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디어 블록체인의 비전과 가치: 미디어 블록체인의 ICO 백서(white paper) 분석을 중심으로

        유경한,윤호영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5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ision and value of blockchain media projects. To be precise, the study delves into the differentiation of visions and values between content-based media projects and social-sharing and technology-centered media projects. Total 109 ICO white papers of the blockchain projects are collected from eight ICO sites and are analyzed. By employing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the study has revealed three main findings. First, the vision and value between different types of projects are clearly distinguished. Transparency to innovate the current market structure was the top technology value of blockchain technology to the content-based projects, while the reward system and engagement was the one to social sharing and technology-centered projects. Second, the emphasis of the social sharing and technology-centered projects was given to the networked community. In contrast, the content-based projects prioritized the business ecosystem to sustain their projects. Finally, the social sharing and technology-centered projects had shared vision and values regardless their nature of services, which was not seen in the content-based projects. The content-based projects were more diverged in their values and vision depending upon the nature of their intended services. Overall,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blockchain media projects, particularly more than simple aggregation of the media projects as opposed to other projects such as financial services. 이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미디어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세부 영역별로 지향하는 비전과 가치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둘째, 블록체인의 기술적 속성이 미디어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비전과 가치와 어떠한 방식으로 접목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8개의 주요 암호화폐공개 (ICO) 사이트에 공개된 총 109개 백서를 대상으로, 단어 빈도분석과 단어 연결망 분석, 그리고 감성 분석의 세 가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콘텐츠 기반 프로젝트와 소셜-공유 기반 프로젝트 사이에는 강조되는 가치의 내용 차이가 존재하였다. 콘텐츠 기반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수익분배의 투명성 제고와 기존 시장질서의 재편을, 소셜-공유 기반 프로젝트는 참여자 간 상호교류 활동의 주체인 참여자에게 적절한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둘째, 소셜-공유 기반 프로젝트는 비즈니스 생태계보다는 공동체로서의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반면, 콘텐츠 기반 프로젝트에서는 경제적 측면에서 비즈니스 생태계를 혁신하는 것이 더 중요한 가치로 밝혀졌다. 셋째, 연결망 분석 결과, 콘텐츠 기반 프로젝트에서는 블록체인의 기술적 특징 중 투명성과 같은 기존 플랫폼의 독과점 구조와 관련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비전이 강하게 드러난 반면, 소셜-공유 기반 프로젝트는 네트워크 효과와 관련된 보상 시스템을 더욱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감성 분석의 결과, 소셜-공유 프로젝트는 모든 서비스에서 공통으로 공유되는 비전과 가치가 비교적 분명한 데 비해, 콘텐츠 기반 프로젝트는 개별 서비스가 지향하는 비전과 가치가 기술적 속성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형성될 가능성을 보였다. 이 연구는 미디어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미디어 산업 분야와 기술적 속성, 산업 내 행위자의 행위적 지향의 삼자관계 속에서 추구되는 비전과 가치를 맥락적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KEDI 창의적 인성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경재(柳京在),한윤영(韓允榮),하주현(河周賢)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용 및 중·고등학생용‘KEDI 창의적 인성검사(Creative Personality Scale)’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검증한‘KEDI 창의적 인성검사’는 종래에 논의되어 온 다양한 창의적 인성이론들을 검토하고, 기존의 창의적 인성검사들의 장단점을 활용 및 보완하여, 초ㆍ중고생들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한 문항으로 차별화시켜 개발한 검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및 기 개발된 창의적 인성검사의 분석을 토대로 새롭게 개발한‘KEDI 창의적 인성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되, 내적일치도, 구인타당도, 변별 및 수렴타당도, 준거타당도의 측면에서 분석했다. 내적일치도는 초등학생용의 경우 .60이상으로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났고, 중ㆍ고등학생용의 경우 판단의 독자성과 사고의 개방성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이 .60 이상으로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인타당도 결과는 초등학생용의 경우 주요 적합도지수인 RMSEA(.050), CFI(.904), TLI(.883), IFI(.905)에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ㆍ고등학생용의 경우 RMSEA(.050), CFI(.838), TLI(.801), IFI(.840)에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주현의 창의적 인성검사(2000)와의 상관을 통한 준거 타당도 결과도 초등학생용의 경우 .809(P<.01)로 높았고, 중ㆍ고등학생용의 경우 .731(P<.01)로 높게 나와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KEDI Creative Personality Scale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 The existing creative personality scales(CPS) is outdated by excessive or insufficient items, focused on several limited abilities for adult. But this verified KEDI CPS is not only included comprehensively what have been argued and developed for 10 years about creative personality, but also is differentiated by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 To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KEDI CPS, we analyze internal consistency of scale for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and discriminative validity.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is relatively higher than .60, and all the factors except ‘the independent decision making’ and ‘the openness of thought’ are relatively higher than .60.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MOS to verify construct validity revealed tha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cluding 6 construct validity in KEDI CPS showed fit index at a satisfactory level as follows. The major fit indexes are showed as follows; RMSEA(.05), CFI(.904), TLI(.883), IFI(.905) in the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RMSEA(.050), CFI(.838), TLI(.801), IFI(.840) in the scale for secondary school student. Futhermore, to secure criterion-related validity, this KEDI CPS showed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Hah’s Creative Personality Scale elemantary for r=.809(p<.01), secondary for r=.731(p<.01)).

