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는 어떻게 독서하는 10대가 되었는가

        우신영,김향연 청람어문교육학회 2024 청람어문교육 Vol.- No.9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eenagers with the "reader" identity organize and perform their identity. This is because it was premised that the cases and voices of teenage readers could guide the direction of reading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conducted group interviews with high school students who pride themselves on being readers. We chose the method of collecting life experiences through FGI as a research method, and talked about the drivers and factors that led to reading (past), how they feel and behave about current reading (pres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 life and reading (future). The interview results were reviewed through Goodson's four-step analysis (Goodson & Choi, 2008), and the speech of teenage readers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primary and secondary categories derived as a result. Furthermore, the direction of reading education that can be suggested through the common reading drivers/factors/emotional/behavior/career of teenage readers reveal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as proposed.

      • KCI등재

        문학교육에서 동아시아 문학의 수용 방향 연구

        우신영 한중인문학회 2017 한중인문학연구 Vol.56 No.-

        이 연구는 동아시아 문학 개념이 문학교육에 수용될 수 있는 가능역을 타진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현재 문학 교과서의 동아시아 문학 수용 양상을 관점/목소리/작업의 분석틀로검토하였다. 분석을 위해 동아시아 문학을 ‘동아시아 각국의 국가적 특수성 혹은 동아시아 국가간의 관계적 특수성이 주도적으로 드러나는 문학’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의에 따라 현재유통되는 11종 문학 교과서 수록된 제재 중 동아시아 문학으로 분류할 수 있는 작품 29편을추출하였다. 관점 차원에서는 주로 단원 설계 및 제재의 경향성이 분석되었는데 대부분의 교과서들에서 동아시아 문학 제재들은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단원이나 ‘문학과 공동체’ 단원에 수록되어 있었다. 이러한 단원 설계와 제재 배치로 인해 동아시아 문학이 한국 문학의범주를 확인하거나 동아시아 이주민들을 정형화하는데 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목소리 차원에서는 서술 이데올로기와 삽화가 주 분석 대상이 되었는데 관점 차원과 마찬가지로 순(純)국문학의 개념이 여전히 강고하게 자리한 가운데 많은 서술과 삽화들이 동아시아/동아시아인에 대한 관습적 스테레오 타입을 재생산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작업 차원에서는 학습활동이 분석되었는데 분석 결과 대부분의 동아시아 문학이 사회적 담론 생성을 위한 도구/자료로 처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동아시아인들을 소수자로 낙인찍는 활동들과 함께 한국 문학의배타적 우월성을 확인하는 활동들 역시 다수 포착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토대하여 향후동아시아 문학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제언을 시도하였다. 관점 차원에서는 기계적 단원 설정및 동아시아 문학 제재 배치를 지양하고 서정과 서사, 고전과 현대 작품 사이의 불균형을 해소하는 방향을 제안하였다. 목소리 차원에서는 한국 문학의 개념에 대한 실체론적 관점을 지양하고동역학적 관점을 채택할 것을 제안하는 한편 동아시아인들을 다문화 문제의 유발자로 처리하는서술과 삽화의 신속한 조정을 제안하였다. 활동 차원에서는 동아시아 문학 작품들에 대한 상호문화적 독법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진정한 상호문화적 감수성이 형성될 수 있음을 논구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meaning of the concept of East Asian literature as the middle point between the world literature and the national literature and tried to explore the possible role of the concept of East Asian literature in literature education. The aspect of East Asian literature in textbooks has been analyzed with perspective/voice/ work analysis framework. The concept of East Asian Literature was defined as the literature on which the peculiarity of the countries in East Asia or the relationship specificity between East Asian countries led the way. Based on these definitions, 29 pieces of works which can be classified as East Asian literature among the texts included in 11 kinds of literary textbooks were extracted. The results of analysis suggested the direction of future East Asian literature education. On the view dimension, we proposed a direction to eliminate the imbalance between lyricism, narrative, classical and contemporary works by avoiding the setting of mechanical unit and arrangement of East Asian literature. On the voice dimension, we proposed not to take a substantive perspective on the concept of Korean literature but instead to adopt a dynamic viewpoint, while suggesting the rapid adjustment of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that treat East Asian people as motivators of multi-cultural problems. On the activity dimension, we proposed intercultural literacy for East Asian literary works and argued that true intercultural sensitivity can be formed through them.

