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농통합에 따른 원주시 인구 및 토지이용 변화 특성

        우경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1995, city and country unification was initiated as one of the solutions to resolve the development imbalance between cities and countries, which is caused by rapid industrialization. This research is motivat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unification in Wonju area by analyzing changes in population and land utilization. The followings are the methods used for the research. Firstly, the motif and history of the unification are reviewed. Secondly, the effects of unification on city planning are analyzed by comparing government legislation before and after the unification. Then, population and land utilization data from 1985 to 2005 are analyzed and assorted geographically. This research draws the following findings. Firstly, the unification is completed by dividing Wonju city into 14 governing districts and assigning a different role to each. Secondly, the analysis shows that the population increase in the local distract scale of 'Goon', which refers to the place located in the rural areas, is significant. Among the highest population increased regions outside the city are 'Moonmak-oop', 'Socho-myun', 'Heungup-myun and 'Panbumyun' while within the city 'Myungryun-dong', 'Tangoo-dong', 'Taejang-dong' and 'Hangoo-dong' have shown the greatest increase in population. Thirdly, the geographical scale of Wonju-city government is increased by 10 folds. Utilization of land is changed from country-style such as farming to city-style such as commercial and residential purpose.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uld conclude that the unification is inducing more changes in countries rather than the city, promoting industrialization of countries. It is predicted that the upcoming company-city and revolution-city projects will accelerate the unification.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se projects.

      •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게임프로젝트 교수-학습 모형 개발

        우경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제해결력은 인간의 사고방식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영향을 미치는 기제로서 특히 공학적 특성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은 문제해결력의 필요성이 크다. 또한 국가적으로 문제해결력 신장은 교육목표의 하나이기도 하다. OECD/PISA 2003에서 새롭게 문제해결력 평가 분야를 신설하여 그 중요성이 과거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프로그램 교과는 실업계 전문교과로서 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실무 등으로 편성되어 있고 수학능력고사의 직업탐구 영역의 컴퓨터일반, 프로그래밍 등의 교과로 그 중요성이 크나 기존의 프로그래밍 수업방식은 기초 문법의 주입, 단순한 문제 해결과정을 통한 반복적 훈련으로 학습자의 흥미를 끌지 못하고 직업적 기술 교육도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문제해결력 신장에 프로그램 교과의 효용성이 높음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높이기 위한 게임을 프로그래밍 학습에 교육적으로 활용하여 프로그램 교과 학습에 유용한 게임들을 선정하고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단계별 문제 해결 제시를 통하여 게임프로그램을 완성하고 제작하는 과정을 통해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고 프로그램 제작 능력을 발전시켜 직업기술 교육으로서 유용한 게임 프로젝트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특히 지식과 기술적인 학습뿐만 아니라 협동을 통한 정의적 영역을 강화하는 교수-학습 모형이다.개발한 게임프로젝트 교수-학습 모형을 실제 현장에서 적용하여 전통적 방식의 수업과 비교하여 학습자의 문제해결력, 학업성취도,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검증 결과 게임프로젝트 교수-학습 모형에 의한 수업에서 문제해결력과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보였고 학습동기에서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로써 본 연구는 문제해결력 향상, 학업성취도 향상에 기여함을 검증함으로써 제안된 게임프로젝트 교수-학습 모형의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Problem solving competence is a mechanism influencing not only thinking capacity but also ordinary life. In particular, the computer programming education characterized by some engineering traits requires substantial Problem solving competence. In addition,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competence is one of the national educational goals. As proven by the fact that OECD/PISA 2003 has established some Problem solving competence evaluation standards, Problem solving competence is being emphasized more than ever before.The subject of Program, one of the professional subjects for vocational high schools, consists of programming, programming practice, etc. This subject is included as general computing and programming test in Job Exploration Section of SAT. Despite its importance as such, the programming class relies almost on basic grammars and repeated simple problem solving processes. As a result, students are little interested in the subject, much less an efficient vocational education.In such a circumstance, this study was aimed at making use of the programming education for improvement of students' Problem solving competence. To this end, the researcher used the games for the programming class in order to motivate students to be engaged in learning; some useful games that were deemed useful for programming learning were chosen, and then, some problems meeting their level of learning were sampled and thereby, a game project teaching-learning model useful for students' vocational education was developed whereby students could complete the game programs, while solving the problems emerging in the game production. In particular, this model is deemed to motivate students to learn about knowledge and skills as well as help them to improve their affective domain through cooperation.The game project teaching-learning model was applied to the classrooms and then,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conventional classrooms to test its effects on students' Problem solving competence, learning performance and motives.As a result, the game project teaching-learning model was found to have some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Problem solving competence and learning performance as well as their learning motives. All in all, the game project teaching-learning model was proven to help students improve their Problem solving competence and learning performance.

