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토라와 오경

        왕대일(Tai-il Wang)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0 Canon&Culture Vol.4 No.2

        이 논문은 토라의 의미를 현재 우리가 읽고 있는 오경의 구성에서 추적한다 신앙 공동체가 "모세오경" 이라고 부르는 토라를 "모세에 관한 오경" 이라는 시각에서 관찰하면서 토라가 어떻게 해서 포로 후기유대 공동체에서 법으로 수렴되게 되었는지를 논의한다. 토라의 세계, 곧 최종 형태의 오경에는 두 개의 신학적, 법률적,사회 종교사적인 흐름이 존재한다 하나는 시내 산 전승 (출 19:1-민10:10)이고, 다른 하나는 신명기 전승이다. 이 두 전승이 하나로 합해져서 오경이라는 경전을 이루고 있다. 시내 산 전승은 시내 산에서 토라가 주어졌다는 사실을 제사장의 시각에서, 종교 의례적인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신명기 전승은 광야 유랑을 마치고 가나안 땅 변경에 서 있던 이스라엘에게 토라가 주어졌다는 사실을 시민사회의 시각에서, 도덕적 인 규정이라는 차원에서 해설한다. 페르시아 통치 시절 유대 공동체는 이 두 전승이 합류되어 있는 오경을 모세의 율법으로 공포하게 된다. 그때부터 토라는 유대 공동체의 일상을 법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학사이자 제사장이었던 에스라가 모세의 율법을 당시 유대 공동체의 헌장으로 공포하였던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오경의 토라가 "모세의 토라" 라는 이름으로 받아들여지면서 토라는 여러 유대 공동체 사이에서 하나님의 법이자 유대 사회를 이끄는 율법으로 간주되었다. 오경을 토라로 읽으면서 유대 공동체는, 그들이 유대 땅에 거주하던 유대 제사장이든, 아니면 디아스포라 유대 사회에 모여 살던 평범한 유대인이든, 토라의 이야기와 가르침에서 자기들의 정체성과 에토스와 사회적 연대감을 확인하였다. 모세의 일대기를 전하는 "모세적인 오경" 을 읽으면서 이스라엘 역사의 시작의 근본이 무엇인지를 바르게 깨달았다 그 근본을 확인함으로 포로 후기 유대 사회는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는 유대 공동체가 어떻게 해야 현실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모세의 토라를 규범적으로 읽으면서 그들이 신앙 공동체 안에서 하나님의 백성으로 생존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던 것이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explore the meaning of Torah within the composition of “mosaic Pentateuch”. It deals with the textual world of Torah in which two theological, legal, and socio-religious perspectives are to be combined to shape the canonized Pentateuch: one from the Sinai Pericope(Ex. 19:1-Num 10:10) which shows the priestly, cultic, and ritual perspective about the giving of Torah at Sinai, the other from the Deuteronomic perspective of Torah that is given at the crossroad between the wilderness and Canaan in the form of civil, secular, and moral legislation. The final form of the canonized Pentateuch, which was viewed as the “Law of Moses” during the period when Jews were subject to Persian rule, is understood to have the function as the “constitutive Torah” in Persian Judaic community. The Law of Moses, which was promulgated by Ezra the scribe and the priest, was received as a foundation document, a codified form of Jewish Law with Mosaic authority, by various Jewish groups. The Pentateuch as Torah or the Torah of Moses, provides Jewish people with not only self-identity, but also Jewish ethos and social solidarity, i. e, the “mosaic Pentateuch,” the story about Vita Moses, which is fundamental for the beginnings of the history of Israel, is seen as a normative text that would help secure the survival of Jewish communities under Persian rule. All the Jews, including Priestly groups in the land of Judea and non-priestly Jewish people living in Diaspora, were brought together to “read” the Torah of Moses as the most authoritative story making the people of God survive in the form of faith community.

      • KCI등재

        아사셀 염소와 속죄의 날(레 16: 6-10)

