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후각신경아세포종의 치료 및 결과

        우홍균,김일한,Wu Hong-Gyun,Kim Il Ha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3

        목적 : 후각신경아세포종은 매우 드물고 치료 방법의 결정이 어려운 종양이다. 이 연구에서는 본 병원에서 시행한 후각신경아세포종의 여러 가지 치료방법을 정리하고 최근에 발표된 문헌들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79년 6월부터 1997년 4월 사이에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후각신경아세포종으로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은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4명의 남자와 6명의 여자가 포함되었다. 최초 진단 시 연령은 13세부터 77 세까지였으며 중앙값은 24세였다. 20명중 14명은 Kadish 병기 C였다. 환자 개개인에 따라서 수술과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의 다양한 조합이 시행되었다. 이러한 조합으로는 수술과 수술 후 방사선치료 및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 2예, 수술과 수술 후 방사선치료 6예, 수술전 항암화학요법과 수술 1예, 수술과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 1예, 수술 단독만 시행 2예, 방사선치료전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 3예, 방사선치료 및 방사선치료 후 항암화학요법 1예, 방사선치료 단독 3예, 모든 치료를 거부한 1예가 포함되었다. 결과 : 추적 기간은 2개월부터 n4개월사이로 중앙값은 40개월이었다. 5년 생존율과 10년 생존율은 각각 20%와 10%였다. 4명의 환자가 자료 분석의 시점까지 생존해 있었으며 이 4명중 한명은 근치적 수술과 수술 후 방사선치료 및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으로 치료를 받았으며 2명은 근치적 수술과 수술 후 방사선치료, 그리고 나머지 한명은 근치적 수술만 시행받았다. 결론 : 후각신경아세포종의 치료에는 첫 진단 시에 근치적 수술과 수술 전 또는 수술 후 보조적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하는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환자수가 적은 제한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근치적 수술 등 국소조절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Purpose : Rarity of olfactory neuroblastoma makes it difficult for treating Physician to Practice with a consistent protocol. This study is peformed to analyze our experience with various treatment modalities for patients with olfactory neuroblastoma. Discussion includes review of some recently published literatures. Methods and Materials : Between June of 1979 and April of 1997, 20 patients were treated under the diagnosis of olfactory neuroblastoma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re were 14 male and 6 female patients. Age at initial treatment ranged from l3 to 77 years with median or 24 years. fifteen or 20 patients had Kadish stage C. They were treated with various combinations of surgery,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surgery+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adjuvant chemotherapy for 2 patients, surgery+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for 6, neoadjuvant chemotherapy+surgery for 1, surgery+adjuvant chemotherapy for 1, surgery only for 2, neoadiuvant chemotherapy+ radiation therapy for 3, radiation therapy+adjuvant chemotherapy for 1, radiation therapy only for 3, and no treatment for 1 patient. Results : Follow-up ranged from 2 month to 204 months with mean of 39.6 months. The overall 5- and 10-year survival rates are 20% and 10%, respectably. Four patients are alive at the time of data analysis. One of four living patients was treated with radical surgery,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and adjuvant chemotherapy, two patients with radical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and one with radical surgery only. Conclusion :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cluding radical surgery, pre- or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should be addressed at the initial time of diagnosis. Although limited by small number of the patients, this study suggests importance of local treatment modality, especially radical surgery in the treatment of lofactory neuroblastoma.

      • SCOPUSKCI등재

        식도암의 방사선치료 성적 - 장기 추적관찰의 결과

        우홍균,박석원,박찬일,Wu Hong-Gyun,Park Suk-Won,Park Charn-Il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4

