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산 제품에 대한 선진국 · 개발도상국의 반덤핑 부과 결정요인 비교분석

        왕붕안(Peng-yan Wang),최창환(Chang-hwan Choi) 한국국제상학회 2012 國際商學 Vol.27 No.3

        The global recession triggered by European financial crisis has led many countries to utilize anti-dumping complaints in a bid to protect their local industries. Under trade policy research, anti-dumping research is actively being carried out. Specifically, with the increasing anti-dumping warnings from both the developed and the under-developed economies towards China as an economy, a research on this field is highly needed. This research, different from other prior researches, does not only focus on individual economies but it serves as a comparative analytical study featuring both the developed and the under-developed economies. In this Research paper the decisive factors that lead to the anti-dumping warnings issued against‘Made-In-China’products are drawn into comparison between developed and under-developed economies by means of empirical study analysis. Results of this analytical study shows that as developed economies experience an incremental deficit in trade balance together with decreasing GDP growth rate, the anti-dumping regulation on‘Made-In-China’products is strengthened. An observable phenomenon that is characteristic of under-developed economies shows that with rising unemployment rates and decreasing GDP growth rate, the anti-dumping warnings issued against Made-in-China products gets reinforcement.

      • KCI등재후보

        중국 교역량 결정요인 분석 및 시사점

        왕붕안(Peng-Yan Wang),고정오(Jung-O Ko)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5 경영경제연구 Vol.37 No.2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12년까지 연도별 시계열자료로 벡터오차수정모형(VECM)을 이용하여 중국 교역량 결정요인분석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 제시하고자 한다. 중국 교역량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여러 변수(중국 GDP, 1인당 GDP, 인구수, FDI, 무역의존도, 지방정부예산)를 선택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중국의 GDP, 1인당 GDP, 인구수, FDI, 무역의존도, 지방정부예산은 교역량에 유의하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첫째, 한·중FTA의 체결을 통한 기존 가공무역 중심의 수출 구조가 중국 내수 시장을 겨냥한 고부가가치 최종소비재 위주로 바뀌는 계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은 중국 각 지역에 맞는 고기술 산업 및 서비스 산업으로 진출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중부굴기((中部?起)와 서부대개발(西部大開發)을 위한 중·서부지역의 교통?인프라 건설을 위한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상황을 기회로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종합적으로, 중국의 정책적 측면에서 정부 정책 변화에 따라 한국 기업은 이에 맞춰 대응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from time series data from 1998 to 2012, we provide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that affect China"s trade volume with a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Empi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on China GDP, 1 per GDP, population, FDI, trade dependence on local government budget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Chinese trad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derived the result that attention to the trade volume. Therefo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e export structure of the existing processing trade center from the Korea-China FTA would need to prepare a change in instruments, mainly high value-added finished products aimed at the Chinese domestic market. Second, Korea will prepare a plan to expand into high-tech industries and service industries in each region of China. Third, there is a need for active participation in the investment in th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for the regional for Rising Strategy in Central Region and Western Region Development of China. Comprehensively in response to changes in Chinese policy, Korean companies need to adjust to China accordingly.

      • KCI등재

        한국 대 ‘중국 31개’ 성별 교역량 결정요인 분석

        왕붕안(Wang Peng Yan),고정오(Jung o Ko)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6 전자무역연구 Vol.14 No.2

        연구목적: 본 논문에서는 1998-2013년까지 연도별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한국과 중국의 31개성·시·자치구 교역량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국과 중국 31개성·시·자치구를 지역적으로 분류하여 각 지역별의 특색에 맞는 무역확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논문구성/논리: 본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기술하였으며, 제2장에서는 한중 교역량과 중국 6개 지역별 산업특징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국내외 선행연구를 통해 기본 연구와의 차이점을 기술하였으며, 제4장에서는 패널데이터에 대한 이론적 내용, 모형설정, 변수 설명 및 한국과 중국6개 경제지역(①동북3성, ②환발해지역; ③징진지; ④중부 6개성; ⑤서부 12개성·시·자치구; ⑥동부로 구분하여 분석결과를 기술하였고, 마지막 5장에서는 결론을 기술하였다. 결과: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1인당 GDP, 개방도, 인구, 그리고 소비자물가지수는 한국과 중국 31개 성·시·자치구 교역량에 대한 양(+)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한국과 중국 31개 성·시·자치구의 교역량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성·시·자치구마다 차이를 보였다. 독창성/가치: 한국과 중국 31개성·시·자치구의 교역량을 증대할 수 있는 방안으로 동북3성 지역은 가공 및 농산물 교역을 확대시키고, 화동지역은 서비스, 화중지역은 노동집약적 산업 분야 및 교역확대, 화남지역은 금융, 물류, 그리고 교육, 서부지역은 온라인쇼핑과,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통한 교역 확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paper provides a comparative analysis of determinants of trade volume in Korea and China's 31 provincial governments by using a panel data set for the 1998-2013.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e trade expansion plan of 31 provincial governments and Korea, by regional classification. Composition/Logic: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I is study objectives. Chapter II describes the trade volume and between Korea and China based on 6 grouping provinces in China and presents the development plans of key industries. Chapter III presents literature review. Chapter IV explains panel data settings, data collection, results and some ways to expand the volume of regional trade between six provinces(①Three northeastern provinces, ②Huanbohai provinces ; ③ Jingjinji provinces; ④Central provinces; ⑤Western province; ⑥eastern province) of China and Korea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inally, chapter V is conclusion. Findings: The panel data results show that per capita GDP, the degree of openness, the population, and the consumer price index for China's 31 provincial government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trade volume between Korea and China's 31 provincial governments. However, Korean and China's 31 provincial governments showed a difference variable on the trade volume between the countries each other. Originality/Value: The strategy to expand trade volume between Korea and China focuses on the manufacturing and agricultural sectors in northeastern China; the service sector in southeastern part of the China; Labor-intensive industries and expand trade in central provinces; finance, logistics, and education in the southern China; and online shopping and transit trade through e-commerce cooperation in western China.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