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 극동개발 프로그램과 한ㆍ중ㆍ일의 정책

        우평균(Woo Pyung Kyun)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0 슬라브학보 Vol.25 No.4

        This paper has a purpose to analyse the policies of Korea, Japan and China toward Russian Far East(RFE). Russia’s Far East region, the biggest Russian federal region, accounts for nearly 40 percent of the total territory, but its socio-economic development has lagged far behind the average national level. Russia’s high-level leadership in recent years set the firm resolve to prioritize the Far East development as the most preferable development guide line principle, and the Russian Federal Government in late 2009 issued “the Scio-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of the Far East and the Baikal Area prior to 2025”, and proposed for a “hastening” development over the next 15 years to heighten its GDP growth rate by 0.5 percent above the average national level. The Russian federal government has decided to convene the APEC Economic Leaders Informal Meeting in Vladivostok in 2012 and planned to establish special economic zones in order to provide the most favorable conditions for investment projects for both Russia and foreign corporations. Northeast China and the Russian Far East Area has always been an important region for bilateral economic cooperation. In 2009, leaders of China and Russia ratified the Action Plan to implement the China-Russia Treaty of Friendship, Good-neighborliness and cooperation (2009-2012). They also approv ed the cooperation and planning program for northeast China and Russia’s Far East and Ea stern Siberia Area in the year, and this shows the resolve of both neighboring nations for e nhancing coordination to invigorate or rejuvenate northeast China and Russia’s Far East, so as to make the regional cooperation a new luminance spot and vital prop for the bilateral partnership. Japan is very cautious on in her approaching to the RFE, but Japanese government leads to direction of policy for a long time, especially in the new future industry like green and nuclear energy etc., Evidently, Japanese government trying to cooperate with Russia in the fields of their comparative superiority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real benefits. Korea has to develop her own strategy toward RFE and to consider RFE as an independent factor or an area in Northeast Asia. Then, it should be introduced what is real beneficial interests between Korea and Russia for the present and the future.

      • KCI등재

        소련 및 러시아의 대외인식과 한국관

        우평균(Woo Pyung-Kyun) 한국정치정보학회 2008 정치정보연구 Vol.11 No.1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의 대외인식의 원천을 파악하고 대외인식의 한 갈래인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대한 인식 및 정책의 더욱 세부적인 지역으로서의 한반도에 대한 인식 정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소련과 러시아를 잇는 대외인식의 기저 속에서 한반도에 대한 관념이 대체로 변하지 않고 있으며, 이와 같은 근거에서 일관된 정책목표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냉전시대에 오랫동안 러시아는 한국을 동맹국인 북한에 비해 전략적 고려의 대상이 되지못하거나 부차적인 위치에 머무르는 변방의 존재로 인식했지만, 한반도의 현상유지를 타개하려는 북한의 어떠한 시도도 용인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련은 전략적으로 기존의 북한과의 동맹체제를 강화하는 것이 한국과의 제한된 접촉을 유지하는 것보다 중요했다. 나아가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 핵심은 역시 이곳에서 미국의 독점적 영향력을 제거하고 군사적 충돌을 방지하고 러시아의 영향력을 확대해나가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특히 남북한 어느 곳에서도 반러시아적 상황이 전개되지 않도록 각별하게 관리하는 방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냉전기 한소관계의 구도는 1990년 9월 30일 한소수교를 계기로 과거 동맹국인 북한을 러시아가 밀어내고 한국과 밀착할 정도로 관계가 완전히 변환되었다. 탈냉전 시기에는 종국적으로 러시아가 한국과 북한을 대상으로 등거리 균형외교를 표방하게 되었고, 이 원칙은 푸틴정부에 계승되어 대한반도 외교의 상징처럼 자리잡게 되었다. 결국 한국은 동북아 역학구도에서 새로운 행위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러시아를 예의 주시하면서 우리의 국익을 증대시킬 수 방안은 무엇인가에 대해 늘 고민하면서 대외 전략을 수립해야 하는 스스로의 운명에 대해 자각할 필요가 있다. 미, 일, 중, 러 등 한반도 주변 4대 강국 중에서 상대적으로 우리와 멀다고 해서, 우리와 관계속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떨어진다고 해서 러시아의 역량을 무시하거나 방치하다가는 먼 장래도 아닌, 가까운 시기에 곤경에 처할 수도 있음을 감지하고 우리의 외교 및 전략 투사 역량을 강화하면서 대러관계를 잘 관리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research the perception of the Soviet union and Russia perception toward Asia Pacific region, especially on Korean peninsula as a specific area with her basic concepts on foreign policies. For a long time including Soviet Union and Russia's history, the perception on Korean peninsula is consistent on and the goal of policy is also firmly established without any changes in the stream of the foreign policies. In the cold war period, Soviet Union had recognized South Korea as a enemy of ideology, but she had not forgive the North Korea's willingness to invade to South Korea and to overall the status quo of Korean peninsula. Furthermore, Russia's pivotal goal toward Korean peninsula is also to remove the monopolistic influence of USA in the region, to prevent military collision, and to enlarge the Russia's power to the peninsula. In the post-cold war period, Russia manifests the equal approach to the two Koreas, this new doctrine will never changed until the time of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Russia would prefer to see status quo maintained in Korea, but it is not willing to spend too much resources toward such a goal. Finally, Korea has to monitoring and preventing the future's Russian action in the Korean peninsula, and has to refreshed the principal action plan and design of Russia's activities in the region is originated from this original perception which has been survived for along time.