        목적 : 식도암의 빈도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근치적 수술이 가장 적절한 치료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수술의 대상이 되는 환자는 많지 않으며 방사선치료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저자들은 방사선치료만으로 치료를 받은 식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79년 6월에서 1992년 12월까지 289명의 식도암 환자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치료를 받았다. 이 중에서 84명은 다음의 이유로 분석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쇄골상림프절 외의 원격전이 22명, 4500cGy 미만의 불완전 방사선치료 52명, 추적관찰 불가능 10명. 따라서 205명이 이 분석의 대상이며, 생존한 환자의 추적관찰 기간은 77개월에서 180개월이었다. AJCC 분류법에 의한 병기 분포는 I기 2명, IIA기 104명, IIB기 26명, III기 48명, IV기 25명이었다. 모든 환자는 방사선치료만 시행 받았다. 방사선치료 선량의 범위는 4500 cGy에서 6980cGy까지로 중앙값은 5940cGy 였다. 결과 : 모든 환자의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11개월이었고, 2년과 5년 및 10년 생존률은 각각 22.4$\%$와 10.2$\%$ 및 5.3$\%$ 였다. 대부분의 치료 실패는 국소재발이었다. 재발한 169명의 환자 중에서 111명은 국소재발이 유일한 재발이었고 134명은 국소재발을 포함하고 있었다. 생존율에 대한 예후인자에 대한 단변량분석에서 병기, T-병기, N-병기, 운동수행능력, 병소의 크기 및 치료의 목적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인자였으나, 다변량분석에서는 N-병기와 병소의 크기만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인자였다. 결론 : 식도암 환자를 방사선치료 후 장기 추적관찰한 결과 10.2$\%$의 5년 생존율 및 5.3$\%$의 10면 생존율을 얻을 수 있었다. 다변량분석의 결과 N-병기 및 병소의 크기가 유의한 예후인자였다. Purpose : The incidence of esophageal carcinoma is increasing. Radical surgery is the treatment of choice, but large proportion of the esophageal cancer patients are with unresectable disease at the time of initial diagnosis, so radiation therapy has been the major treatment modality. We carried out retrospective analysis to see the outcome and prognostic factors of radiation therapy alone for esophageal carcinoma. Methods and Materials : From June of 1979 through December 1992, 289 patients with esophageal carcinoma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at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Of these patients, 84 patients were excluded as they were ineligible for the current analyses. Twenty-two patients had distant metastasis other than supraclavicular lymph node metastasis, 52 patients received less than 45 Gy, and 10 patient were lost from follow-up. Therefore 205 patients constituted the base population of this study. According to AJCC s1aging system, there were 2 patients with stage 1, 104 with stage IIA, 26 with stage IIB, 48 with stage III, and 25 with stage IV Radiation dose ranged from 4500 cGy to 6980 cGy with median dose of 5940 cGy. Follow-up period of the alive patients ranged from 77 to 180 months. Results : The Median survival period of all the patients was II months and the 2-, 5-, and 10-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22.4$\%$, 10.2$\%$ and 5.3$\%$, respectively. Most of the failures were local recurrences. Of 169 failures, 134 had local failure as a component and 111 had local recurrence only. The Lymph node was most common distant metastatic site and the next was the lung. The stage, T-stage, N-stage, functional status, tumor size, and aim of treat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by univariate analyses. But only tumor size and N-stage were significant by multivariate analyses. Conclusion : We could get 10.2$\%$ of 5 year survival rate and 5.3$\%$ of 10 year survival rate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The size of tumor and N-sta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on multivariate analyses.

      • KCI등재후보

        New Fiduciary Plate and Orientation Marker forHigh Energy Radiation Therapy

        우홍균,허순녕,김학재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2 No.1

        Purpose: A new fiduciary plate and orientation marker have been devised to assist the quality assurance (QA) procedures for port films in radiation therapy department. The plate is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film/cassette combination during weekly QA procedur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NUH), in order to verify treatment fields in high energy radiation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A new fiduciary plate was fabricated using an acrylic plate, cerrobend, standard blocking tray and mercury. The acrylic plate had the dimension of 1×25×25 cm, with two fiduciary markers. The plate was rigidly attached onto the standard blocking tray, thus making it easier to set the fiduciary plate to the center of the radiation field of the linear accelerator. The plate had two 2-mm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with the minor scales in 2-cm steps. The orientation marker was a small mercury filled disk, which was inserted into the plate. Results: The geometrical structure of the lines in the plate makes it easier to correlate two different images between the simulation and port films. The marker clearly indicated the orientation of the film, for example, the anterior, posterior, left, right and various oblique orientations, without the placement of a conventional orientation marker. Also, the new orientation marker could easily be applied to the simulator by placing the small orientation marker onto the image intensifier or in front of the film/cassette holder. Conclusions: The new fiduciary plate appears to be useful in verifying the treatment fields, and the new orientation marker makes the film orientation simple, which is expected to lower the block fabrication errors. 목 적: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방사선 치료시 치료부위의 확인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port film이 사용되고 있다. 서울대학병원에서는 port film 촬영 시 기계적 변수를 port film상에 나타내기 위하여 방향성 표시기(orientation marker)를 갖는 fiduciary plate를 개발하였다. 대상 및 방법: Fiduciary plate의 제작에는 아크릴 plate와 cerrobend, 수은이 사용되었다. 아크릴 plate의 크기는 1 cm×25 cm×25 cm로 그 내부에 두 개의 방향성 표시기가 내재되었고, 선형가속기의 blocking tray slot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제작되었다. Plate 내부에는 2 cm 간격으로 2 mm 두께의 수평과 수직으로 만들어진 cerrobend line이 위치해 있고, 방향성 표시기 내부에는 수은으로 채워져 있다. 결 과: 아크릴 plate의 cerrobend line은 simulation films과 port films간의 치료 영역의 비교를 용이하게 한다. 수은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방향성 표시기는 납으로 만들어진 일반적인 표시기가 없이도 전후좌우와 다양한 각도로 경사진 방향을 구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방향성 표시기는 film/cassette holder에 부착함으로써 simulation 시에도 이용될 수 있다. 결 론: Fiduciary plate는 치료 영역 확인에 유용하고, 수은을 이용한 방향성 표시기내의 혼합액의 기하학적인 모양에 따라 port film의 촬영 parameter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치료과정에서 촬영한 port film 간의 임상정도관리에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 SCOPUSKCI등재

