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토사상을 통한 원불교의 신앙성 제고(提高) 모색

        영상(元永常)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9 No.-

        본 논문은 대승불교의 핵심사상 중의 하나인 정토신앙을 통해 원불교의 신앙성을 고양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정토신앙을 선택한 것은 동아시아에서는 민중의 신앙으로써 활발하게 전개되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전편에서는 이러한 정토사상의 발원으로부터 중국, 한국, 일본에 이르기까지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원불교와 정토사상과의 관련성을 기존의 선행연구를 통해 정리하였다. 이어 원불교의 신앙성을 제고(提高)하기 위한 논의로는 정토사상의 시기상응(時機相應)의 정신, 교의 해석의 심층성, 신앙성의 강화 세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시기상응의 정신은 정토사상을 관통하는 방편설은 물론 말법사상에 기반한 인간의 기근(機根)과 시대적 상황에 대응하는 정토 조사들의 의식이 원불교의 교법에서도 계승되고 있음을 밝혔다. 즉, 원불교의 정토사상이 비록 선정쌍수(禪淨雙修)로 귀착된다고 하더라도 시대에 맞는 교법의 창안과 불법의 시대정신은 정토사상의 전통과 상통함을 알 수 있다. 이어 교의 해석의 심층성은 내세정토신앙과 깊은 연관을 갖는 향하문의 보신(報身) 사상을 원불교의 교의가 포용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를 통해 원불교의 교의는 대승불교의 법성사상 및 보살도의 실천에 기반, 정불국의 현실성을 지향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신앙성의 강화에서는 원불교의 신앙의 대상에 대한 호칭의 문제를 비롯하여 「일원상서원문」의 신앙성의 문제, 사대불이신심(四大不二信心)에 있어 진리중심의 해석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성불제중이라고 하는 서원을 자력의 수행만이 아니라 믿음의 체계 안에서도 확립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이 외에도 실제 교화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왕생극락의 발원과 임종 시 염불과의 조화를 어떻게 수용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점도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This paper is about how to revive and enhance the practice of faith in Won-Buddhism through Pure Land Philosophy, one of ideas of Mah?y?na Buddhism. Because the Pure Land faith believed by the people spread actively across East Asia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time. The first half of this paper is treated with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Pure Land Philosophy in China, Korea, and Japan from India where it was originated. And An interrelationship between Won-Buddhist Thought and Pure Land Philosophy is reviewed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alysis. It is suggested in the latter half that the ways to revive and enhance the practice of faith in Won-Buddhism need efforts to keep up with the times, proper hermeneutics of doctrines, and deepening believers’ faith. Many efforts to keep up with the times in the teachings of Mah?y?na Buddhism are continued in Won-Buddhism. We can see that many Buddhists have used Upaya, which is Sanskrit for skilful means or method to advocate salvation for all people. Although Won-Buddhists always practice Zen with chanting Buddha in Pure Land Philosophy, what the doctrines of Won-Buddhism put emphasis on reflecting the spirit of the age are based on the tradition of it. Proper hermeneutics of doctrines is to include religious belief. The researchers are analyzing the structure of doctrines in Won-Buddhism which contains the thought of Sa?bhoga-k?ya who relieves mankind in Buddhist Pure Lands after death. And the doctrines of Won-Buddhism have teachings that believers can change the mundane world into Pure Lands through the thought of Dharmat?, Tath?t? or the origin of all thing, and the way of Bodhisattvas in Mah?y?na Buddhism. Lastly, Several alternatives to the proposal of deepening believers’ faith are suggested. These are a problem of a word to call the subject of belief, a problem to believe in Dharma-k?ya Buddha of the Il-Won-Sang Vow, and a problem to put the stress on the truth in 4 articles of belief. It is necessary to take a vow to achieve buddhahood and deliver all sentient being not only in practicing system but also in believing system.

      • KCI등재

        법인정신과 원불교의 공공성

        영상(元永常)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9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2 No.-

