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보원천으로서 웨딩박람회의 신뢰도가 고객만족도 및 상품추천과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오지혜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정보원천으로서 웨딩박람회의 신뢰도가 고객만족도 및 상품추천과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Wedding Exposition's Credibi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Product Recommendation and revisit as an Information source 마케팅전공 오지혜 지도교수 윤성욱 빠르게 변화하는 요즘, 소비자들은 최소한의 시간과 노력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보려고 한다. 정보 또한 마찬가지이다.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 짧은 시간에 정확하고 확신이 가는 정보를 얻으려 한다. 그 안에서 그들은 다양한 부분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토탈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찾게 되고 그 결과 박람회 산업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늘어 각종 다양한 체험 행사 및 이벤트로 고객들의 욕구에 발맞추고 있다. 이와 같이 변화하는 예비 신랑 신부의 생활 패턴으로 박람회의 기능과 역할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우리는 사소한 물건을 하나 구입 할 때에도 하루라는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껴질 때가 있다. 이렇듯 어떠한 상품을 구입하기 이전에 우리는 수많은 정보를 접하게 되는데 이 모든 것이 고객에게 유익하거나 만족을 주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어떤 정보를 누구에게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제공받느냐에 따라 만족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보다 전문가적인 정보로 박람회를 찾는 고객을 만족시켜야 한다. 그것이 바로 신뢰도 형성의 기본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신랑신부, 또는 그 주변인이 웨딩정보를 수집하는 다양한 방법 가운데 웨딩박람회를 이용하는 고객들을 중심으로 전문성, 진실성, 객관성이 방문고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결과 상품추천과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재방문으로 연결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사실 일생에 한번뿐인 예식이라는 생각에 너도나도 거액을 들여 예식 준비를 하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는 요즘 그 부담은 커지기 마련이다. 그렇기 때문에 신뢰성에 바탕을 둔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웨딩박람회 개최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전달하고 긍정적인 시각을 형성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이는 방문 고객의 의사결정에 큰 영향을 끼칠 것이며 더 나아가 부산 웨딩시장을 더욱 활성화시킬 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정보원천으로서 웨딩박람회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현 개최되고 있는 박람회뿐만 아니라 최근 1년간 웨딩박람회를 방문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가설1 “전문성이 높을수록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 “진실성이 높을수록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3 “객관성이 높을수록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여 실행한 결과, 먼저 웨딩박람회의 신뢰도 요인 중 전문성이 3.82(SD=0.67)로 다른 두 요소보다 높은 평균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 객관성이 3.38(SD=0.64), 진실성이 3.10(SD=0.69)으로 나타났다. 또한 객관성과 진실성, 전문성을 독립 변수로 하고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 했을 때, 객관성의 t값이 5.462(p<.000), 진실성의 t값은 4.756(p<.000), 전문성의 t값이 2.237(p<.026)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의미하는 것은 웨딩박람회를 관람하는 방문객들은 참여하는 업체들의 높은 전문성을 인식하고는 있지만 정보원천으로서 웨딩박람회는 진실성, 전문성보다 객관성이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또한 만족도가 소비자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가설4 “만족도가 높을수록 상품추천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5 “만족도가 높을수록 박람회 재방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해 분석한 결과 높은 만족도가 상품추천 및 재방문에 유의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주요어 : 웨딩박람회, 신뢰도, 전문성, 객관성, 진실성, 만족도, 상품추천, 재방문

      • 우리나라 미충족 치과진료 관련요인 및 변화 추이 : 2007-2015년

        오지혜 圓光大學校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목적: 이 연구는 2007-2015년 우리나라 미충족 치과진료의 구체적인 사유와 관련요인을 확인하고, 관련요인의 시기별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7-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의 성인 중 구강건강 설문조사에서 미충족 치과진료 경험 질문에 응답한 51,213명을 대상으로 각 연도별 미충족 치과진료율과 구체적인 사유 및 추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세 시기(2007년, 2011년, 2015년)의 14,404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시기별 미충족 치과진료의 관련요인을 분석하고 관련요인의 변화 추이를 비교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질병 유병 및 구강건강상태를 변수에 포함하였으며, 이들과 미충족 치과진료 경험의 관련성은 카이제곱검정으로 확인하였다. 각 시기(2007년, 2011년, 2015년)에 따른 미충족 치과진료 경험의 관련요인은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전진선택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세 시기 모두에서 성별(여자), 연령, 씹기 문제, 보철 경험이 미충족 치과진료 경험의 유의한 공통 관련요인이었다. 각 시기별로 관련요인의 차이를 살펴보면, 2007년에는 의료보장 종류(의료급여), 2011년에는 가구소득, 의료보장 종류(직장 건강보험), 경제활동상태, 흡연상태(현재흡연), 2015년에는 거주지, 의료보장 종류(의료급여), 흡연상태(현재흡연), 비만이 각각 미충족 치과진료 경험의 유의한 관련요인이었다. 결론: 미충족 치과진료 경험의 관련요인은 시기별로 공통 관련요인들이 있는 반면, 시기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관련요인들이 있었다. 향후 지속된 공통 관련요인을 개선하기 위한 구조적인 해결방안 마련과 함께 시기별로 변하고 있는 관련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구강보건 개입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the detailed reasons and related causes for the unmet dental care in Korea, and to identify the trends of the related causes by each period. Methods: The rate of unmet dental care rate and detailed reasons as well as their trends were confirmed from 51,213 people who answered the question on unmet dental care in the dental health survey between 2007 to 2015. The survey has been a part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for the adults older than 19 years old. Also, 14,404 people from three periods(2007, 2011, and 2015) were chosen as the subjects of analysis and the causes of the unmet dental care by period was analyzed and the trends were compared. Demographics, health behavior, the occurrence of illness, and oral health state were included as variables, and chi-square test found their correlations with the experience of unmet dental care. The related causes of the unmet dental care by each period(2007, 2011, and 2015) were found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forward selection method). Results: The study result shows that the common related causes meaningful with unmet dental care experience were gender(female), age, chewing