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rucial roles of Vascular Surgeons in Oncovascular and Nonvascular Surgery

        우혜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 Vascular surgeons can be useful in nonvascular surgery cases, especially in oncology where complete resection is important. Such activity has not yet been quantified.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oles of vascular surgeons in oncovascular surgery (OVS) and nonvascular surgery (NVS). Methods: Between January 2014 and December 2018, the vascular surgery registry data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reviewed for OVS or NVS assisted by vascular surgeons or operations primarily done by vascular surgeons.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image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Demographic data, clinical characteristics, operative data, vascular-related data and operative outcomes were collected. The operations were classified into primary surgery or consult surgery. Consult surgeries were divided into planned or unplanned surgery. Results: Out of 564 cases, vascular surgeons performed 74 OVS as primary surgery, and retroperitoneal tumor was the most frequent diagnosis (n=34, 45.9%). There were 490 intraoperative requests for a vascular surgeon’s assistance, of which 109 (22.2%) were emergency calls. Total intraoperative consultations increased by 115.9% over 5 years, and the proportion of unplanned operations also increased. General surgery made most requests (n=165, 33.7%). Unplanned assistance was most commonly requested for bleeding, whereas node dissection was the most common reason for planned surgery. The mortality rate was not different between planned and unplanned surgery groups, but the latter showed worse outcomes in total operative time, length of hospital stay, postoperative consultations, and postoperative vascular-related complications. Conclusions: Vascular surgeons have an essential role to play in the modern practice of cancer surgery. Oncovascular surgery enables gross resection of a tumor even in the presence of major vessel invasion. Emergency unplanned surgery showed worse outcomes; therefore, preoperative vascular consultation and multidisciplinary management are highly recommended for better patient outcomes. 목적: 혈관외과 의사들은 다양한 분야의 타과 수술 시 협진수술을 많이 하는데, 특히 완전한 절제가 중요한 종양 수술 시에 더욱 그렇다. 종양 절제 수술에서 혈관을 다루는 ‘종양혈관외과 (Oncovascular surgery)’의 개념이 최근 제기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역할은 충분히 정량화되거나 평가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종양혈관외과 수술과 비혈관외과 수술에서 혈관외과의사의 다양한 역할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병원의 전향적 혈관외과 등록체계에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년 동안의 자료를 수집하여, 혈관외과 의사들이 단독 또는 협진 수술로 시행한 종양혈관외과 및 비혈관외과 수술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전자의무기록과 영상자료를 검토하여 환자정보, 임상양상, 수술기록, 혈관 관련자료, 합병증 등을 후향적으로 수집하였다. 수술은 단독수술과 협진수술로 분류하고, 협진수술은 예정수술과 응급수술로 구분하였다. 결과: 전체 564 건의 수술 중 혈관외과 단독으로 시행한 종양혈관외과 수술은 74 건이었으며, 후복막강 종양이 가장 많았다 (34, 45.9%). 협진수술은 총 490 건이었고, 이중 응급수술은 109 건 (22.2%) 이었다. 최근 5년간 협진수술은 115.9%가 증가하였고, 응급수술의 비율도 증가하였다. 협진수술 의뢰는 외과가 가장 많았다 (165, 33.7%). 응급수술의 가장 흔한 원인은 출혈이고, 예정수술의 가장 흔한 원인은 림프절 박리였다. 예정수술과 응급수술간 비교하면 사망률은 차이가 없었으나 전체 수술 시간, 병원 입원 기간, 수술 후 협진 의뢰, 그리고 수술 후 혈관 수술 관련 합병증이 응급수술 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결론: 종양혈관외과 수술은 근치적 암 수술에 있어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혈관외과 의사는 접근하기 어려운 후복막강 종양 및 혈관 기원 종양 절제 수술의 일차 집도의의 역할 및 타과 분야에서 협진 수술의 조력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협진수술 중 예정수술이 응급수술보다 수술 후 혈관 수술 관련 합병증이 유의하게 적었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예정수술보다 응급수술 비율이 더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종양혈관외과 수술은 환자의 안전을 증가시키고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수술 전 협진을 통해서 수술을 같이 계획, 진행하고 수술 후 관리를 다학제적 접근법으로 시행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하겠다. 수술 전 검사 시 혈관침범이 의심되거나 혈관손상의 우려가 있을 경우 미리 혈관외과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A comparative study of Japan and China's ODA to Sub-Saharan Africa