        현대사회는 위기에 처해 있다. 문명 그 자체의 위기라고 할 수 있다. 자본주의가 가져온 피로사회, 중독사회는 인류의 이러한 심리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 뿐만이 아니라 기후환경문제, 대규모 전쟁의 가능성, 사회적 분열 등 다양한 측면에서 그 종말론적 위기감이 더해지고 있다. 불안이 엄습하는 현대사회에서 종교는 과연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라는 물음이 제기된다. 원불교는 기성종교가 타개하지 못한 지구의 위기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근대기에 탄생한 종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라는 표어를 내건 원불교의 종교적 정신은 현대문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처방전이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원불교가 소태산 박중빈과 그 제자들이 1919년, 법계(法界)로부터 인증받기 위해 하늘에 올린 ‘법인기도(法認祈禱)’는 원불교가 사회적 공공성(公共性)을 표방하고 나온 종교임을 보여주고 있다. ‘부처를 이루고 중생을 구제한다’는 성불제중(成佛濟衆), 또는 ‘나를 제도하고 세상을 구제한다’라는 제생의세(濟生醫世)는 이러한 원불교의 종교적 가치를 잘 보여주고 있다. 즉 원불교의 종교성은 ‘세상의 고통을 해결하기 위해 무아의 자세로 공공의 삶을 살아간다’는 무아봉공(無我奉公)의 정신을 나타내는 사무여한(死無餘恨, 죽어도 여한이 없다)의 법인정신(法認情神)에 잘 나타나 있다. 대승불교와 그 근본정신인 참여불교(Engaged Buddhism)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원불교는 세계 인류의 모든 고통을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참여를 적극적으로 해야 하며, 원불교의 가르침이 그러하듯 모든 종교의 가르침을 회통하여 세계를 낙원으로 이끌어 가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아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이처럼 원불교의 종교정신의 근원을 다시 확인하는 것이 그 목표다. 이를 통해 원불교는 철학, 정치, 경제, 문화에 열려있는 종교를 지향해야 한다. 이는 현대문명의 치유를 위해 등장한 종교로서의 사명을 다하기 위한 것이다. 실험적인 1세기를 끝내고 2세기로 접어든 원불교의 정체성 확립과 미래는 결국 이 법인정신을 어떻게 현대사회에 재현해내느냐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modern society is in crisis.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crisis of the culture itself. The burnout society, and the addicted society show this psychological situation of human being. On top of that, there are more problems such as the climate change, possibility of large scale war and social conflict, thus adding to the apocalyptical crisis. In the modern society where the uncertainty is prevalent, we get the question of what kind of role the religion shall play. It is not an overstatement that Won -Buddhism was born in the modern period in order to handle the crisis on Earth, which could not be handled by the existing religions. Accordingly, the religious spirit of Won - Buddhism under the motto of "As the materials open, let"s open the mind." can be one of the prescriptions for solving the problem in modern culture. Furthermore, Sotaesan Park Jung Bin and his disciples made a prayer called "Beopin Prayer(法認祈禱)" to get the certification from Beopgye(法界) in 1919. That shows that Won -Buddhism is the religion proclaiming the public character. The principle "Seongbuljejung(成佛濟衆)", which means that "I first discipline myself, and then educate the public" and the principle "Jesaenguise(濟生醫世)" which means that "I first cure myself and then cure the world" show the religious values of Won -Buddhism. The religiousness of Won -Buddhism is well expressed in the Beopin Spirit(法認情神) of Samuyeohan(死無餘恨), which means the spirit of Muabonggong(無我奉公) "I live a public life with the attitude of living without trying to get my personal gains to solve the pains in the world", showing the endless service mind for the humanity. It contains the mind of Mahayana Buddhism and Engaged Buddhism. Accordingly, Won -Buddhism shall actively make the social participation to solve all pains for the humanity in the world and as shown in the teachings of Won -Buddhism, it shall understand the teachings of all religions and not stop the effort of leading the people to the heaven by spreading the teachings. This study is designed to check the root of religious mind of Won - Buddhism. Through this, Won -Buddhism shall pursue the religion which is opened to philosophy,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This is to accomplish its mission of curing the modern culture.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Won -Buddhism which ended its first experimental century and started its second century depends on how it can reproduce the Beopin Spirit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근대 한국종교의 ‘세계’인식과 일원주의 및 삼동윤리의 세계관