      • 프랜차이즈 미용실 이용고객의 이용 만족도와 재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우경옥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effecting factors of satisfaction and reutilization to customers of franchise beauty shop Woo, Kyoung-Ok (Directed by Prof. Moon, Deog-Hwan PhD.)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Inje University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the fundamental data and contribute to attract customers, and to asses the effecting factors of satisfaction and reutilization to customer of franchise beauty shop. Method : The author surveyed the effecting factors of satisfaction and reutilization to 310 number of franchise beauty shop customers using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March 20th to April 5th 2013. It was consisted to 7 ite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8 items of customer satisfaction, 23 items of service quality and 5 items of reutiliz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PSS program(Ver. 18.0). Results :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ocket money per month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in period of utilization among beauty shop using characteristics on service qualit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education years, income per month, pocket money per month on the customers satisfac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and pocket money per month on intention of reutilization and it was more higher by aging and in higher group of pocket money per month. The effecting factors to satisfaction of using the beauty shop were main using beauty shop, service quality, environmental factors, human factors and additional factors. The effecting factors to intention of reusing the beauty shop were age, period of utilization, and service quality. Conclusions : As above results, the author consider that it should be prepare the actively complementary countermeasure on factors of service quality, environmental factors, human factors and additional factors in order to improve the degree of customers satisfaction on franchise beauty shop. Especially, the author consider that it need to concentrative marketing strategy such as on 30 years old and above, regular customers of 2 years old and above. Key words : effecting factors, satisfaction, reutilization, franchise beauty shop 국 문 초 록 프랜차이즈 미용실 이용고객의 이용 만족도와 재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우 경 옥 (지도교수 : 문 덕 환)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관리학과 목적 : 프랜차이즈 미용실에 대한 서비스 품질이 고객 만족도와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항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고객 유치에 도움을 주고자 함은 물론 추후 이들 분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모 프랜차이즈 미용실을 이용한 고객 310명 이었으며, 조사기간은 2013년 3월 20일부터 4월 5일 까지이었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7문항, 미용실 만족도 8문항, 미용실 서비스 품질 23문항 및 미용실 재방문 의도 5문항 등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상관분석 및 다중 회귀분석 등을 시행하였다. 결과 : 1. 서비스 품질에서는 사회 인구학적 특성 중 한 달 용돈에서만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미용실 이용 특성에서는 단골미용실 이용기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이용만족도에서는 직업, 최종학력, 가구 월 소득, 한 달 용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재이용 의도에서는 연령과 한 달 용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령이 높을 그룹일수록, 한 달 용돈이 많을수록 이용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사후검정결과, ‘30세 이상’ 그룹이 ‘30세 미만’인 그룹에 비해, ‘30만 원 이상’인 그룹이 ‘10만원 미만’인 그룹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4. 미용실 이용만족도의 영향요인으로는 주 이용미용실과 서비스 품질, 물리적 환경, 인적 요인 및 부가적 요인 등이었다. 5. 미용실 재이용 의도의 영향요인으로는 사회 인구학적 특성 중 연령, 미용실 이용특성에는 단골미용실 이용기간, 주요 독립변수인 서비스 품질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프랜차이즈 미용실 이용고객의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서비스 품질, 물리적 환경 및 부가적 요인 이었으므로 이들 요인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보완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프랜차이즈 미용실 이용고객의 재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30세 이상, 2년 이상 단골 고객 및 서비스 품질 등이 요인 이었으며 이에 대한 집중적인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중심단어 : 프랜차이즈 미용실, 이용 만족도, 재이용

