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웃도어 재킷 디자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

        오희선,김지원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2 조형미디어학 Vol.15 No.2

        본 연구는 마켓의 아웃도어 재킷 경향을 분석하고 20∼40대 이상의 남성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연령별 아웃도어 재킷 디자인 선호도에 차이를 밝힘으로써 향후 아웃도어 남성재킷 디자인 개발에 응용하고자 하였다. 마켓의 아웃도어 재킷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디테일과 색상을 자료를 통해 분석, 디자인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웃도어 마켓에서의 재킷 디자인 경향 분석한 결과, 후드는 내장후드형, 소매밑단은 벨크로형, 포켓은 지퍼형, 포켓방향으로는 대각선 방향, 포켓수(겉)로는 2개가 가장 많았다. 몸판여밈은 플랩지퍼, 밑단은 부분 고무밴드형, 절개는 복합절개가 더 많았고, 색상은 검정, 남색이 가장 많았고, 배색은 톤온톤(tone on tone)의 유채색 배색이 가장 많았다. 둘째, 아웃도어 재킷 스타일로 20대는 착용자의 체형을 고려한 스타일, 30대와 40대 이상은 활동적이고 편안한 스타일이 가장 높았다. 후드로 20대는 스탠드칼라/후드형, 30대와 40대 이상은 스탠드칼라/탈부착 후드형을 가장 높았고, 소매밑단은 20대와 30대는 벨크로/고무밴드 혼합형, 40대 이상은 벨크로형을 가장 선호하였다. 포켓은 20대는 지퍼형, 30대와 40대 이상은 플랩지퍼형, 포켓수는 20대는 2개, 30대와 40대 이상은 3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포켓방향은 20대는 세로방향, 30대와 40대 이상은 대각선 방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몸판여밈으로 20대와 30대는 플랩지퍼, 40대 이상은 플랩이 없는 지퍼를 가장 선호하였다. 밑단으로 20대는 부분 고무밴드형, 30대와 40대 이상은 허리조절 조임끈형이 높았고, 절개로 20대와 30대는 단순절개, 40대 이상은 복합절개를 더 선호하였다. 색상으로 20대는 파랑, 30대는 검정 40대 이상은 녹색이 가장 높았다. 배색으로 20대는 흰색/회색, 30대는 빨강/검정, 40대 이상은 파랑/연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소재로 20대는 윈드스토퍼, 30대와 40대 이상은 고어텍스를 가장 선호하여 연령대별 아웃도어 재킷 디자인 선호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아웃도어 웨어 생산업체는 소비자의 특성과 선호를 고려하여 세분화된 디자인과 색으로 소비자의 만족도와 선택의 폭을 넓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male adults aging from 20 to 40, aims to examin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age in their preference for outdoor jackets, as well as to apply what has been found from surveying a trend of the Outdoor Jacket design for future design development. Details and colors of Outdoor Jacket have been analyzed to look into a trend of Outdoor Jacket market. A survey was used to examine male customers’ outdoor activities, purchase behavior, and design preference. The result is as following: First, through an analysis of the design trend by details, it has been found that hoods tend to be internal, and the edges of sleeves to be velcro. Pockets mostly are zipper form with diagonal direction, and the number of external pockets is usually two. Adjusting forms in front of the body tend to appear more with a cover than without it, and lower hem forms are usually of rubber band. Complex incision forms appear more frequently than simple ones do. Colors tend to be black and deep blue, and the arrangement is mostly among chromatic colors, based on 'tone on tone'. Second, twenties prefer one designed for wearers' body shape, and thirties and over forties one that is comfortable to wear and move. As for a hood, twenties prefer one with stand collar, and thirties and over forties a detachable one with stand collar. As for tail edges of sleeves, twenties and thirties prefer a mixture of Velcro and rubber band, and over forties just Velcro. As for pockets, twenties prefer two vertical zipper ones, and thirties and over forties three diagonal flap-zipper ones. As for a front adjuster, twenties and thirties prefer a flap zipper, and over forties a flapless one. As for lower hem, twenties prefer partial-rubber band, and thirties and over forties a waist-adjustable strap. As for sewing, twenties and thirties prefer simple one, and over forties complex one. Twenties, thirties, and over forties prefer blue, black, and green respectively. As for a color arrangement, twenties prefer a combination of white and gray, thirties red and black, and over forties blue and light green. Twenties prefer Windstopper most, and thirties and over forties Gore-Tex. it was drawn from the survey that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sign preference of different ages. Therefore, manufacturers outdoor wear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of consumers considering the fine-grained design and color choices of consumer satisfaction and will be widened.

