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2학년의 이야기 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유동엽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5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story telling ability of Second-grade student, and to induce the suggestions to the oral communication education. This study is the succeeding research of Yoo(2009). Specifically, I would like to answer to following questions. First,How does the story telling ability develop during the Second-grade? Second,Is it possible to divide first-grade development from Second-grade development? Third, What suggestions can we induce from this research to oral communication education?To answer to this questions, this study analysed the 43 stories of second-grade student which she told investigator between age 7.03 and age 8.02. As a results, the second grade student was adjudged to have ability to construct, to express, and to co-make story with story partner, and these abilities had been developed during her second grade year. 이 연구는 유동엽(2009)에 이은 후속 연구로서 초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이야기능력의 발달을 생태학적인 방법으로 탐구하여 화법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2학년의 이야기 능력은 어떤 발달 양상을 보이는가?둘째, 이야기 능력의 발달에 있어서 초등학교 1학년과 2학년 시기는 학년을 나눌만큼 차이가 나는가?셋째, 이러한 연구 결과는 화법 교육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가?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해 제보자가 초등학교 2학년 시기(만 7.03세~만 8.02세)에들려준 이야기 43개를 분석하여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의 이야기 구성 능력, 이야기표현 능력, 이야기 소통 능력의 발달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제보자의 이야기 능력은 초등학교 1학년과 2학년 시기에 걸쳐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갈등’이나 인과비율, C-unit당 평균 절 길이에서 괄목한 증가가 있었으나 이들이 이야기 능력의 발달을 구획 짓는 결정적인 요소인지는 후속 연구를 통한 확인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많은 한계가 따른다. 이야기 능력의 발달에관해 학년과 대상을 달리하는 많은 후속 연구가 이어져서 활발한 논쟁이 이루어지길기대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3학년의 이야기 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유동엽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8 No.-

        이 연구는 유동엽(2009, 2011)에 이은 3년차 연구로서 초등학교 3학년의 이야기능력 발달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이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3학년의 이야기 능력은 어떤 발달 양상을 보이는가?둘째, 초등학교 1~3학년에 걸친 이야기 능력의 발달은 발달 단계별로 어떻게 구획될 수 있는가?셋째, 이러한 연구 결과는 화법 교육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가?연구 결과 ‘이야기의 주제성’, ‘에피소드의 수와 길이’, ‘이야기의 구성 요소’, ‘10초당낱말 수’, ‘순서당 평균 C-unit의 수’ 등의 요소는 초등학교 3학년 시기에도 지속적으로 발달하고 있는 반면, ‘이야기의 구조’, ‘이야기의 서사성’, ‘C-unit의 수’, ‘부가관계비율과 인과관계비율’, ‘낱말로 본 평균 절 길이’, ‘연행의 수와 연행비율’, ‘초대표현의수와 초대표현비율’ 등의 요소는 초등학교 2학년 시기와 차이가 없거나 감소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을 근거로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2,3학년 시기를 하나의 발달 단계로 묶어 초등학교 1학년 시기와 구획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 비추어볼 때,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이야기와 관련한 내용 성취 기준은 아동의언어능력 발달에 부합하는 적합한 성취 기준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story telling ability of third-grade student, and to deduce the suggestions to the Oral communication education. This is the succeeding study of Yoo(2009, 2011). I would like to respond to following three questions. First, How does the story telling ability develop during the third-grade? Second, How can we divide development phase during elementary school year? Third, What suggestions can we deduce from this study to Oral communication education?According to this study, the story telling ability of third grade student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second grade student. I suggest that developmental phase of story telling ability can be divided as first grade and second + third grade. Some standard of achievement which related to story telling ability of third grade is considered to meet the children’s language skills.