        영상(元永常)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4 No.-

        근대적 의미의 세계주의는 제국주의 팽창의 이념적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오늘날 부상하는 세계주의는 이러한 부정적 이미지로부터 탈피하여 지구를 하나로 보는 관점에서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싹텄다고 할 수 있다. 근대 한국종교는 이러한 측면에서 세계주의를 서양과 동양 문명의 만남의 시점에서 근대 문명의 한계를 뛰어 넘는 새로운 테제로서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들여다보기 위해 근대 한국 종교의 ‘세계’ 인식을 논하는 한편, 근대에 탄생한 신불교인 원불교 교의의 핵심사상에 해당하는 일원세계(一圓世界)와 삼동윤리(三同倫理)에 대한 근현대적인 의미를 해석하는 작업이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불교의 세계관에 대해 살펴본다. 이어 근대에 탄생한 천도교, 대종교와 관련된 사상가들의 세계주의 내지는 사해일가(四海一家)의 사상을 정리한다. 다음으로는 이에 기반하여 원불교의 교조 박중빈(朴重彬)이 깨달음을 통해 확립한 일원주의를 회통성의 입장에서 해석한다. 박중빈이 수행과 신앙의 대상으로 삼은 일원상(一圓相)은 전통 불교의 깨달음의 상징이었다. 이를 우주적이며 인간적인 통섭의 차원에서 새롭게 재해석해 낸 것이다. 삼동윤리는 박중빈의 제자인 송규(宋奎)가 일원주의를 보다 현실 사회에 맞추어 천명한 것이다. 여러 측면에서 위기에 처한 현대사회는 지구적으로 생각하고, 지구적으로 행동해야 할 입장에 놓여 있다. 유네스코를 비롯한 국제기관에서는 지구를 구하기 위한 보편윤리를 제정하고 있다. 분열과 갈등으로 치닫는 근현대문명의 한계를 돌파하기 위해 설파된 일원주의와 삼동윤리는 현 인류가 안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극복하는 하나의 대안으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Cosmopolitanism in the modern concept also played an ideological role in the expansion of imperialism. It can be said that the cosmopolitanism emerging today has sprung up from a critical mind of solving various social problems in the point of view of the earth as one, away from this negative image. In this respect, modern Korean religion suggests the cosmopolitanism as a new these that goes beyond the limits of modern civilization at the point of encounter between Western and Eastern civilizations. In order to look at thi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modern meanings of Ilwonism and Samdong-ethics, the core ideas of Won-Buddhism that is a new Buddhism born in modern times, while discussing the ‘World’ recognition of Korean religion. First, in this study, it examin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ideology of universal brotherhood, including Daedong(大同) Thought by Confucian scholars in East Asia. And then, it summarized the ideology of universal brotherhood or the globalism of thinkers related to Cheondogyo and Daejonggyo, which were born in modern times. And, on the basis of this, it interpreted Ilwonism established through enlightenment by Park Joong-bin, a sect leader of Won-Buddhism, in terms of mutual unification. Il-Won-Sang, which Park Joong-bin considered as a subject for practice and faith, was a symbol of the enlightenment of traditional Buddhism. It was a new interpretation in the level of cosmic and humane consilience. Samdong-ethics is that Song Kyu, Park Joong-bin’s disciple, was to declare Ilwonism more reflecting in the actual society. Modern society, which is in crisis at various levels, is in a position to think globally and act globally. UNESCO and othe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ave established universal ethics to save the planet. It is expected that Ilwonism and Samdong-ethics, which preached to break through the limitations of modern and modern civilization driven by division and conflict, can function as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various problems of humanity.

      • KCI등재

        법인정신(法認精神)과 ‘교강(敎綱)’ 선포 정신의 계승 -지구의 위기에 직면하여-

        영상(元永常)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6 No.-

        본 연구는 한계에 다다른 현대문명을 치유할 해법 모색을 위해 1세기 전에 행해진 원불교 교강(敎綱) 선포의 의미를 새롭게 조명한 것이다. 지금 이 순간 인류는 코로나19라는 바이러스에 의해 극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 인간 욕망의 폭주가 만들어낸 비극이라고 할 수 있다. 원불교 태동의 이유 또한 이러한 인류의 정신을 개벽하고, 물질에 대한 참된 주인으로서 지구와 공존하면서 살아가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특히 1919년 법인성사(法認聖事)는 소태산과 그 제자들이 ‘죽어도 여한이 없다’는 사무여한(死無餘恨)의 정신을 발휘하여 진리계로부터 교단을 인증 받은 사건이다. 이어 행해진 불법의 선언과 기본 교리의 제정인 교강선포는 원불교가 본격적으로 새로운 종교로서 출발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원불교는 말법(末法)시대에 정법회상을 표방하고 나온 종교이다. 이는 대승불교의 시기상응(時機相應)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민중의 눈높이에서 시대에 적절한 불법을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교강선포는 이를 위해 대승사상의 핵심인 반야사상을 통해 현대적인 대승경전을 창출하고자 했던 중요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교강은 1935년 출판된 『조선불교혁신론』에서 보여주듯이 현대적으로 재구성된 불법인 것이다. 대승불교를 계승하고 있는 원불교야말로 보살사상 또는 보살정신을 현대적으로 구현해야 한다. 사무여한의 기도는 6바라밀을 종합한, 현대적 의미의 대승정신을 표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불교는 민중불교, 대중불교, 참여불교의 정신과 일맥상통하며, 현실 속에서 불법을 적극적으로 구현하는 교단으로 볼 수 있다. 낙관할 수 없는 인류의 미래는 종교의 역할이 여전히 필요할 것으로 전망한다. 국경을 넘는 인류 보편적인 사상이 자본주의에 대응할 수 있는 종교의 정신으로 기능하고 있기 때문이다. 원불교가 주장하는 불법의 사회화 또한 같은 길을 가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shed new light on the meaning that Won-Buddhism proclaimed Gyogang (敎綱) as a solution to cure modern civilization which reached the limit. At this moment, the human race is experiencing enormous suffering due to COVID-19. It can be a tragic made by a flood of human desire. Won-Buddhism was begun to reform the human spirit and make people live coexisting with substances as their true owners. Especially, in 1919, Beobin sacred affair (法認聖事) got certification of Sotaesan"s religious body from the wold of the truth as he and his students showed the spirit of being able to die without any regrets (死無餘恨). The declaration of the Buddha-dharma and proclamation of Gyogang, the enactment of the basic doctrines, followed by it mean that Won -Buddhism began in earnest as the new religion. Won -Buddhism appeared claiming to advocate the right dharma-assembly (正法會上) in the era of decline of the Buddha-dharma. This is because it inherits Mahayana Buddhism"s spirit of Sigisangung (時機相應). That is, it tried to realize the appropriate Buddha-dharma for those days at the people"s level. The proclamation of Gyogang is the important event to try to create modern Mahayana Scripture through the philosophy of Prajna or transcendent wisdom, the core of the idea of the Mahayana. Gyogang is the Buddhadharma modernly restructured as shown in Treatise on the Renovation of Joseon Buddhism (朝鮮佛敎革新論) published in 1935. Won - Buddhism that has inherited Mahayana Buddhism should realize the idea or myth of Bodhisattva modernly. It"s because prayers of being able to die without any regrets also claim to advocate the spirit of Mahayana of the modern meaning which aggregates sat-paramita (六波羅蜜). Therefore, Won - Buddhism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spirit of folk Buddhism, popular Buddhism, and engaged Buddhism and can be the religious body that actively realizes the Buddha-dharma. The pessimistic future of humankind is predicted to require religious roles. It"s because the cross-border and universal idea of humankind functions as the spirit of religions to be able to cope with capitalism. Socialization of the Buddha-dharma argued by Won – Buddhism means to go the way of it.