      • KCI등재

        웨어러블 디바이스 어패럴 동향에 관한 연구

        오희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1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echnical mechanisms, available services, data readings and solutions of wearable device apparels in the market. Four ranges of data readings and solutions are as follow: A category (consciousness-consciousness), B category (consciousness-unconsciousness), C category (unconsciousness-consciousness), D category(unconsciousness-unconsciousness). The analysis of wearable device apparel products according to environmental data and body data is as follows. First, products that provide environmental data are heat jacket(Avalanche), zealot down(Millet), and elit jikim(Elite). Temperature, UV rays, and location information are provided as environmental data. Data reading and solution fall in to unconsciousness- unconsciousness D category. Second, products that provide body data are High-shirt (Ralph Lauren), D-shirt (Citizen Science), and Yakon P(Black Yak). The body data include heart rate, respiration, stress, energy output, calories, and total momentum. Data reading and solution fall in to unconsciousness-consciousness C category. 본 연구는 상품화 되어 판매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어패럴 제품의 기능적 메커니즘을 살펴보고, 제공되는 서비스, 데이터의 리딩과 솔루션 등을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데이트의 리딩과 솔루션 범주는 A카테고리(의식-의식), B카테고리(의식-무의식), C카테고리(무의식-의식), D카테고리(무의식-무의식)의 4가지 범주로 분류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 어패럴 제품의 메커니즘을 환경정보와 신체정보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정보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품은 발열자켓(아발란치), 젤러트다운(밀레), 엘리트지킴이(엘리트)로 3종류로 조사되었으며, 환경정보는 온도, 자외선, 위치 정보가 제공되었다. 데이터의 리딩과 솔루션은 무의식-무의식으로 진행되는 D카테고리이다. 둘째, 신체정보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품은 하이테크셔츠(랄프로렌), D-셔츠(시티즌사이언스), 야크온P(블랙야크)로 3종류로 조사되었으며, 신체정보는 심박수, 호흡, 스트레스, 에너지 출력, 칼로리, 총운동량 정보가 제공되었다. 데이터의 리딩과 솔루션은 무의식-의식으로 진행되는 C카테고리이다.

      • KCI등재

        청년구직자의 창업 배경과 기업가정신이 창업 의지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업가에 대한 인식의 매개 효과 검증

        오희선,하규수 한국벤처창업학회 2021 벤처창업연구 Vol.16 No.3

        The government is trying to create jobs by providing 160 billion won in 2021 to revitalize youth start-ups, but the number of youth unemployment and potential unemployment is hitting a record high of 1.2 million due to the shock of employment due to COVID-19. Although start-ups are encouraged as an alternative to revitalizing jobs, the success rate of young start-ups is low due to lack of start-up funds and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need to diversify start-up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by understanding start-up policies through one-time funding and short-term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were as follows, by sampling 344 students from specialized high schools preparing for employment and 344 young people in their 20s who are seeking jobs. First, among the entrepreneurship subvariables, innovation, autonomy of job value, and desire for economic achievement are significant, and the older the person surveyed, the more positive the perception of the entrepreneur was. Second, as you get older, your will to start a business decreases, and your experience in successful start-up models and start-up education has an impact on your will to start a business. Third, perception of entrepreneurs is a partial medium effect, which indirectly influences the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and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s the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through the autonomy of job values, the desire to achieve economic and entrepreneurship. 정부는 청년창업 활성화를 위해 2021년 1,600억 원의 창업자금을 지원하며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코로나 19로 인한 고용 충격으로 청년실업과 잠재실업자 수는 120만 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일자리 활성화를 위한 대안으로 창업을 장려하고 있지만, 창업자금과 경험 부족을 이유로 청년창업의 성공률은 저조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회성 자금지원과 단기교육을 통한 창업장려정책을 진로라는 큰 틀에서 창업을 이해함으로써 기업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도록 창업교육과 진로교육 다변화에 대한 필요성을 고민하고 기존연구에서 부족했던 청년구직자 특히 10대 청년의 기업가정신, 직업 가치관, 창업 배경이 사업가에 대한 인식과 창업 의지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취업을 준비 중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과 구직활동 중인 20대 청년 344명을 표본 추출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하였고 창업 의지에 미치는 요인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 하위 변수 중 혁신성과 직업 가치의 자율성, 경제적 성취 욕구는 유의미한 관계로 조사대상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사업가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나이가 많을수록 창업 의지가 감소하고 창업 성공모델, 창업교육 경험은 창업 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업가에 대한 인식은 창업의지에 부분 매개 효과가 있다. 직업 가치관의 자율성, 경제적 성취 욕구와 기업가정신의 혁신성은 사업가에 대한 인식을 매개로 창업 의지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국 소비자 가치와 의류제품 공유경험에 관한 연구

