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박상륭 소설의 존재론 연구

        유달상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박상륭 소설을 존재론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박상륭에게 있어서 하나의 존재는 그 자체로 하나의 우주다. 박상륭은 여러 가지 개념을 동원하여 자신이 소설로 형상화한 우주를 표현하고 있다. 그것을 하나로 엮은 소설 속 용어는 ‘한 벌의 우주’이다. 그것은 우주를 하나로 보는 태도다. 이 하나의 우주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박상륭이 제안하는 개념들 하나하나로 소급하여 그 각각의 의미와 그것들 상호간의 존재론적 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이러한 논의를 박상륭 소설의 우주적 존재론과 진화적 존재론, 그리고 시간적 존재론으로 나누어 설정하였다. 박상륭 소설의 우주와 진화 그리고 시간은 서로 분리되어 있지 않고 일의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우주는 진화하고 그 진화는 시간의 과정 속에 나타난다. 진화의 각 단계는 우주의 국면들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진화적 국면들은 시간 안에서 수행된다. 시간은 우주의 운동과 맥락을 같이하고 있으며 그 시간 과정은 또한 진화의 과정이다. 그런데 이 모든 존재 양상은 ‘생명’의 존재 양상과 다르지 않다. 바로 생명과의 관련성으로 인하여 박상륭의 존재론은 형이상학에만 머물지 않는다. 생산 욕망인 무의식의 자기 원인과 자기 생산, 이것이 우주와 진화, 그리고 시간에 걸쳐져 있는 박상륭의 생명의 존재론의 원리이다. 그것은 한 생명을 개인, 혹은 개아로 보는 관점에서 확장하여 집단 또는 사회적 생명성으로 인식하는 태도이며, 시간의 영속적 순환은 역사라는 이름으로 그 생명성을 지속해 나간다. 본고의 첫 번째 주제인 우주적 존재론에서는 프라브리티 우주와 니브리티 우주, 그리고 신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프라브리티와 니브리티라는 개념은 『칠조어론』에 등장한다. 박상륭은 이 개념들을 횡적 진화와 종적 진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안하고 있다. 프라브리티 우주는 ‘몸의 우주’와 ‘말씀의 우주’에 걸쳐져 있고, 니브리티 우주는 ‘마음의 우주’를 나타낸다. 프라브리티 우주는 ‘상극적 질서’를 원리로 삼고 있는데, 이 상극적 질서는 진행, 진화, 움직임의 원인이다. 니브리티 우주는 이와 상대적으로 퇴행, 역류, 정지등의 의미를 담고 있다. 프라브리티 우주는 화현의 세계에 속하고 니브리티 우주는 비화현의 세계에 속한다. 그런데 이 두 우주는 서로 분리되어 있지 않은 우주의 두 국면이다. 두 우주는 내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러한 내재적 일의성은 박상륭이 인간의 존재론적 과제라고 강조하는 진화론으로 수렴되어 인간의 진화란 외재적 기준이나 요구에 의한 것이 아니라 자기 스스로의 내적 수행을 통해 더 높은 차원의 인격(혹은 신격)을 실현하는 것으로 귀결되고 있다. 일의성이라는 존재의 안감으로서 존재의 양상들은 움직임이 다른 존재와 상호소통하면서 스스로를 변용한다. 여기서 존재는 내재적으로 자기를 부정하면서 다른 양태를 보이며 자신을 변용해 나간다. 세 우주 사이의 가운데에 있는 말씀의 우주가 신과 인간을 분리된 존재로 보는 것은 이렇게 하나의 우주 속의 내재적 양태의 자기부정과 전이, 변질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역설적이게도 일원론에서 이원론으로의 자기부정, 그리고 그것의 재부정인 일원론으로의 순환은 존재의 내재적 일의성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된다. 하나로서 여러 국면을 갖는다는 것은 존재론적 변화와 차이를 실현하기 위한 조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논의는 다음의 주제인 진화적 존재론으로 이어진다. 몸의 우주, 말씀의 우주, 마음의 우주는 진화론적 차원에서 유정의 자기 발전을 통해 도달해야할 목표이기도 하지만 각각의 우주는 서로에 대해 외재적이지 않다. 세 우주 역시 서로 연결된 하나의 우주의 서로 다른 국면이다. 생명은 시간이 그러하듯이 시간과 함께 순환한다. 여기서 몸을 한 개인의 유기체적 존재로 보는 시각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삶과 죽음, 그리고 그 순환을 담지하는 것은 자연이다. 따라서 자연도 우주의 또 다른 몸이다. 박상륭이 나무, 거미, 해골 등 식물과 동물, 그리고 죽음의 상징을 두루 포괄하여 몸에 대한 비유를 하는 데에는 몸에 대한 인식을 생명성이라는 우주적 차원에 기반하고 있어서이다. 말씀의 우주에 이르러 유정은 진화의 개념을 존재론적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말씀의 우주가 나타내는 진화의 과정은 자기부정 혹은 자기 희생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말씀’은 기독교 교의를 우선적으로 떠올리게 하지만, 박상륭의 관점은, 작가가 스스로를 통종교론자(자이나교도)로 일컫는 만큼 불교를 비롯한 다른 종교의 상징성 또한 폭넓게 받아들이고 있다. 몸의 우주를 발판으로 세상에 현신한 말씀의 우주는 마음의 우주의 탄생으로 이어진다. 박상륭에게 있어서 생명이란 몸을 가진 개체만이 아니라 그 개체가 지닌 감정이나 윤리적 태도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여기서 개체와 개체가 지니는 감성이나 윤리적 태도에는 위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종차를 인정하지 않고 평등한 존재들 사이의 상호소통을 통해 자신을 변용해 나가는 존재의 무한한 가능성에 대한 이론인 들뢰즈의 정동이론과 만난다. 정동이론을 통해 들여다본 박상륭의 세계에서 진화는 곧 자기 가능성을 자유롭게 실현해나가는 생명성의 생성이다. 따라서 본고는 박상륭의 세 우주를 포괄하는 개념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생명’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박상륭은 생명의 관점에서 우주를 본다. 그 생명주의적 태도는 진화를 위로부터 아래로 하강하는 관점이나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는 상승론적 관점이 아니라 유정이 처한 자리에 알맞은 자기중심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태도와 연관된다. 