      • KCI등재

        法認精神과 원불교 신앙의 사회적 실천 방향

        영상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1 No.-

        The worldwide spread of COVID-19 triggered by humankind has driven human civilization toward a critical situation. In anomie of human society, the religious world’s roles are important. Especially, Won Buddhism which was created to break through the limit of material civilization has a great responsibility. The spirit of prayers for the dharma authentication (法認祈禱) that calling was certified by heaven by building great vows (誓願) for saving mankind more than 100 years ago needs to be more expanded toward mankind of despair today and the direction of social practice needs to be newly sought. For this, great vows of Mahāyāna (大乘) should be established again. Won Buddhism is the religious movement which saves mankind with the spirit established through collective sacrificial rites. The origin of the great vows is the Four Great Vows (四弘誓願) of Mahāyāna Buddhism which practices the Way of Bodhisattva. There are several specific vows (別願) in the scriptures based on this Four Great Vows, the universal vow (總願). The spirit of Beobin inherited these vows modernistically. Innovation of Won Buddhism belief which inherited the spirit of Mahāyāna Buddhism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belief from the viewpoint of panentheism (汎在神論). The ultimate point of Won Buddhism belief is to make the world the Utmost Bliss of the Pure Land by a conviction about Buddhist nature, belief in the truth of cause and effect, and a ceremonial offering to Buddha about all beings through Dharma-kāya Buddha as One Circle (法身佛 一圓相), the The Fourfold Grace (四恩) belief, and Cheocheobul (處處佛). Socialization of belief should be done through this. The methods are to recover the original nature of belief based on the Buddha-dharma and build justice and peace for rebuilding unstable modern civilization. Won Buddhists should do samyag-dṛṣṭi (正見) of the unequal, unjust, and irrational structure of mankind and correct wrong reality. Like this, the meaning of Won Buddhism’s existence today is to realize the spirit of Beobin to solve problems of modern society. 인간이 촉발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세계적 확산은 현대문명을 한계 상황 으로 몰아가고 있다. 아노미 상태에 처한 인류의 위기에 종교계의 역할이 중요 해지고 있다. 특히 물질문명의 한계를 돌파하고자 나온 원불교야말로 큰 책임 을 지고 있다. 한 세기 전에 인류 구제의 서원(誓願)을 세워 하늘로부터 그 사명 을 인증 받은 법인기도(法認祈禱)의 정신을 오늘날 절망의 인류를 향해 더욱 확 장시키고, 사회적 실천의 방향을 새롭게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원불교 구성원들은 대승(大乘)의 서원을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 다. 법인정신은 희생제의를 통해 확립된 정신이며, 이에 따라 원불교는 인류 를 구제하는 종교운동을 표방한 것이다. 그 기원은 보살도를 실천하는 대승불 교의 사홍서원(四弘誓願)이다. 총원(總願)인 이 사홍서원에 의거, 다양한 별원(別 願)이 경전에 나타난다. 법인정신은 이러한 서원을 현대적으로 계승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원불교 신앙의 혁신성은 범재신론(汎在神論, panentheism)적 신앙과도 상통한다. 법신불 일원상(法身佛 一圓相) 신앙과 사은(四恩) 신앙, 그리고 처처불 (處處佛) 신앙을 통해 우리 안의 불성에 대한 확신, 인과의 진리에 대한 믿음, 모 든 존재에 대한 불공으로 세계를 극락정토로 만들자는 것이 원불교 신앙의 궁 극적인 지점이다. 이를 통해 신앙의 사회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 핵심은 불법에 기반한 신앙의 원초성을 회복하는 것, 불안한 현대 문명을 구제하기 위한 정의와 평화의 구축이다. 인류의 불평등, 불의, 부조리의 구조를 정견(正見)하 고, 잘못된 현실을 바루기 위한 적극적인 사회 참여가 이루어져야 한다. 오늘 날 원불교의 존재 의미는 현대 사회의 병맥을 치유하기 위한 법인정신을 재현 하는 것에 있다.