problem, and dental prosthesis. When looking in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lated causes by period, 2007 had the type of medical security(medical care), 2011 had household income, type of medical security(company health insurance), economic activity state, and smoking state(currently smoking), and 2015 had residence, type of medical security(medical care), smoking state(currently smoking), and obesity as the meaningful causes. Conclusion: There were some commonly related causes of the unmet dental needs by period, as well as the causes that appear differently by the period. In future, it will be necessary both to provide a systematic solution to improve the commonly related causes that continue and to develop an intervention strategy for customized dental health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ed causes that change by the period.

      •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우울 성향 여자 중학생의 우울, 정서조절,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오지혜 성신여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울 성향의 여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인식과 정서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이들의 우울 감소에 미치는 효과와 더불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의 여자 중학교에서 본 연구 사전조사를 통해 선별된 우울 성향의 여자 중학생 총 21명이었으며 이들을 각각 치료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1명으로 나누어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아동용 우울 검사 척도(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특질 상위-기분 척도(Trait Meta-mood Scale) 중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능력 검사척도, 자살사고 척도( Suicidal Ideation Questionaire), 학교적응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에 참여한 실험집단 구성원들은 통제집단에 비해 아동용 우울 검사 척도 및 그 하위척도 중 우울정서와 행동장애, 자기비하, 생리적 증상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시행 후 치료집단의 특질-상위 기분 척도 중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통제집단의 점수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셋째, 정서조절능력 검사척도에서 하위척도인 자기정서인식 및 표현과 대인관계 척도가 유의미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치료집단 학생들은 학교적응척도의 하위척도 중에서 학교수업적응과 학교친구적응 점수에서 유의미하게 증가를 보였던 반면, 통제집단의 변화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실험집단의 학교적응의 증가의 효과가 본 프로그램의 효과임이 시사된다. 마지막으로 치료 효과의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종결 후 4주 후 실시한 추후 검사에서 우울, 정서인식, 정서조절, 학교적응의 일부요인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본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볼 때,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정서인식, 정서조절, 학교적응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주요어 : 우울 성향 여자 중학생, 정서인식, 정서조절, 학교적응, 게슈탈트 치료

      • 급성 및 만성 위점막 손상에 대한 백편두 추출물의 보호 효과

        오지혜 대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we tried to confirm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gastric mucosal damage on Dolichos lablab L. using an animal model of acute and chronic gastritis. Acute gastric damage animal model was treated divided into a normal control group (D.W), Dolichos lablab L. extract and protein powder (50 mg/kg, 100 mg/kg, 200 mg/kg) administration group, positive control group (Sucralfate, 10 mg/kg). After 30 minutes, all groups was dosed with 1ml of 150 mM HCI-60% ethanol orally and left for one hour. In the chronic gastric model, 10 mg/kg indomethacin was administered for 5 days. Thereafter, treatment was performed for 3 days divided into the normal control group (D.W), a Dolichos lablab L. extract administration group (50 mg/kg, 100 mg/kg, 200 mg/kg), and a positive control group (Misoprostol, 40 μg/kg). After the sacrifice, gross findings of the tissue above of the acute gastric damage model showed band-shape linear hemorrhage in the stomach body and pyloric, and indicating significant results to BHL and BHH. Changes in gastric juice secret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astric damage-induced group, and were significantly suppressed in the positive control substance group and the low and high concentration groups of Dolichos lablab L. extract and protein powder. Path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in infiltration and edema including damage and disappearance and atrophy of the surface epithelial cells of the gastric mucosal tissue, and were significantly suppressed in the Dolichos lablab L. extract administration group. Prostaglandin E2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when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 group, and increased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and all the Dolichos lablab L. extract administration groups. The neutral mucus secreting cell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Periodic acid Schiff stain, and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igh concentration administration group. The acidic mucus secreting cell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Alcian blue stain, and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midium and high concentration administration group. COX-1 showed that the number of positively reaction cells in the cytoplasm around the nucleu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medium and high concentration groups (p<0.05~p<0.01). Lastly, in the COX-2 the distribution of the positive reaction cell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Dolichos lablab L. dosag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p<0.05~p<0.01).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Dolichos lablab L. extract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gastric damage and treating.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effective use of drug therapy using natural materials instead of chemical drugs as a solution for gastritis will be made in the future.