박상륭은 이 관점을 중관론이라 명명하고 있다. 중관론은 우주론을 비롯하여 신과 인간의 관계와 진화를 보는 데에 있어서 박상륭이 철두철미 고수하고 있는 인간 중심의 태도를 보여준다. 그것은 도달해야 할 목적의 단계에서 유정들을 이끌어올리는 것이 아니라 ‘지금’, ‘여기’에 처한 인간들 각자가 자기를 주체로 삼아 자기를 끌고 나아가는 존재론적 기투의 일면이기도 하다. 박상륭의 중관론이 긍정하는 주체란 동일성으로 회귀하는 주체가 아니다. 박상륭의 주제는 해탈이며 초월이지만 그것은 상위적 동일성을 지향하는 해탈이나 초월이 아니다. 이 지점에서 플라톤적 상위원리로 수렴되는 동일성과 들뢰즈적 내재적(혹은 무한한) 동일성을 구별해야 한다. 박상륭의 동일성은 죽음을 통해 다른 존재가 되는 것이 아니라 초월 혹은 해탈을 통해서도 존재론적 동일성을 유지한다는 바로 그 동일성이다. 플라톤적 동일성은 다른 존재가 되는 동일성이다. 그런 면에서 들뢰즈의 내재적 일의성의 맥락에 서 있지만 플라톤적 동일성은 외재적 동일성에 서 있다. 본 논문은 박상륭의 초월이나 해탈은 내재적 동일성 안에서의 진화임을 밝히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죽음의 한 연구』 제 17일의 서사에는 시간론을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도면들이 등장한다. 그 도면의 마지막은 시간의 종적 횡적 움직임이 ‘양극을 갖는 타원형’ 안에 들어가는 것으로 정리되고 있다. 이는 시간의 움직임이란 다름 아닌 생명의 움직임이라는 박상륭적 상징 그 자체다. 시간은 태어나고 죽는다. 극소의 시간과 극대의 시간들이 종축과 횡대로 나뉘며, 시간의 무덤(묘혈)이라고 일컬어지는 시중을 통과하며 중생한다. 이러한 삶과 죽음, 그리고 순환과 재생은 ‘양극을 갖는 타원형’이 보여주는 생명의 흐름과 일치한다. 시간은 곧 생명이다. 박상륭의 이러한 시간관은 스토아 학파의 시간관을 발전시킨 들뢰즈의 시간관과 상통한다. 들뢰즈에게도 시간은 존재의 생성을 이루는 생명의 작용이다. 들뢰즈는 이를 시간에 대한 세 종합 이론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그것은 차이(새로운 생성)만이 영원히 반복된다는 영원회귀로 설명된다. 이는 박상륭의 양극을 가진 타원형의, 생명의 운동으로서의 시간 운동이기도 하다. 우주론과 진화론, 그리고 시간론을 통해 살펴본 박상륭의 세계는 존재론적 발전과 변화를 희구하는 이들에게 희망의 서사로 주어진다. 그 희망은 외재적 존재를 통한 의존적 구원관이 아니다. 그것은 철저히 현세적이며, 지상에서의 나날의 삶의 과정 속에 바람직한 존재를 정립하고자 하는 각 주체들에게 맡겨진 존재론적 과제로 영원회귀한다. ABSTRACT A dissertation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a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in Korean Language & Literature conferred in August 2020 A Study on the Ontology of Park Sang-ryung's Novel You-Dal Sang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Hong-Hye Weon) This thesis examines Park Sang-ryung's novel in terms of ontology. For Park Sang-ryung, one being is in itself a universe. Park Sang-ryung expresses the universe that he embodied as a novel by using various concepts. The term used in the novel is 'A universe of a pair'. It is an attitude of seeing the universe as one. To examine this single universe, it is necessary to retrospectively examine each of the concepts proposed by Park Sang-ryung and examine the ont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each meaning and each of them. This study sorted these discussions into cosmic ontology, evolutionary ontology, and temporal ontology of Park Sang-ryung's novel. The universe, evolution, and time in the novel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connected in a monolithic way : the universe evolves and its evolution appears in the process of time. Each step of evolution shows the phases of the universe, and these evolutionary phases are proceeded within time. Time is in the same context as the motion of the universe, and the process of time is also the process of evolution. But all of those aspects are not different from the aspects of the existence of 'life'. Because of the relevance to life, Park Sang-ryung's ontology does not stay only in metaphysics. The self-cause and self-production of unconsciousness, which is the desire for production, is the principle of Park Sang-ryung's ontology of life that spans space, evolution, and time. It is an attitude that recognizes a life as a group or social life by expanding from the viewpoint of seeing a life as an individual, and the permanent cycle of time continues its life in the name of history. In the first theme of this study, cosmic ont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avriti universe, the Nivrityi universe, God and man