        심박조율기를 장착한 환자에서의 방사선치료 -증례 보고 -

        우홍균,김보경,강위생,박진흥,Wu Hong-Gyun,Kim Bo-Kyoung,Kang Wee-Saeng,Park Jin Ho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1

        8년전 완전방실차단으로 심박조율기를 장착한 70세 여자환자에서 갑상선암에 의한 경부 종창에 의한 동통과 기관내 출혈로 인하여 경부 및 종격동에 고식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이에 대한 증레보고와 문헌고찰을 하고자 한다. A 70 years old female patient with thyroid cancer received palliative radiation therapy for neck swelling and hemoptysis. She had a cardiac pacemaker under her chest due to complete AV block since 8 years ago. We present clinical detail and review previously reported articles.

      • SCOPUSKCI등재

        Significance of Supraclavicular Lymph Node Involvement on Determination of Clinical Staging for Thoracic Esophageal Carcinoma

        우홍균,박찬일,하성환,김일한,Wu Hong-Gyun,Park Chan Il,Ha Sung Whan,Kim Il Han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2

        목적 : 1997년에 개정된 AJCC 병기분류법에 의하면 흉부식도암의 쇄골상림프절전이는 원격전이로 분류된다. 연구자들은 다른 국소림프절전이와 쇄골상림프절전이의 임상적 양상의 차이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79년 6월부터 1992년 12월 사이에 임상적으로 절제가 불가능한 식도암 환자 289명이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이 중 25명의 환자에서 쇄골상림프절전이가 관찰되었다. 쇄골상림프절의 임상적 중요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소림프절전이 환자와 생존율 및 재발양상에 대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쇄골상림프절전이 환자의 생존중앙치는 7개월이었으며 2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12.0$\%$ 및 4.0$\%$ 였다. 국소 림프절전이 환자에서는 9개월, 17.0$\%$ 및 3.8$\%$ 였다. 두 군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은 관찰할 수 려었다. 또한 재발양상에 있어서도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흉부식도에서 발생한 식도암에서 쇄골상림프절로의 전이는 현재의 분류인 원격전이이기 보다는 국소림프절전이로 분류되어야 할 것이며, 향후 이에 대한 다기관공동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 Involvement of supraclavicular Iymph nodes (SCL) is considered distant metastasis for thoracic esophageal carcinoma in AJCC staging system revised in 1997. We investigated significance of SCL involvement compared to other regional Iymph node involvement. Materials and Methods : Two-hundred eighty-nine patients with unresectable esophageal carcinoma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from June of 1979 through December 1992. Of these patients, 25 were identified having SCL involvement. Survival rate and relapse patterns were compared with that of mediastinal and perigastric Iymph node positive patients to evaluate prognostic significance of SCL involvement. Results : Median survival for patients with SCL involvement was 7 months and 2- and 5-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12.0$\%$ and 4.0$\%$ respectably. Corresponding features for regional node positive patients were 9 month, 17.0$\%$ and 3.8$\%$.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re was also no difference in patterns of recurrence. Conclusions :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SCL involvement should be staged as nodal disease in contrast to present classification of metastatic disease.

