 심의의 부실화 우려가 있다. 현재의 심의위원회의 심의량은 89년 이후 급증하여 주 2 - 3회 (1회 심의 평균 4건) 의 심의로 연간 약 600 건 (약 300 여건의 입찰방법심의 포함)의 심의가 수행되고 있다. 또 심의담당 공무원의 절대부족 으로 시방서, 도면 등 일반적인 기술사항에 관한 자체 사전 검토가 거의 불가능하고 심의의원의 심의 (검토기간 3 - 4일) 에만 의존하게 되어 내실있는 심의에 의한 정확한 기술평가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심의지적사항에 대한 사후관리가 소홀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심의대상 공사의 축소 및 심의담당 공무원의 인원 확충이 요구된다. 4.3 기타 문제점 그 외에 특히 업체 측에서 일관되게 제기되는 문제점은 계약금액의 조정에 관한 사항이다. 일괄입찰방식에 의한 대형공사 계약에 있어서 설계변경에 의한 계약금액의 증액은 대형공사 계약에 관한 예산회계법 시행령 특례규정 제15조의 규정에 의하여 정부의 책임있는 사유에 의한 때에만 가능하여 낙찰자 선정 후 발주자가 작성한 입찰안내서가 불완전할 경우 현실적인 대처가 어려운 실정이며 이는 업체측의 일괄입찰 공사에 있어서 위험부담이 일반공사에 비하여 높은 점을 감안할 때 낙찰자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 신공법의 개발 및 적용시 업체의 초기투자 부담이 커진다. 일괄입찰제도의 선행된 연구에서의 공통된 문제제기와 해결 방안을 보면 첫째, 턴키공사 선정업체와 시공업체간의 분담 이행방식의 입찰 , 입찰자들의 설계비 과중 및 설계비 보상비 미흡, 실액 조정곤란 등의 문제제기와 해결방안으로 건설업의 종합화와 유형의 다양화, 적정공사비 확보, 예비비제도의 도입, 설계․시공 공동이행방식 도입 등의 개선방안이 제시되었다. 둘째, 일괄입찰안내서 상의 문제점으로는 안내서상의 내용에 대한 전문성의 부족, 계약조건의 불평등 내용 및 모호성, 설계기간의 절대적 부족으로 입찰자 비용 가중이 되었다. 해결 방안으로는 발주기관별, 공사특성별개정, 발주방식에 적합한 건설정보화 구축, 건물 특성별 적정한 설계기간의 확보, 공사의 한계구분, 공사 특성별 설계도서작성기준 표준화 등을 제안하였다. 7. 결 론 본 연구를 서술적으로 요약하며 설계․시공일괄입찰제 도의 개선방안을 제언하자면 다음과 같다. 일괄입찰공사의 유형을 설계․시공 일괄입찰 및 실시설계․시공 입찰의 두가지 유형만 법적으로 인정하고 있어서, 실시설계․시공 입찰공사의 비효율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을 개발하여야한다. 일괄입찰 공사 발주시 공종특성보다 규모에 따른 일괄입찰 대상공사를 선정하여 불충분한 예산의 확보 및 수요기관의 의견반영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어서 100억원 이하의 소규모공사에서도 일괄입찰공사의 발주를 가능케 해야 한다. 일괄계약자의 구성방식에서 설계업체와 시공업체간 분담이행방식의 공동도급으로 인하여 문제점을 설계업체의 책임을 실시설계 이후의 설계변경 등으로 확대하고 감리업무까지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설계과정과 설계심의 과정에서 짧은 설계기간과 설계심의의 공정성에 대한 의혹, 설계비 보상의 미흡 등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격심사시 설계업체에 대한 심사가 필요하며, 낙찰 탈락업체라도 일정수준 이상의 설계에 대해 PQ실적을 반영해야 한다. 일괄입찰공사의 장점인 공기단축을 위해 기본설계입찰시 낙찰자를 선정하여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실시설계 이전에 착공이 가능하게 하며 기술과 가격의 분리입찰제도를 적용하여 기술위주의 경쟁을 촉진시켜야 한다. 입찰공고에서 계약체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일괄입찰공사의 특성상 물가변동에 따른 계약금액의 조정혜택을 받기에 물가변동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 기산점을 계약일에서 입찰일로 변경되어야 하며, 발주자 귀책사유나 불가항력적인 경우 외에 계약금액의 증액을 허용해야 한다. 기술력과 자금력의 부족한 중소기업의 일괄입찰에 참여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하도급 규제의 완화가 필요하다. 무엇 보다 설계심의(기술위원, 평가위원)의 자격기준에 관한 개선방안이 이루어 져야한다. 발주청에서 자격기준에 부합하는 기술위원 명부를 작성하여 운행하여야 한다. 기술위원 명부에 포함되지 않은 위원을 각 발주기관의 사업특성에 맞게 전문 분야의 기술위원을 확보하여 시행 하여야한다. 기술위원회 명부를 폐지하여 로비를 방지할 수 있다. 참여 업체의 기술력확보와 지속적이며 효과적인 개혁이 필요하다. 제도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에 앞서 기업 스스로 기술독립, 기자재의 국산화, 기술투자, 인재개발,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서 노력을 지속적으로 하여야한다. 위와 같은 제도 및 업체의 개선을 통하여 일괄입찰공사제도의 내실화를 꾀할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전문성과 공정성, 신뢰에 기반을 둔 건설문화의 정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발주자, 시공자, 설계자를 비롯한 건설주체 모두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참 고 문 헌 1. 건설교통부(2000) “턴키, 대안입찰제도 업무요령” ,건설교 통부 2. 김광인, 서용철, 현창택(2001) “국내 대형공사의발주방식 선정절차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3. 김동현(2003) “턴키입찰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안” , 대한건축학회지, 대우건설. 4. 김성관(2006) “설계․시공일괄입찰제도의 설계변경에 따 른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경상대학교 산업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5. 김정훈 외(2005) “턴키입찰-운영상의 문제점 개선방안 없 나 ” 한국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6 김정현(2005) “턴키입찰-운영상의 문제점 개선방안 없나”한국건설산업 연구원. 7. 대한건축사협회(2006) “턴키제도의 현황과 대안모색” , 대한건축사협회 제47권 제2호 8. 박태권(1995) “설계시공 일괄계약제도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중앙대박사학위논문. 9. 백준홍(1995) “정부시설공사 입찰계약제도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연세대 산업기술연구소. 10. 박광재(2003) “설계․기송 일괄공사에서 설계평가방식 개선방향” , 대한주택공사 수석연구원. 11. 박준기(2007) “건설계약관리론” , 일간건설신문. 12. 유신영(1996) “국내 공공공사의 설계시공 일괄계약방식 운용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한국건설선업연구원. 13. 이복남, 이종수(2002) “ 공사계약일반조건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14. 이상호(2005) “입낙찰제도의 선진화 방안”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15. 전성진 외(2003) “턴키 프로젝트의 주요 성공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16. 전증식(2007) “공공건설공사 낙찰방법별 계약체결 및 설계변경 현황 분석에 관한연구” ,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정종문(1998) “설계시고일괄입찰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연세대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조달청(2005) “시설공사 계약제도와 실부” , 조달청 19. 황재우(2007) “설계시공일괄입찰공사에서 설계변경 클레입요인의 분석에 관한연구” ,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종엽(2009)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설계시공 입찰 설계심의 평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립대 대학원 석사논문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