was examined. The concept of Pravriti and Nivriti appear in the 『Chiljoron』. Park Sang-ryung proposed these concepts to explain lateral evolution and longitudinal evolution. The Pravriti universe spans the 'universe of body' and 'the universe of word', and the Nivriti universe represents the 'universe of mind'. The Pravriti universe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an ambivalent order', which is the cause of progress, evolution and movement. The Nivriti universe has the meaning of regression, reflux, and repose. The Pravriti universe belongs to the visible world, and the Nivriti universe belongs to the invisible world. But these two universes are two phases of the universe that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two universes are inherently connected, and this ‘inhérent univocité’ is converged into the theory of evolution that Park Sang-ryung emphasizes as a human ontological task, resulting in human evolution realizing a higher level of personality (or deity) through his own internal disciplines, not by external standards or demands. As the lining of existence, the aspects of existence affects themselves by communicating with other beings. Here, existence inherently denies itself and affects itself with different aspects. The universe of the Word in the middle of the three universes sees God and man as separate beings, which represents the self-denial, transi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inherent mode in this universe. Paradoxically, therefore, the self-denial from monism to dualism, and its renegativity, the circulation to monism, are the basis for supporting the ‘inhérent univocité’ of existence. The fact that it has several phases as one is a condition for realizing ontological changes and differences. This discussion leads to the following theme: evolutionary ontology. The universe of the body, the universe of the Word, and the universe of the mind are also goals to be reached through the self-development of the human at the evolutionary level, but each universe is not external to each other. The three universes are also different phases of one universe connected to each other. Life circulates with time, as time does,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view of the body as an organic being of an individual, and it is nature that carries life, death, and its cycle. So nature is another body of the universe. Park Sang-ryung's understanding of the body is based on the cosmic dimension of life in the metaphor of the body, including plants, animals, and symbols of death, such as trees, spiders, and skeletons. In the universe of the Word, We accept the concept of evolution ontologically ; the process of evolution represented by the universe of the Word appears as self-denial or self-sacrifice. Although 'Word' reminds us of Christian doctrine first, Park Sang-ryung's view also broadly accepts the symbolism of Buddhism and other religions as the artist refers to himself as a total religious person (Zina). The universe of the world with the foothold of the body's universe leads to the birth of the universe of the mind. For Park Sang-ryung, life is not only an individual with a body but also a concept that encompasses the emotions and ethical attitudes of the individual. There is no hierarchy in the emotions or ethical attitudes of individuals and individuals. This meets Gilles Deleuze's theory of affectiveness, a theory of the infinite possibilities of beings that transform themselves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equal