      • KCI등재

        종교의 사회적 구제와 민중종교론에 나타난 사회참여 -원불교의 평화운동과 교단 변혁을 중심으로-

        영상(元永常)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9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0 No.-

        본 논문은 종교의 사회적 구제와 민중종교론에 나타난 사회참여의 입장에서 최근 사회적으로 첨예화 된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철폐운동에 대한 원불교의 참여와 이를 계기로 확대되고 있는 원불교 평화운동의 의미와 사회참여를 위한 교단의 변혁을 논한 것이다. 최근 3년 동안 한국사회는 사드를 둘러싼 논쟁과 외교적인 마찰이 끊임없이 일어났다. 그러나 그 본질은 한 국가의 법적 체계를 무너뜨리고, 어떠한 효용성도 없는 전쟁무기가 원불교의 성지에 배치되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사드가 배치된 경상북도 성주군 소성리를 중심으로 원불교 교단은 종교 및 사회단체와 연대하며 적극적으로 철폐운동을 벌이고 있다. 이 문제에는 미국의 군사패권과 이를 뒷받침하는 과학과 기업, 그리고 국가권력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는 슬로건을 걸고 태동된 원불교로서는 자신의 종교적 정체성과도 밀접하게 관련된 사안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토대로 현대문명에 대응하고자 나온 현대불교이며 현대종교인 원불교야말로 사드배치가 가져온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보고 있다. 또한 국가의 한계에 대해서 종교는 종교적 방식으로 개입할 수도 있다고 본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먼저 원불교가 가진 시민종교로서의 속성을 밝혔다. 이와 함께 공공종교(公共宗敎)로서 원불교의 사회적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고 본다. 원불교는 참여불교(Engaged Buddhism)로서 자신의 교의 속에 이미 불법을 삶 속에서 구현한다는 사회 참여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제2세기를 맞이한 원불교의 전환의 시기에 교단변혁의 필요성을 기술했다. 그 동안 원불교 반백년 및 백주년 기념대회, 소태산 박중빈 탄생 백주년 기념대회 때에 행한 사회를 향한 다짐의 메시지를 구현하기 위해서라도 적극적인 사회교의의 제정과 사회참여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아울러 이러한 사회참여적 종교 기반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내부적으로 현대사회에 적절한 조직의 재정비, 개방적이며 대중적인 종교문화의 창출, 개혁을 위한 대결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meaning of participation of Won-Buddhism in the movement for elimination of THADD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as well as the meaning of a peace campaign led by Won-Buddhism and changes made in Won-Buddhism for social participation. For the last three years, Korea could not be free from consistent diplomatic disputes and arguments over THADD. In fact, the most important point might be that the weapon of war, of no use and destroys a legal system of one nation, is deployed in the sacred place of Won-Buddhism. Therefore, along with Sosung-ri, Sungju-gun, Gyeongsangbuk-do in which THADD is placed, Won Buddhism has been actively working with various social groups to withdraw the THADD deployment. This issue is complicated by the military supremacy of the US and the material civilization supporting it, in other words, national power and science, and it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religious identity of Won-Buddhism, born under the slogan ‘As material civilization develops, cultivate spiritual civilization accordingly.” In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o be proper for Won-Buddhism to actively respond to the THADD issue since modern Buddhism has been initiated to cope with the modern culture. It also views that a religion can intervene with the limitation of a nation in the religious manner. For such discussion, it is important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Won Buddhism as a civil religion. Also, it would be necessary to enhance social activities of Won-Buddhism further. Since Won-Buddhism is regarded as a participatory religion, it has promoted the idea of exercising the principles of Buddhism in daily life. Therefore, this study has discussed the necessity of transformation of Won-Buddhism in its 2nd century. It would be important to enact the doctrines to promote the social participation of Won-Buddhism in order to exercise and practice the commitments of Won-Buddhism made at the half centenary anniversary and the centenary anniversary of Won-Buddhism, and the contrary anniversary of Sotaesan Park Jung-Min. Furthermore, for Won-Buddhism to create the social participatory founda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re-organize to be more suitable for a modern society and to create the more open and popular religious culture as well as a strong association for reform.