      • KCI등재

        소설의 공간 이해에 기반한 서사윤리 연구 - 정미경 소설을 중심으로 -

        우신영 한국문학교육학회 2022 문학교육학 Vol.- No.74

        This study explored the issues of space and ethics in Jung Mi-kyung’s work world in order to establish and prove the hypothesis that it is possible to prepare an argument for narrative ethics while following a series of novel interpretations on the subject of space and ethics. Jung Mi-kyung’s three short stories, <Hotel, Euro 1203>, <My Son’s Lover>, and <Bungee Jumping>, can be interpreted as a chain of responses to the question, “What kind of space is the ethical niche of human beings?” This again allows the reader to re-recognize the space of the novel, the space of the author, and the space of the reader himself. This complex spatial composition caused by the multiplicity and polyphony of novel communication provides new possibilities for narrative ethics, which have been focused on rhetorical analysis and moral dilemmas. This is because, through the process of negotiation between the space of the novel, the space of the writer, and the space of the reader, the reader’s perception of reality can grow. The three analyzed works illuminate the movements of characters living in different spaces in different ways. While relying mainly on the basic spatial composition of the space of the rich and the space of the poor, rather than focusing on a simple binary opposition, such space It delicately describes how ethical behavior or value exploration is driven, and the rest of the process is left to the reader’s eyes and imagination. Therefore,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space in the novel, the reader asks how the characters should exist justly, and furthermore, in what space and in what manner they should exist ethically. In other words, it is the primary conclusion of this study and the starting point for subsequent research that it is possible to prepare an argument for narrative ethics while following a series of novel interpretations on the topic of space and ethics. 이 연구는 공간과 윤리라는 주제에 대한 일련의 소설적 풀이를 따라가 보면서 서사윤리학의 입론을 마련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입증하기 위해 정미경의 작품세계 속 공간과 윤리의 문제를 탐구하였다. <호텔, 유로 1203>, <내 아들의 연인>, <번지점프를 하다> 등 정미경의 단편소설 세 편은 “어떤 공간이 인간의 윤리적 적소인가”에 대한 응답의 연쇄적 결과로서 해석 가능하며, 이는 다시 독자로 하여금 소설의 공간과 작가의 공간, 독자 자신의 공간을 재인식하게 한다. 소설 소통의 중층성과 다성성으로 인해 일어나는 이러한 복잡한 공간 구도는 그동안 수사학적 분석이나 도덕적 딜레마 중심으로 다루어졌던 서사윤리 문제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한다. 소설의 공간과 작가의 공간, 독자의 공간이 교섭적 대화를 나누는 과정을 통해 독자의 현실 인식이 모종의 성장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분석된 세 편의 작품은 각기 다른 공간을 다른 방식으로 살아가는 인물들의 행보를 조명하는데, ‘있는 자의 공간’과 ‘없는 자의 공간’이라는 기본적 구도에 의지하면서도 단순한 이항대립에 치중하기보다는 그러한 공간이 인물의 윤리적 행위나 가치탐구를 어떻게 추동하는지 섬세하게 묘사하고 나머지 과정은 독자의 시선과 상상 속에 맡겨둔다. 따라서 독자는 소설 속 공간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인물들이 어떻게 존재해야 정당한지, 나아가 자신은 어떤 공간에서 어떤 방식으로 존재해야 윤리적인지 질문하게 된다.

      • KCI등재

        Comparative Research on The Fiction Interpretation of Learning Readers in Heterogeneous Class

        우신영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1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2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spect of gender culture which is reflected in the interpretation of fiction text through investigating the regularity of fiction interpretation of learning readers in heterogeneous class environments. Especially, this research is planned to locate the position where the korean gender culture operates on the formation of gender identity and value choice of learning readers. In addition, the possible educational prospect is proposed. This study shows the need for a full discussion and the long-term study on gender issue in literary education.