      • KCI등재후보

        러시아의 가스 네트워크 외교와 해외투자사업: 평가와 문제점

        우평균 ( Pyung Kyun Woo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12 동북아연구 Vol.27 No.2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가 에너지 수출국이면서도 국내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에너지 수입을 확대하고 있는 나라라는 점에 주목하면서, 두 가지 목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첫째는, 러시아가 중앙아시아-카스피해 지역에서 취하는 가스 파이프라인과 관련한 입장을 살펴보면서, 동시에 러시아 정부 이외에 투르크메니스탄 정부나 러시아 기업 같은 주요 행위자들의 가스와 관련한 목표들을 비교하고 있다. 이를 통해 각 행위자들의 목표는 상이하지만, 행위자가 처한 현실은 유사하며, 그 결과 동일한 양식으로 행동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둘째로, 본 논문은 러시아의 대외 에너지 투자의 개략적인 양상과 러시아가 천명하고 있는 장기 에너지전략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지적하고 있다. 러시아가 해외시장에 에너지원을 확보하고 이를 수입하려는 정책이 본격화된 것은 사실상 2000년대에 들어와서부터이며, 2010년대 초반 시점까지 본격적인 성과들이 나타나고 있지 못하다. 다만 러시아가 진출할 수 있는 지역들 중에서 역사적, 정서적 측면에서 비교적 진출이 용이하다고 판단되는 중부 유럽의 경우에 러시아에 비판적인 정권이 집권할 경우 러시아가 원하는 성과를 도출하기가 힘들고, 러시아에 우호적인 정부가 집권하고 있을 때 성공확률이 높아진다는 사실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러시아에 우호적일지라도 성공확률이 100% 보장되지 않는다는 것도 더불어 드러난다. 결국 러시아 사례를 통해 에너지 시장을 새로 개척하는 것은 러시아처럼 중동부 유럽에서 영향력을 많이 갖고 있는 지역 강대국이면서, 동시에 에너지 대국이라 할 수 있는 나라도 대단히 힘들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s purpose is focused on two points. One is to suggest Russia`s policies on gas pipe line in Central Asia-Caspian region. Beside Russian government, another actors` behaviors like the government of Turkmenistan and Russian companies toward goals on gas program is also explained. From this analysis, it is pointed that each actors are acting with same pattern in the similar reality though their aims are different. The will of Russian government and Russian national company, Gazprom`s aim is not always same in the meaning of their strategy and value. The othe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Russia`s long term strategies on energy under the conditions of the general situation of Russia`s foreign investment on energy. Supporting the Russian energy companies` expansion became the primary motivation of Russian foreign policy toward Central Europe. While aspirations are constant, their success depends on the receptiveness of the host government. Socialist government of Poland and Hungary and populist governments of Slovakia tend to be more welcoming toward Russian expansion attempts than conservative governments of their countries. Moscow scored many more victories during times when the former were in power than during the latter. From Russian case, it is available that Russia as a regional great power and a energy power in Europe is very hardly to access to new investment market, as the experience for market entrance in Central Europe.