      • KCI등재

        초등학교 5학년의 이야기 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유동엽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4 국어교육연구 Vol.33 No.-

        본 연구는 이야기 능력의 발달을 탐구하기 위해, 종단 연구의 형태로 수행되고 있는 유동엽(2009, 2011, 2012, 2013)의 후속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세 연구 문제에 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5학년 시기에 서술자의 이야기 능력은 어떤 발달 양상을 보이는가?둘째, 초등학교 1-5학년에 걸쳐 이루어진 이야기 능력의 발달은 학년군으로 어떻게 묶어질 수 있는가?셋째, 이야기 갈래에 따라 서술자가 이야기하는 방식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이를 위해 서술자가 초등학교 5학년 시기(만 10.03세~11.02세)에 들려준 36개의 이야기를 분석하여, 5학년 시기의 이야기 능력 발달을 소상하게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이야기 능력을 구성하는 많은 하위 요소(이야기의 구조, 이야기 구성 요소 중 ‘평가’의 활용, 이야기의 서사성, C-unit의 수, ‘그리고’-‘그래서’-‘그런데’ 3대 접속 부사의 사용 양상, 연결어미비율 등)에서 1-3학년 시기와 4-5학년 시기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하지만 2학년 시기부터 이야기 주제성이 현저히 높아진다는 데 주목해서 본 연구에서는 서술자의 이야기 능력 발달이 [1학년], [2-3학년군], [4-5학년군]의 세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서술자가 이야기 갈래에 따라 이야기 방식을 달리하고 있음을 논증하고, 이야기에 관한 교육 내용을 구안하거나 이야기를 활용한 평가 도구를 개발할 때에 이야기 갈래에 따른 차이를 충분히 고려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story telling ability of a 5th-grade student/narrator. It aims to answer to following three questions. First, how does the story telling ability of narrator develop during the 5th-grade? Second, how can be developmental phase divided during 1st~5th grade? Third, are there any genre-specific features in story telling? This study analyzed 36 stories of a 5th-grade narrator(10.03-11.02 age) in 3-dimensions; story construction, story expression, story communication. This study described the story telling of the narrator elaborately as to this frame. According to this study, the story telling ability of 5th grade was similar to 4th grade, but different from 1st-3rd grade at so many featur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story telling ability could be phased as [1st grade], [2nd-3rd grade], and [4th-5th grade]. And this study proved many genre-specific features in story telling, and suggested that i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e differences in the story genres when developing the educational contents or assessment tools.

      • KCI등재

        기억을 떠올리려 할 때 얼굴의 움직임과 표정에 관한 연구

        유동엽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7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3 No.-

        7차 교육과정 이래로 화법교육에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중요한 교육 내용으로 상정하고 있다. 하지만,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여 이에 관한 교육이 명목상으로 이루어지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사람들이 기억을 떠올리려 할 때 어떻게 얼굴을 움직이고, 어떤 얼굴 표정을 짓는가를 세밀하게 기술하여 화법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기억을 떠올리려 하는 상황에 초점을 맞춤 으로써 다양한 상황에서의 얼굴 움직임 및 표정과 비교하는 데 기준이 되는 기저 자료를 도출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눈동자의 움직임에 초점을 맞춘 유동엽(2017)의 연구 결과를 보완하는 성격도 가진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람들은 기억을 떠올리려 할 때 어떤 얼굴 표정을 짓고 얼굴을 어떻게 움직이는가. 둘째, 기억을 떠올리려 할 때 사람들이 짓는 얼굴 표정과 얼굴 움직임은 눈동자의 움직임과 어떤 상호작용 양상을 보이는가. 셋째, 이 연구의 결과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연구하는 방법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가. 2장에서는 얼굴 표정과 움직임을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하였고, 3장에서는 분석을 통해 드러난 얼굴 표정과 움직임을 기술하였다. 4장에서는 연구 문제에 답하는 방식으로 결론을 제시하였다. The teaching on non-verbal communication is a core part of educational content in the oral communication education. This article conducted a basic study to describe how people makes their facial expressions and movements during trying to remember. By focusing on remembrance situation, this study derived baseline that can be compared with facial expressions and movements in various situ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is complementary to the results of Yoo(2017) focusing on eye movements.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people make facial expressions and movements as s/he try to recall memories? Second, How do facial expressions and movements interact with eye movements on remembrance situation? Third, What do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non-verbal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 This article is the answer to these three research questions.