      • KCI등재

        백신애 소설 연구 -여성 작가와 정체성 탐색의 글쓰기

        우신영 한국여성문학학회 2010 여성문학연구 Vol.2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process of the quest for identity in the Paik Shin-ae's novel and to elucidate its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First, Paik Shin-ae showed special transition of author`s consciousness because of her marginal character. She experienced confusion of identity between her mother and older brother. Her mother expected comfort and easy life from her. But her older brother pursued a socialistic struggle. Her confusion was illustrated by her first novel 「My mother」. This novel could show a direction of interpretation for another Paik Shin-ae's novels. Second, this study explored 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s of each period by dividing 1st, 2nd, and 3rd periods of Paik Shin-ae's novel. Her first autobiographical novel showed that her writing is the quest for identity. And migration novel and poverty novel in 1st period showed her understanding of the world through ideology. The world in these novels was far away from Paik Shin-ae' personal life. On the contrary, many novels in 2nd period exposed the process of introspection on the world around Paik Shin-ae such as male intellectual's inner side and the middle class women. Considering these novels, it was found Paik Shin-ae has changed her focus of creation. The active female subject who chasing absolute beauty and power appeared in 3rd period novels. Through this, we could look how Paik Shin-ae expressed the active female subject. Third, this study used Paik Shin-ae's essays for analyzing her novels. It is possible to interpret her novels by using her experiences and ideas in the Paik Shin-ae's essays. In this process, Paik Shin-ae's unknown essay 「Frosty dawn. A wormy poplar leaves. Ah! last moments of frosty leaves,I envy you」was found. 본고는 백신애 소설이 여성 작가의 정체성 탐색 과정을 보여준다는 가정하에, 그 정체성 탐색의 소설적 형상화 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첫째, 백신애는 그가 갖고 있는 경계인적 성격으로 인해 소설 창작 과정에서 작가 의식의 변천을 보였다. 백신애는 안락한 여성 부르주아의 삶을 향유하도록 요구하는 어머니와 투쟁과 참여의 삶을 추구하는 오빠 사이에서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한다. 이는 데뷔작 「나의 어머니」를 통해 형상화되며, 이 작품은 이후 백신애 소설 세계의 해석 방향을 틀지워줄 수 있다. 둘째, 백신애의 소설 세계를 1기, 2기, 3기로 나누어 각 작품군의 특징과통시적 변화를 살폈다. 먼저 백신애는 자전적 서사의 시도를 통해 작가 자신의 글쓰기 자체가 정체성 투쟁의 성격을 가지는 것임을 보인다. 1기 소설에서는 유이민 문학이나 빈민소설 등을 창작함으로써 이념을 통한 세계 이해 경향을 보여준다. 이러한 작품들은 백신애라는 작가 개인의 삶과는 다소 거리가있는 세계를 다루고 있었던데 반해 2기 소설에서는 작가 자신이 몸담고 있던체험 세계에 대한 성찰이 수행된다. 이 시기 작품들에서는 무력한 남성지식인의 내면이나 가부장제에 의해 희생되는 중산층 여성들의 삶이 형상화되기 시작한다. 3기 소설에서는 절대미나 힘에 능동적으로 투신하는 여성 주체가 등장하기 시작한다. 이를 통해 작가 자신이 참된 여성 주체를 표명하는 과정을엿볼 수 있다. 셋째, 작가의식의 궤적과 작품 세계를 분석하는데 있어 백신애의 수필을활용하였다. 그 결과 수필에 드러난 작가의 경험과 관념이 백신애 소설의 해석에 원용될 수 있음을 밝혔다. 이 과정에서 백신애의 새로운 수필 「서리찬새벽. 벌레 먹은 포푸라입새. 아! 상엽(霜葉)의 임종(臨終)이여, 부러워라」를발굴하였다.