        오희선,이호정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0 조형미디어학 Vol.23 No.2

        The success of sharing economy requires the understanding of market. A clear marketing target must be set and comprehension of what services consumers want and how to provide them at a reasonable cost stably is required. The purpose of study is to understand the fashion sharing economy as a new consumption by analyzing consumer value and sharing experience for female consumers in China.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lucidate the consumer value, perception of shared products, determinants of rental decision, and post-rental emotion among Chinese females in 20s and 30s.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207 subjects from May 7th to 24th, 2019.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consumer value on the shared products aware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social value, in terms of personal awareness, and differential value, in terms of public awareness. Second, the effect of consumer value on rental determin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differential, and material value for fashion and functional, social, and material value for economics, and functional value for practicality. Third, the effect of shared product awareness on rental decision factors showed positive result on fashion, economics and practicality, while personal awareness had a negative effect on practicality. Fourth, the effect of rental decision factor on post-rental emotion showed positive results on fashion, economics, practicality factors. 공유경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시장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시장 타겟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그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그들에게 어떤 서비스를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지 파악해야 한다. 본 연구는 중국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비자 가치와 의류제품 공유경험을 분석하고 연구함으로써, 새로운 소비로 부상하는 의류제품 공유경제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국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소비자 가치, 공유제품 인식, 대여결정 요인, 대여 후 감정 관계를 밝히고자 실시되었다. 2019년 5월 7일부터 24일까지 207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가 가치가 공유제품 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 가치는 개인적 인식에, 차별적 가치는 공공적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소비자 가치가 대여결정 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 가치, 차별적 가치, 물질적 가치는 패션성에,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물질적 가치는 경제성에, 기능적 가치는 실용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공유제품 인식이 대여결정 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공공적 인식은 패션성, 경제성, 실용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지만, 개인적 인식은 실용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대여결정 요인이 대여 후 감정에 미치는 영향은 패션성, 경제성, 실용성 요인 모두 대여 후 긍정적 감정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의류제품대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공유경험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고 의류제품 대여라는 공유경제 연구를 구체화하는데 학술적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중국의 공유경제에 기반 한 패션 제품 서비스에 관한 연구

        오희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1

        The following research aims to analyze globally trending Chinese sharing economy in fashion industry in terms of clothing rental service. The data research was conducted from January 10th 2017 to January 20th 2018. The data was collected from internet resources, text, news articles etc. and analyzed by three experts. Having studied fashion sharing platforms in terms of product service and redistribution servi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sh companies adopts the method of B2C which allows companies to own resources and rent to consumers rather than provide unused products to fashion rental service platform. Chinese mesh companies that provide product sharing platform may include Meilizu(美丽租), YCLOSET(衣二三), MSParis(女神派), XIANYU(闲鱼网). Although rental services normally handle luxurious goods, the variety of products, such as day-wears, has been expanding recently. In order to achieve a successful business, mesh companies must secure supply powers to be up to date with current trends. Also, a proper sanitary control is necessary for quality and cleanliness of clothing. Revenue model may include rental fee, membership, used clothing sale, advertisement etc. Second, redistribution service redistributes unneeded or unused product to users through bartering and selling second-hand goods. Mesh companies providing redistribution service may include dmall (爱丁猫), XIANYU(闲鱼网), Chinese old clothes(中国旧衣服网), and Cosplay(Cos二手). Types of sharing agents can be divided into P2P, B2P, and B2B. These agents provide sharing platforms which allows users to exchange/share used or general luxuries. Mesh companies provide information about recycling, appraising service, easy order/payment method, O2O service, and free shipping. Revenue model may include exchange commission, advertisement etc. 본 연구는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중국의 패션 공유경제의 실태를 의류제품 서비스 관점에서 조사·분석하고자 한다. 자료조사는 2017년 1월 10일부터 2018년 1월 20일까지 실시되었다. 자료는 온·오프라인의 인터넷 자료, 문헌, 뉴스기사 등에서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전문가 3인의 논의로 정리·분석되었다. 패션 공유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방식에 따라 제품 서비스, 재분배 서비스로 분류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시기업은 의류제품 대여 서비스 플랫폼에서 유휴자원을 연결해 주기 보다는 기업이 자원을 소유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빌려주는(B2C)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의류제품 공유 플랫폼을 제공하는 메시기업은 Meilizu(美丽租), YCLOSET(衣二三), MSParis(女神派), XIANYU(闲鱼网) 등이 있다. 의류제품 대여는 고가의 명품 위주이지만 데이웨어 등으로 다양화 되고 있다. 메시기업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공유 의류제품의 소싱 파워 확보로 다양한 브랜드의 제품과 신속한 유행 스타일이 업데이트가 필수이다. 다음으로 대여 의류에 대한 품질과 청결을 위한 위생관리의 노력이 요구된다. 수익모델은 의류 대여비, 회원비, 중고 의류판매 수입, 광고 수입 등이 있다. 둘째, 재분배 서비스는 제공자에게 필요하지 않은 유휴제품을 사용자에게 재분배하는 방식으로, 중고제품의 물물교환과 판매가 있다. 중국의 재분배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메시기업은 Admall (爱丁猫), XIANYU(闲鱼网), Chinese old clothes(中国旧衣服网), Cosplay(Cos二手) 등이 있다. 공유 주체는 개인간(P2P), 개인과 기업(B2P), 기업과 기업(B2B)으로 중고 명품, 일반 중고품, 특정 목적의 중고품이 공유되고 있다. 메시기업은 재활용에 대한 정보 서비스와 명품의 감정과 AS, 편리한 주문과 결제, O2O 서비스, 무료배송 등을 제공하고 있다. 메시기업의 중고제품 거래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수익으로는 거래 중계 수수료, 광고 수입 등이 있다.