      • KCI등재

        지역산업진흥사업육성정책을 위한 산업클러스터 평가척도개발

        구환(元求桓),구현(元求賢) 한국행정학회 2006 韓國行政學報 Vol.40 No.1

        본 연구는 지역산업클러스터를 성공적으로 추진하는데 필요한 요인은 무엇인가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실제 지역산업클러스터내에 종사하고 있는 기업체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모형의 적실성을 검증함으로써 향후 지역의 산업클러스터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는 객관적 평가지표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실증적 분석은 SPSS 12.0과 AMOS 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성분석, 타당성분석(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br/> 실증적 분석결과, 산업클러스터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기술체제, 생산체제, 비즈니스체제, 인력체제, 정보체제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며, 산업클러스터 내의 기업들이 각각의 체제와 접근성이 용이해지면, 클러스터 내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이는 산업클러스터의 생산성 향상과 경쟁력 강화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성공적인 지역산업 클러스터 구축을 위해 필요한 객관적인 평가척도와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estimate scale for promotion policies of innovative local industries focusing on the process of developing industrial clusters and the path for growth. Based on the related theory, this study will empirically confirm success factors for promoting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Industrial Clusters. From the theoretical analysis, success factors were extracted, and the realities of RIS were reviewed through surveying about incumbents of companies in Industrial Clusters. In order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research model, SPSS 12.0 and AMOS 4.0 were used.<br/> In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Clusters affect productivity. A cluster allows companies to operate more productively in sourcing inputs; accessing technology, human resource, information, services, and needed institutions. For example, Companies in vibrant Clusters can tap into an existing pool of specialized and experienced employees, thereby lowering the search and transaction costs in recruiting. Clusters also provide an efficient means of obtaining other important inputs(a deep and specialized supplier base, institutions, extensive market, technical, and competitive information).

      • KCI등재

        정토진종의 전시교학과 군국주의

        영상(元永常)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5 No.-

        본 연구는 일본 정토진종의 전시교학과 군국주의를 분석한 것이다. 동아시아의 불교 역사에서는 종교와 국가를 새의 두 날개 혹은 마차의 두 바퀴로써 상징하며 그 관계에 다양한 해석을 가해왔다. 시대적 환경과 교단의 구조에 따라 불교는 국가 권력에 굴복하여 자신의 교의를 왜곡하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했다. 근대의 일본불교, 그 가운데에서도 정토진종의 경우는 전시교학(戰時敎學)을 통해 그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전시교학의 핵심에는 정토진종의 해석적 관점이 부여된 진속이제(眞俗二諦) 라는 교의가 기능하고 있다. 정토진종의 근대 교학자들은 본질에서는 벗어난 이러한 진속이제를 세속 우위의 시각으로 발전시켰다. 따라서 자신의 종교적 세계관을 세속에 양보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러한 교의에 기반하여 가장 심각함을 초래했던 사실은 자신의 교의의 핵심인 불보로서의 아미타여래를 세속의 최고 권력인 천황과 동일시하고자 하는 욕망이 발현되었다는 점이다. 결코 양보할 수 없는 종교적 신앙의 대상을 세속 권력과 일치시키고자 함으로써 수많은 문제점을 유발시켰다. 그리고 마침내 전쟁을 승인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근대 일본의 불교계가 불교민족주의를 통해 전쟁을 성전으로 승화시키는 과정은 이와 같은 내적 구조를 통해서였다. 이처럼 정토진종은 성전(聖戰) 이데올로기를 스스로 국가에 제공함으로써 대승불교의 핵심가치인 불보살의 대자대비 정신, 전 불교계의 최고 이념인 불살생의 교의를 파괴한 것이다. 오늘날에도 지구에는 종교가 개입된 전쟁이 여전히 일어나고 있다. 일본 근대불교의 과오를 다시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종교의 궁극적 진리관과 실천윤리에 입각한 욕망의 제어에 더욱 긴장감을 가지는 데에 본 연구가 일조를 했으면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wartime Doctrines and militarism of the Order of Jodoshinshu of Japan. In the Buddhist history of East Asia, a religion and a nation are symbolized as two wings of a bird, or two wheel of a cart, and their relation has been coordinated. In spite of it, Buddhism, submitting to the government power, brought about a result that it distorted their own doctrines. The case of Jodoshinshu in the Japanese modern Buddhism showed it through the wartime doctrines of that Order. In the core of the Order’s wartime Doctrines, there underlies the doctrine of ‘Twofold truth of a religion and a secular world’ on which the point of view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Jodoshinshu was bestowed. Modern scholars of the Jodoshinshu Doctrines developed the twofold truth of the religion and the secular, which deviated from the essence, into the view that the secular is more superior. Accordingly, it led into a result that it conceded the world view of religions to the secular. Based on such doctrine, the most serious fact was that the desire was revealed to identify the Amitabha Tathagata, as the Jewel of the Buddha which was the core of it’s doctrine, with the emperor who had a supreme authority in the secular world. As the object of faith in religion that cannot be yielded at all had been identified with the secular authority, numerous problems arose. And finally, the result that a war was approved was brought about. The process that the Buddhist community of modern Japan used the Buddhist nationality to sublime the war as a sacred one was possible through such mechanism. As such, the Jodoshinshu destroyed the spirit of great loving-kindness and great compassion of a buddha or bodhisattvas in Mahayana Buddhism, and the doctrine of non-killing which was the supreme idea in Buddhism by suggesting the ideology of sacred war to the county by oneself. Even today, wars that religions were engaged in still are occurring on the earth. In order not to repeat the mistakes of Japanese modern Buddhism,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to have more tension in controlling the desire based on the view on the ultimate truth and practical ethics of religion.