      • KCI등재

        문학교육에서 김유정 문학 읽기의 지평과 전망

        우신영 한중인문학회 2019 한중인문학연구 Vol.6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oach the meaning of Kim Yujung's appropriation in literary education phenomenon and its meaning in three dimensions. Despite the depth and depth of Yujung's literature, his work world has been consumed as an example for concepts such as humor and idiocy, instead of securing the status of canon in literary education. In order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beyond this tendency, this study examined how literary education discourse, textbooks, and learners appropriated literature of Yujung.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bildungsroman novels of Yujung's literature and the possibi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paid atten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extbooks, all three Korean textbooks were arranged by Yujung's <spring․spring> on the same unit and same achievement standard. There is a possibility to limit Yujung 's literature to the interpretive vocabulary of humor and folklore.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learner's analysis, we found a tendency that many references related to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novel appeared. Using the context of acceptance and consciousness of problem that the learner possessed as an interpretive asset, they also abundantly read problems such as labor, class, and gender. This study can see that the interpretation of Yujung's literature is already being renewed by these learners. 이 연구는 문학교육 현상 속에서 김유정이라는 작가가 전유되는 방식과 그 의미에 대해입체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유정 문학이 지닌 다면성과 깊이에도 불구하고그동안 문학교육 담론에서 그의 작품세계는 교육정전의 지위를 보장받는 대신 해학이나 바보인물군 같은 개념들을 위한 예전(例典)처럼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경향성 너머의 가능성을탐색하기 위해 이 연구는 문학교육 담론과 교과서, 학습자가 각각 김유정 문학을 어떤 방식으로 전유하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먼저 문학교육 연구 담론의 분석 결과 교육정전으로서 김유정 문학의 의미와 그러한 의미를 학습자를 위해 실체화해내는 작업이 주를 이룸과 동시에 <동백꽃>이나 <봄․봄>의 성장소설적 측면과 한국어교육적 가능성이 주목되고 있음을 밝혔다. 교과서 분석 결과 3종의 국어교과서 공히 동일 단원, 동일 성취기준에 김유정의 작품 <봄․봄>을 배치함으로써 김유정 문학을 특정 작품, 해학과 토속성이라는 특정 해석 어휘 속에 제한할 가능성을 가진다는 점을지적하였다. 한편 학습자의 전유 방식 분석 결과 소설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관련된 언술이 많이 등장하는 경향을 포착하였다. 학습자가 보유한 수용 맥락이나 문제의식을 해석적 자산으로삼아 김유정 문학에서 노동, 계급, 약육강식의 현실, 젠더 등의 문제를 풍성하게 독해해내기도했다. 이러한 학습자들에 의해 김유정 문학에 대한 해석정전이 이미 갱신되고 있으며 전유에대한 의미망의 확장 역시 수행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에 따른 문학교육 제도의 응답책임성

        우신영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20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a multi-layered way, how the literary education system responds to changes in literary communication created by changes in the media ecosystem. For this purpose, I tracked changes in the concept of literature according to changes in the media ecosystem, analyzed media-related literature curriculum/textbooks,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with student teachers about competencies required for future teachers. First, the ideal learner that literary education has presupposed is a traditional reader who attends to the voice of the text, but in the changing media ecosystem, the literary concept is not a noun that needs to be listened to or interpreted. Second, in the literary curriculum,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at the media concept is mixed in three layers: the semantic method, the existing form of literature (material), and the mass media.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textbooks did not substantially progress from the initial attitude of applying the media in a way that did not shake the framework of the existing literature education and textbooks. Learning activities also followed a pattern of separ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and the literature in the media ecosystem. Third, through student teacher surveys,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ticipants ranked media literacy, literacy for learners as digital natives, and the traditional mission as literary schoolteachers as the important capabilities of future teachers. Therefore, we need to look at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of the changing “media ecosystem” and, see literature as a component of the ecosystem and learners as human subjects with the power to move the ecosystem.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capacity of literature teachers to enjoy and practice digital ecosystem literature with learners. 이 연구는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가 만들어낸 문학 소통의 변화에 문학교육 제도가 어떻게 응답하고 있는지 다층적으로 검토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미디어 생태계 변화에 따른 문학 개념의 변화를 추적하고, 미디어 관련 문학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며 미래 문학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대한 예비교사 대상 설문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교육이 전제해 왔던 이상적 학습자란 텍스트의 목소리를 경청하는 전통적 독자에 가까웠으나 변화하는 미디어 생태계 속에서 문학 개념은 경청하거나 해석해야 하는 명사형 개념이 아니라 적극적인 실천의 과정을 담은 동명사적 현상으로 변화하고 있다. 둘째, 문학 교육과정에서 미디어 개념이 의미화 방식, 기존 문학(질료)의 전달 형식, 대중 매체 등의 세 층위로 혼재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교과서 분석 결과 기존 문학교육과 교과서의 틀을 흔들지 않는 선에서 미디어를 가미해 보는 초기의 태도에서 크게 나아가지 못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학습활동 역시 학습자가 미디어 생태계에서 문학을 하고 소통하는 양상과 괴리가 있었다. 셋째, 예비교사 설문을 통해 그들이 미디어 문식력, 디지털 원주민으로서 학습자에 대한 문식력, 문학교사로서의 전통적 사명감을 미래 문학교사의 역량으로 꼽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검토 결과 변화하는 매체 환경을 ‘미디어 생태계’라는 거시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그 생태계의 구성 요소로서 문학을, 그리고 그 생태계를 움직여 가는 인적 주체이자 동력으로서 학습자를 바라보는 한편 학습자와 함께 디지털 생태계 문학을 향유하고 실천할 수 있는 문학교사의 역량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가치탐구활동으로서의 소설교육

