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학대가 아동의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또래애착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우수정,Woo, Su Jung 한국보육지원학회 2017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3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 abuse, children's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on children's depression/anxiety. In addition, the mediating role of children's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between child abuse and children's depression/anxiety was investigated. Methods: Using the data of 396 children in grades 4~6 from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2015),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 abuse had a direct influence on children's depression/anxiety, and self-esteem. Second, children's self-esteem had a direct influence on depression/anxiety. Third, children's self-esteem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and children's depression/anxiety. Fourth,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had a direct influence on self-esteem. But, children's peer attachment did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depression/anxiety. The effect of children's peer attachment on their depression/anxiety was partially mediated by children's self-esteem. Conclusion/Implications: In conclusion, child abuse, children's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have a direct or indirect impact on the depression/anxiety of children.

      • KCI등재

        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학령기 아동의 또래애착이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우수정 ( Su Jung Woo ) 대한가정학회 2013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1 No.6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학령기 아동의 또래애착이 휴대전화 의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학대 및 방임적 양육행동은 아동의 또래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가 학대 및 방임적 양육행동을 보일수록 아동은 또래와의 관계에서 의사소통과 신뢰 관계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으며 이로 인해 또래애착이 잘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대를 경험한 아동의 경우 이후 또래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결과[29]와 초등학교 5-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한 Lee [19]의 연구에서 부모의 방임이 높을수록 또래수용도는 낮아졌다는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또한 부모의 양육이 온정적일수록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는 연구결과[6]와도 연관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학대를 경험한 아동은 다른 사람에 대해 공격적이거나 다른 사람의 고통에 대해 무감각한 경향성을 보이는 데에서 알 수 있듯이, 아동의 사회적 기술은 최초의 사회적 관계인 부모와의 관계를 통해 습득되어지는 것이기에 부모와의 적절하지 못한 관계 형성의 영향은 또래와의 친밀한 관계형성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즉 부모의 양육행동이 또래관계 향상을 직접적인 목표로 하여 행해지는 것은 아닐지라도 결과적으로는 부모와의 관계가 또래관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33]. 대부분의 아동학대사례가 실제로 신고, 접수되고 있지 않은 현실을 감안해 볼 때, 실제적으로는 학대 및 방임이 더 많이 행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서 결과를 해석해 본다면 학대와 방임의 부정적 영향력은 보다 더 클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학대와 방임이 아동으로 하여금 또래관계에서의 애착형성에 어려움을 준다는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부모로 하여금 부정적인 양육행동을 나타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안마련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겠다. 따라서 우리사회가 체벌에 보다 허용적인 문화적 분위기를 지닌 것은 아닌지 되돌아보고, 아울러 강압적인 양육행동이 행해지는 동안 부모자신도 모르는 사이 학대가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은지 살펴 볼 필요가 있다. 학대 및 방임적 양육태도가 이후 대인관계를 비롯하여 아동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만큼 훈육이라는 미명하에 학대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부모의 방임의 경우 부모가 아동의 발달적 요구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무책임하면서 안일한 양육으로부터 비롯되기도 한다[27]. 