        왕대일(Tai-il Wang) 한국구약학회 2005 구약논단 Vol.19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the prescriptions on the Day of Atonement in order to identify the meaning of scapegoat which is first presented at the sanctuary and then, instead of being sacrificed, is driven out into the wilderness. According to Lev 16: 6-10, the rituals on the Day of Atonement consist of two unique parts, both of which are introduced by goats. The two goats, initially designated for the hatta’t offering (תאꖏꗡ Lev 16: 5) before they are distinguished by lot, can be understood as symbolic tools which make structural contrast between purification and elimination in the process of the ritual: the blood of one hatta't goat which is designated for Yahweh is brought into the heart of the tabernacle, the Holy of Holies, and the scapegoat, the other goat for Azazel chosen by lot, is driven into the opposite direction, that is, into the impure, sinful and even demonic wilderness. Although opinions differ greatly as to the identity of Azazel and, depending on the evidences from the ancient Near Eastern sources, scholars tend to identify it with a demonic being dwelling in the wilderness, the details of dynamic polarization of the two parts in the Leviticus ritual reveal that the meaning of Azazel is now reduced in substance to a symbolic space where the scapegoat is to be sent. The goat for Azazel is, then, to be understood that it display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containing the indigenous efforts of Israelite faith to re-signify the ancient Near Eastern traditions, being brought into line with certain principles in the Old Testament writings introduced by the Israelite monotheism. The procedure of ritual on the Day of Atonement is thus set within the context that deals with tensions caused by impurities which not only defile the Israelites' camp but also threaten God's continued presence in Israel: purifying the sanctuary from impurities and liberating the community from sin.

      • 곡의 멸망ㆍ곡의 무덤, 종말에 이르는 이정표(겔 39:1-20)

        왕대일(Wang, Tai-il) 감리교신학대학교 2016 신학과세계 Vol.- No.88

        이 글은 에스겔 39:1-20에 담긴 묵시적 종말론을 해석하는 주석적 연구다. 에스겔 38-39장의 글말은 유형상 심판신탁에 속한다. 이 심판신탁에 역사의 마지막 때 곡과 최후의 일전을 벌이는 용사이신 야웨 하나님을 소개하는 종말사상이 담겨 있다. 에스겔 38-39장에서 바벨론 왕국은 “ 곡” 이라는 암호명으로 불린다. 에스겔 38-39장은 그 바벨론이 장차 도래할 종말의 날에 무참하게 멸망당하고야 말 것을 조망한다. ‘‘그 날에’’ 이루어질 곡의 패망은 역사(歷史)에서 이루어지는 하나님의 역사(役事)가 구속사에서 종말론으로 바뀌고 있다는 것을 가리키는 징표가 된다. 이 때 에스겔 39:17-20에 정교하게 기술된 하나님 이 차리시는 잔치는 그 종말론의 초점 이 승리 의 축제 에 있음을 보여준다. 그 잔치는 일종의 식 인(食入)제의로 공중의 새와 들짐승들을 모두 불러 모아 전쟁터에 쓰러진 용사의 살과 피를 먹고 마시게 하는축제다. 이 장면에서 에스겔 39장의 비전은 이전 예언문학에서는 볼 수 없었던 묵시적 용어, 수사, 형식, 아이디 어를 동원해서 이른바‘‘철저한 종말론’’에 대해서 개관한다. 바로 이 종말론에서 코스모스를 혼돈으로 몰아넣는 상징 적 이고도 악마적인 지상의 존재가 완전히 굴복하는 묵시사상이 출현하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exegetical study is to interpret apocalyptic eschatology contained in the text of Ezekiel 39:1 - 20. The stylistic features of Ezekiel 38-39 conform to the generic feature of the judgment oracle, which involves an eschatological account by which Yahweh, the divine warrior on the final battle against Gog at the end of history, unveils his power and sovereignty. The account of what Ezekiel proclaims in chapters 38-39 reveals that Gog, a cryptic reference to the Babylonian kingdom, will be destroyed on the day of the coming “ eschaton.” The fall of Gog “on that day” will be a sign of what is to come to pass in the world from salvation history to eschatology. The vision rhetorically attested in the text, especially in Ezek. 39:17-20, reveals the emphasis on the divine banquet of a cannibal feast in which all the birds and wild animals will be summoned to eat and drink the flesh and blood of the fallen bodies of warriors and soldiers. It includes several apocalyptic locutions, tropes, features and ideas comparable to those in the prophetic announcement of salvation history. The account of what Ezekiel sees in chapters 38-39 can, therefore,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layout of “radical eschatology.” It may have been acquainted with the apocalyptic vision anticipating the final victory of Yahweh against the earthly, emblematic, and demonic figure that will be subdued in Chaoskampf in the cosmos.