beings without acknowledging the difference. In Park Sang-ryung's world, which he looked into through theory of affectiveness, evolution is the creation(devenir) of life that freely realizes self-possibility. Therefore, this thesis emphasizes that if there is a concept that encompasses the three universes of Park Sang-ryung, it is 'life'. Park Sang-ryung sees the universe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The bio-attitude is associated with the view of evolution from the top to the bottom, not from the ascending view from the bottom to the top, but from the self-centered view that is suitable for the position of the human. Park Sang-ryung calls this view ‘Madhyamika’. The theory of ‘Madhyamika’ shows the human-centered attitude that Park Sang-ryung adheres to in terms of cosmology, as well as the relationship and evolution of God and man. It is not a step to bring up the human at the stage of the purpose to be reached, but also a side of ontological ‘Entwurf’ in which each human being 'now' and 'here' takes himself as the subject and leads him. The subject that Park Sang-ryung's theory of ‘Madhyamika’ affirms is not the subject that returns to ‘identité’. Park Sang-ryung's theme is devolution and transcendence, but it is not devolution or transcendence that aims at upper-level ‘identité’. At this point, we must distinguish the ‘identité’ converged to the Plato top principle and the Deleuze ‘inhérent univocité’(or ‘infinite identité’). Park Sang-ryung's ‘identité’ is not to be other being through death, but the same ‘identité’ that maintains ontological ‘identité’ through transcendence or liberation. Plato ‘identité’ is the ‘identité’ that becomes another being, and in that respect, it stands in the context of Deleuze's ‘inhérent univocité’, but Plato ‘identité’ stands in extrinsic ‘identité’.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Park Sang-ryung's transcendence and liberation are evolution within intrinsic ‘identité’. The epic of the 17th day of 『A study of death』, there are various drawings to explain the theory of time. The last part of the drawing is that the longitudinal and lateral movement of time enters the 'ellipse with two poles'. This is the Park Sang-ryung symbol of the movement of life, not just the movement of time. Time is born and dies. Very minimal times and maximal times are divided into longitudinal axis and transverse axis, and they are regenerated through the ‘central time’, which is called the tomb of time. These life, death, and circulation and regeneration are consistent with the flow of life shown by the ‘ellipse with two poles’. Time is life. Park Sang-ryung's view of time is in common with Deleuze's view of time, which developed the view of time of the Stoic school. Time is also the action of life that creates existence for Deleuze. Deleuze explains this in three comprehensive theories of time, which is explained by the eternal regression that only differences (new creation) are repeated forever. This is also a time movement as life-movement like ellipse with two poles suggested by Park Sang-ryung. Park Sang-ryung's world, which was examined through cosmology, evolution, and time theory, is given as a narrative of hope to those who desire ontological development and change. The hope is not a dependent salvation through an external being. It is thoroughly real life and eternally returns to the ontological task left to each subject who wants to establish a desirable existence in the process of life on the ground.