      •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바이올린 수업지도안 연구 : 중학생을 대상으로

        오지혜 이화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verify a multimedia violin lesson plan for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research, the theoretical contents were considered for understanding multimedia utilization, and the prior thesis using multimedia in music education was reviewed. And I developed a total of 8th time school violin lesson plan. For this study, six incumbent music teachers and four after-school music instructors were surveyed and the guidance was verified. The Target is a basic student who learned musical scales of the violin. It is effective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o take group lessons and can apply the guidelines to less then 10 students and after-school violin classes. The study time for each hour is 45 minutes. The overall goal is to improve performance by learning left-hand and right-hand techniques of the violin. For the presentation of the last period, we use multimedia to learn "The Little Stars" from 1st to 3rd, and from 4th to 6th, we learn "Pomp and Circumstance March" “The Little Star" consists of E and A strings, which are easily accessible among violin strings, and the rhythm is relatively simple, making it suitable for beginners. 'Pomp and Circumstance March' has more rhythms than 'The Little Star', and consists of E, A and D string. If you learn how to fingertips on your left hand through "The Little Star," it will be easier for you to play "Pomp and Circumstance March" Because both songs are A Major. That's why it's appropriate as a next-stage song. In seventh class, student will film their performance to produce a video, and in the eighth class, student will play songs they have learned. The presentation can be more complete because the video was produced in the 7th period to objectively appreciate the performance. The place of study is suitable for music or multimedia rooms, and students' preparations are violin, smartphone, earphones and activity sites. The multimedia media used in this class are 'Jameasy', 'RhythmTraining', ‘Violin Magical Bow’, ‘Violin Fingerboard Trainer’,‘VLLO’, HumOn’,‘Camera 360’ and ‘Class 123’ Application, and YouTube. A survey was conducted by six incumbent music teachers and four after-school music instructors who verified this research guideline.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summed up as follows. The total average of the 15 optional questionnaires is 4.3 out of 5 points. It was found that the most rated items were those that met the goal(4.7 folds) and those that used multimedia(4.7 points), while those that scored the lowest were the time(3.8 points). To form an opinion, students can feel the sense of achievement as classes using multimedia can lead to students' interest and active participation, and can shorten learning time through smart devices, which can take a lot of teaching time, but more instrument training is needed. Based on the results analysis, this researcher supplemented the class plan by supplementing the class plan in the area of arrangement and evaluation for review at home. Hopefully, this research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musical experience and practical ability, and we hope that musical instrument education will be actively conducted at the school's educational site.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바이올린 수업지도안을 구안하고, 이를 검증하는 것에 있다. 이 연구를 위해 멀티미디어 활용 대한 이해를 위해 이론적 내용을 고찰하고, 음악교육에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선행논문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총 8차시의 학교 바이올린 수업지도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현직 음악교사 6명, 방과후 음악강사 4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지도안을 검증받았다. 대상은 바이올린의 자세와 계이름을 배운 초급수준의 중학생이다. 그룹 레슨을 받는 중학생에게 효과적이고, 1인 1악기 바이올린 수업, 방과후 바이올린 교실 등에서 10명 내외의 학생을 대상으로 본 지도안을 적용할 수 있다. 총 8차시에 걸쳐 구안하였으며, 각 차시별 학습시간은 45분이다. 전체의 학습 목표는 바이올린의 왼손 테크닉과 오른손 테크닉의 학습으로 연주 실력 향상이다. 마지막 차시의 발표를 위해 1차시부터 3차시까지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모짜르트의 ‘반짝반짝 작은 별’을 배우고, 4차시부터 6차시까지는 엘가의 ‘위풍당당 행진곡’을 배운다. 본 지도안의‘반짝반짝 작은 별’은 바이올린 현 중 접근하기 쉬운 E현과 A현으로 이루어져 있고, 리듬이 비교적 단순하여 초보자에게 적합한 곡이다. 그리고 변주곡을 활용하여 다양한 리듬을 통한 심화학습이 가능하다. ‘위풍당당 행진곡’ 또한 A Major이고, D현, A현, E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A Major인 ‘반짝반짝 작은 별’을 통해 왼손 운지법을 잘 익히면 ‘위풍당당 행진곡’은 보다 쉽게 연주가 가능하다. 두 곡 모두 생활 속에서 친숙하게 경험 수 있는 음악이다. 7차시에는 자신의 연주를 촬영하여 영상을 제작하고, 8차시 발표는 그동안 배운 2곡의 제재곡을 연주하한다. 7차시에서 영상을 제작하여 자신의 연주를 객관적으로 감상하는 활동을 하였기 때문에 8차시 발표는 더욱 완성도 있는 연주를 할 수 있다. 학습장소는 차시에 따라 음악실과 멀티미디어실이 적절하고, 학생들의 준비물은 바이올린, 스마트폰, 이어폰, 활동지이다. 본 수업지도안에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매체는 ‘Jameasy’,‘RhythmTraining’‘Violin: Magic Bow’,‘Violin Fingerboard Trainer’, ‘HumOn’‘VLLO’, ‘Youtube’, ‘카메라 360’, ‘Class 123’, ‘Sound Corset’ 어플리케이션이다. 본 연구지도안 검증을 한 6인의 현직 음악교사와 4인의 방과후 음악강사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5개의 선택형 문항 점수의 총 평균은 5점 만점의 4.3점이다. 평점이 가장 높은 평가항목은 목표 부합(4.7접)과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적합성(4.7점)이고, 평점이 가장 낮은 평가항목은 시간 배정(3.8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의견을 종합하면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흥미와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 수 있고, 교수시간이 많이 걸리는 바이올린 운지법과 활쓰기를 스마트기기를 통해 학습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학생들이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이 있지만 악기연습이 더 필요하다는 점 등이 있었다. 이 결과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집에서 연습을 통해 복습을 하도록 정리 및 평가 영역에 지도안을 보완하여 부족한 악기 연습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지도안을 보완하였다. 본 연구를 계기로 학생들의 음악 경험과 실기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기를 바라며, 악기교육이 학교 교육현장에서 활발히 이뤄지기를 기대한다.

