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에서 디아스포라 문학의 가능성 - 이미륵의 <압록강은 흐른다>를 중심으로 -

        오하은 ( Oh Ha-eun ),구자황 ( Gu Ja-hwang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7 한국어와 문화 Vol.22 No.-

        본고는 문학 텍스트가 갖는 언어, 문화, 역사의 통합적 교육 가능성을 주목한 바, 특히 재외동포 대상의 한국어교육에서 학습자들의 공감과 정체성 형성에 다양한 가능성을 내장한 디아스포라 문학의 활용을 주목하였다. 재외동포에게 디아스포라 문학이 전달할 수 있는 두 가지 의미는 `시간적으로 과거와 미래의 다리 역할 혹은 공간적으로 한국과 재외동포 거주국의 다리 역할`을 가지는 것이고, `한국의 문화와 역사를 다시금 알리는 역할`을 가지는 것으로 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륵의 〈압록강은 흐른다〉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재외동포가 얻을 수 있는 한국어교육의 의미와 역할을 추출해보았다. <압록강은 흐른다>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인공이 더 넓은 세계로 나아가는 구조를 보이기 때문에 전체 3부로 나누어 의미를 분석하였다. 1부는 미륵이 고향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는 시기로, 다양한 한국 고유의 놀이와 명절풍습, 글자 등의 문화요소가 소개됨으로써 재외 동포가 이를 직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된다. 2부는 미륵이 서울에서 청년 시절을 보내는 시기로, 일제 강점기와 3.1운동이라는 한국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사건을 이해할 수 있다. 1부와 2부의 역할은 앞선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에서 디아스포라 문학의 역할 중 두 번째 역할, 즉 `한국의 문화와 역사를 다시금 알리는 역할`의 세부 사례가 될 것이고, 한국의 `특수성`을 드러내는 사례가 될 것 이다. 3부는 미륵이 독일에서 성년을 보내는 시기로, 디아스포라의 양상을 통해 개인의 과거와 현재를 돌아볼 수 있고, 고향에 대한 상실감과 애착을 토대로 타인을 이해하며 소통할 수 있다. 이는 앞선 재외 동포 한국어교육에서 디아스포라 문학의 역할 중 첫 번째 역할, 즉 `시간적으로 과거와 미래의 다리 역할 혹은 공간적으로 한국과 재외동포 거주국의 다리 역할`의 세부 사례가 될 것이고, 디아스포라의 맥락이라는 특수성과 더불어 소통의 보편성을 내포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education of language, culture, and history of literary texts. Especially, it focuses on diaspora literacy which incorporates diverse possibilities in the formation of empathy and identity of learners in Korean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Diaspora literature has two meanings for overseas Koreans: `The role of the bridge between the past and the future, or between Korea and the resident country of overseas Koreans,` and `The role of reintroducing Korean Culture and History`. Specifically, I tried to extract the meaning and rol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overseas Koreans can obtain through the text analysis of Mirokli`s "Der Yalu Flieβt". Since the main character has a structure that moves to the wider world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the meaning of the "Der Yalu Flieβt" is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analyzed. Part 1 is the time when Mirok spent his childhood in his hometown. It is an opportunity for overseas Koreans to experience it directly or indirectly by introducing cultural elements such as various Korean plays, holiday customs and letters. Part 2 is a time when Mirok spent his youth in Seoul and can understand the events that are essential to Korean history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3.1 movement. The role of Part 1 and Part 2 will be a detailed ex ample of the second role of diaspora literature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overseas Koreans, namely, `the role of reintroducing Korean culture and history`, and revealing `uniqueness` of Korea. The third part is the time when Mirok is going to spend his adult years in Germany. Through the aspect of diaspora, one can look back on the past and present of the individual, and can understand and communicate with others based on the sense of loss and attachment to his or her hometown. This will be the first example of the role of diaspora literacy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overseas Koreans, namely, `the role of the bridge between the past and the future, or between Korea and the resident country of overseas Koreans`, as well as implications of the universality of communication along with the uniqueness of the diaspora context.