      • KCI등재

        초등학교 4학년의 이야기 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유동엽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3 국어교육연구 Vol.31 No.-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story telling ability of forth-grade student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to induce suggestions to the oral communication education. This is the fourth ecological longitudinal research of Yoo(2009, 2011, 2012). This research aims to answer to following two questions. First, How does the story telling ability develop during the fourth-grade?Second, How can we divide developmental phase during 1st~4th grade?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 story telling ability of fourth grade was different from third grade at many points. Not only was the structure of story complicated, but also was the quality of story(so called 'narrative-ness') improved. And the causal connection of story, the number of episode, and the number of C-unit which construct story were remarkably increased. So,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developmental phase of story telling ability could be divided as 3 group; <1st grade>, <2nd + 3rd grade>, and <4th grade>. 이 연구는 유동엽(2009, 2011, 2012)의 후속 연구로서 초등학교 4학년인 서술자가 1년 동안 들려준 이야기를 대화분석법으로 분석하여, 서술자의 이야기 능력이 초등학교 4학년 시기(만 9.03세-만 10.02세)에 어떤 발달 양상을 보였는지를 기술․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초등학교 1-4학년에 걸친 서술자의 이야기 능력 발달이 발달 단계별로 어떻게 구획될 수 있는지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4학년 시기에 이야기의 구조 수준과 서사성이 지난 시기보다 높아졌으며 이야기의 길이가 유의미하게 길어진 것과 맞물려 더 많은 에피소드로 이루어진 수준 높은 이야기가 다수 만들어졌다. 이야기를 구성하는 C-unit의 수가 지난 시기에 비해 뚜렷이 증가하였고, 서술자가 인과관계를 강하게 의식하였음이 인과관계비율의 유의미한 증가로 나타났다. 복문을 이전 시기보다 더 많이 구사하게 되었다. 연행비율과 초대표현비율에서는 감소 추세가 이어졌지만 자신의 순서를 장악한 채 유창하게 소통하는 능력은 지속적으로 발달하고 있었다. 이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으로 삼은 서술자의 이야기 능력 발달 단계를 1학년 시기를 1그룹, 2,3학년 시기를 하나의 단계로 묶어 2그룹, 4학년 시기를 따로 떼서 3그룹으로 구획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발달 단계 구획을 초등학교 4학년 전체의 것으로 일반화해서 해석해서는 안 되며, 연령과 성(性), 지역, 계층, 언어 능력을 달리하는 다양한 서술자를 대상으로 하는 후속 연구로 보완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이야기 능력과 이야기 능력 발달에 관한 국내외 연구 동향 : 화법교육의 관점에서

        유동엽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5 국어교육연구 Vol.36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the story telling ability and its development,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oral communication education. To this end, it reviews the research trends of related studies, both home and abroad, by classifying it into three approaches: (1) descriptive approach, (2) prescriptive approach, and (3) therapeutic approach. (1) This study discusses the research trends of the descriptive approach with three axial propositions: “story has structure,” “story grammar is described”, “story can be used as an educational tool.” (2) The prescriptive approach uses the following three axial propositions: “story is an ability,” “the indicators of the development of story-telling ability are quested,” “story telling ability development is described.” (3) The research trends of the therapeutic approach employ the following three axial propositions: “story is a metaphor,” “story is de-constructed and rewritten,” “story can be used as a means of personality education.” 이 논문은 화법교육의 관점에서 이야기 능력과 이야기 능력 발달에 관한 주요 국내외 연구 동향을 고찰하여, 화법교육에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이야기 능력과 이야기 발달에 관한 연구 동향을 1) 기술적 접근, 2) 규범적 접근, 3) 치료적 접근으로 나누어 논의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리고 세 접근을 학문적 배경, 연구 방향, 새로운 가능성 측면에서 각각 논하였다. 기술적 접근에서는 ‘이야기는 구조다’, ‘이야기 문법을 기술하다’, ‘이야기를 입히다’라는 세 명제를 주제로 하여 연구 동향을 논하였다. 규범적 접근에서는 ‘이야기는 능력이다’, ‘이야기 능력 발달의 지표를 찾다’, ‘이야기 능력의 발달을 기술하다’라는 세 명제를 주제로 하여 연구 동향을 논하였다. 치료적 접근에서는 ‘이야기는 은유다’, ‘이야기를 해체하여 다시 쓰다’, ‘이야기로 인성을 기르다’라는 세 명제를 주제로 하여 연구 동향을 기술하였다. 이 논문이 화법교육의 관점에서 이야기 능력과 이야기 능력 발달을 연구하는 후속 연구의 나침반 노릇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초등학생 화법능력의 대규모 직접평가에 관한 기초연구