      • 대학평생교육원의 프로그램 분석과 발전 방향모색 : 서강대학교 평생교육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우경옥 서강대학교 교욱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사회는 최근 급격한 과학문명의 발달로 인해서 개인 수명이 연장되었다. 그리고 개인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고령화사회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이외에도 인터넷 등의 발달로 인하여 어느 곳에서나 원하는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는 정보화사회로 변모하였다. 이러한 특징으로 말미암아 교육도 더 이상 한정된 시간, 장소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어느 곳에서나, 어느 시간에나 자유로이 이루어져야 하며 인생 전체를 통하여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미에서 평생교육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평생교육은 유네스코와 OECD를 중심으로 하여 발전하고 있다. 유네스코는 사회? 문화적 발전에 중점을 둔 문해교육(literacy education) 및 고등교육으로서의 평생교육을 강조하고, OECD는 경제논리에 입각해서 순환교육, 직업교육에 중점을 둔 평생교육을 주장한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국제적인 흐름에 발맞추어 평생교육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1997년에 발생한 IMF사태는 우리 사회를 국가적 차원에서 평생교육체제로 전환시키도록 하는데 일조하였다. 제1장의 서론 부분에서는 이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및 연구대상과 연구방법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대학평생교육원이야 말로 평생교육의 이념을 가장 확실하고 쉽게 실천할 수 있는 기관이다. 그러므로 대학평생교육원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며, 평생교육의 가장 핵심이 되는 프로그램개발에 대한 연구 역시 필요한 일이라 생각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개별 대학의 특성에 맞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모색하는데 있다. 하지만 모든 대학을 검토하는 것은 그 자료가 너무 방대하기 때문에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전국의 대학 중에서 외국인 선교사에 의해 건립되어 국제화 감각이 뛰어나고, 가톨릭의 교육이념 하에 인문교양 관련 전공을 중시하여 교육시킨다는 확고한 교육관을 가지고 있으며,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고 비교적 초기에 평생교육원을 개원한 서강대학교 평생교육원으로 범위를 제한하여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다. 그리고 이 논문은 문헌연구, 질문지 조사, 면담의 방법 등을 사용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대학평생교육이란 정규 대학(원)생이 아닌 일반성인(만 20세-만 60세)을 위한 인문?교양적 혹은 실용주의적 측면에서의 교육적 필요를 채워주기 위하여 대학에서 제공하는 모든 형태의 성인 교육이라고 정의한다. 그리고 우리나라 대학평생교육원의 현주소를 파악하고자 영국, 미국, 일본, 대만 4개국의 대학평생교육의 실태를 조사하고 있다. 영국과 미국은 대학평생교육을 일찍 실시한 모범사례로서, 일본과 대만은 같은 아시아권에 있으면서 제2차 세계대전의 고통을 딛고 일어서서 급격한 경제성장을 이루었고, 또 교육체제를 평생학습체제로 바꾸어 평생교육을 실천하려는 유사점이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선정하였다. 4개국의 대학평생교육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고 있다. 영국을 통해서는 평생교육을 위한 전문기관을 설치하고 이를 중심으로 조직적인 발전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과 교양교육, 직업교육의 균형 잡힌 발전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을, 미국을 통해서는 국가, 민간단체, 국민 3者가 모두 협력하여 평생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것을, 일본을 통해서는 방송 통신대학 등의 원격대학을 발전시키되 기존 대학에 설치되어 있는 과목이 아닌 교과목을 다양하게 설치?운영해야 한다는 것을, 대만을 통해서는 대학개방정책을 범 국가적인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실천해야 하며, 활발한 교육사업을 통한 수익도 내서 대학 자체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는 점을 배울 수 있다. 그리고 그 이후에 우리나라 대학평생교육원의 발전과정을 한국 현대사의 시작인 1950년부터 현재까지 다섯 단계로 구분하여 정리하고 있다. 첫째, 문맹퇴치형 평생교육기(1950년대)로 이 시기는 주로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문제인 문맹퇴치 운동에 주력하던 시기이다. 둘째, 평생교육 출범기(1960년대)로 어느 정도 체계적인 평생교육이 시작된 시기이다. 1960년대의 평생교육은 경제부흥과 근대화 촉진을 위한 농촌지역사회개발과 인력양성 및 미취학 청소년 그리고 성인을 대상으로 중학교 형태의 학교교육 보완형 평생교육이 주류를 이루던 시기이다. 