      • KCI등재

        한국 다문화 사회의 한국어교육 정책 제안

        오하은(Oh Ha-eun) 한글학회 2016 한글 Vol.- No.311

        본고는 다문화 사회를 이루는 이주 노동자, 결혼 이민자,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한 한국어교육 정책의 중 ․ 장기 방향 정립 및 계획과 추진을 위한 제언에 그 목적이 있다. 한국 다문화 사회의 한국어교육 정책은 과거에 비해 학습자 대상이 교포에 한정되어 있지 않고 다양한 국가의 다양한 사람들로 그 범위가 넓어졌다. 하지만 여전히 다문화 사회 한국어교육 정책은 과거의 체계에 머물러 있다. 학습자 대상이 다양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기존의 정책에서 크게 변화하지 않은 것이다. 대상에 맞춘 적절한 정책의 개선을 위해 본고는 세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우선 이주 노동자, 결혼 이민자,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언어사용 실태, 언어교육 실태 등 그들의 실제적 삶과 연관된 정확한 자료의 축적과 연구가 필요하다. 새로운 다문화 사회 구성원들의 실태와 수요를 조사하여 그들을 위한 맞춤형 정책이 마련되어야 하는 것이다. 둘째로 한국 다문화 사회의 한국어교육 정책 현황을 파악해야 한다. 현재 이행되고 있는 한국어교육 정책을 조사한 결과 정부의 각 부처 간 통합이 필요하고, 통합된 정책 하에 효율적인 예산 활용과 체계적인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계획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로 해외의 언어교육 정책 사례를 참조할 수 있다. 독일의 사례에서는 무조건적인 동화가 아닌 다양성을 바탕으로 한 통합이 이루어져야 함을 보았다. 적절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된다면 이민자들로 하여금 그 교육에 참여해야 할 적당한 의무와 정당한 권리를 부여하는 일 또한 필요하다. 호주의 사례에서는 언어교육 정책에서 영어뿐만 아니라 이민자들의 부모가 보유한 모국어를 교육시키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이는 미래 사회에 이중 언어를 구사하는 인재를 양성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다. 앞선 이민국가의 선행적 정책 및 다양한 사례를 참조할 때 중요한 것은 무조건적인 수용이 아니라 비판적인 자세로 각 나라의 사례를 다각적으로 검토한 후 수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국 다문화 사회의 구성원들에 대한 실태와 수요를 조사하고, 한국어교육 정책의 현황에 대해 충분히 파악한 후 해외의 성공적인 사례를 적절히 수용했을 때 한국 다문화 사회의 한국어교육 정책은 올바른 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무조건적인 동화가 아닌 자발적이고 자연스러운 통합을 모색하고, 이민자들로 하여금 본인의 문화를 간직한 채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일 수 있게끔 만드는 보다 발전된 한국어교육 정책이 마련될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 KCI등재

        결혼 이민자를 위한 명사구 보문절 교육 내용 연구

        오하은(Oh Ha-eun) 한글학회 2017 한글 Vol.- No.315

        본고는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명사구 보문절 사용 양상을 분석하고 교재 내 명사구 보문절 제시 양상을 살펴보며 새로운 제시 방안을 찾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고는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와 한국문화』와 『결혼 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를 중심으로 위 교재 내에 명사구 보문절이 충실히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실제 결혼 이민자들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그들의 명사구 보문절 사용 양상을 파악하였다. 또한 명사구 보문절의 새로운 제시 방안을 모색하였다. 명사구 보문절 중에서도 완형보문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는데, 이는 종결어미에 ‘-는’이 붙는 완형보문의 형태가 비종결어미에 ‘-(으)ㄴ’, ‘-는’, ‘-(으)ㄹ’, ‘-던’이 붙는 불구 보문의 형태보다 단순하며, 명사구 보문절 전체를 대상으로 삼기에는 그 범위가 넓기 때문이다. 한국어교육에서 교육 내용의 기준이나 배열에 있어 난이도는 사용 빈도와 더불어 사용 범위, 가용성, 친숙도 등보다 기본적으로 가장 먼저 채택되어지고 있으며, 명사구 보문절은 결혼 이민자의 교재에서 중급 2교재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시작점부터 점차 난이도를 높여 나가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 The paper analyzes the patterns of using the noun phrase complement in marriage immigrants, reviews the contents of textbook on the relevant topic, and proposes new measures for education of marriage immigrants. Discussion about a need to teach about the noun phrase complement should be initiated because it is one of grammatical rules that has practical uses in numerous everyday life situation that can be used to express thoughts and opinions, and it is supposed to be used differently from the rules of relative clause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Expression of thoughts and opinions and exchange of information are frequent occurrences in day-to-day communication, which are particularly necessary for marriage immigrants. Every marriage immigrants should be able to articulate their ideas and opinions, explain about their culture, and exchange any information. Undoubtedly, foreign exchange students should be able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opinions, but the need is much higher for marriage immigrants.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life in Korea as the only non-Korean family member, inability to communicate can lead to unconditionally accepting and assimilating into the Korean culture. Therefore, the paper examines whether the contents on noun phrase complement are adequately presented in two textbooks, “Korean Culture and Language for Immigrants” and “Korean for Marriage Immigrants,”, and analyzes the actual texts of marriage immigrants to identify the patterns of using the noun phrase complement. In addition, the paper proposes new measures in teaching about the topic. The paper focuses on the sentential complement, a type of noun phrase complement, because it is a much simpler concept than incomplete noun phrase complement, thereby it is more suitable for primary discussion. Also, to cover the complete sets of noun phrase complement is insurmountable.