      • 남성복 스타일 이미지에 대한 평가와 선호에 관한 연구

        오희선 한국의류산업학회 2002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4 No.1

        This paper is to study pertinent consumer evaluations and preferences of fashion depending upon human sensibility. Focus is placed on quantifying consumer's sensibility through the sensibility analysis of men's fashion. The subject are 227 male and female univesity stiudents of who take the course of $quot;Modern Life and Fashion$quot; and $quot;Understanding of Colors$quot; in the OCU Cyber University Data has been collected by survey method and subsequently analyzed and interpreted. To measure consumer's consuming sensibility, G-Sensibility tool developed by 'Fuji Central Institute' has been employ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ANOVA and MANOVA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ollowing 5 styles: Active style G2, Open-minded style of G-3, Mania style of G4, Sensitive and emotional style of G5. According to X² test, the results show that the distinction of sex and their interests in fashion are significant different. The evaluation of men's fashion, according to Multi-dimensional test, shows a variety of differences according gender and G sensibility styles. These varied distinctions are illustrated statistical in Picture 1, Picture 2, Picture 3, Picture 4, Picture 8, and picture 10. Based art the results, a follow-up study to develop the case study and to apply it's results are recommended to produce products paced in the market.

      • KCI등재

        ZARA 브랜드 어플리케이션의 UX에 관한 연구

        오희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7 조형미디어학 Vol.20 No.1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sed user experience(UX) of ZARA applic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apply and develop future smart phone based application interface designs. Target interview survey method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0th 2016 to December 20th 2016. The interview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1 males and 24 females in their 20's, an age group that uses mobile phones most frequently. The survey was consisted of 14 questions in 4 categories including usability (5), aesthetic (4), informativeness (4), and purchase capability (1).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n usability, the menu composition, basic functions (back to home, shopping bag, back, and etc.), and correspondence of function terminology received a rather positive valuation but difficulty in finding a help page and use of foreign technical terms caused a low rating of the application. Second, in aesthetic, ZARA application was rated high for having a simple and consistent design and color scheme. Often times, SPA brand applications use too many colors and make their applications look complicated, yet ZARA application minimized color usage and mainly used low chromatic and achromatic colors, which can reduce an eye fatigue. Also the overall layout arrangement and design received an outstanding assessment for positively reflecting the brand characteristics and image. Third, in informativeness, the ZARA application was assessed as having inconspicuous promotion area that could illustrate events and cause comsumer interests, lacking product information, and having inadequate information on product detail pages. Also, propriety of information amount on a single page received a low valuation. The application could be more effective with an addition of price/color search, product detail information, realignment filter, and event pop-ups while keeping the original conciseness. Fourth,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 in-app purchasing process was uncomplicated and similar to a general purchasing process. 본 연구는 스마트폰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해 패션 브랜드 ZARA를 대상으로 UX(사용자 경험)을 조사 분석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모바일을 많이 사용하는 소비자층인 20대 남성 21명, 여성 24명으로 총 45명을 대상으로 2016년 11월 10일에서 12월 20일에 표적 면접조사가 실시되었다. 