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UML을 이용한 송전선로 보호계전기 정정프로그램 분석/설계

        오태욱 明知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력계통의 안정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보호계전기의 중요성은 증대하고 있으며, 송전계통 보호에 디지털 계전기가 적용은 더욱 많이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계전기의 동작치 계산방법은 복잡하며 이로인한 정정의 어려움은 가중되었다. 따라서 정정작업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계전기정정작업을 전산화하기 위하여 계통 보호업무의 종합전산화 시스템인 PROSET2000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PORSET2000에 신형 디지털 계전기의 추가 도입으로 정정프로그램 추가개발과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한 능동적인 처리가 요구되며 정정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효율적인 설계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본 논문은 추가되는 계전기의 효율적인 정정프로그램 설계를 위하여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을 이용하였다. UML은 여러 방법론이 통합된 표준화 방법론으로써 기존의 방법론인 Booch방법론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사항 획득, 분석, 그리고 상위수준 설계로 이끄는 방법 및 데이터 중심을 표현하기 어려운 문제들을 해결하였다. 추가되는 신형 계전기 도입 및 변경에 따른 프로그램 유지보수에 적합하도록 프로그램을 분석 및 설계하여 추가된 신형 디지털 송전선로 보호 계전기 정정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정정 프로그램을 통해 정정 업무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리라 사료된다. PROSET2000 that is integrated protective management system had developed and used in order to automate the setting process of protective relays in transmission system protection. PROSET2000 have database for relay setting and automated for relay setting program within. This paper proposed PCM current differential relay setting program point of Object Oriented Programming paradigm using Unified Modeling Language about additional relay in PROSET2000. Nevertheless each relay uses same current differential but setting method is different. This paper discribed different thing about setting method of each relay and evaluated more effective and corrective relay setting program using UML.

      • Ti-10Ta-10Nb 합금의 산화특성 및 내식성에 관한 연구

        오태욱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생물학적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Ti-6Al-4V 합금에 필적하는 내식성을 갖는 생체용 Ti 합금을 개발할 목적으로 Ti에 세포독성이 지적되지 않은 Ta, Nb을 첨가하여 새로운 Ti-10wt.%Ta-10wt.%Nb 합금을 제조하였다. 이 합금을 공기중에서 산화하여 산화거동을 조사하였고, 이때 형성되는 산화층이 내식성 및 세포독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Ti-6wt.%Al-4wt.%V 합금과 비교하였다. 시편은 소모성 진공 아크로를 이용하여 용해하였으며, 용해 후 1050℃에서 24시간 동안 균질화 처리 후 1000℃에서 진공 압연을 수행하였다. 산화온도에 따른 산화층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관상로를 이용하여 400∼750℃의 온도범위에서 30분간 등온산화를 시켰고, 산화시간에 따른 산화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800℃에서 각각 5∼60분의 등온산화를 실시하였다. 광학현미경과 SEM을 이용하여 산화층의 표면을 관찰하였고, XRD, EDS 및 TGA를 통해 산화에 따른 상변화 및 온도에 따른 산화 거동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ESCA 분석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산화된 합금의 부식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0.9% NaCl 용액에서 부식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0.9% NaCl, 5% HCl, 1% Lactic acid 용액 중에 각각 35일간 시편을 침지한 후 용출된 이온을 정량 분석하였다. 또한 Ti-6Al-4V 합금과 Ti-10Ta-10Nb 합금의 시편 추출액을 세포배양액에 노출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산화층이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TG 분석 결과 Ti-6Al-4V 합금은 650℃ 이상, Ti-10Ta-10Nb 합금은 700℃이상에서 지수적인 산화가 진행되었으며, 그 이하의 온도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산화층의 관찰결과 Ti-10Ta-10Nb 합금의 것이 Ti-6Al-4V 합금의 것보다 얇고 치밀하며 안정된 층임을 알 수 있었으며, 대부분 TiO₂로 구성된 안정한 산화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0.9% NaCl 전해액에서 동전위분극시험을 행한 결과, 두 합금 모두 산화층이 형성된 경우에 시편의 내식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Ti-10Ta-10Nb 합금의 경우 Ti-6Al-4V 합금에 비해 보다 안정한 부동태 피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용출시험 결과 Ti-10Ta-10Nb 합금이 Ti-6Al-4V 합금에 비해, 또 동일 합금일 때는 산화층을 형성시킨 시편에서의 이온 용출량이 적게 나타났다. 세포독성실험에서는 650℃에서 30분 동안 산화처리를 한 Ti-10Ta-10Nb 합금이 가장 높은 세포의 생존율을 보였고, 합금별로는 Ti-10Ta-10Nb 합금이 Ti-6Al-4V 합금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Titanium alloy has been used in orthopedic and odontologic area as artificial joints or dental implants due to it's very good biocompatibility Ti-6Al-4V alloy is a typical Ti alloy widely used as biomaterials because of superior property of high fatigue and tensile strength to pure titanium without severe loss of corrosion resistance, and also has similar characteristics to Ti in inducing bony ingrowth. But it has been reported recently that the vanadium component expresses cytotoxicity and carcinogencity and the aluminium component is related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 and neurotoxicity. A new Ti-10Ta-10Nb alloy has designed and examined some possibility of forming more passive oxide film by oxidation treatmen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corrosion resistance and biocompatibility. Ti-6Al-4V and Ti-10Ta-10Nb alloy were prepared by consumable vacuum arc melting and homogenized at 1050℃ for 24hours, and were hot rolled at around 1000℃. Alloy specimens were oxidized at the temperature range of 400 to 750℃ for 30minutes, and some other specimens were oxidized for the time of range 5 to 60minutes at 800℃. The oxide films on Ti alloys were analysed by optical microscope, SEM/EDX, XRD, XPS and TGA.