      • 신상웅 소설의 작중 인물 연구 : 「히포크라테스 흉상」과 『심야의 정담』을 중심으로

        유달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Shin Sang Woong entered the literary world in 1968, when his medium-length novel「The bust of Hippocrates」was accepted by the journal,「Sae Dae」, and he published over fifty short-length novels and four full-length novels including 『A three-man talk at midnight』. He was in high gear in writing storys for about fourteen years to 1981, leaving outstanding mark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ith controversial works in succession, which play leading roles in Korean literature. Especially he succeeded in grasping and with prominence forming the reality of severely confusing, torturing Korean society of late 20th century with his persistent passion for research based on sturdy, undefeated spiritual strength. So, early in his career, he came to be named a 'realist' by these and those literary critics. However, it seems to expose some problems in that his novels were unfairly being interpreted in connection with social reform and analyzed slanted only toward their themes . And it is true that sufficient full -scale studies on his works have not been carried out yet in spite of his brilliant literary accomplishment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put a new perspective on his literary achievements through the method of internal analysis on them, from the critical viewpoints mentioned above. Especially this study considers the personality of characters appearing in「The bust of Hippocrates」 and 「A three-man talk at midnight」intensively. This study applies as a main theory of characters' analysis the theory of characters of 「Narrative Fiction: Contemporary Poetics」 by S. Rimmon-Kenan, and includes other various character type theories like the theory of classical character type by E.M Foster, and the theory of mythical character type by N Frye, as well as the theory of formalism character type and the theory of realism character type. This is because his novels cannot be locked in limitative standpoints and arguments of realism and so the essential qualities of his literary works can be seized only through various points of view of characters' analysis. The characters in his novels are defeated or in the worst cases get to lose their lives in endless discord with real world. But the fact has important meaning that the characters are not trapped in their defeats or deaths ; on the contrary, they push the button of social change or reform. Main character, Mun jip in 'Hippocrates bust' comes to die out finally through irresponsibility and negligence of an army surgeon, but he is interpreted as a symbol of rebirth of existence through his persistent willpower and attitude toward life and world. Four young people in 'A three-man talk at midnight' are read the same way. Shin Sang Woong's novels show a great accomplishment in forming supporting characters without impairing main idea or motive. He attains typical types of characters