      • KCI등재

        러시아의 현대전 대응 전략과 실천과제: 군사사상, 전략과 군사력 건설

        우평균 ( Woo¸ Pyung Kyun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1 국방연구 Vol.64 No.4

        본 논문은 러시아의 군사전략과 현대전 대응과의 상관성을 제시하고, 실천적 과제를 제시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러시아의 군사혁신은 서구와 용어는 다르지만, 미국보다 앞서 혁신 노력을 기울여왔다. 전통적으로 소련의 군사이론가들은 발상을 달리하는 신무기체계의 출현과 더불어 새로운 전투 방식을 가장 먼저 받아들이는 군대가 미래 전쟁에서 결정적 우위를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해왔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 러시아의 이같은 사고는 비대칭 전쟁, 비접촉전, 비군사적 수단의 중시 등 독자적인 전략 개념을 적극 수용하기 시작했으며, ‘와해’와 같은 러시아 특유의 전략적 사고를 발전시키기에 이르렀다. 2010년대에는 국가 전략 과제와 국방과학기술을 접목시키려는 노력을 본격화하기 시작하여 고등연구재단과 Era 테크노폴리스 등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현대전의 변화에 따르는 실천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새로운 전쟁의 성격을 연구하고 군사 부문의 R&D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과거에 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인 결과, 진척도 있지만 아직 미국과 중국에 비해 뒤쳐져 있다. 러시아는 사회적으로 낮은 노동생산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사회 전반적인 혁신 노력이 부족한 상태이다. 여기에 더해 2014년부터 지속되고 있는 서구의 대러 제재도 국방 산업의 발전에 족쇄가 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correlation between Russia's military strategy and modern war strategy and to present practical tasks. Russia's military innovation has made innovation efforts ahead of the United States, although its terms a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West. Traditionally, Soviet military theorists have argued that with the emergence of a new weapon system with different ideas, troops that accept new combat methods will have a decisive advantage in future wars. In the 2000s, Russia's thinking began to actively embrace its own strategic concepts, including asymmetric wars, non-contact warfare, and importance of non-military means, and led to the development of Russia's unique strategic thinking such as “disorganization.” In the 2010s, efforts to incorporate national strategic tasks and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began in earnest, and the Higher Research Foundation and Era Technopolis were established and operated.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nature of a new war and making considerable efforts to establish an R&D network in the military sector to achieve practical tasks according to the future war plan, it is still lagging behind the United States and China. Russia maintains low labor productivity socially and lacks overall innovation efforts. In addition, Western sanctions against Russia, which have continued since 2014, have also been shackled by the development of the defense industry.

      • KCI등재

        유라시아 분쟁에서의 러시아의 개입

        우평균(Pyung-Kyun Woo)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4 국제정치연구 Vol.17 No.2

        This paper has a purpose to compare the Russia"s intervention in two disputes, the Georgia war 2008 and the Ukrainian crisis 2014, as well as for suggesting the meaning of the intervention in two cases. These seems to reflect the common patterns in the methods of intervention, that is, preemptive actions, intelligence, and war in cyber space by Russia. While the Russian army were located in nearby the border in advance of the break of war, Russia had activated the means of advertising Russia"s position, including mass media, internet etc. After Putin"s inauguration to presidency, techniques and skills for propaganda has been increasingly developed in Russia. With these points, Russia has often mobilized the solders of private armed forces, like "Cossacks", with regular army. Particular attention is given to conceptual and practical problem involved in the identification as a new type of "hybrid war". Putin Russia"s goal of military intervention is destined to "regional small hegemon" in space of Eurasia. In any case of pursuing the Russia"s national interests, the principle of "territorial integration" are sometimes neglecting. Conclusionally, there should be continuous efforts to find ways to work for the political solutions in ethnic conflict around Eurasian land.