조사 내용은 사용편리성(5), 심미성(4), 정보성(4), 구매성(1)의 4항목에 총 1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편리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어플리케이션 이용 시 메뉴구성, 기본기능(홈 화면으로 돌아가기, 장바구니, 뒤로 가기 등), 기능이름과 기능 일치성에서는 다소 긍정적인 평가로 나타났지만 도움말의 위치를 잘 찾을 수 없고 영어 등 어려운 전문용어가 많아 낮게 평가되었다. 둘째, 심미성에서는 ZARA의 어플리케이션은 간결하고 일관성 있는 디자인과 색채사용이 가장 우수하다고 평가되었다. 많은 SPA 브랜드들의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한 색채를 사용하여 화면이 다소 복잡한 느낌을 주는 것에 비해 ZARA의 어플리케이션은 색채의 사용을 최소화 하고 채도 낮은 색상과 무채색을 주로 사용하여 눈에 피로감을 덜 주고 레이아웃의 배치와 브랜드의 특성과 이미지를 반영한 디자인 또한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셋째, 정보성에서는 이벤트 등의 소비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프로모션 영역이 눈에 잘 띄지 않고, 상품 정보가 부족하며, 상품상세 페이지에서의 정보도 다소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 페이지에 제공되는 정보량의 적정성에서도 낮은 평가를 받았다. 간결한 컨셉을 지향하면서 가격/색상 검색, 제품의 상세 설명과 상품 후기를 추가하고 재정렬이 가능한 필터를 늘리고, 이벤트 등의 팝업창 등을 효과적으로 이용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브랜드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구매절차에 대해서 다수의 응답자가 복잡하지 않으며 일반적인 구매절차와 동일하다는 의견이었다.

      • KCI등재

        의류제품 공유 플랫폼의 접근성과 사용성

        오희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2 조형미디어학 Vol.25 No.1

        This is a study on the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online fashion rental platform(FRP) for sharing clothing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of accessibility Model(easy, generality) and usability Model(convenience, curation, communication, design) on the efficacy and charm of online clothing product sharing platforms, as well as the effect of efficacy and charm on satisfaction.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n online survey of 200 women in their 20s-30s in China who have experience using FRP. R package laavan (Rossel, 2012) was used to perform factor confirm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R package multivariant normality tests (MVN) were used to verify multivariate normality, and R package qgraphs to reveal key drivers of user satisfaction.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using CFA on nine sc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ccessibility model, easy influenced efficacy and charm. addition, efficacy and charm influenced satisfaction. Second, in the usability model, convenience influenced efficiency, communication influenced efficacy and charm. addition, efficacy and charm influenced satisfaction. Third, in the psychometric network analysis, communication, design, and attractiveness items were found to be the key drivers of customer satisfaction. Furtherm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academic and practical data by confirming the effect of consumers'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n the satisfaction of the fashion rental platform at a time when online clothing product consumption based on sharing is spreading. 본 연구는 의류제품 공유를 위한 온라인 패션 렌탈 플랫폼에 대한 접근성과 사용성에 관한 연구이다. 접근성 모델(용이성, 보편성), 사용성 모델(편의성, 큐레이션,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이 온라인 의류제품 공유 플랫폼의 효율성과 매력성에 미치는 영향과 효율성과 매력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본 논문은 FRP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중국 20-30대 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제시한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요인적 확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델을 수행하기 위해 R 패키지 lavaan(Rosseel, 2012)을 사용하고, 다변량 정규성을 확인하기 위해 R 패키지 MVN(Multivariate Normality Tests), 사용자 만족의 주요동인(key driver)을 밝히기 위한 심리측정 네트워크 분석(PNA)을 위해 R 패키지 qgraph를 사용하였다. 9개의 척도를 CFA를 사용하여 신뢰성과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접근성 모델에서 용이성은 효율성과 매력성에 영향을 미쳤고, 효율성과 매력성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용성 모델에서는 편의성이 효율성, 커뮤니케이션이 효율성과 매력성에 영향을 미쳤고, 효율성과 매력성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이코메트릭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매력성 항목이 고객 만족의 핵심 동인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본 연구는 공유기반의 온라인 의류제품 소비가 확산하는 시점에서 패션 렌탈 플랫폼에 대한 소비자들의 접근성과 사용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학문적, 실무적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