      • KCI등재

        숏폼 콘텐츠의 형식적, 내용적 특성이 이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틱톡 뉴스를 중심으로-

        유경한,강지안,장자원,최지은,독몽기,왕일범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22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25 No.12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features of TikTok News, a newly emerging form of news content, as well as the elements of TikTok news that affect users' reactions based on the number of views, likes, and comments. The survey's findings indicate that individuals prefer hard news and anecdotally focused frameworks when it comes to content. Second, it was found that among the formal components, the source of the information—whether it was present or not—was a content aspect that affected how news was used. However, among the formal aspects, neither the image processing technique nor the caption's attribute had any effect on any of the three TikTok metrics (view count, likes, or comments). Last but not least,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nt and formal components had an impact on user response. This demonstrates that despite the fact that TikTok users are substantially distinct, they generally consume news similarly.

      • KCI등재

        정읍시 MZ세대의 청년정책 만족도와 정주 요인의 관계 : 청년정책 활용, 미디어 이용, 지역사회 참여를 중심으로

        유경한,이민희 서강대학교 미디어융합연구소 2023 언론문화연구 Vol.35 No.-

        이 연구는 지역 MZ세대가 지역 사회에 정주하면서 지역공동체의 핵심 구성원으로서 자리매김하기 위해 요구되는 다양한 정주 요인의 연관성을 파악해보는 탐색적 목적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지역소멸을 대표하는 도시 중 하나로 정읍시를 선정하고, 정읍시 MZ세대를 대상으로 청년정책의 인식과 활용, 미디어 이용, 지역사회 참여의 관계에 대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해 설문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지원사업에 대한인지와 활용, 인지 대비 활용 수준 모두 전반적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 청년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고 실제 활용으로 연계하는 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둘째, 지역청년정책 만족도를 기준으로 집단을 구분하여, 집단별 정주 관련 요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정책지지형 집단에서 정주관련 요인이 전반적으로 높았고, 정책불만형 집단에서 가장 낮았다. 또한, 문화복지 정책 만족도가 높은 문화복지 만족형 집단이 상대적으로 문화복지에 대한 불만이 높은 집단에 비해 정책 활용도와 지역사회의 관여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MZ세대를 성별, 연령별로 세분화하여 주요 변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MZ세대는 연령, 성별에 따라 지역사회의 참여와 교류 수준이 차별화되었다. 30대 남성의 지역사회참여가 가장 높았고, 20대 남성이 가장 낮았다. 20대 여성의 사회정치적 참여는 비교적 활발했지만, 연령이 증가할수록 여성의 참여 수준은 정체되거나 오히려 감소했다. 연령, 성별 상호작용 효과를 통해 주요 변인의 차이를 자세히 살펴본 결과, 남성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정책 활용과 참여 수준이 증가한 데 비해, 여성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참여 수준이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20대 여성의 사회참여 유인과 다양성 확보, 30대 여성의 지속적인 사회참여 유인, 그리고 20대 남성의 지역 청년정책 활용 제고의 필요성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has an exploratory purpose of ident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various settlement factors required for the local Millenninals and Generation Zers to settle in the local community to establish themselves as core members of the community.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Jeongeup-si as one of the cities representing regional extinction, and presented three research questions targeting the Millennials and Generation Zers in Jeongeup-si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and use of youth policy services, media use, and community participatio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survey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awareness and use of youth policy services and the level of service use compared to the awareness level were quite low overall. Therefore, a need for measure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youth policies and link them to actual use is raised. Second, groups were classified based on service receiver satisfaction with local youth policies, and differences in factors related to settlement by group were analyzed. As the result, settlement-related factors were generally high in the “policy support group” and the lowest in the “policy dissatisfaction group”. In addition, when the “cultural welfare satisfaction group” with high satisfaction with cultural welfare policies was compared to the group with relatively high dissatisfaction with cultural welfare, the level of policy service use and community involvement was relatively high. In addition, when compared to the group with relatively high dissatisfaction with cultural welfare, the “cultural welfare satisfaction group” with high satisfaction with cultural welfare policy showed relatively high levels of policy use and community involvement. Third, the Millennials and Generation Zers were subdivided by gender and age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major variables. As the results, they showed different levels of community participation and exchange according to age and gender. Community participation was highest for men in their 30s, and lowest for men in their 20s. The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of women in their 20s was relatively active, but as they got older, women’s participation stagnated or actually decreased. The differences in major variables were examined in detail through the age and gender interaction effects. It was observed that men’s level of policy service use and participation increased with age, while women’s level of participation decreased with age. Combining these results, incentives and benefits to draw women in their 20s and 30s to participate in society and men in their 20s to use policy service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