      • KCI등재

        통일 한국의 헌정체제 구상

        우평균(Woo, Pyung Kyun)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2018 평화연구 Vol.26 No.1

        본 논문은 통일한국이 추구해야 할 헌정체제를 이념과 제도의 측면에서 밝히고, 그 타당성을 제시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이념의 측면에서 자유민주주의와 공화주의를, 제도의 차원에서 연방제와 양원제를 제시하고 있다. 자유민주주의 이념은 헌정사상 한 번도 포기된 적이 없는 고유 가치로써 지속되어야 하고, 공화주의는 시민의 덕성을 고양하고 공공선을 도출하는데 필요한 합의를 강조하기에 통일한국에 출현할 다원사회 환경에 적합한 이념이다. 연방제 구상은 통일의 초기 과정이 일단락 된 연후에 새로운 제도디자인의 일환으로 구상가능하며, 그 구체적 형태는 남과 북의 다수의 도를 통합한 7개의 지방정부로 재구성할 수 있다. 양원제는 연방제에 조응하는 일련의 완성된 제도의 형태로 도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념과 제도의 설정과 더불어 통일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몇 가지 시사점을 들 수 있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인들의 포퓰리즘(populism)을 경계해야 한다. 둘째, 새롭게 디자인이 필요한 제도, 예를 들어 연방제와 양원제 같은 경우 정치적인 결단과 법률적인 조언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셋째, 통일과정에서 불필요하게 야기될 비용을 최소화하고 생산적으로 통일을 안착시키기 위해 통일의 각론에 대한 논의를 보다 구체화시켜야한다. This article has a purpose to suggest the constitutional system in the unified Korea, in the perspectives of the ideas and institutions, and to clarify the validity. For this aim, liberal democracy and republicanism as the proto-ideas and federalism and bicameral system as typical institutions has been suggested in this paper. The idea of liberal democracy has to continue in the process of constituency in Korea because it has been existed as a original value since 1948. Republicanism that is appropriate to social atmosphere, pluralism, after unification in Korean peninsula is needed to elevate the people’s virtue and to elicit the common good. The concept of the federalism can be designed as a new constitutional system after integration of the process of the unification, and it’s concrete form should be reconstituted with new 7 federals from the former provinces. The process of the unification will be also recommended like these. Firstly, we must alarmed to politician’s populism. Secondly, for the design of the new institution, we need to coordinate the role of politician with the lawyer’s opinion. Thirdly, discussions about the specific areas of the unification should be primarily subjects for minimizing the costs of the unification.

      • KCI등재
      • KCI등재

        CSCE 참여국의 전략적 이익과 협상 결과 : 소련의 입장을 중심으로

        우평균(Pyung Kyun Woo)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08 국제관계연구 Vol.13 No.1,2

        It is noteworthy that the Soviet Union has been proposed for security Council in Europe like CSCE for a long time, with the general understandings of CSCE foundation. This paper has a purpose to grasp the strategic interests of Soviet Union in the process of CSCE establishment and the meanings of Soviet Union's participation in the negotiation process. For the Soviets, the CSCE was a key step in a broad strategy to consolidate their hold on Eastern Europe and to win an additional measure of influence over Western Europe. The CSCE was the most far-reaching, concrete initiative undertaken by the Soviets in carrying out her so called, "peace program." The Communist party was obliged by its own policies to convene its Twenty-fifth Congress, and a successful CSCE was all but essential to demonstrate that the Soviet government had correctly carried out the party's policies. The CSCE also had long been a subject of intense personal interest and commitment for Brezhnev. For accomplishing her objectives, Soviet Union's strategy was to evidently overwhelm the other delegations, to create an irresitible momentum to finish the negotiations, to rush through the work in a general way, and to avoid being tied down in terms of time or language to any very specific discussions or agreements. The Soviets exhorted the Conference to move ahead more rapidly with its work and belittled all efforts to evoke specified as attempts to sidetrack the historic significance of the Conference into meaningless details. These tactics found a certain sympathy among many delegates, she felt the negotiations bogging down. Nevertheless, the CSCE's role as a continuing European institution still has a dynamic enterprise. This institution is broad in scope and membership. flexible, and resistant to the moods of international relations. It has become a forum for debate and discussion between East and West, neutral and engaged, small and large countries, and has proven itself capable of positive contributions, even during periods of East-West tension. It has not been subverted to Soviet objectives-on the contrary, it has been used to advance many Western views-and its possibilities are far from exhausted.