셋째, 대학평생교육 태동기(1970년대)로 계명대학교의 주부대학 강좌를 그 효시로 하여 본격적으로 지역사회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대학강좌가 실시된다. 넷째, 대학평생교육의 발전기(1980년대)로 대학평생교육이 본격화되는 시기이다. 1981년에는 한국방송통신대학이 하나의 학사과정 대학으로 승격하였으며, 이화여대, 덕성여대 등이 앞장서서 평생교육을 시작한다. 다섯째, 대학평생교육의 본격 정착기(1990년대)로 국가가 주도적으로 평생교육을 장려하는 시기이다. 정부는 1993년 5월 31일에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 개혁 방안」에서 주요 개혁과제로 평생교육을 장려하게 된다. 1997년에는 대학평생교육원이 대학평가의 한 항목으로 자리 메김을 하게 된다. 2장에서는 이외에도 프로그램개발과정을 기획, 설계, 실행 및 운영, 평가로 나누어 이론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기획이란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가장 첫 단계로서 무슨 내용을 교육할 것인가? 어떠한 방법으로 교육할 것인가? 등에 대한 체계적인 답을 얻기 위한 준비과정이며, 설계는 프로그램 기획 단계에서 확인된 학습자들의 요구에 따라 의도적으로 교육활동을 조직하는 단계이다. 실행 및 운영이란 교수자의 교수행위, 학습자의 학습행위, 운영요원의 운영 및 관리 행위가 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인간의 인위적인 노력에 의해 전개되는 과정이다. 평가란 프로그램 설계와 실행이 효과적이며, 목적한 바가 성취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과정이다. 평가는 프로그램의 가치를 판단하는 것이다. 제3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서강대학교 평생교육원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우선 서강대학교 평생교육원 팜플렛을 통하여 기본적인 서강대학교 평생교육원 프로그램을 연구한다. 그리고 보다 객관적인 각도에서 살펴보고자 미국의 8개 예수회대학 평생교육원과 UCLA평생교육원을 선정하여 비교대상으로 삼는다. 비교대상으로 미국대학을 선정한 이유는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있으며, 미국대학이 대학의 사회봉사기능을 잘 실천하고 있는 나라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특별히 예수회 대학을 선정한 이유는 서강대학교가 가톨릭의 예수회에 의해 건립된 학교이기 때문에 교육이념면에서 공통되는 점이 많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UCLA를 선정한 이유는 미국 내에서 특별히 서부 Calfornia州가 평생교육을 활발하게 실시하고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비교 분석해 본 결과 미국 예수회 대학들은 종교관련 강좌들을 비교적 많이 개설하고 있었으며, UCLA는 일반 성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실제 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종류의 강좌를 여러 교육장소에서 실시하고 있었으며, 시간의 구애없이 교육받을 수 있도록 온라인강좌와 주말강좌들을 활발히 개설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 4장에서는 실제로 서강대학교 평생교육원 프로그램을 운영해 본 실무 경험을 토대로 성공한 프로그램과 실패한 프로그램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있다. 또한 보다 정확하게 서강대학교 평생교육원 프로그램을 분석해 보고자 현재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기관의 입장, 실무 운영자의 입장, 학습자의 입장, 타 기관과의 비교 분석을 통한 종합 결과를 가지고 발전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것으로 논의를 정리한다. 프로그램을 발전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학교 본부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행?재정적인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후에 기타 세부 프로그램 개발 방향에 관한 논의들을 정리한다. 이러한 논의에 따라서 발전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방향을 다음의 다섯 가지로 정리하고 있다. 첫째, 예수회 이념에 충실한 프로그램개발, 둘째, 철저한 수요자 중심의 프로그램 개발, 셋째, 여성 및 노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넷째, 학위 및 수료증 발급 프로그램 개발, 다섯째, 지역사회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프로그램개발 등이다. Flourishing developments in medical technology are stretching the average human life span across the globe, while online information is becoming more readily accessible by the minute. Simply stated, people are living longer, and knowledge is no longer bound to the previously established parameter known as school, hence continuing education commands global attention. UNESCO and OECD have been the pioneering advocates of secondary level literacy education and ongoing vocational education, respectively, and Korea is desperately trying to heighten her sensitivity for the need to provide continuing education on a national scale. The introductory chapter of this thesis discusses the demand to research and critically evaluat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at the university setting due to its superior