이에 부모로서의 바람직한 양육태도를 길러주기 위한 체계적인 자녀양육에 대한 부모교육이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동학대부모들은 대체적으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해 있거나 사회적 지원체계로부터 고립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아동학대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가족기능전반에 대한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아울러 사회적 차원에서 아동학대와 방임에 대한 관심과 인식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무엇보다도 성장기 아동의 바람직한 발달을 위한 예방적 차원에서 가족과 사회 전체의 학대 및 방임 방지를 위한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아동의 또래애착은 휴대전화 의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대부분의 연구들의 연구대상이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또래애착과 휴대전화 의존 간의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결과[4, 5, 30]와 또래애착이 휴대전화 의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결과[15]와 같이 일관되지 않은 연구결과들로 인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욱이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드문 실정에서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살펴 본 아동의 또래애착과 휴대전화 의존 간 관계에서, 또래애착이 휴대전화 의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본 연구결과는 Kim [15]의 또래애착이 휴대전화 의존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연구결과를 지지하였다. 아동기를 지나 청소년기에 접어들면서 청소년들은 또래들의 평가에 더욱 민감해지며[10], 이로 인해 또래관계에서 소외당하지 않기 위함이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주요 이유 중의 하나인 것으로 나타났다[32]. 이러한 중·고등학생과는 달리 학령기 아동의 경우 또래관계 유지 및 강화에 있어서 아직까지는 휴대전화의 역할이 그다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 않은 것일 수도 있음을 본 연구결과를 통해 짐작해 볼 수 있다. 즉 학령기 아동의 또래애착이 휴대전화 의존에 영향력을 미치지 않았다는 점은 또래관계의 질에 있어서 휴대전화가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시기로 아직 진입하기 전임을 시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또래애착이란 또래와의 친밀한 의사소통이나 신뢰를 형성해 나가는 관계의 질적인 면을 나타내는 애착관계라는 점에서, 또래애착이 휴대전화 의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본 연구결과는 또래로부터 소외당하지 않기 위해 형성된 피상적인 또래관계가 아닌 또래관계의 질적인 면과 휴대전화 의존의 관계를 보았기에 결과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친밀한 또래관계 형성에 있어서 휴대전화의 올바른 활용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기에 학령기 아동기가 가장 적합한 시기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대상인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은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시기인 만큼 점차 자율성 형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시점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율성 형성 격려를 통해 휴대전화 의존성향이 나타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부모의 학대 및 방임은 아동의 휴대전화 의존에 영향을 주었다. 즉 부모가 학대 및 방임적 양육행동을 보일수록 아동의 휴대전화 의존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휴대전화 의존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5, 18] 및 Chang 등[4]의 부모의 긍정적 양육행동이 나타날수록 중학생들의 휴대전화 의존도가 낮았다는 연구결과와 연관지어 살펴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부모의 부정적 양육행동이 나타날수록 아동의 휴대전화 의존도는 높아질 것이라고 추론해 볼 수 있다. Furman과 Buhrmester [9]의 연구에서 5-6학년 아동들이 부모를 자신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이라고 보고한 것처럼 학령기 아동의 경우 아직까지는 청소년에 비해 도움과 지원을 제공받는 일차적인 자원으로 부모를 비롯한 가족구성원을 지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2]. 이처럼 아직까지는 휴대전화 의존에 있어서 또래관계에 따른 영향보다는 부모와의 관계에 따른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학대와 방임과 같은 부정적인 부모와의 관계에서의 휴대전화 의존이라는 결과는 부모와의 부정적 관계에 대한 부적절한 적응방식으로 의존성이 표출된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 소외되고 외로운 사람일수록 매체에 중독되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35]에서 보여지듯이 학대와 방임을 경험하는 아동들은 부정적인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도피처로서 휴대전화에 의존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처럼 휴대전화는 통제력을 잃고 부적절하게 사용할 경우 해가 되지만, 올바르게 사용한다면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과 더불어 대인관계를 보다 강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익한 기능을 지니고 있기에, 가능한 올바르게 휴대전화를 활용할 수 있도록 아동기부터 휴대전화의 적절한 사용에 대한 지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부모 및 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또래관계의 질보다는 부모와의 관계가 학령기 아동의 휴대전화 의존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모의 학대 및 방임은 학령기 아동의 또래애착 형성에 어려움을 주었으며 또한 휴대전화에 대해 더 의존적이 되도록 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가해행동으로서의 학대와 무관심한 태만행동으로서의 방임으로 아동학대를 크게 구분지어 살펴보았다. 