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채용도구로서 자격의 공정성과 효용성 분석

        오호영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20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3 No.2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 of qualification acquisition for young college graduates, diagnosed the effectiveness and fairness of qualification as a recruitment tool and derived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econometric analysis method, I found following results. Firstly, college graduate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qualification acquisition that increasing the number of private qualifications and decreasing the number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and the main purpose of qualification acquisition was employment. Secondly, I was not able to find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household income and youth qualifications acquisition and this means that qualification could be considered as a fair recruitment tools in general. In addition, based on the subjective satisfaction evaluation of the qualification holders, qualifications also served as a increasing factors for qualification holders satisfaction. Finally, it was concluded that qualification was considered as a fair and effective recruitment tool for young college graduates. To enhance the credibility of the overall qualification system, it was necessary to expand the infrastructure such as effectiveness evaluation tools by qualifications, developing credential information on qualification and information system on qualif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층 대졸자의 자격취득실태를 분석하여 자격의 효용성과 채용도구로서의 공정성을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이하 GOMS)」 3개년도 원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이항로짓분석, 다항로짓분석, 순서형 로짓분석 등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졸 청년층의 자격취득은 자격유형별로 민간자격의 증가, 국가기술자격의 감소라는 특징을 보였고, 주된 자격취득 목적은 취업으로 나타났다. 채용도구로서 자격의 공정성 이슈와 관련하여 가구소득과 청년층의 자격취득을 분석한 결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아 자격은 대체로 공정한 채용도구로 평가되었다. 아울러 자격보유자의 주관적 평가에 기초한 자격의 효용성을 분석한 결과 채용도구로서 자격의 효용성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자격이 채용도구로서 순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정부개입을 통해 자격제도에 대한 신뢰성 제고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자격 종목별 효용성 평가, 자격정보시스템의 고도화 등이 추진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서열의 구조변화 분석

        오호영 한국교육개발원 2007 한국교육 Vol.34 No.1

        Analysis of the Change of University Hierarchy StructureOh, Hoyou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whether university hierarchy has changed flexibly to accommodate the change of circumstances in the last ten years (1994-2003 academic year). The main concern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chool factors on the determination of individual departments' ranking, considering that graduating from a specific university occupies the highest priority when a high school student chooses to advance to university. University hierarchy, which is defined according to university rankings on the average Academic Aptitude Test Score, has shown no significant change for the analyzed period and has high correlation with individual departments' ranking. According to the estimation result of a hierarchical linear model, the effect of educational environment of each university on its individual departments' Academic Aptitude Test Score accounts for more than 50 percent and it shows an upward movement for the period analyzed. In sum, the results imply that university hierarchy has strengthened in the past decade and there is a wider acceptance among students of setting higher priority on entering specific universities rather than selecting a major or department when advancing to university. 본 연구는 진학사 수능성적자료,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 등을 활용하여 수학능력시험이 실시된 지난 10년(1994~2003 학년도)의 기간을 대상으로 대학서열의 구조변화와 그 성격을 진단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별 입학생의 평균수능점수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대학서열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대학서열과 전공 내 학교서열 간의 상관관계는 오히려 강화되는 추세를 보였다. 둘째, 학과선택에 있어서 학교요인이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심층분석하기 위하여 위계선형모형을 적용한 결과, 학교요인이 개별학과의 수능점수 변동에 미치는 영향은 대체로 5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요인의 영향력이 최근으로 올수록 증대하였다. 결론적으로 수능시험이 실시된 지난 10년간 대학서열이 고착화됨으로써 대학진학시 학과보다는 특정대학의 졸업장 획득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화되었다.

      • KCI등재

        공무원 채용시험과 대학교육

        오호영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직업능력개발연구 Vol.9 No.1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 of civil service examinations on college education with respect to nat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e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17.8 percent of college students was preparing for various kinds of civil service examinations, and college students in regional areas were twice more likely to become civil servants than those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areas. College students showed high propensity to apply for a civil service examination if their father‘s occupation was managerial or a member of their families is a civil servant, Whether or not a student is preparing for a civil service examination does not seem to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his/her academic performance. To analyze the effect of civil service examinations o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is study estimated the wage function, which included the dummy variable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 preparation among private sector workers. According to the estimation, the wage effect is negative for those who has prepared for a civil service examination for longer than 11 months. The result signifies that preparing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s does not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skills and knowledge needed in private sector. With some 300 thousand youths preparing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with consideration for attracting competent manpower to the public sector, and the spin-off effects on higher education and the labor market. 본 논문의 목적은 국가인적자원개발의 측면에서 현행 공무원 공채제도가 대학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진단하고 채용제도 개편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재학생의 17.8%가 각종 공무원시험을 준비하고 있으며, 특히 지방대생이 수도권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 채용시험 응시 결정요인에 관한 로짓분석 결과 아버지의 직업이 관리직이거나, 가족 중 공무원이 있을 경우 응시성향이 높아 가족배경의영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공무원 채용시험 응시로 인하여 대학에서의 학점이 저하되는 경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민간기업 취업자를 대상으로 과거 공무원시험 준비경험의 현재임금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공무원시험 준비기간이 약 11개월 이상이었을 경우 현재임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공무원 시험 준비기간이 장기화될수록 민간노동시장에서 필요한 지식 및 숙련형성에는 부정적이었다. 약 30만명에 육박하는 응시자 수를 감안할 때, 공무원 공채제도를 개편함에 있어 우수인력의 공직유치 뿐만 아니라 고등교육 및 민간 노동시장에 대한 파급효과를 함께 고려해야 하며, 구체적으로 대학교육의 정상화, 민간고용과의 연계성 제고, 공직접근의 용이성 제고 등의 방향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