        우신영 한국국어교육학회 2010 새국어교육 Vol.0 No.86

        This study attempted to explain the possibility of novel reception. Because it is very critical to connect between the novel reception and reader's real lif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ry to show that novel is multilayered text encouraging the value inquiry activity of students. In this process, value inquiry activity emerges as an important issue. Emphasis about contextual ethics and moral imagination let us recognize narrative ethics. But correlation of novel's special form with ethics did not get satisfactory attention. This study discussed that reader's value inquiry activ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novel's multilayered form that assume shakes a fixed and indoctrinated value system. By looking into the <A Autobiography that isn't written> written by Lee Chung jun, we discovered that the value inquiry activity of the reader are derived from the relation between three levels, that is the story level, discourse level and context level. In the story level, we analyzed disunited subject, repetition and variation of the original experience and the set of the allegorical space. We studied the discourse structure of sentence and the statement, array of internal speech, diary type and end structure which is opened in the discourse level. In the last one, the context level, we analyzed the suppression of The Other, the testimony of generation consciousness and the writing as rebellion. With these analysis, we figured out that the realization of the value inquiry activity in the novel education is required to organized in the relationship of form of the novel-three levels, that is the story level, discourse level and context level- and value inquiry activity. Furthermore, the realization of novel education should contain the voluntary activity of student through sharing the value problem in the text and using imaginary reasoning. 허구서사로서의 소설이 그 교육적 의의를 표명하고 학습자의 삶과 맞닿기 위해서는 소설수용이 갖는 윤리적 가능성이 해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소설수용이 학습자에게 가치탐구활동을 촉발하는 다층적 텍스트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상황윤리와 도덕적 상상력에 대한 강조는 소설의 윤리성을 재인식하게 하였지만, 소설의 형상성과 독자의 윤리성의 연관 관계는 여전히 문제로 남아있었다. 본고에서는 소설의 다층성이 독자의 가치탐구활동을 촉발한다고 보고 이러한 다층적 층위가 독자의 가치탐구활동을 추동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청준의 「쓰여지지 않은 자서전」을 주된 텍스트로 하여 텍스트의 이야기 층위, 담론 층위, 맥락 층위의 가치소가 상호연관되면서 독자의 가치탐구활동을 유도함을 밝혔다. 이야기 층위의 가치소로는 분열적 주체, 원체험의 반복과 변주, 알레고리적 공간 등의 설정이 분석되었다. 담론 층위의 가치소로는 선고와 진술의 담론 구조, 내적 발화의 나열, 일기 형식과 열린 결말 등의 설정이 분석되었다. 맥락 층위의 가치소로는 대타자에 의한 억압, 세대의식의 증언, 반역으로서의 쓰기 등의 설정이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가치탐구활동으로서의 소설교육은 소설텍스트의 가치소가 학습독자의 수용을 통해 활성화되는 과정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텍스트 속에서 일어나는 가치문제를 분유하고 상상적 추론을 통해 대안을 생성하는 학습자의 능동적 활동 중심으로 설계되어야 함을 밝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