      • 웨딩드레스 디자인 개발 및 버추얼 피팅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활용 연구

        오지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스마트폰과 애플리케이션의 등장으로 소비자가 정보를 생산·소비·공유하는 현상이 증가하고 있으며, 재미를 추구하는 소비 경향이 강화됨에 따라 IT 융합을 통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특히, 증강현실의 경우 다른 산업과의 연계로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어 패션산업에 애플리케이션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연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편 웨딩산업의 경우, 전문 컨설팅 능력과 한류의 영향으로 글로벌 마켓에서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으나, 국내 웨딩드레스 디자인 개발과 관련 정보의 제공은 미약하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 2011년 3월 1일을 기준으로 국내에서는 결혼을 앞둔 신부들이 웨딩드레스 피팅을 위해 평균 25-30만원의 피팅 비용을 지불하는 새로운 제도가 시행되고 있어, 드레스를 착용한 경험이 없는 대부분의 국내 소비자에게 드레스 선택에 대한 어려움과 함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해외의 경우, 소비자들이 웨딩드레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체형과 이미지에 따른 웨딩드레스 디자인과 상품 정보를 제공받거나 아바타를 이용해 여러 가지 스타일의 웨딩드레스를 경험하는 등 정보와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이외에도 증강현실을 활용하여 독특한 디자인의 드레스를 착용하는 등 피팅과 관련된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도 웨딩드레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유사한 기능의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고 있으나 웨딩드레스 버추얼 피팅과 관련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증강현실과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활용해 웨딩드레스의 버추얼 피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웨딩정보 제공의 다양화와 전문화를 추구하고, IT와 패션디자인의 결합이라는 학제 간 융합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웨딩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본식과 리허설 촬영으로 이원화된 국내 웨딩문화의 특성과 소비자 체형에 맞는 웨딩드레스 디자인을 분석하여 개발함으로써 웨딩드레스 디자인 개발 연구의 차별화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이론적 고찰을 통한 문헌연구와 웨딩드레스 피팅 경험자와 웨딩드레스 샵 근무자를 대상으로 한 면접조사 및 실제 신부들이 착용한 웨딩드레스 사진 분석을 통한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신부들의 체형과 이미지, 상황에 맞는 웨딩드레스 디자인을 개발하고 버추얼 피팅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제시하였다. 웨딩드레스 버추얼 피팅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개발한 8벌의 웨딩드레스 디자인과 Ⅲ장의 분석결과에서 나타난 체형, 이미지, 상황에 따른 디자인 요소별 특징을 기준으로 선정한 33벌의 웨딩드레스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식과 리허설 촬영이 함께 행해지는 국내의 웨딩문화는 웨딩드레스를 구매하는 경우보다 대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드레스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국내 신부들은 웨딩드레스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웨딩 관련 업체의 정보를 제공받거나 커뮤니티를 통한 정보교환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신부들의 웨딩드레스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파악하였다. 둘째, 애플리케이션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콘텐츠의 확산이 예측되는 가운데 해외의 경우, 증강현실을 활용한 버추얼 피팅이 엔터테인먼트의 수준을 넘어 실질적인 소비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버추얼 피팅을 활용한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으나 국내보다 증강현실에 대한 연구가 먼저 진행된 해외 사례를 고찰해 본 결과, 증강현실과 애플리케이션을 접목한 패션산업 분야의 창의적인 국내 연구가 필요함을 파악하였다. 셋째, 웨딩드레스 피팅 경험자를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 상체의 노출이 많은 웨딩드레스의 특성으로 드레스 선택 시 체형과 이미지, 디자인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드레스를 착용해 본 경험이 없는 대부분의 국내 신부들이 컨설팅 업체를 통해 3-4회로 한정된 웨딩드레스 피팅으로 드레스를 선택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웨딩드레스 버추얼 피팅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시간과 비용 절감, 다양한 웨딩드레스 경험 가능 등을 이유로 긍정적인 응답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웨딩드레스 피팅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활용 연구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넷째, 인터넷 동호회에 제시된 사진을 분석한 결과, 체형 결점이 없는 신부가 다양한 실루엣의 웨딩드레스를 착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형 결점이 있는 경우 다른 실루엣에 비해 A 라인이나 볼 가운 실루엣을 착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테일의 경우, 높은 빈도로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굵은 팔 체형의 신부는 라글란 슬리브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넓은 어깨 체형의 신부는 캡 슬리브를 사용하여 어깨가 좁아 보일 수 있도록 한 경우도 있었다. 즉, 실루엣과 네크라인, 슬리브를 중심으로 체형 결점을 보완할 수 있는 디자인이 개발되어야 하며, 무결점 체형의 경우 거의 모든 디자인이 어울리기 때문에 체형결점을 보완할 필요성이 있는 굵은 팔 체형과 넓은 어깨 체형을 위한 디자인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본식과 리허설 촬영을 위한 웨딩드레스 디자인을 이미지별로 분석한 결과, 신부의 여성스러움을 강조하기 위한 로맨틱 이미지와 함께 A 라인, 볼 가운 실루엣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본식을 위한 웨딩드레스의 경우, 고급스럽고 섬세하면서 우아한 느낌을 강조하는 디자인이 특징인 것으로 나타났고, 촬영을 위한 웨딩드레스의 경우, 섬세한 트리밍이나 소재의 사용보다는 실루엣을 확실하게 표현해줄 수 있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었으며, 본식에서는 볼 수 없었던 무릎 위 길이의 미니드레스나 촬영 시 연출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긴 길이의 트레인이나 베일, 벨트 등의 사용을 특징으로 하였다. 여섯째, ‘Romantic Story in Your Heart’를 컨셉으로 굵은 팔 체형과 넓은 어깨 체형의 신부를 위한 본식과 리허설 촬영용 웨딩드레스 8벌을 디자인하였다. 웨딩드레스 이미지는 사진분석에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 로맨틱, 엘레강스, 모던, 클래식 이미지로 한정하였으며,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디자인 요소 외에도 체형 결점 보완과 이미지 연출을 위해 효과적이라고 판단되는 엠파이어 실루엣과 원 숄더 네크라인, 라글란 슬리브, 캡 슬리브, 어깨 장식 등을 함께 사용하였다. 일곱째,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20-30대 미혼 여성 소비자를 타깃으로 ‘Enjoy Your Wedding Dress’ 컨셉의 버추얼 피팅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제시하였다. 버추얼 피팅 애플리케이션은 무결점 체형부터 체형결점 소유자까지 다양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Ⅳ장에서 체형 결점 보완을 위해 개발한 8벌의 웨딩드레스와 Ⅲ장의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체형, 이미지, 상황에 따른 디자인 요소별 특징을 기준으로 선정한 33벌의 웨딩드레스를 제시하였다.