        우혜영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0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argues that the Japanese and Chinese Official Development Aid (ODA) to African continent each have their own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s. The first part of this thesis provides a critical literature review regarding donor’s behavior and motivation in their policy decision making process. The literature review is divided into two sections. The first section presents the conflict perspective, which includes egoistic and altruistic motivations of donor countries; and the second section presents factors that determine foreign aid policy. The second part of the thesis presents the background of Japanese, Chinese, and Korean ODA in Africa to understand overall ODA pattern. In the third part, the focus will be on the motivation of the ODA policy of China and Japan -i.e., economic and political strategic partnership. The fourth part will focus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ast Asian donors. The first point of the comparison is the principle of ‘cooperation without intervention,’ meaning East Asian donors have a greater concern for African state sovereignty compared to the rhetoric of ‘non-Westernness.’ The second comparison point is about their international conferences on ODA to Africa: the Tokyo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frican Development (TICAD) held by Japan, and the Forum on China-Africa Cooperation (FOCAC) by China. The last part of the thesis concludes with policy implication for Korean ODA to Africa. 본 논문은 일본과 중국의 대 아프리카 원조의 특성과 전략을 분석하고 한국의 원조에 주는 교훈을 얻으려 한다. 일본과 중국은 최근 아프리카의 경제적·정치적 중요성에 관심을 보이며 경제적 원조에 많은 힘을 기울이고 있다. 이는 오랜 시간을 두고 관계를 지속한 대 아프리카 외교 역사의 또 다른 전개이다. 본 논문은 먼저 그 역사적 연결고리를 찾고 대 아프리카 원조의 현주소를 조망하려 한다. 또한, 일본과 중국이 아프리카 원조를 증대시킨 데에는, 아프리카 대륙이 가지고 있는 자원을 선점하고, 외교 무대에서의 발언권과 지지를 얻으려는 의도가 있었다는 바를 분석한다. 이어 두 나라의 아프리카 원조를 비교하여, 첫째, 두 나라는 구미 공여국이 아프리카의 주권을 침해하며 원조를 증여하고 있다는 것을 비판하고, 그들의 의도는 아프리카와의 친선과 협력에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고, 둘째, 그러한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 원조에 관한 국제 회의 (Tokyo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frican Development와 Forum on China-Africa Cooperation) 의 양상이 판이하게 다르다는 것에 주목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일련의 조망을 통하여 일본과 중국의 대 아프리카 원조를 원조 효과성의 원칙에 입각하여 비평하고, 한국의 대 아프리카 원조에 대한 교훈을 찾는다.

      • 프랑스 우파정당과 난민정책 변화연구 : 2003년 망명법과 2015년 망명법 제정을 중심으로

        우혜영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nging factors of the French refugee policy through the correlation of the right party with the 2003 asylum law in France and the asylum law in 2015. In 2003, the French asylum law revealed the cohesion with the immigration policy in the purpose of policy formation, that is, it regarded the refugee policy as an extension of the immigration policy and revealed the purpose of the policy formation to restrict the refugee inflow. As a result, France's rate of refugee status decline sharply. Meanwhile, the French asylum law in 2015, with the development of the EU system, seemed to aim at the Europeanization of the policy by adopting the European Union directive in domestic law, but actually tried to outsource the influx of refugees through application of European refugee policy. However, as a result of the policy formulation, the rate of refugee status recognition in France has steadily increased, and since 2017, France has the second highest rate of refugee recognition among EU member states. In this respect, we analyzed the policy change factors of the different policy formation results despite the two conservative refugee policies, and the direction of the change of the refugee policy in France is the closed refugee policy pursued by the right party, finally an open refugee policy in which the structural traditions of France are maintained. As a result, the rate