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i alloys was evaluated by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test in 0.9% NaCl and immersion test in 0.9% NaCl, 5% HCl and 1% lactic acid. Cytotoxicity test was performed in MTT assay treated L929 fibroblast cell culture by indirect method. It is found out that the oxide film on Ti-10Ta-10Nb alloy is denser and thinner compared to Ti-6Al-4V alloy. The weight gain during the oxidation was increased rapidly at the temperature above 650℃ for Ti-6Al-4V alloy and above 700℃ for Ti-10Ta-10Nb alloy respectively. According to XRD results, oxide layers were composed of mostly TiO₂(rutile) phase.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i-10Ta-10Nb alloys was improved by oxidation treatment. It was analysed that the passive film of the Ti alloys consisted of TiO₂ through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XPS) analysis. It is found by cytotoxicity test that moderate oxidation treatment lowers cell toxicity, and Ti-10Ta-10Nb alloy showed better result compared to Ti-6Al-4V alloy.

      • 시민 만족도 조사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 Derived importance 개념분석을 중심으로

        오태욱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New Public Management lead consistent attention of introducing market economy principle to administrative institutions. As index of measuring such administration, there is a growing tendency of studying ‘citizens’ level of satisfaction’. Survey on citizen’s level of satisfaction has the implication that finding out to what extent citizens are satisfied with municipal administration and apply it to administrative performance. Previous survey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however, previous index only had a role of measuring ‘past’ performance but had limitation in guiding which policy should be promoted in the ‘future’ as well as where limited resources should be inputted. For such reasons, so as to figure out ‘the level of importance’ of each administrative service more accurately and in a more explanatory manner this study introduces Derived importance which is utilized in private sector and takes results through direct survey to find out which features are different from Stated importance which is utilized previously. Derived importance is statistical figure of which independent variable is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each administrative service and dependent variable is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general administration, and derives the level of importance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e form of explanatory variable (Beta). As the result of the level of importance through direct survey, among 24 individual administrative services, it is found out that the rank of ‘park and leisure facility’, which is only 12th in Stated importance, is the first in Derived importance; the rank of ‘public health and medical treatment’, which is only 14th in Stated importance, is the second in Derived importance. This result means that citizens ostensibly answer that it is important to enhance administrative services concerning subjects, which are relatively big and receive attention from society, such as ‘solution of unemployment and economic revitalization’ or ‘stabilization of housing price and housing provision’, however, the most important service to them in substance and in depth, which enhances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Seoul city administration in whole, is ‘park and leisure facility’ around the neighbor and ‘public health and medical treatment’ which they can use when they are sick. That is, the substantial enhancement of individual administrative service which is important to individuals is about categories which people click and feel. The final goal of policy maker is to raise overall level of satisfaction. In case of mayor, it may be fairly said that the utilization of Derived importance is epoch-making attempt from the aspect that the first priority will be enhancement of general municipal operation and satisfaction on municipal administration and resource should be inputted where citizens want in substance. If budget and resource are inputted to sectors which have high priorities among individual administrative services according to Derived importance, it can be expected that overall satisfaction on local authority be enhanced, which is the first priority of local authority, thus Derived importance will be used as a very effective index. ……………………………………… Keywords : Citizen satisfaction, IPA, Derived importance, Stated importance 신 공공관리론의 영향으로 행정기관으로의 시장경제원리 도입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고 있다. 정부는 고권적 입장에서 시민을 바라보았던 기존 관점에서 벗어나 시민을 고객으로 보고 고객만족행정을 실현하는데 힘을 기울이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행정에 대한 측정지표로써 ‘시민 만족도’를 조사하여 연구하는 경향이 활발해지고 있다. 시민 만족도에 대한 조사는 시민들이 시 행정에 얼마만큼 만족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행정에 대한 성과로 치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만족도 조사로는 ‘과거’ 성과에 대한 측정으로서의 역할을 할 뿐 ‘미래’에 어떤 정책을 추진해야하는지 한정된 자원을 어디에 투입해야하는지를 알려주는 지표로서는 한계를 가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시장부문에서 활용되고 있는 IPA 분석(중요도-성과 분석)을 행정학에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대두되고 있다. 