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웨딩드레스를 자신의 사진에 버추얼 피팅할 수 있으며, SNS를 활용한 의견교환 및 저장, 웨딩드레스 관련 정보 제공 기능 등을 추가로 구성해 정보탐색과 함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여덟째, 서울 지역 거주자 20-30대 미혼 여성을 대상으로 웨딩드레스 버추얼 피팅 애플리케이션 콘텐츠의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척도 5점으로 평가한 결과, 애플리케이션에 제시된 웨딩드레스 디자인에 대해서는 4.0의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웨딩드레스를 자신의 사진에 버추얼 피팅한 결과에 대해서는 3.91의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개선점과 기타 의견에 대해서는 웨딩드레스의 다양한 디자인 제시와 부분 확대 축소 기능, 고비율의 사진 확대, 배경 지원 기능, 헤어 & 메이크업 기능, 드레스 샵에 대한 정보 제공 등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는 앞으로 버추얼 피팅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서는 소비자가 원하는 디자인 개발 뿐 만 아니라 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다양한 기능에 대한 콘텐츠 개발과 함께 증강현실과 애플리케이션을 접목시킨 관련 분야 기술의 발전이 필요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국내 웨딩문화와 신부들의 체형 결점, 추구하는 이미지를 바탕으로 웨딩드레스 디자인을 개발하고 버추얼 피팅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활용한 본 연구가 웨딩드레스 디자인 개발의 새로운 연구 관점을 제시하고 발전하는 웨딩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또한, 본 연구가 IT와 패션의 학제 간 융합 연구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는 계기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웨딩드레스 디자인 개발 연구와 함께 발전하는 IT와 패션산업을 접목시킨 융합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e appearance of smart phone and various applications for the device makes the customers increase to produce, consume and share information. As the consumption trend pursuing the funniness is strengthened, the creation a new added values through the IT integration is focused now. Especially, for the augment reality, as it can develop various contents through its link with other industries, so the fashion industry focus on the studies utilizing the augment reality with applications. By the way, for the wedding industry, its competitiveness is recognized in global markets thanks to the professional consultancy ability and the Korean Wave(Hanryue). But the domestic efforts to develop wedding dress designs and the provision of relevant information are insufficient. Additionally, a new system that bride has to pay average 250-300 thousand won as her wedding dress fitting cost has started since March 1st, 2011 As domestic female customers have no experience to wear a dress, so most of them are hard to select a suitable wedding dress and they feel it as a burden. Therefore the new system to pay the dress fitting cost adds the economic burden to the brides. For foreign nations, the customers are provided the information about various wedding dress designs and products according to each bride's body shape and her image through some wedding-dress relevant applications. Or they can experience various styles of wedding dresses through their avatars. Like that, in foreign nations, various applications providing wedding-dress relevant information and various entertainments are being developed. Besides many other applications related to the fitting service are developed including the application for a bride to wear a unique-designed dress by utilizing the augment reality. Of course, there are a few similar applications providing the information about wedding dresses in Korea, but there is few research relevant to the virtual fitting of wedding dress. Therefore, this study pursues the variety and specialization in providing the information about wedding dresses by enabling the virtual fitting function and tries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that is the integration between IT and Fashion Design. Also, to continually develop domestic wedding industry which already has the global competitiveness, this study tries to suggest the differentiation in the research developing the wedding dress designs by analyzing the domestic wedding culture's features and creating some wedding-dress designs suitable for Korean customers' body shape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studied the literature in terms of theoretical review, and conducted the empirical research through the interview targeting some brides with a wedding-dress fitting experience and some employees in wedding-dress shops, and the photo analysis of some wedding dresses which brides really wore. Based on them, this study developed suitable wedding dress designs according to domestic brides' body shapes, their images, and situations, and suggested an application content enabling the virtual fitting service. As the application fo wedding-dress virtual fitting targets many users with various body shapes, this study suggested 8 wedding-dress designs and the 33 wedding dress on the basis of each design factor's feature according to the body shape, the image and the situation seen from the analysis result in Chapter III. The results of abov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domestic wedding culture that the wedding ceremony and rehearsal shooting are developed at the same time, it was found that most brides lend wedding dresses rather than buy one, and they felt difficult in selecting a nice wedding dress, Additionally, although they receive or exchange some information about the wedding relevant shops/companies through many application contents or some wedding communities on the Internet, it was recognized that there needed a practical method to help bride's selection for a wedding dress. Second, while the contents utilizing various applications and the augment reality is predicted to expand, the foreign nations utilize the virtual fitting as a medium to help practical consumption going beyond an entertainment level. Domestically there were a few cases