      • 잃어버린 언약궤를 찾아서, 사라진 언약궤에 대한 해석학적 탐구

        왕대일(Tai-il Wang) 감리교신학대학교 2019 신학과세계 Vol.- No.95

        언약궤는 구약에서 하나님의 보좌, 신탁(神託)의 도구, 하나님의 상(像), 하나님의 손, 하나님의 전, 전쟁 수호신, 하나님의 임재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닌 이스라엘 종교의 상징이다. 이 글은 시내광야 시내산을 떠난 언약궤가 광야를 지나 가나안 땅에 들어선 후 길갈에서 세겜, 벧엘, 실로, 에벤에셀, 아스돗, 가드, 에그론, 벧세메스, 기럇여아림(바알레유다), 베레스웃사, 오벧에돔의 집을 거쳐 다윗성과 예루살렘 성전에 안치된 다음에는 이스라엘종교의 시야에서 사라지게 된 까닭을 추적한다. 이 추적을 위해서 민수기에 수록된 언약궤의 노래(민 10:33-36), 여호수아서가 증언하는 정복의례(수 3:1-5:1; 6:1-25), 신명기역사서가 전하는 언약궤이야기(삼상 4:1-7:2; 삼하 6:1-15)를 해석하고, 언약궤의 실종과 관련되어 예루살렘성전이 당한 수모와 약탈의 역사를 되돌아본 다음 언약궤의 실종이라는 수수께끼를 푸는 열쇠는 고고학적 탐구나 역사적 추적이 아닌 신학적 고백에 있음을 밝힌다. The Ark of the Covenant, one of the symbols in Israelite Religion, has been referred to, in many ways, the cherubim thrones, a means of divination, the divine statue, the hand of God, the divine palace and a war palladium. This paper is intended to carry out theological exegesis on the texts of the Song of the Ark (Num. 10:33-36), Conquest Ritual (Joh, 3:1-5:1; 6:1-25), and the Ark Narrative (I Sam. 4:1-7:2; II Sam. 6:1-15). The study for the itinerary of the Ark from the Mt. Sinai, where it was made, going through Gilgal, Schechem, Shilo, Ebenezer, Ashod, Gad, Egron, Beth-shemesh, Kiriath-jearim(Baale-judah), Perez-uzzah, the house of Obed- edom, and City of David to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temple in Jerusalem, where it was enshrined. The reason for the study is to understand why the Ark was disappeared after having been enshrined. The truth for the disappearance of the Ark cannot be understood by historical, archeological investigations, but by theological hermeneutics.

      • KCI등재

        해방과 추방, 구약 신학적 검토

        왕대일(Tai-il Wang)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5 Canon&Culture Vol.9 No.1

        구속사 신학의 양 축은 해방과 추방이다. 구속사 신학의 얼개는 약속에서 성취로 가는 여정이다. 출애굽기의 구속사는 창세기 15장에서 주어진 하나님의 약속을 실현하는 현장이다. 문제는 창세기 15장이 전하는 구속사가 해방을 추방으로, 추방을 해방으로 제시하고 있다는데 있다. 아브라함의 후손들이 사백 년 동안 살던 고장에서 나와서 아브라함이 살던 곳으로 돌아오게 된다면, 그 아브라함의 후손들에게 고향이란 과연 어디일까? 구속사가 말하는 `돌아옴`은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가? 창조신앙에서 추방은 심판이다. 아담과 하와가 범죄함으로 하나님이 그들을 에덴의 동쪽으로 내쫒으셨다. 아담과 하와에게는 에덴으로 돌아가는 길은 없다. 구속사 신학은 이 추방을 치유하는 하나님의 처방이다. 에덴으로는 돌아갈 수 없지만 하나님의 품으로는 돌아가는 길을 구속사로 개척하셨다. 그 구속사가 신명기 신학에서는 약속에서 정복으로 가는 과정으로 제시된다. 신명기 7장은 해방과 추방을 이중주로 연주한다. 이스라엘에게는 해방을, 가나안 땅의 원주민들에게는 추방을 안긴다. 가나안의 원주민들이 정의롭지 못해서 추방되는 것이 아니다. 그들이 이스라엘 신앙의 올무가 되기 때문이다. 신명기사가(왕하 17, 25장)는 이 추방을 하나님의 백성 이스라엘에게 적용시켰다. 해방된 이스라엘이 가나안 땅에서 추방되는 당사자가 된 것이다. 그렇지만 주전 6세기 초 남왕국 유다 백성들은 해방의 하나님을 붙들고자 했다. 이스라엘을 추방시키려는 하나님의 의도에 맞서 하나님을 해방의 주님으로 단정하였다. 예레미야와 하나냐의 대결은 추방과 해방의 갈등을 신학론적으로 전개한 경우이다. 추방이 끝은 아니다. 추방은 역설적이게도 새 해방이다. 예레미야는 추방된 자리에서 소수자로 생존하는 삶을 선포한다. 에스겔은 고향의 의미를 땅에서 찾지 않고 하나님의 현존이 있는 곳에서 찾았다. 추방은 하나님의 현존이 있는 곳으로 나아가는 길이다. 거기에 디아스포라의 신학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