후속연구에서는 아동학대를 신체적 학대와 정서적 학대, 성적 학대 및 방임으로 보다 세분화하여 살펴봄으로써 이에 대해 더욱 전문적이며 구체적인 개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둘째, 추후 패널자료를 이용한 종단연구를 통해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진입하면서 변화될 수 있는 또래관계의 질과 휴대전화 의존도 간의 연관성을 지속적으로 관찰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본 연구에 사용된 패널조사자료는 전국에서 표집된 대규모 표본이라는 점에서 표본의 대표성을 지니며 이에 따른 연구결과의 일반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학령기 아동 자녀를 둔 부모들의 학대와 방임이 아동의 또래관계와 휴대전화 의존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부모들이 의도하였거나 또는 의식하지 못하고 있는 사이 행해진 부적절한 학대 및 방임에 따른 아동성장 및 발달에 미치는 부정적 결과에 대해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자 하였다. 더불어 부모로 하여금 보다 효율적이고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회적 지원을 제공함과 동시에 예방적 차원에서 사회전체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셋째, 휴대전화 의존을 예방하기 위해 올바른 휴대전화 이용에 대한 지도와 개입이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개입에는 부모의 바람직한 양육행동에 대한 교육이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al abuse and neglect, as well as that of children`s peer attachment, on mobile phone dependency.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orean Child-Youth Panel Survey (KCYPS), and the participants were 1,892 (909 boys, 983 girls) elementary students (5th graders) who had a mobile phone. To measure the variables, this study used such scales as the parental abuse and neglect scale, peer attachment scale, and mobile phone dependency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buse and neglect had direct negative effects on children`s peer attachment; that is, the more parental abuse and neglect, the less children`s peer attachment. Second, parental abuse and neglect had direct positive effects on mobile phone dependency; that is, the more parental abuse and neglect, the greater children`s mobile phone dependency. However, children`s peer attachment did not directly affect mobile phone dependency; that is, children`s peer attachment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parental abuse and neglect, and mobile phone dependency. In conclusion, parental abuse and neglect influence children`s peer attachment and mobile phone dependency. Thus this study showed that parental abuse and neglect, rather than children`s peer attachment, affect children`s mobile phone dependency.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행복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우수정(Woo, Su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행복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패널아동이 이용하는 유아교육기관의 만 6세반 담당교사 1,153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은 행복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감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정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에 부적 영향을 주었다. 넷째,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및 행복감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데 있어서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행복감이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happiness and job stress on teacher-child interaction. Using the data of 1,153 six year-old children’s teachers from the 7th year data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2014),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Fourth,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didn’t have an influence on teacher-child interaction. Fifth,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eacher-child interaction. In conclusio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happiness had an impa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happiness on teacher-child interaction.