      • 방사선 조사에 의한 세포사에 있어서 세포고사의 의미

        우홍균(HG Wu),김일한(IH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3

        목 적 :사람의 두경부종양 세포주를 대상으로 방사선 조사 후에 일어나는 아포토시스를 측정하여 전체 세포사에서의 중요성 및 방사선감수성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방사선치료가 주 치료방법인 두경부종양 세포주(PCI- 1, PCI- 13, SNU- 1066)와 정상세포 중 섬유모세포 세포주(LM217), 혈액종양 세포주 중 백혈병 세포주(CCRF-CEM)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 조사는 동물실험용 Cs- 137 방사선조사기를 사용하였다. 전체 세포사는 집락형성능측정을 이용하였고, 아포토시스의 측정은 annexin-V와 propidium iodide를 이용하는 염색법을 사용하였다. 결 과 :2 Gy 방사선 조사 시의 생존분획인 SF2는 PCI- 1, PCI- 13, SNU- 1066, CCRF-CEM, LM217 세포주에서 각각 0.741, 0.544, 0.313, 0.302, 0.100으로, LM217 세포주가 방사선감수성이 가장 높았고 PCI- 1 세포주의 방사선감수성이 가장 낮았다. 두경부암 세포주인 PCI- 1, PCI- 13, SNU- 1066에서는 모두 72시간이 경과한 후 아포토시스지수가 최대치 에 도달하였으며, LM217과 CCRF-CEM에서는 24시간 후에 최대치에 도달하였다. 방사선량의 증가에 따라서 전체세포사는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아포토시스지수의 변화는 매우 작았다. 전체 세포사에 대한 아포토시스의 분획(아포토시스분획)은 2 Gy 조사 시 PCI- 1, PCI- 13, SNU- 1066, CCRF-CEM, LM217에서 각각 46%, 48%, 46%, 24%, 19%이었고, 6 Gy 조사 시 각각 20%, 33%, 35%, 17%, 20%이었다. 아포토시스의 정도와 6 Gy 조사 시의 방사선 감수성과는 일정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2 Gy 조사 시 방사선에 감수성이 비교적 높은 세포주가 아포토시스분획이 작았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사용한 두경부암세포주에서 방사선 조사 후 아포토시스가 관찰되었으며, 발생 양상이 시간적으로 정상 섬유모세포 및 백혈병세포주와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포토시스보다는 다른 종류의 세포사인 증식사가 더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포토시스분획과 2 Gy 조사 시 방사선감수성 사이에 관련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Purpose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apoptotic death compared to total cell death after γ- ray irradiation in human H&N cancer cell lines and to find out correlation between apoptos is and radiation sensitivity. Materials and method : Head and neck cancer cell lines (PCI- 1, PCI- 13, and SNU- 1066), leukemia cell line (CCRF- CEM), and fibroblast cell line (LM217) as a normal control were used for this study. Cells were irradiated us ing Cs- 137 animal experiment irradiator. Total cell death was measured by clonogenic assay. Annexin-V staining was used to detect the fraction of apoptotic death. Results : Surviving fraction at 2 Gy (SF2) were 0.741, 0.544, 0.313, 0.302, and 0.100 for PCI- 1, PCI- 13, SNU- 1066, CCRF- CEM, and LM217 cell lines , respectively. Apoptos is was detected in all cell lines. Apoptotic index reached peak value at 72 hours after irradiation in head and neck cancer cell lines , and that was at 24 hours in CCRF-CEM and LM217. Total cell death increased exponentially with increasing radiation dose from 0 Gy to 8 Gy, but the change was minimal in apoptotic index. Apoptotic fractions at 2 Gy were 46%, 48%, 46%, 24%, and 19% and at 6 Gy were 20%, 33%, 35%, 17%, and 20% for PCI-1, PCI- 13, SNU- 1066, CCRF- CEM, and LM217, respectively. The radiores istant cell lines showed more higher apoptotic fraction at 2 Gy, but there was not such correlation at 6 Gy. Conclusion :All cell lines used in this study showed a poptos is after irradiation, but time course of apoptos is was different from that of leukemia cell line and normal fibroblast cell line. Reproductive cell death was more importa nt mode of cell death than apoptotic death in all cell lines used in this study. But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apoptotic fraction and radiation sens itivity at 2 Gy.

      • 초기 성문암 환자에서의 소분할 조사법을 이용한 방사선치료

        우홍균(Hong Gyun Wu),홍세미(Semie Hong),신성수(Seong Soo Shin),박찬일(Charn Il Par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4