utilizing the virtual fitting concept, but the researcher reviewed some foreign cases where the studies about augment reality had already developed. As the review result about the foreign studies, it was recognized that domestic fashion industry would need some creative researches about the field applying the augment reality and various applications. Third, as the result from interviewing the brides experienced a wedding-dress fitting, it was found that they considered the body shape, the dress' image and its design importantly at selecting a wedding dress because of the wedding dress's main feature revealing the wearer's upper body so much. Besides, most domestic brides never wore any wedding dress until then, so they felt difficult in selecting a wedding dress because they had 3-4 times limited fitting trials through wedding consultancy companies. Concerning the wedding virtual fitting application content to solve such problems, many of the interviewed brides positively responded to it with the reasons of the time & cost saving, the chance to virtually wear various wedding dresses, etc. Such positive responses drew the necessity of researches to utilize the application contents for wedding dress fitting. Fourth, as the analysis result on some photos gotten from some wedding communities on the Internet, it was shown that the brides with no defect in body shape wear various-silhouette wedding dresses, but other brides with any defect in body shape usually wore the A-line dress or ball-gown silhouette dress. Concerning the detail of wedding dress, there were a few cases that one bride with thick arms used the raglan-sleeves, and another bride with wide shoulder used the cap-sleeves to look the shoulder narrower.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re needed some designs to make up for any defect in body shape centering the dress' silhouette, its neckline and its sleeves. For the brides without any defect in body shape, almost all designs are suitable for them, so it was found that some designs for the body shapes with thick arms or wide shoulder should be developed. Fifth, as the result analyzing the designs of wedding dresses for wedding ceremony and its rehearsal shooting by image, it was seen that the most used dress types were the A-line and the ball-gown silhouette with romantic images to emphasize the bride's femininity. But for the dress type for the wedding ceremony, the most popular design was one emphasizing the luxury, sensitive and graceful sense. The wedding dress for shooting event was found to focus on showing the dress' silhouette clearly than showing detail trimming or luxury materials. Another features for the shooting events were included the use of mini dress or long train or veil or belts to maximize directing effects. Sixth, the researcher designed 8 wedding dresses for wedding ceremony and rehearsal shooting for brides with thick arms or wide shoulder under the concept of 'Romantic Story in Your Heart'. The wedding dress' image types for photo analysis were limited to the romantic type, the elegance type, the modern type, and the classic type. The researcher applied the empire-silhouette, the one-shoulder neckline, the raglan sleeves, the cap sleeves, and the shoulder accessories to the wedding dress designs judged as effectively making up defects in body shape and making nice images as well as other design factors seen from the analysis result. Seventh,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a virtual fitting application content under the concept 'Enjoy Your Wedding Dress' targeting the unmarried women in their 20s and 30s. As the suggested virtual fitting application targets various users from a woman without any defect in body shape to one with defects in body shape, so the researcher created 8 wedding dresses developed for making up for any defect in body shape in Chapter IV, and suggested 33 wedding dresses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features of each design factor according to the body shape, the image and the situation, which were found from the analysis result in Chapter III. A user could virtually fit some wedding dresses to match with her photo via this application. Also the application added the functions like exchanging or saving opinion through many SNS,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wedding dress for a user to feel some entertainment in exploring information. Eighth, the researcher evaluated the wedding virtual fitting application content's efficiency level targeting some unmarried women in 20s-30s living in Seoul. In the evaluation, the 5-point Likert scale was used. Th result showed that the wedding dress designs suggested by the application got 4.0 point which meant high satisfaction level, and the virtual fitting service to match the respondent's own picture got 3.91 point meaning relative high satisfaction level. Asked about the application's matters to be improved and other opinions, the respondents told more various designs for wedding dress, the partial expanding/narrowing function, the high-rate expansion of photos, the support of background, the hair & makeup function, the information provision about dress shops. To develop the virtual fitting application further, that might indicate that the application should need to develop various functional contents as well as designs to meet consumer's aesthetic demands, and to develop technologies in relevant fields integrating the augment reality and the applic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domestic wedding culture, brides' defects in body shape, their pursuing images, this study developed new wedding dress designs and utilized the virtual fitting application conten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in enhancing domestic wedding industry's competitiveness by suggesting a new research perspective. Also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chance to suggest a new model of the integrative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IT and fashion. Finally, the researcher hope the integrative studies between IT and fashion industry would be continued as well as continual development of wedding dress designs suitable for domestic wedding culture and customers.