of recognition of refugee status decreased rapidly from the 2003 asylum law, but the rate of recognition increased steadily, and the logic of control became weaker. In other words, the change in French refugee policy is a continuing structural tradition within the state, that is, the republican tradition of France's freedom and equality and the guarantee of the rights of the persecuted refugee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This is the reason why the right of the right party, which attempts to change the refugee policy conservatively through the conceptual confusion between immigrants and refugees, has weakened. Therefore, France is trying to recall it as a tradition of refugee acceptance due to the continuity of its republican tradition, and the change of French refugee policy is a compromise through acceptance of the EU system because of the frustration of attempts to change the right party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EU system. Directionality. 본 연구의 목적은 프랑스의 2003년 망명법과 2015년 망명법을 통해 프랑스 난민정책의 변화요인을 우파정당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밝혀내는 것이다. 2003년 프랑스 망명법은 정책형성목적에서 이민정책과의 유착을 드러내며 즉, 난민정책을 이민정책의 연장선으로 간주하여 난민유입을 제한하는 정책형성목적을 드러냈다. 그 결과 프랑스의 난민지위인정비율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한편 2015년 프랑스 망명법은 EU제도의 발전과 더불어 유럽연합지침을 국내법에 수용함으로써 정책의 유럽화를 그 목적으로 하는 듯 했으나 사실상 유럽공동난민정책의 적용을 통한 난민유입의 외재화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정책형성결과 프랑스의 난민지위인정비율은 꾸준히 상승하였고, 2017년부터 프랑스는 EU 회원국들 중 난민인정비율이 독일 다음으로 높았다. 이에 두 시기의 보수적인 난민정책의 추진에도 불구하고 상이한 정책형성결과에 대한 정책변화요인을 분석하였으며, 프랑스의 난민정책 변화의 방향을 우파정당이 추진하는 폐쇄적 난민정책, EU제도의 수용을 통한 타협, 마지막으로 프랑스의 구조적 전통이 유지되는 개방적 난민정책으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2003년 망명법을 기점으로 난민지위인정비율이 급감하는 듯 하였으나, 인정비율은 이후 꾸준히 상승하였고 통제의 논리가 약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즉, 프랑스 난민정책의 변화는 프랑스가 지니고 있는 자유와 평등에 대한 공화주의적 전통과 헌법에서 보장하는 박해 받는 난민에 대한 권리의 보장이라는 국가 내부의 지속적인 구조적 전통, 즉 경로의존성이 EU 제도의 강화라는 외부적 요인을 계기로 이민과 난민의 개념적 혼동을 통해 난민정책의 보수적 변화를 시도하는 우파정당이라는 행위자 요인을 약화시킨 것이었다. 그러므로 프랑스는 공화주의적 전통이라는 지속성으로 인해 난민 수용 전통으로 회기하고자 하는 것이며 프랑스 난민정책의 변화는 우파정당의 변화 시도의 좌절과 EU 제도의 강화로 인해 지속성이 표면화 됨으로써 EU 제도의 수용을 통한 타협이라는 방향성을 가지게 되었다.

      • 수영강의 유기물질의 특성 및 계절적 변화

        우혜영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quatic organic matter present mostly dissolved organic matter(DOM) in all natural waters. Aesthetic problems and hazardous materials such as amounts of trace elements may be attached to organic material. Also DOMs have been recognized disinfection by-products precursors(DBPs) during the chlorination process, many ways may affect the unit operations in water treatment. BOD and COD are currently used for water quality indices, but BOD test takes too much time to provide timely information to the operator for control purposes. In addition COD test is relatively resistant to some organic matter and may give a falsely low COD. Therefore, BOD and COD were inappropriate indices as effective water management. TOC tend to distinct organic matter concentration and low error range than BOD and COD. Accordingly, the properties of organic matters investigated in the Suyeong river. This study analyzed monthly tendency of DOM and characteristics change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presented by flowing in non-point source through rainfall. The hydrophobic DOM of the upstream are generally higher than the downstream. The hydrophilic DOM in spring and fall are increased but tends to decrease in summer and winter. The hydrophilic DOM of rainfall is higher than pre-rainfall. Also BDOC is slightly increased. Consequently, the hydrophilic component is a major organic matter flowing into the watershed at rainfall. The result of interpreting the correlation of dissolved organic matters and RDOC, correlation coefficient of TOC and RDOC were highest by 0.934. Because refractory organic matter at BOD test was unmeasured, whereas TOC test was effectively reflected agree of refractory organic matter.