      • 논문 : 문화 ; 한국과 독일의 도시문화재생 사례연구

        오하은 ( Ha Eun Oh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4 한국어와 문화 Vol.16 No.-

        도시재생은 이제 더 이상 개발과 건축의 범위에 한정되어 있지 않고 문화적 기능, 사회적 기능, 경제적 기능을 아우르고 있다. 도시재생의 개념 안에 포함된 어메니티(amenity) 개념 역시 문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종합 쾌적성을 우리에게 알려줌으로써 문화가 오늘날 가지는 중요성을 시사한다. 유럽공동체는 문화적 영역에 역사적으로 끊임없이 관심을 가져왔다. 그들의 문화에 대한 관심은 1985년부터 현재까지 주요 문화교류정책 프로그램의 하나로 시행되고 있는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으로 이어졌다.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은 오늘날 그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는 어메니티 개념에 근거해서 문화적으로 살기 좋은 도시, 문화적인 생활여건이 충족되는 도시를 만들고 유럽의 특수한 문화적 산물을 개방하며 상호접근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유럽문화수도의 다양한 사례들 중 독일의 구동독 지역에 속했던 바이마르의 사례를 통해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의 도시재생사업을 보다 자세히 고찰할 수 있다. 독일 통일 후 바이마르는 기존에 존재하던 건물을 허물고 다시금 새롭게 짓는 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 나간 것이 아니라 기존에 존재하던 건물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그 부분만을 보수공사 하는 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 나 갔다. 그 결과 이전부터 존재해 왔던 건물의 부분은 전통적인 느낌을 유지할 수 있었고 새롭게 보완된 부분은 현대적인 느낌을 살릴 수 있었다. 그 외에도 바이마르는 다양한 문화공연과 이벤트를 시행함으로써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였고 그 곳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도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었다. 우리나라 부산에서도 마찬가지로 부산을 문화도시로 만들기 위해 모인 민간단체의 크나큰 노력이 있어왔다. 그들은 ``거리간판 이제는 바꾸자!``라는 글귀가 적힌 어깨띠를 두른 채 거리에서 간판 실태조사 및 모니터링을 하였고 식수 현장을 찾아 녹화 실태에 대한 조사에 나서기도 하였다. 달맞이 고개에 계수나무와 달맞 이꽃을 심었으며 이 운동이 발전된 형태인 도시녹화운동을 직접 관리·운영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문화자원봉사자를 끊임없이 양성하였고 ``찾아가는 문화공연`` 을 펼쳤으며 ``대학생 문화자원봉사자 발족식``을 거행하였다. 이렇듯 부산은 시민참여형 운동을 전개함으로써 문화적 역량을 결집하였고 지역방송을 통해 홍보 기능을 뒷받침하였다. 부산을 포함하여 우리나라의 다양한 도시들이 문화적으로 살기 좋은 도시의 총체적 모습을 갖추게 된다면 그 도시는 자연스럽게 하나의 관광지가 될 것이고 끊임없이 회자되는 우리나라의 수도권 집중 현상도 완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Urban regeneration is no longer limited to the range of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f a new city. It now encompasses a wider range of values, and strives to improve the cultural, social, and economic functions of the society. Amenities- tangible and intangible benefits that increase the comfort and convenience, thereby contributing to the attractiveness and desirability of the city-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and maintaining cultural aspects that are specific to the city. Although culture has been considered to be a less important factor, next to the economics and politics, when reviving a city, it is currently viewed a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The European Capital of Culture program is an example that followed the concept of building a culture-focused society. Throughout the history, the European Union has considered the cultural area as a major aspect in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As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evolved, so too did the interests of people in choosing a location for their home. The interests have shifted from abundant natural resources and cheap labor to rich cultural resources and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The newly reborn cities that satisfy these changes have proven that the cultural cities thrive because of synergistic effect which positively influences the economic conditions and the political world. The benefit of the European Capital of Culture program can be explained in more details through the history of Weimar, a city of East Germany. After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Weimar started a new project which proceeded to maintain the whole or parts of the pre-existing buildings to protect the history and culture of Weimar. Some parts of the buildings were renovated with modern architectural structure. As a result, traditional and modern cultural aspects co-existed and complemented each other in the buildings and the city of Weimar. In addition, a variety of cultural performances and events were held, and thus attracted many tourists and instilled positive recognition in the mind of the citizens of Weimar. Another example of a city that sought to practice the novel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is Busan, a second largest metropolis in South Korea. Many NGOs initiated various campaigns to improve the aesthetic, environmental, education elements underlying the cultural aspects of Busan. Many cities in Korea should strive to become more desirable for residents and attractive for tourists by combining rich cultural resources and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By shifting our interests and changing our priorities, not only can we make the cities in Korea outstanding cultural cities, we may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overpopul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