사부문과는 달리 성과를 가시적인 산출물로 나타내기 힘든 공공부문의 특성상 행정학에서의 성과는 시민 만족도로 대체되는 경향이 있어 이를 중요도-만족도 분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기존의 만족도만 조사하였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중요도’에도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IPA분석을 통해 한정된 자원을 좀 더 효율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방안이 생겼는데 이는 중요도와 만족도를 함께 조사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그러나 ‘성과’를 ‘시민 만족도 조사’ 로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지, 그 방법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등 ‘만족도’에 대한 논의는 활발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중요도’에 대한 논의는 국내에서 미미한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연구는 개별 행정서비스의 ‘중요도’ 를 좀 더 정확하고 설명력있게 파악하기 위한 작업으로 사부문에서 활용되는 Derived importance를 소개하고 직접 설문을 통한 결과를 도출하여 기존에 활용되던 Stated importance 와는 어떤 점에서 다른 특성을 갖는지 살펴보았다. Derived importance 는 개별행정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독립변수로, 전체 행정 만족도를 종속변수를 두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나온 설명변수값(Beta)으로 중요도를 도출해내는 통계학적인 수치이다. 이는 Stated importance 보다 더 설명력이고 예측성이 있으며 심층적인 시민의 의식을 엿 볼수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중요도로서의 가치가 증대되고 있다. 직접 설문조사를 통하여 각각의 중요도 값을 도출해낸 결과 24개의 개별 행정서비스의 중요도로 Stated importance 에서는 ‘공원과 여가활동시설’의 중요도는 12순위 밖에 되지 않았으나 Derived importance 에서는 1순위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공중보건 및 의료’ 항목도 Stated importance 는 14위이나 Derived importance 에서는 2순위의 값을 가지는 등 여러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일반인들이 ‘실업문제 해결 및 경제활성화’나 ‘주택가격안정 및 주택공급’ 과 같이 상대적으로 범주가 크고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문제해결을 위한 행정서비스 개선이 중요하다고 표면적으로 응답하나 실질적, 심층적으로 서울시의 전체 행정 만족도의 개선을 증진시키는 가장 중요한 서비스는 자신의 주변에 ‘공원과 여가활동시설’ 이 얼마만큼 있는지, 자신이 아플 때 이용하는 ‘공중보건 및 의료’에 대한 행정이 잘되어있는지의 여부라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개인이 중요시 여기는 실질적인 개별 행정서비스의 개선은 자신의 피부에 직접 와닿고 자신이 느낄 수 있는 범주의 것이라는 점이다. 정책결정자의 최종 목표는 전반적인 만족도의 향상이다. 시장의 경우 전체적인 시의 운영 및 시 행정에 대한 만족도가 올라가는 것을 가장 첫 번째 목표로 삼을 것이며 시민들이 실질적으로 원하는 곳에 자원을 투입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Derived importance 의 활용은 획기적인 시도라 할 수 있다. Derived importance 에 따라 개별 행정서비스 부문 중 높은 중요도를 가진 부문에 예산과 자원을 투입한다면 지방정부의 가장 첫 번째 목표인 지방 정부의 전체 만족도의 상승 효과를 예상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인 지표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동료 피드백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의 효과 분석

        오태욱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centered teaching added by peer feedback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of students, the characteristics of feedback, and learner response.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Does mathematical communication-centered teaching added by peer feedback have any effects on mathematics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2. Does mathematical communication-centered teaching added by peer feedback have any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of students in the upper, middle and lower tiers? 3.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feedback and student′s reactions in mathematical communication-centered instruction added by peer feedback?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9 students in their sixth grade in J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Jung-gu, Seoul. After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organized with 29 and 30 students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mathematical communication-centered instruction by utilizing peer feedback, while typical simultaneous teaching was provided to the control group. As for group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each of the upper-tiered students were paired with students in the lower tier, and the intermediate students were paired with each other to provide mutual feedback. The students solved the given problems in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stages, and each student explained his or her problem-solving process after the teacher provided them with the correct answers. The students then wrote it down in their feedback notebook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eer′s feedback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y took tes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t-test was utilized to analyze the test data.