      • 무용예술 집중 육성을 위한 지원 정책의 뉴 거버넌스(New Governance) 모형

        우혜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우리는 그동안 사회가 축적해온 문화예술의 토양 속에서 삶을 영위해 가고 있다. 이제 문화예술의 발전 없이는 경제적 발전도 기대 할 수 없는 상황이며, 문화예술의 발전은 다양한 사회문제와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문화예술의 영역 중에서도 특히 중요한 것이 무용예술로, 오랜 역사를 통해 알 수 있듯 무용예술은 형식의 실험과 새로운 발상으로 다른 분야에도 영향을 미치며 많은 예술적 성과들을 만들어 내었고 예술 발전에 선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최근에는 공연예술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지원으로 인해 무용예술도 늦게나마 양적팽창을 가져오고 있다. 그러나 더욱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이 충분히 내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최근 잇달아 설립되고 있는 광역시ㆍ도의 문화재단을 중심으로 문화예술분야에 대한 공공 지원의 정책과 제도들이 급속한 변화를 겪고 있다. 이와 발맞추어 무용예술에 대한 재인식은 물론, 장르 간 불균형 문제의 개선 및 무용예술육성을 위한 정부차원의 맞춤형 지원정책과 프로그램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예술지원정책이 어떻게 수립되고 전달되어야 효과적일지에 대해서도 고려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문화예술에 대한 공공 지원의 방식과 체계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정부와의 관계설정의 문제이며, 또 어떻게 하면 효과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할 것인가이다. 정부와 지원기구의 관계형성이 전통적인 지원원칙인‘팔 길이 원칙(Arm's length principle)’에 관한 것이라면, 효과적인 지원체계의 마련은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 예술위원회와 광역 문화재단 등으로 이루어진 지원기구 간의 협력적인 네트워크 체계구축에 있다. 여기에 대한 대안으로 연구자가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 바로 뉴 거버넌스(New Governance) 이론이다. 세계화, 지방화, 정보화에 따른 문화 저변의 변화, 신자유주의의 확산 그리고 국가 기능의 약화와 행정수요의 확장으로 인한 변화로부터 거버넌스가 생겨난 후, 국가, 시장, 시민사회 간의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체적 운용 체제인 네트워크와 파트너십이 주목을 받고 있다. 따라서 예술지원정책의 주체는 정부뿐만 아니라 예술가, 예술단체, 기업 등과의 네트워크까지를 포함하여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정책수립에 있어 문화예술의 중요성이 제대로 반영된 것은 채 20년밖에 되지 않은데다, 제 1공화국에서 제 4공화국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정책 기조는 반공과 정권홍보와 관련된 것이었고, 제 5공화국에 들면서 겨우 장기적 문화발전계획이 수립되고 향수자를 위한 정책이 시도되었다. 이후 제 6공화국과 문민정부, 국민의 정부를 거치면서 문화복지의 개념이 도입되고 예술지원정책의 원칙이라 할 수 있는‘팔 길이 원칙’이 적용되기 시작했다. 뿐만 아니라 무용예술에 있어서는 1960년대 발전기와 70년대와 80년대의 춤의 르네상스를 거쳐 90년대에는 무용예술에 대한 전국적 확산을 시작으로, 2000년 이후 문화관광부 내에 무용발전 TF팀이 구성되어 무용분야 중장기 발전을 위한 정책 과제 개발 등 많은 노력이 있었지만, 실제 정책으로 이어진 경우는 드물었다. 영국과 미국, 프랑스, 일본의 경우를 보면, 예술지원체계는 그 나라의 역사와 사회문화의 전통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고, 지역 문화지원기구로서 예술위원회와 문화재단이 공존하고 있다. 또 예술지원기구가 각 지역별로 일정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활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정책 환경을 배경으로 무용예술은 각 국가의 대표적인 예술로 성장하며 국가 경쟁력 확보에 크게 이바지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진적인 정책 대안과 체계 모형을 만들기 위해, 우선 국내 무용예술분야에 대한 기초 현황 조사를 선행한 바, 통계상 무용단체는 466개, 인력은 총 10,154명으로 다른 장르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물적 현황을 보면 연습실 보유 현황 70.2% 중 임대 비율이 52.2%로 나타났고, 단체 당, 연 평균수입은 2억 3천만 원인데 반해 연 평균 약 2억 6천만 원을 지출하고 있어, 재정 자립 측면에서 상당히 열악한 환경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용 공연의 횟수를 보면 2005년 이후 매년 평균 1,800회 이상을 유지하며 점차 늘어나고 있었는데, 관람률은 무용 공연이 0.04회로 전 장르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처럼 무용예술에 대한 정부의 지원 현황을 살펴보면 결과적으로 특별한 지원 정책의 배려라고 단정할만한 획기적인 변화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무용예술에 대한 지원정책은 전략적으로 바뀌어야 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광역문화재단은 각자의 역할 분담을 통해 지원정책수립과 집행의 전문성이 강화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황과 이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예술에 대한 지원은 전략적인 차원에서 4단계로 구분해, 창작단계에서의 창작활동지원프로그램으로는‘대안공간지원’,‘무용제작센터건립’,‘무용전용극장건립’,‘안정화 및 경제회복지원’,‘개인활동지원’,‘학제적지원’등을, 장르별 특성화 지원으로는‘무보(舞譜)발굴, 제작 및 개인연수’,‘무대세트제작지원 등을 제안하였다. 유통단계의 정체성 강화 프로그램으로는‘유ㆍ무형콘텐츠집적’,‘한국형소재활용지원’,‘한국형전환지원’을, 무용예술의 국제교류 활성화지원 프로그램으로는‘국제교류센터건립’,‘국제페스티벌진출지원’,‘국제콩쿨입상지원’,‘무용예술아트마켓’을 제안하였다. 소비단계의 접근성 제고 프로그램으로는‘관객지원 및 관객개발지원’,‘사후차등지원’,‘기업지원매칭’과‘무용예술교육센터설립’을 제안하였다. 집적단계의 전문ㆍ신진인력 양성 프로그램으로 ‘통합정보시스템운영’, ‘펠로우십지원’,‘전용공간지원’등을 제안하였고 무용수 지원프로그램으로는 ‘무용수전문연수원설립’,‘무용인복지센터설립’,‘무용수커리어전환센터설립’을, 시장 활성화지원프로그램은‘비(非)현금성무용단체지원’,‘기업연계센터설립’,‘무용공연정보센터설립’등 27개 세부사업들을 제시하였다. 이 중 무용예술에 대한 현황분석을 토대로 무용예술 집중육성을 위해 우리 무용계에 당장 시급한 사항들과 핵심 사항들에 우선순위를 두어 제안하였다. 