      •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오지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 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학생들의 진로지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설정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성숙도가 향상될 것이다. <가설 2>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결정 자기효능 감이 향상될 것이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Y시에 소재하고 있는 Y여자고등학교 1학년 40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20명씩 임의로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1~2회 씩 총 12회기에 걸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각 차 시마다 50분 정도 방과 후에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사전-사후검사 외에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프로그램은 정철영 등(2005)이 개발한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으로 매 회기 50분씩 12회기로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진로성숙도 측정도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임 언 외 연구팀이 제작한 중 &#8228; 고등학생용 진로성숙도검사(2001)이다. 진로결정 자기효능 감을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한 도구는 Taylor와 Betz(1983)가 개발한 CDMSES를 이은경(2000)이 중 &#8228;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상황에 적합한 문항으로 수정 혹은 대치한 척도로 4개의 하위요인의 총 25문항으로 구성된 단축 형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Window 17.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진로성숙도 검사와 진로결정 자기효능 감 검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의 α계수를 산출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전검사를 대상으로 하는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기초통계량을 산출을 위해 기술통계 방법을 이용하여 집단 별 평균(M)과 표준편차(SD) 값을 구했고,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 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를 공 변 인으로 하여 공 변 량 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진로성숙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하위영역에서는 태도, 자기이해, 정보활용, 직업지식, 준비행동의 다섯 영역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진로결정 자기효능 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하위영역에서는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미래계획 등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인문계 여고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 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에 학생들의 발달단계에 기초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교현장에서 활용된다면 학생들의 진로지도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high school girl's students and to find the way of career guiding in the high school. The research hypotheses are as follows: <Hypothesis 1>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treatment of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show significantly more effects on career maturity than the control group. <Hypothesis 2>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treatment of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show significantly more effect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an the control group. To testify Hypotheses abov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experimental group 20 and control 20) selected from Y girl's high school in Y city, jeollanam-do.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treatment of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twice a week(a total of 12 session). it took 50 minutes for each session. The control group was not treated by any management except pre and post test of the study. In this study,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CDP-H(Career Development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developed by Jeong, Chul-Young(2005).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career maturity scal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As for data analyses, the SPSS/win 17.0 program was used, and t-test was used to verify the homogeneity between group as the pre-tests for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analysis of covariance(ANOVA)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high school girl's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treatment of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significantly more effects on career maturity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treatment of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significantly more effect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a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high school girls students. Therefore,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the developmental stage, if used in school, will have very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career guidance.