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centered teaching added by peer feedback had a more positive impact on mathematics achievement than the typical spontaneous teaching. Specifically, the effects were better for the intermediate and lower-tiered students, and the reason seemed to be that the supply of feedback allowed those students to be more interactive and have more dynamic communication in class, whereas they had less opportunity to do that in teacher-led class. Second,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centered instruction by peer feedback exerted a more favorable influence than the typical spontaneous teaching on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of every group irrespective of academic standing. It seemed to imply that they became more confident in math during middle of exchanging mutual feedback. At the same time, it suggested that there was an improvement in the flexibility of their thinking while the course of sharing their problem-solving process, and as they had a chance to look back on their own problem-solving process. Third, the cognitive benefit of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centered instruction by peer feedback was that they were able to experience and choose from a variety of problem-solving processes. Another advantage was that they were able to look back on their own thinking process through feedback and come up with more refined mathematical ideas. Furthermore, every student was able to actively give and take feedback since there were no separate instructors or learners in association with peer feedback. In affective perspective, the students in the lower tier were able to build confidence about math through feedback and to find it easier to understand problem-solving process through feedback provided by those whose academic standing was similar to their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First, every student should be given a chance to express their ideas in mathematics class. Second, teachers should use the exact mathematical language and present the right problem-solving processes when they give explanations on mathematical concepts and principles. Third, students should realize that even the same problem could be solved in a different manner, and that they should thereby learn to have a more flexible mathematical way of thinking and solve problems in diverse ways. 이 연구는 동료 피드백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또한 이 과정에서 나타난 피드백의 특성 및 학습자의 반응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동료 피드백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이 수학과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동료 피드백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이 상·중·하위 집단 학생의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동료 피드백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에서 나타나는 피드백의 특성 및 학생의 반응은 어떠한가? 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설정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중구에 위치하고 있는 J초등학교 6학년 학생 중 실험반 29명, 비교반 3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반은 동료 피드백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을 실시하였고, 비교반은 전통적인 일제식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반의 집단 구성은 학업 성취도를 기준으로 상위 집단 학생은 하위 집단 학생과 중위 집단 학생은 중위 집단 학생끼리 짝을 지어 주고, 상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동료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은 수업의 도입부와 전개부에 교사가 제시한 문제를 각자 해결한 후, 교사가 제시한 정답을 근거로 서로의 풀이 과정을 설명하는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이를 피드백 노트에 기록하게 하여 동료 피드백 결과 나타난 특성 및 학습자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또한 실험 처치 전과 후에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성향 검사를 실시하여 이를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동료 피드백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은 전통적인 일제식 수업보다 수학과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특히 중·하위 집단의 학생에게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수업에서는 중·하위 집단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의사소통을 할 기회가 제한적이었지만, 동료 피드백을 통해 수업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얻은 데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동료 피드백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은 전통적인 일제식 수업보다 집단에 관계없이 수학적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이는 상호간에 피드백을 주고 받는 과정에서 수학에 대해 자신감을 갖고, 다양한 풀이 과정을 교환하면서 사고의 융통성을 기르고, 자신의 풀이 과정을 점검 및 반성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수학적 성향의 하위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각 집단에 따라 다소 상이하긴 하지만 상위 집단의 경우 자신감, 반성 영역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고, 중·하위 집단의 경우는 거의 전 영역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다. 셋째, 동료 피드백을 활용한 의사소통 수업은 인지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풀이 과정을 접하고, 이 중에서 좀 더 쉬운 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며, 피드백을 통해서 자신의 사고과정을 반성하고, 좀 더 세련되고 정련된 수학적 아이디어를 소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동료 피드백은 교수자와 학습자가 별도로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모든 학생들이 피드백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정의적인 측면에서는 하위 집단의 학생들이 피드백을 제공하는 경험을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고, 수준이 비슷한 학생의 피드백을 통해 좀 더 쉽게 문제 풀이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동료 피드백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은 학생들에게 수학적 언어, 표현을 사용하여 의사소통 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함으로써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자신의 사고를 반성, 점검하는 기회를 제공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수학 시간에 학급의 모든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교사가 수학적 개념, 원리에 대해 설명할 때에는 정확한 수학적 언어, 표현, 풀이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셋째, 수업 시간에 같은 문제라도 다양한 풀이 방법이 있음을 주지시켜서 학생들이 다양한 수학적 사고, 풀이 방법을 갖도록 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