      • KCI등재

        일본 근대불교의 전시교학의 구조 분석

        영상(元永常)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5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5 No.-

        본 논문은 근대 정토진종이 국가주의의 노선을 확립하고자 자신의 교의를 왜곡시킨 전시교학의 구조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전시교학에 대한 연구의 약사를 제시하였다. 그 이유는 현재까지의 연구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전시교학에 대한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방면에서 선구적인 업적을 쌓은 연구자는 브라이언 빅토리 아이다. 그는 선의 정신이 근대 일본의 군국주의의 도구화가 되었음을 잘 밝히고 있다. 이 외에도 서양에서 촉발된 일본 불교의 국가주의 및 군국주의에 대한 연구는 일본의 학자들에게도 파급되었다. 본 연구사에서는 선종, 정토진종, 일련종에 대한 전시교학 연구를 망라하였다. 다음으로는 정토진종의 전시교학에 관한 것이다. 이를 필자는 세 가지로 분석하였다. 첫째, 불보와 천황, 둘째, 정토와 생사관, 셋째, 불교와 전쟁이라는 범주를 통해 분석하였다. 첫째의 불보와 천황의 관계에 대해서는 법주에 대한 신앙 관념과 황국종교로서의 정토진종이라고 하는 관계를 통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법주는 교단의 최고 권력을 쥐고 있으며, 생불로 추앙받고 있었다. 또한 당시의 황실과 법주가(法主家)의 결혼을 통해 국가권력에 의지한 종교적 권력을 확대하고 있었다. 이러한 교단의 권력기반에 입각하여 국가통치자인 천황이 불보인 아미타여래와 동격의 위상으로 추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의 정토와 생사관에 대해서는 사후정토를 교의로 내세우고 있는 정토진종의 사후관이 왜곡되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즉, 실제 전쟁터에서는 국가가 관리하는 야스쿠니신사(靖?神社)를 사후 재회(再會)의 장소로써 인식하고 있었다. 비록 정토진종은 야스쿠니를 정토가 아니라고 부정하고 있지만, 합사(合祀)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이면에는 정토의 대용물로 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불교와 전쟁의 측면은 불교의 첫 계율인 불살생계(不殺生戒)를 정토진종이 무너뜨렸다는 점이다. 이러한 전쟁수행의 논리는 절복(折伏)에 입각한 일살다생(一殺多生)의 사상과 집단 전체에 봉사하는 멸사의 정신이다. 전자는 전쟁 그 자체를 정당화하고, 후자는 러일전쟁 이후 줄곧 이어지던 일반 민중의 전시봉공이라는 이데올로기가 정토진종 전시교학 체제로 굳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wartime doctrines in which the modern school of J?doshinsh? distorted it’s own doctrines in order to establish the line of nationalism. For doing this, this paper suggested first the brief history of studies on the wartime doctrines. It is for setting up a direction of studies on the wartime doctrines by analyzing the present state of the studies up to now. The researcher in this field who conducted the pioneering achievements is Brian Victoria. He elucidates well that the Zen spirit was utilized as a tool to make modern Japan militarism. Besides it, the studies concerning nationalism and militarism of the Japanese Buddhism which were provoked in the West spread over Japanese scholars. This history of the studies covers studies on wartime doctrines about the Zen school, J?doshinsh? school, and Nichiren(日蓮) school. The next is about the wartime doctrines of the J?doshinsh? school. This paper analysed them through three categories: first, the Jewel of Buddha and the Japanese emperor; second, the Pure Land (J?do) and a view on birth and death; and third, Buddhism and war. First, this paper elucidated the relation between the Jewel of Buddha and the emperor through the relations of the faith notion about the Master of Dharma (H?shu: 法主, the Chief leader of Order), and the J?doshinsh? school as the empire’s religion. The Master of Dharma held the supreme power in the Order and was respected as a living buddha. Through the marriage between emperor’s family and the family of the Master of Dharma at that time, they expanded the religious power depending on the national power. Based on such base of power in the Order, the emperor as governor of the state was honored as the same status with Amit?yus (阿彌陀: Amit?bha) Buddha, who is the Jewel of Buddha. Second, concerning the Pure Land and a view on birth and death, this paper explained that the afterlife view of the J?doshinsh? school which took the Pure Land of afterlife as their doctrine was distorted. In other words, in the actual battle filed, it was recognized that the Yasukuni Shrine managed by the state was a place to meet again in afterlife at. Though the J?doshinsh? school denies that the Yasukuni Shrine is the Pure Land, in the inner aspect to argue the legitimacy of joint ancestral rites, we can notice that it is used as a substitute of the Pure Land. Third, in the aspect of Buddhism and war, the J?doshinsh? school broke down the precept of non-killing, the first one in Buddhism. Such logics of performing wars are the ideology of “killing one person to save the many” based on “defeating the evil,” and the spirit of self-extinction to serve the total community. The former justified the wat itself, while the latter showed us that the ideology of wartime service to the public by common people, which was succeeded to on continuously after the war between Japan and Russia, was solidified into the system of wartime doctrines of the J?doshinsh? school.