      • KCI우수등재

        부모의 배우자 애착, 배우자 보살핌 행동과 자녀양육행동이 유아의 부모 표상에 미치는 영향

        우수정(Su Jung Woo),이영(Young Lee) 한국아동학회 2011 아동학회지 Vol.3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pousal attachment, spousal caregiving, and parental caregiving behaviors on children`s parental representations. One hundred and fifteen preschoolers (72 boys and 43 girls, aged between 4-5 years old) and their fathers and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MacArthur Story-Stem Battery (Bretherton, Oppenheim, Buchsbaum, Emde, and the MacArthur Narrative Group, 1990), th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Scales (Brennan, Clark, & Shaver, 1998), the Caregiving Questionnaire (Kunce & Shaver, 1994), and the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Questionnaire (Rohner, 1991).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n conclusion, parents` spousal attachment, spousal caregiving, and parental caregiving behaviors have influenced on children`s parental representations.

      • KCI등재

        부모의 아동학대와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인터넷 중독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우수정(Woo, Su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아동학대와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인과적 관계 모형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에서 실시한 2015년 한국복지패널조사 10차년도 아 동대상 부가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382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조사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아동학대는 아동의 인터넷 중독 위험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부모의 아동학대는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부모의 아동학대가 이루어질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인터넷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쳤다.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인터넷 중독 위험성이 높아졌다. 넷째,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부모의 아동학대와 아동의 인터넷 중독 위험성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고 있었다. 즉, 부모의 아동학대는 아동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낮은 자아존중감은 다시 아동의 인터넷 중독 위험성을 높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아동의 인터넷 중독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예방하는데 있어서 부모의 아동학대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고 아동 의 긍정적 자아존중감 형성을 위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 abuse and children s self-esteem on internet addiction. In addition, the mediating role of children s self-esteem between child abuse and children s internet addiction was investigated. Using the data of 382 children in grades 4~6 from Korean Welfare Panel Study(2015),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 abuse didn t influence on children s internet addiction. Second, child abuse influenced directly on children s self-esteem. Third, children s self-esteem influenced directly on internet addiction. Fourth, children s self-esteem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and children’s internet addiction. In conclusion, child abuse and children’s self-esteem have a direct or indirect impact on internet addiction of children.

      • KCI등재
      • KCI등재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아동의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우수정 ( Woo Su Ju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부모 학업성취압력과 아동의 학업스트레스를 선정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육아정책 연구소 한국아동패널 11차년도(2018년) 자료의 아동 1,428명과 그들의 소속 학급담임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에서 외생변인으로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 학업스트레스, 내생변인으로서 학교생활적응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은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다. 둘째, 아동의 학업스트레스는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학업스트레스는 완전매개역할을 하고 있었다. 즉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은 아동의 학업스트레스를 높이고 이를 통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어려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돕도록 하기 위해서는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아동의 학업스트레스를 경감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children’s academic stress on school adjustment. Using the data of 1,428 ten year-old children and their teachers from the 11th year data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2018),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academic stress. Second, children’s academic stres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Third,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did not have an influence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Fourth, the effects of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were fully mediated by children’s academic stres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duction of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children’s academic stress can lead to children’s school adjustment.

      • KCI등재

        아버지의 결혼만족도와 자녀양육행동이 유아의 아버지 표상에 미치는 영향

        우수정 ( Su Jung Woo ),이영 ( Young Lee ) 대한가정학회 2011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49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ternal marital satisfaction and caregiving behavior on children`s paternal representations. 112 preschoolers(67 boys and 45 girls, aged 4-5) and their fa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paternal marital satisfaction had a direct effect on caregiving behaviors. Secondly, paternal caregiving behavior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paternal representations. Thirdly, paternal marital satisfaction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paternal representations. Fourthly, paternal caregiving behavior did not have a mediatory effect between paternal marital satisfaction and children`s paternal representations. In conclusion, paternal marital satisfaction has influenced on caregiving behavior and children`s paternal representations.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양육협력의 매개효과 검증

        우수정 ( Su Jung Woo ),이영 ( Young Lee ) 대한가정학회 2010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48 No.7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arenting alliance`s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were 157 married parents of young children(77 men and 80 women). We used th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Scales (Kim & Lee, 2005), Quality Marriage Index (Jang, 2001), and Parenting Alliance Inventory (Abidin, 1988) and analyzed data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via SPSS PC program(17.0 vers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effects of married males` avoidant dimension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partially mediated by their wives` parenting alliance. The effects of married females` anxious dimension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totally mediated, and the effects of married females` avoidant dimension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partially mediated, by their husbands` parenting alliance. In conclusion, the parenting alliance mediates the effects of adult attachment on marital satisfaction in couples with young children.

      • KCI등재

        유아의 어머니 표상과 유아교육기관 적응: 또래 유능성의 매개효과 검증

        우수정 ( Su Jung Woo ) 대한가정학회 2012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5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ren`s representations of mothers and peer competence on preschool adjustment. 102 preschoolers (47 boys and 55 girls, aged 4-5)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children`s representations of mothers had a direct effect on peer competence. Secondly, peer competence had a direct effect on preschool adjustment. Thirdly, children`s representations of mothers did not directly affect preschool adjustment, but their representations of mothers did indirectly affect preschool adjustment, through peer competence. In conclusion, children`s representations of mothers and peer competence influence preschool adjus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