        목적: 초기 성문암의 방사선치료에 있어 소분할 치료(hygo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의 용이성과 그 부작용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2월부터 2000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치료방사선과에 내원하여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Ⅰ,Ⅱ 병기의 초기 성문암환자는 20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환자군의 성별분포는 18명이 남자, 2명이 여자였으며 연령의 중앙값은 59세였다. 병기의 분포는 T1aN0-16명, T1bN0-1명, T2n0 3명이었다. 18명의 환자는 후두미세수술을 통한 조직생검을 시행하였으며 2명의 환자는 레이저 절제술을 시행받았다. 모든 환자는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2.5Gy의 분할조사선량으로 총 60 Gy의 방사선을 24회 분할하여 시행받았다. 치료 기간의 중앙값은 36일 이었다(범위31~45일). 결과: 방사선치료 기간 중 금성 반응으로 치료를 중단한 환자는 없었다. 주된 급성 부작용은 식도염과 애성이였으며 치료 후에는 호전되었다. RTOG grade 3의 식도염으로 인한 연하통을 보인 환자가 1례에서 있었고, 6례에서 grade 3의 애성을 보였다.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은 치료 종료 1개월 후에 판정하고 모든 환자에서 완전관해를 보였다. 20명의 환자 중 3명에서 재발이 관찰되었는데, 2례는 방사선치료 후 10개월과 13개월의 시점에서 국소재발이 관찰되었고, 1례 방사선치료 후 2개월의 시점에서 경부 림프절에서의 재발이 관찰되었고 4개월 후 원격전이가 관찰되었다. 결론: 소분할 방사선치료는 시행상의 큰 어려움 없이 진행되었으며 질병에 관해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방사선치료기간의 단축이 종양의 치료결과에 미치는 영향과 만성 부작용을 파악하기 위해서 보다 오랜 기간의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evaluation of the feasibility and toxictiy of hypo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for early glottic cancer Methods and Materials: From February 1999 to February 2000, 20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confirmed Stage Ⅰ,Ⅱ glottic cancer were enrolled into this study. There were 18 males and 2 females, the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59 years. The distribution of stage distribution was as follows; T1aN0-16 patients, T1bN0-1 patient, T2N0-3 patients. Eighteen patients underwent laryngomicroscopic biopsy only, and two patients underwent laser cordectomy. All patients received radical radiation therapy(2.5 Gy per fraction, 24 fractons, total 60 Gy). Median duration of teratment was 36days (range 31~45 days). Results: Radiation therapy were well tolerated. Most common acute reactions were odynophagia and hoarseness, and these reactions resolved after radiation therapy. There were one case of RTOG grade 3 odynophagia (5%), six cases of grade 3 hoarseness (30%). Response of radiation therapy was evaluated one month after completion of treatment. All patients revealed complete response. During follow up, total three cases of treatment failure were detected. two cases were local recurrence in 10 and 13 months of radiation therapy and one case was local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in 2 months of radiation therapy Conclusion: This hypo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schedule was feasible and effective for control of early glottic cancer. But longer follow up time would be required to assess the long0term disease control and the late complication by shortening radiation therapy duration.

      • SCOPUSKCI등재

        Signifcance of Supraclavicular Lymph Node Involvement on Determination of Clinical Staging for Thoracic Eso phageal Carcinoma

        우홍균(Hong-Gyun Wu),박찬일(Charn Il Park),하성환(Sung Whan Ha),김일한(Il Ha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2

        목 적 : 1997년에 개정된 AJCC 병기분류법에 의하면 흉부식도암의 쇄골상림프절전이는 원격전이로 분류된다. 연구자들은 다른 국소림프절전이와 쇄골상림프절전이의 임상적 양상의 차이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79년 6월부터 1992년 12월 사이에 임상적으로 절제가 불가능한 식도암 환자 289명이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이 중 25명의 환자에서 쇄골상림프절전이가 관찰되었다. 쇄골상림프절의 임상적 중요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소림프절전이 환자와 생존율 및 재발양상에 대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쇄골상림프절전이 환자의 생존중앙치는 7개월이었으며 2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12.0% 및 4.0% 였다. 국소림프절전이 환자에서는 9개월, 17.0% 및 3.8% 였다. 두 군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은 관찰할 수 없었다. 또한 재발양상에 있어서도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 흉부식도에서 발생한 식도암에서 쇄골상림프절로의 전이는 현재의 분류인 원격전이이기 보다는 국소림프절전이로 분류되어야 할 것이며, 향후 이에 대한 다기관공동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 Involvement of supraclavicular lymph nodes (SCL) is considered distant metastas is for thoracic esophageal carcinoma in AJCC staging system revised in 1997. We investigated significance of SCL involvement compared to other regional lymph node involvement. Materials and Methods :Two-hundred eighty-nine patients with unresectable esophageal carcinoma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from June of 1979 through December 1992. Of these patients , 25 were identified having SCL involvement. Survival rate and relapse patterns were compared with that of mediastinal and perigastric lymph node pos itive patients to evaluate prognostic s ignificance of SCL involvement. Res ults :Median survival for patients with SCL involvement was 7 months and 2- and 5-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12.0% and 4.0% respectably. Corresponding features for regional node positive patients were 9 month, 17.0% and 3.8%. There was no s 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re was also no difference in patterns of recurrence . Conclusion : Results of this analys is showed that SCL involvement should be staged as nodal disease in contrast to present classification of metastatic dis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