through characters such as Military medics, the U.S. Army nursing adviser and co-patients in 'Hippocrates bust' and their processes of changes expressed and formed objectively. Through his connected composition of the characters as well as the each character, we can understand as the emblems of the vice, the betrayal and the defeat which put down roots under the political whirlpool of the korean recent and contemporary history such characters as superior Bak, Suduk, Minuk's father Bak, Inryung, Junhak's father Seo, Ilrak, Yongjeom's father Ju Sangjin and Yu, Chiyoung who is a running dog of Japan imperialism. Moreover, through the effective appellation of the characters, he shows elaboration of depiction of the characters without missing slightest effect. Like this, Shin Sang Woong novels creates the character who pertinaciously tries to awake though continuously harassed by human enervation in the unreasonable circumstances. He shows us through the characters the spirit or mentality which should be pursued to overcome the faults and unfairness of the world. 신상웅은 1968년 <<세대>>지에 중편 「히포크라테스 흉상(胸像)」이 당선되어 문단에 나온 이래 50여 편의 중단편과 『심야의 정담』 을 비롯하여 4편의 장편소설을 출간하였다. 그의 왕성한 창작활동 기간은 등단한 해인 1968년부터 1981년까지 약 14년 남짓하다. 신상웅은 비록 짧은 기간이나마 한국문학의 이정표가 될 만한 문제작을 연이어 발표함으로써 한국 문학사에 보기 드문 족적을 남긴 작가이다. 특히 그는 지극히 혼란하고 고통스러웠던 20세기 후반기의 한국사회 현실을 특유의 강인한 정신력과 정밀하고 질긴 탐구력을 바탕으로 포착하여 탁월하게 형상화하는데 성공하였다. 그리하여 신상웅은 많은 평론가들로부터 일찍이 ‘리얼리스트’로 명명되어 왔다. 그런데 그러한 명명은 신상웅소설을 지나치게 현실 변혁과 관련하여 해석하거나 주제에 치우친 분석에 그치는 등 적지 않은 문제점을 노출해 왔다. 아울러 그의 문학적 성취에 비해 본격적인 연구 성과가 미흡했던 것도 사실이다. 이 연구는 그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신상웅소설에 대한 내재적 분석을 통해 그의 문학적 성과에 한 걸음 다가서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특히 그의 데뷔작인 히포크라테스 흉상과 대표작으로 알려진 심야의 정담에 등장하는 작중 인물의 성격을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인물분석의 주요 이론으로 S. 리몬-케넌의 『소설의 시학』의 인물론을 토대로 하여 E.M.포스터의 고전적 유형론과 N.프라이의 신화론적 인물유형론, 그 외에 브레몽의 유형론 등 다양한 인물유형론과 사실주의 인물론, 형식주의 인물론을 함께 적용하였다. 이것은 신상웅의 소설이 리얼리즘적 논의의 한계에 갇힐 수 없다는 판단 때문이기도 하지만 다양한 측면과 층위의 인물분석이 신상웅문학의 본질에 접근할 수 있는 첩경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었다. 신상웅의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현실세계와 끝없는 불화를 겪으며 더러는 패배하고 심지어 불행한 죽음에 이르기도 한다. 그러나 그 패배는 패배에 그치지 않고 현실 변화와 개선을 향한 계기로 작동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 「히포크라테스 흉상」의 주인공 문집은 결국 군의관의 무책임과 방관 속에서 죽어가지만 생에 대한 의지와 치열한 세계 인식태도는 그의 죽음으로 마감되지 않는 부활의 상징으로 읽힌다. 『심야의 정담』에 등장하는 네 젊은이 또한 그러하다. 신상웅소설은 주변 인물들의 형상화에도 주제의식과 어긋나지 않는 뛰어난 성취를 보이고 있다. 「히포크라테스 흉상」의 군의관들과 위생병, 미군 간호고문, 동료환자들은 현실의 타락한 모습과 그 변화과정을 객관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인물의 전형성을 획득하고 있다. 『심야의 정담』에 등장하는 박수덕 상사와 민욱의 부친 박인령, 준학의 부친 서일락, 용점의 부친인 주상진, 그리고 일제의 앞잡이인 유치영 등은 한 인물로서 뿐만 아니라 인물들간의 연결 구도를 통해 한국 근현대사의 정치적 소용돌이 속에 깔린 악덕과 배신, 패배의 표상으로 읽을 수 있다. 그 밖에 신상웅은 각 인물들의 이름을 효과적으로 아펠레이션 함으로써 사소한 효과도 놓치지 않는 작중인물 형상화의 치밀성도 보여주고 있다. 이렇듯 신상웅소설은 불합리한 환경 속에서 인간적 나약함에 시달리면서도 치열하게 깨어 있으려는 인물들을 창조했으며 그로 하여금 우리에게 세계의 부당함과 거짓을 극복하기 위해 지향해야 할 정신이 무엇인지를 보여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