        유동엽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7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5 No.-

        이 연구는 다음의 세 질문에 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화법능력 판별함수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화법능력을 대규모로 직접평가할 수 있는가? 둘째, 화법능력의 평가결과가 초등학생의 화법능력과 화법교육에 관하여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셋째, 이 연구를 통해 화법능력 판별함수를 활용한 대규모 직접평가의 시행에 관한 어떤 시사점을 얻을 수 있는가? 이를 위해 대전과 충남지역 초등학교 3학년 64명, 5학년 73명을 대상으로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한 초등학교 3학년의 화법능력 판별함수는 정준상관계수가 .784이며 분류정확률은 66.7%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화법능력 판별함수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화법능력을 대규모로 직접평가할 수 있다. 둘째, 초등학교 3학년은 화법능력이 전반적으로 부족하며, 자기소개대화를 제대로 하지 못한다. 그리고 초등학생의 화법능력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 유창성과 직결된 말의 속도가 가장 주요한 판별요소로 재차 확인되었다. 셋째, 화법능력의 대규모 직접평가가 성공적으로 시행되려면 평가 상황을 동일하게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기소개대화갈래는 학생 상호 간의 모방에 취약하므로 앞사람의 화법을 쉽게 따라할 수 없는 대화갈래를 화법능력의 대규모 직접평가에 활용하는 방안도 모색되어야 한다. 대화능력의 평가에 관한 연구와 갈래, 연령, 성, 지역, 계층, 상황을 달리하는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answer to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First, is it possible to do the large scale direct evaluation of oral-communication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OAES) by using discriminant function and self introduction dialogue? Second, what can we deduce about OAES and the oral communication education from the results of this evaluation? Third, what can we deduce about the execution of the large scale direct evaluation of OAES from the present study? To achieve this purpose, present study analyzed self introduction dialogues of 137 elementary students(Grade 3 and Grade 5). Present study induced the discriminant function that discriminate optimally the OAES through discriminant analysis. The canonical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is discriminant function was .784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9). The hit-ratio of this discriminant function was 66.7%. In the rest part of present study, researcher answered to the above three questions.

      • KCI등재

        " 썰렁하다 " 의 담화 분석 : 놀이 담화의 종결 방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ermination strategy of word play discourse

        유동엽,인혜련 국어교육학회 1999 國語敎育學硏究 Vol.9 No.1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termination strategy of word play discourse by focusing $quot;ssollonghada$quot; expression. $quot;Ssollonghada$quot; is a kind of Ice-breaking expression(device) of Korean Discourse. $quot;ssollonghada$quot; is not only a marker which terminates 'transaction' and evaluates discourse success, but also a positive strategy which participants use to preserve word play discourse maintenance. We explain the meanings and the functions of $quot;ssollonghada$quot; by two dimension: Leader and co-ordinator(s). In case of Word play discourse boring, Co-ordinator(s) use $quot;ssollonghada$quot; [coordinators' 'ssollonghada' strategy(1)], which adjusts, evaluates the discourse, and rescues leader's face through making participants laugh. This strategy bases on the Cooperation principle that participants share. Sometimes coordinators use $quot;ssollonghada$quot;[coordinators' 'ssollonghada' strategy(2)] by pretending to discourse is boring, even word play discourse is really enjoyable. In this case $quot;ssollonghada$quot; appeals strong friendship and intimacy of coordinators) to leader. Sometimes coordinators) enjoy theirselves through contesting the originality of $quot;ssollonghada$quot; expressions each other. And, leader often uses $quot;ssollonghada$quot;[leader's 'ssollonghada' strategy(1)] in case of participants calm. Speaking $quot;ssollonghada$quot; himself, leader can amuses coordinator(s). Through this strategy, he can preserve himself's face, and escape inconvenient situation. Leader's 'ssollonghada' strategy(2) is used within the so called $quot;sa-o-Jung$quot; series which is famous humor series. In these discourses, leader premises coordinator(s)'s $quot;ssollonghada$quot; response. In spite of discourse boring, leader appeals `expected laugh' to co-ordinator(s) who accustom to these discourses type. In this article, We analyzed the very fme aspect of word play discourse. Because discourse analysis is vast, unexplored New world, We hope more discourse analysis researches and studies follow from now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