conditions compared to other institutions. Sogang University was selected based on its urban location, Roman Catholic mission on education, global integration, and established yet somewhat wanting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The research data were culled from interviews, documentation, and surveys. The first section of the second chapter identifies continuing education as a cultural, intellectual, and practical program designed for adults between the ages of 20 and 60, and proceeds to offer an international comparison represented by England, United States, Japan, and Taiwan. While England and the US are the established front-runners, the two Asian countries have both undergone rapid economic expansion and established continuing education for adults on a national scale following WWII. Specifically, England has specialized organizations for providing cultural and vocational training,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collaborates with individual citizens and community groups, Japan offers diverse, post-secondary correspondence programs, and Taiwan is continuing to develop its liberal education programs with economic benefits. The second part outlines the history of continuing education in Korea. The eradication of illiteracy movement was introduced in midst of social turmoil in the 1950s. The following decade, with its economic growth and modernization, brought large-scale diploma-equivalent education programs for uneducated children and adults, and continuing education in Korea was born. The 70s marked the acceleration period for continuing education, offering noncredit college courses to housewives, and the 80s, led by Ewha and Duksung, saw a steady development of degree programs being instilled in universities. Continuing education began to receive staunch government support from the 90s, and in 1997, a continuing education curriculum for universities became virtually mandatory. The last section of the chapter theorizes the structure for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design,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The design stage involves the systematic preparation, including subject matter and methodology, based on student demand. Implementation embraces the harmony and reciprocity of all the parties taking part in the program: teachers, administrators, and students. Finally, a careful assessment of each individual course will shape its future. The third chapter scrutinizes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at Sogang University, comparing it to those of UCLA, the epitome of the advanced social programs in the state of California, and eight other Jesuit universities across the United States. The program at UCLA is extremely vast, with on-line and weekend courses to accommodate students with time constraints, and the Jesuit universities tend to offer a great variety of theology and ministry courses. The fourth chapter reports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program at Sogang University, and this thesis concludes by offering an in-depth analysis of a truly successful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Sogang: it must be founded on Jesuit ideology, be researched and developed to directly meet the prevalent needs of students, offer special programs for women and the elderly in particular, confer diplomas and certificates upon completion of a given curriculum, and provide a vital link to the society. To accomplish this, however,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is an absolute mu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