둘째, 지금까지 예술지원정책은 중앙정부가 정책을 수립하면 지자체에서는 그를 집행하는 정도의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새로운 예술지원정책의 집행과 전달모형으로, 상호 네트워크와 협력을 강조하는‘네트워크형’이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무용예술분야에서 처음 시도되는 정책전달 체계의 모형을‘뉴 거버넌스(New Governance) 모형’으로 정의하였고‘중앙정부 중심의 네트워크체계 모형’과‘지역 중심의 네트워크체계 모형’의 경우‘광역문화재단 중심의 네트워크 체계’와‘광역자치단체 중심의 네트워크 체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무용예술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집중육성을 위한 지원체계는 중앙정부와 지자체,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지역문화재단, 관련기관과 시민사회를 아우르는 거버넌스와 거버넌스 간의 새로운 네트워크로 구성되어야 하고, 이러한 뉴 거버넌스를 통해 협력을 높이고 다각적인 지원을 수행할 때 무용예술에 대한 지원정책은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We are living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community that have been accumulated for a long time. Now, without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 we can not expect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 itself can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way to solve various social problems and conflicts. Among the area of culture and art, especially dance arts is important. Throughout the long history of artistic experimentation and new ideas, Dance arts created many artistic achievements. Dance arts have affected the other areas and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development of arts . Recently, due to the support for the Performing Arts at the national level,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Dance Arts is achieved. However, even though there is more potentiality to grow further in Dance arts, in reality the value of Dance arts is not recognized properly. Recently the public policies and institutions which have supported art and culture are undergoing rapid changes around the cultural foundation in City and State. In Keeping pace with these change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dance arts newly, as well as an imbalance problem among different genres. The development of governmental policies and programs should be provided for the improvement of cross-genre and custom-built support for the Dance art. In addition, it should be considered how these art establishment as well as supporting the policy can be delivered effectively. In particular, the most important thing in building an effective public support system for culture and art. As long as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and supporting agencies is due to the traditional Arm's length principle, the effective scheme to make support system depends on building of the cooperative network among the Central government, Regional government, Arts Council and Cultural Foundation of the Cities. Here, the researcher is willing to apply the thoery of the New Governance (New Governance) as an alternative. The governance has emerged from the change of cultural background which is relying on the Globalization, localization, Knowledge based society, the spread of neo-liberalism, the weakening of the capabilities national government and the enlargement of administrative needs. The networks and partnerships which are community operating system based on cooperation of the country, market and civil society are attracting att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the strategic advantage that the government as well as the artists, arts organizations, and the networks to businesses should participate in establishing the arts support policy. However, it has been less than 20 years since Korea established policies which reflect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art. Most of the policies between the First Republic and the Fourth Republic are about the anti-communist and PR of their own government. Starting from the Fifth republic, the policies for the hobbyist as well as the long-term cultural development plan has barely established. Later, the Sixth Republic, Civilian government, and People's government has introduceed the concept of culture and welfare of the people.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Arm's Length Principle' which is the principle of Arts Policy. In addition, Dance arts has been through the generation period in the 1960s, and the renaissance period of Dance in '70s, and '80s. In 1990s Dance arts began to spread nationwide. Since 2000, The TF team in the Culture and Tourism Department made a lot of efforts to establish policies for the long-term development of the Dance arts field, but has rarely resulted in actual policy. The social support system of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France, Japan has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historic and cultural tradition of the society. There exist Art Council and Culture Foundation as a regional supporting organization. in those countries. The arts support organizations for each region are forming a regular network and are acting with the organic relationship. In these contexts of policy environments, Dance art in each country grow to