      • KCI등재
      • KCI등재

        러시아의 북한인권에 대한 인식과 동향

        우평균 ( Pyung Kyun Woo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1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9 No.3

        본 논문은 북한인권 문제에 대한 러시아 정부의 입장이 무관심 혹은 불개입으로 일관해온 이유를 제시하고, 러시아를 통해 북한인권 문제에 접근하는 방도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러시아에서의 인권 관념 및 인권운동의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러시아가 북한 인권문제에 대해 표명하고 있는 인식과 태도를 러시아 정부 및 시민사회 차원에서 파악하고 있다. 러시아 정부 차원에서는 유엔 등 국제기구에서의 러시아의 북한인권 문제에 대한 태도 표명을 위주로 볼 수 있으며, 더불어 러시아 지역에 유입되거나 러시아로 탈출한 북한 노동자에 대한 처리 문제를 통해서도 러시아의 북한인권 문제에 대한 시각을 도출할 수 있다. 러시아는 한반도에 대한 자신의 국가이익, 미국의 러시아 인권 비판에 대한 반발 심리, 북한에 대한 무관심, 아직까지 남아있는 소련 시절의 관행 등의 이유로 북한인권 문제에 불개입 원칙을 고수하고 있는데, 단순히 러시아 내 인권상황에 대한 서구의 비판을 모면하기 위해 북한인권 문제에 개입하지 않으려는 것은 아니다. 러시아 내 탈북자 문제에 있어 러시아는 원칙상 난민대우를 해주어야 하지만, 실행에 있어 모순되는 행태를 보임으로서 불명확한 입장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 정부는 러시아와의 협상 시 러시아에 이익이 되는 다른 사안과 연계해 러시아 내 탈북자 문제에 러시아가 전향적으로 한국의 입장을 수용하도록 협상력을 강화해야 한다. 러시아 시민사회에서의 북한인권과 관련한 움직임은 정부 측 입장보다 다양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지만, 북한인권 상황을 비판하고 인권개선을 위해 북한에 압력을 넣어야한다는 주장은 실제로 정부의 정책에 반영되고 있지 않으며, 개인적인 주장으로 남아있다. 결국 다자적 구조 형성 과정에 러시아를 포함시켜 북한인권 문제 해결을 위한 논의구조를 만드는 것은 그 실현 가능성이 낮으며, 한국과 러시아가 협의 가능한 사안위주로 양자협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has a purpose to suggest the reasons why Russia has been consistently managed attitude of indifference or non-involvement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and to offer the devices for the approach to the issues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through Russia. For it, it is needed that the perception and behavior in the level of the state and civil society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in Russia should be analysed. In the level of the Russian state, the main aspects can be seen through the acts of Russia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 UN, and dealings with the North Korean refugees in Russia. Russia has been stubbornly keeping her attitude of indifference in North Korean human rights, due to Russia`s national interests toward Korean Peninsula, counter active expressions from American critics to Russian human rights problems, and the existing customs from the days of Soviet Union. Russia has some uncertain attitude to the North Korean refugees in Russia, though she has a right to protect every refugees in Russia according to her entry into international treaty. Finally, Korean government has to strengthen the power for negotiation with the connection of Russia`s interests in order to accept Korea`s demand to Russia on the refugee problem in the process of negotiation with Rus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