      • KCI등재

        商代中期都城考

        안신(安 信 元 Ahn Shin Won) 한국고대학회 2013 先史와 古代 Vol.38 No.-

        이 글은 商代 고고학의 핵심 연구주제 중 하나인 중기 도성에 대한 고고학적 분석을 시도한 글이다. 문헌기록에 의하면 商은 건국 이후 약 600여년 동안 5차례 천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전기의 도성은 鄭州商城 혹은 偃師商城으로, 후기의 도성은 殷墟로 보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며 그 고고학적 양상은 비교적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기나 후기에 비해 중기의 도성이 어디인지는 고고학적으로 아직 명확하게 확정되지 않았다. 상대 중기에 해당되는 대표 유적으로는 鄭州 小雙橋, 安陽 洹北商城 등이 있다. 이 중 소쌍교유적은 도성이 갖추어야 할 기능을 완벽하게 갖추지 못했다는 점, 그리고 시기적으로 정주상성 후기의 고고학적 양상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중기의 도성으로 보기에는 아직 증거가 불충분하다. 반면에 원북상성은 상대 전기의 도성보다 넓은 면적에 궁전, 성곽, 제사갱 등 정치권력의 존재를 나타내는 고고학적 지표가 확인되며, 유적의 배치방식으로 보아 상대 중기 도성유적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또한 출토된 유물의 특징이나 시기로 볼 때, 원북상성은 상의 12대 왕인 河亶甲의 相일 가능성보다는 19대 왕 盤庚이 천도한 殷으로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This thesis conducts an archaeological analysis on the middle-period cities, one of the key research topics in the archaeology of Shang Dynasty(商). History records that Shang Dynasty underwent moved its capital five times for some 600 years after its foundation. The orthodox historical view has it that the Shang City Site in Zhengzhou(鄭州商城) and the Shang City Site in Yanshi(偃師商城) belong in the earlier half of the period while the cities in the latter half of the period are part of Yinxu(殷墟). In contrast with those of the earlier and latter half of the period, the location of the middle-period cities has not yet been archaeologically defined. The representative relics from the Middle Period of the Shang Dynasty include Xiaoshuangqiao in Zhengzhou (鄭州 小雙橋) and Huanbei Shang City Site in Anyang (安陽洹北商城). It is not supported by sufficient evidence to view the relic of Xiaoshuangqiao as belonging to the middle period, in that it is not equipped with functions required for a city and that it is similar to the archaeological aspect of the Shang City State in Zhengzhou. In contrast, Huanbei Shang City Site can be viewed as one of the cities from the middle epriod of the Shang Dynasty as it verifies a space larger than was found in a city of the earlier period of Shang Dynasty and archaeological signs demonstrating the existence of a political power such as palace, castle, and sacrificial pits, and judging from the way the relics are arranged.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and date of the excavated artifacts suggest that Huanbei Shang City Site is more reasonably thought to be Yin(殷) to which Pangeng(盤庚), the 19th king, moved the capital, than the Xiang(相) of Hedanjia(河亶甲), the 12th king of the Shang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