representative of the art and has contributed to national competitiveness. To create advanced policy alternatives and system models, The basic status survey on Dance arts has been preceded. Statistically 466 dance groups, a total of 10,154 workers are employed, compared to other genres, the survey shows low levels. Looking at the physical status, the 52.2% of the rehearsal places are owned and among them the ratio of 70.2% are leased are appeared in survey bars. Per Dance arts group, while the average annual income of the 230 million won, the annual average of about 260 million won to spend. The financial independence of the Dance arts industries appeared as significant in terms of harsh environments. Nevertheless, look at the number of dance performance since 2005, maintains more than 1,800 annual average increasingly, watching a dance performance ratio was 0.04 which is the lowest in all genres. As a result, it was difficult to find Government support for Dance arts looking at the status of the care of a special support policy change which could rule notable breakthrough . In order to improve it the dance arts support policy should be changed strategically. The Arts Council Korea and Regional Cultural Foundation supported by the respective roles of expertise in policy formulation and enforcement should be strengthened. In this study, based on this status and theoretical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support for dance arts are divided into four steps from the strategic point of view. The creative activity support programs in the creative phase are the "alternative space support 'and dance production center construction, dance theater, construction, stabilization and the support economic recovery, support for the personal activities, and academic support. The support programs for the characterization of Genre are proposed including the excavation of maintenance-free (舞谱), production, and personal training, production support for the stage set. In the phase of distribution the identity strengthening programs which are 'wired and intangible content integration', 'Korean material utilization support', 'Korean transition support' are propsed. And international exchange support programs for Dance arts enabled "International Center construction', 'International Festival support for expansion', 'Competition prize support', 'Dance Arts Market' proposed. In Consumption level, the program include improving accessibility 'audience support, and audience development support', 'post-differential support', 'Business Support Matching' and 'Dance arts education center' proposed. In the levels of integration, professional and beginners programs are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operating', 'Fellowship Support', 'Support for Dance art only space'. The dancer support programs proposed are 'establishing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e for dancers', 'establishing Dancer Welfare Center' 'establishing Dancer career transition center'. And the market activation support programs which are 'Non-(非) cash support for Dance group', 'Establishing the Center in conjunction with the businesses, establishing the Dance performance information center, etc.. 27 detailed projects are proposed by their urgency issues and priority of the importance. Secondly, so far Art support policy is remained in the level of the central government policies established followed by the local governments conducting to enforce. For this goal enforcement of policies and delivery of the new art support system mutual cooperation networks and 'networked' are should be applied as were analyzed. Therefore, the researcher defined 'New Governance (New Governance) Model' as a dance art delivery system model first which is first attempted in the field of Dance art. 'The central government-driven model of network systems' and 'Region based model of the network system' are proposed in division of the 'Regional Cultural Foundation of the network system' and 'Regional networks of local government system'. In conclusion, the new support system for Dance arts in national level must be configured with the network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Korea Foundation Cultural Arts Commission and the local culture, governance institutions and civil society and governance. These new multilateral cooperation to improve governance through support to perform the support policy for the dance arts could be carried out more effectively.

      •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우혜영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가지는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천지역의 특수학교 및 장애아 전담 어린이집에 다니는 장애아동의 어머니 143명을 대상으로 양육 스트레스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양육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중에서 적응적인 전략은 양육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을, 심리적 안녕감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부적응적인 전략은 양육 스트레스와 정적 상관을, 심리적 안녕감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중에서도 ‘긍정적 초점변경’, ‘긍정적 재평가’, ‘반추’, ‘파국화’ 전략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장애아동 어머니의 높은 양육 스트레스는 ‘긍정적 초점변경’ 및 ‘긍정적 재평가’와 같은 적응적인 정서조절전략을 적게 사용하고, ‘반추’ 및 ‘파국화’와 같은 부적응적인 정서조절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과정을 거쳐 심리적 안녕감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장애아동 어머니들이 어떠한 심리적 과정을 거쳐 안녕감을 유지하는지에 관한 이해의 기반을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특히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있어 정서조절이 작용하는 기제를 밝힘으로써 정서조절의 역할과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우혜영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rediscovering the importance of both mother's attitude toward child's emotional expression and child’s emotion regulation skill affecting the social competence of infant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gender of infant, the existence of sibling, the attitude of mother toward child’s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emotion regulation skill of child on child’s social competence. Research subjects were 189 children aged 3~5 of nursery schools located in D city and their mothers. Attitudes toward child’s emotional expression of mothers were measured by using questionnaires of the translated and modified version (Lee, 2001) to aim at children aged 3~6 of PACES (Saarni, 1990). Nursery school teachers were instructed to evaluate the emotion regulation skill of children by using self-regulation and other-regulation subcategories of four subcategories of the emotion intelligence scale developed by Lee Byung-rae(1997). The preschool social competence scale developed by Park Ju-hui and Lee Eun-hye(2001) was used to evaluat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ing are as follows: First, the prosociality point of girls is higher than that of boys and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the existence of sibling. Second, child’s social skill is more sophisticated when a mother reacts to child’s expression of sadness with acceptance attitude and permissive attitude or a child possesses more cultivated self-regulation and other-regulation abilities. Third, child’s prosociality improves when a mother reacts to a child’s expression of anger with controlling attitude and child’s expression of sadness with permissive attitude or a child has more sophisticated emotion regulation ability particularly in case of girl. Fourth, personal initiative belonging to social competence is higher, when other-regulation ability belonging to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is well developed. It is possible to infer mother’s attitude of acceptance regarding child’s emotional expression influences indirectly child’s social competence. Also, it is possible to know that both mother’s attitude of acceptance of emotional expression which is an extrinsic factor and child’s emotion regulation ability which is an intrinsic factor are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infant’s social competence. Therefore, this study can conclude when a mother nurtures a child’s emotional expression with an expedient attitude, it can contribute to developing social competence of a child with respect to peer relationship and furthermore afford raising a capable citizen. 본 연구는 유아의 성별과 형제관계유무,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및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및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증진시키는 것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D시 소재 유아교육기관의 만 3, 4, 5세 유아 189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는 Saarni(1990)가 개발한 PACES (Parent Attitut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Scale)를 이지선이 번안한 후 만3세 ~ 만6세 아동을 대상으로 측정하기에 적합하도록 수정 ․ 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은 이병래(1997)가 제작한 정서지능 척도의 4개 하위영역 중 자기조절과 타인조절의 2개 하위척도를 사용하여 교사가 평정하도록 하였다.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주희와 이은해(2001)가 제작한 취학 전 유아용 사회적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와 위계적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 및 형제자매관계 유무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의 차이점을 살펴본 결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의 하위요인인 친사회성에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형제자매 유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아가 ‘슬픔’을 표현할 때, 어머니가 허용적 ․ 수용적인 태도로 반응해 주며, 유아가 자기조절능력 및 타인조절 능력이 높을수록 유아는 여러 또래와 고루 어울릴 수 있는 ‘사교성’능력이 높아진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가 여아일수록, 유아의 정서표현 중 ‘화’에 대해서는 어머니가 엄격 ․ 통제적으로 반응하고 ‘슬픔’에 대해서는 어머니가 허용적 ․ 수용적인 태도로 반응해 주며,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이 높을수록 유아의 친사회성이 높아진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중 타인조절 능력이 높을수록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의 하위요인인 주도성이 높아진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유아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태도는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에 관련되어 간접적으로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추론해볼 수 있다. 또한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발달에는 유아를 둘러싼 환경적 요인인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내적 요인인 정서조절 능력이 모두 요구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머니가 유아의 정서표현에 대해 바람직한 태도를 갖고,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을 기를 때, 유아기 또래관계에서의 유능성을 기르는데 도움이 되고, 더 나아가 사회적으로 유능한 구성원을 길러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볼 수 있다.

      • 추상공간과 사물에 관한 연구 : 나의 작품을 중심으로

        우혜영 동덕여자대학교 (동덕여자대학)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무엇이 옳고 그른지 그 가치 기준을 평가 할 수 없을 만큼 다원화 되어 있다. 따라서 현 시대에 미술가들에게 있어서의 창작의 범위는 광범위하며, 창조의 노력 또한 시대의 속성에 맞게 더 많이, 그리고 급속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나는 나를 에워싼 현대 문명의 이기(利器)속에서 도태(淘汰)되거나 소외되지 않으려고 애쓰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게 한다. 그러므로 일상에서 벗어나 나 자신의 존재 가치와 현재의 내 모습,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창작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것은 최소한 화가를 지망하는 미술학도에게 있어서는 당연한 각성이 아닐 수 없다. 나는 이와 같은 오늘의 현실에서 내 자신의 정황을 회화적인 상징성과 표현성을 중심으로 나의 작품세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인간이 예술을 창작하기 시작한 이래로 꾸준히 그 자신이 표현대상이 되어온 것은 무엇보다 자기의 심상을 가장 잘 대변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그렇기 때문에 나의 작품에 주로 등장하는 인물은 나의 내면적 세계와 나아가서 오늘날 현대를 살아가는 보통사람의 모습을 그대로 반영했다고 볼 수 있겠다. 본 논문은 이러한 나의 작품세계를 이론적으로 검증해 보고, 현대회화가 나에게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한 자아의 변환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되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Diversity of values makes it hard for people to distinguish right from wrong. The truth is there is no limit to the artists on the range of creation, and more efforts for creation should be made rapidly to catch up with an attribute of the times. This situation enables me to find out my existence trying not to be shunned or weeded out in modern conveniences surrounding me. I need to escape from my routine and think about what my identity is and what my life should be like. My works are intended to express these questions focused on symbolism and expression. The reason why human beings have been objects of expression since they started to create arts is they can express their image better than any. The chracters usually appearing in my works are reflecing my internal world and the features of people living in the present day. It could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modern arts on me and change of me by theoretical systematization of my works through this essay.

      • EG SPEECH를 이용한 조음치료가 정신지체 청소년들의 마찰음 향상에 미치는 효과

        우혜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onologic treatment using EGSPEECH as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CAI) in youth with mental retardation having /s/ misarticulation. The experimental design was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 This investigation evaluated the effects on phonemes acquisitio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of EGSPEECH. In the intervention sessions, phonologic treatment using EGSPEECH(www.egspeech.com) was provided to subjects. All three participants rapidly acquired /s/ and showed generalization to make a story in pictures which are the same as evaluation of baseline and interventions. Maintenance data were collected in two weeks later of termination of intervent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Phonological treatment using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increased the percentage of correct /s/ consonants for youth with mental retardation. (2) Although the intervention effects was easily generalized in other stimulation setting, it was not notably generalized in response setting which tested connected speech in story telling. All three participants present a little possibility. (3) the effects of phonologic treatment using EGSPEECH were maintained for the three sessions after two weeks of the termination of interven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phonologic treatment using EGSPEECH as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CAI) is clinically effective in the /s/ acquisitio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of /s/ articulation for the participants with mental retardation.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 청소년들에게 EGSPEECH를 이용하여 조음 치료를 했을 때 마찰음의 능력이 향상하는지를 검증해 봄으로써 조음치료에 있어서의 컴퓨터 보조 학습(CAI)의 유용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경도 정신지체 청소년 3명을 대상으로 EGSPEECH를 이용하여 조음 치료를 했을 경우 조음 오류를 보이는 마찰음이 어느 정도 향상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실험 설계는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고, 중재 프로그램은 EG SPEECH 웹 사이트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평가는 매 회기 중재 전에 ‘문장 완성하기’ 과제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중재 종결 후에는 향상된 마찰음이 ‘이야기 만들기’ 과제에서도 일반화되어 나타나는지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지 단계는 일반화 단계 이후 2주간의 휴지기를 거쳐서 3회기 동안 중재에 대한 유지 효과를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에서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EGSPEECH를 이용한 조음치료를 실시한 결과 대상자 모두 문장 완성하기 과제에서 마찰음 능력이 향상되었다. (2) EGSPEECH를 이용한 조음치료를 실시한 결과 대상자 모두 향상된 마찰음 능력이 중재를 받지 않은 다른 자극, 즉 이야기 만들기 과제로 일반화 되었다. (3) EGSPEECH를 이용한 조음치료를 실시한 결과 일반화 단계 종결 이후 2주간의 휴지기를 거친 후에도 3명의 대상자 모두 향상된 마찰음의 능력을 유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EGSPEECH를 이용한 조음 치료가 정신지체 청소년들의 마찰음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특히 본 연구는 마찰음을 치료하기 위해 기존의 전통적인 조음 치료법을 바탕으로 정신지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청각적으로 다양한 자극을 컴퓨터를 통해 제공하였다. 특히 구강 내에서 이루어지는 조음 방식을 이해시키기 위해 제공한 시각적 자료는 마찰음 습득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한 개별 말소리, 무의미 음절, 유의미 낱말, 구, 문장 수준으로 확장시켜서 의사소통의 가장 작은 언어학적 단위부터 구조화된 맥락까지 EGSPEECH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EGSPEECH를 이용하여 중재를 했을 때 대상자들의 치료에 대한 동기 부여와 과제 수행 시 주의 집중력이 증가하였고, 일관적인 자극과 피드백을 제시할 수 있어서 정신지체 청소년들에게 치료에 대한 흥미도 유지시켜 치료 효과를 증대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