      • 지역사회 노인 고혈압 환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고혈압 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및 자가관리 행위에 관한 연구

        오지혜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hypertension prevalence rate among the population aged 65 years or older in South Korea showed an upward trend, increasing from 55.3% in 2007 to 58.6% in 2013. There are two important factors in hypertension management: hypertension-related knowledge and self-efficacy to properly manage it. These factors have increased interest in health literacy. It has been reported that higher health literacy leads to higher health-related knowledge and self-efficacy, but there not many studies have analyzed the effects of health literacy, diseases-related knowledge, and self-efficacy on self-care behavior among hypertension patients. This study thus set out to examine the health literacy, hypertension-related knowledge,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 of community-dwelling elderly patients with hypertension and investigate their relations and influential factors, thus providing basic data to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promote self-care behavior among hypertension patients. The subjects include 180 hypertension patients using community health centers, public senior centers, and welfare centers in J a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between November 4 and 11, 2015. Health literacy was measured using 15 of the Health Literacy screening items developed by Chew, Bradley, and Byoko (2004) and translated and used by Kim Su Hyun (2010). Hypertension-related knowledge was measured using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Park Young Im (1994)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the investigator based on the hypertension management guidelines (2013) of 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Self-efficacy was measured using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Park Young Im (1994) and the self-care and self-efficacy items used under Case Management for Hypertension (2008) in the Visiting Health Care Program Manual after a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process. Self-care behavior was measured using a scale developed by Lee Young Whee (1995) and the self-care behavior items for hypertension patients used by Min Eun Sil (2011) and Ko Yeong Ju (2012) after a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process.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Win 18.0 program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subjects scored a mean of 49.8 (±12.4) points on health literacy, 9.0 (±2.4) points on hypertension-related knowledge, 31.1 (±3.8) points on self-efficacy, and 55.8 (±6.7) points on self-care behavior. 2. Differences in the health literacy, hypertension-related knowledge,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health literacy according to gender (t=3.83, p=<.001), age (t=3.09, p=.002), education level (t=17.73, p<.001), marital status (t=-4.25, p<.001), number of family members (t=4.65, p=.004), monthly income of family members (t=8.52, p<.001), and occupation (t=-2.52, p=.013).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hypertension-related knowledge according to age (t=4.85, p<.001), educational level (t=6.22, p<.001), marital status (t=-4.07, p<.001), number of family members (t=3.96, p=.009), and occupation (t=-5.31, p<.001). 3)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their self-efficacy according to BMI (t=4.33, p=.006).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self-care behavior according to BMI (t=2.79, p=.042) and duration of hypertension diagnosis (t=4.16, p=.017). 3. The study analyzed correlations among health literacy, hypertension-related knowledge,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 of the subjects and found that health literacy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hypertension-related knowledge (r=.27, p<.001), self-efficacy (r=.26, p=.001), and self-care behavior (r=.31, p<.001), and that self-care behavior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lf-efficacy (r=.71, p<.001). 4. Major factors having significant impacts on health literacy were educational level (β=.37, p<.001) and monthly income of family members (β=.27, p<.001). The two variables explained 23.7% of health literacy (F=28.73, p<.001). 5. Major factors having significant influences on self-care behavior were self-efficacy (β=.68, p<.001) and health literacy (β=.14, p=.010). The two variables explained 52.3% of self-care behavior (F=99.21, p<.001). Based on those findings, the following proposals were made in this study. 1. There is a need to provide programs to promote self-efficacy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patients with hypertension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2. An appropriate tool needs to be developed for the evaluation of literacy among the community-dwellings elderly. 3.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health literacy of elderly patients with hypertension before providing them with educational intervention and information and to develop appropriate educational materials and intervention programs. 4. Since random sampling was used in the present study to select subjects, repetitive studies will need to be conducted with elderly patients with hypertension in diverse areas to render the findings generalizable.

      • 초기 성인기 직장인의 진로정체감 지위 유형에 따른 심리적 특성 차이 연구 : 잡크래프팅과 강점인식,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오지혜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대기업 직장인의 진로정체감 지위 유형과 이에 따른 잡크래프팅, 강점인식, 이직의도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기업 사무직의 정규직 또는 전문계약직으로 고용된 25세 이상 40세 미만의 직장인 368명(남: 205명, 여:16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에게는 진로정체감 지위, 잡크래프팅,강점인식, 이직의도를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26.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군집분석, 판별분석, 교차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기 성인기 대기업 직장인은 진로정체감 지위 모형에 의해 6개의 진로정체감 지위(성취, 탐색유예, 미분화, 유예, 유실, 혼미)로 유의미하게 구분되었다. 특히, 탐색유예 집단이 두드러지게 높은 비중을 보였으며, 상대적으로 혼미 비중이 낮은 특징을 보였다. 탐색유예 지위는 근속년수와 연령대가 낮은 사원 직급에서 더 큰 비중을 보였다. 이는 성취 지위에 도달해도 재고할 기회에 마음을 열어두고 적극적으로 재고하는 MAMA(성취-유예-성취-유예) 발달 양상을 뒷받침한다.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진로정체감 지위 하위 차원 중 재고 차원이 몰입 차원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성취 지위에서도 재고 차원의 하위요인인 진로유연성이 높은 수준을 보여, 진로선택 후의 직장인에게 재고 차원은 초기 성인기 직장인의 성숙한 진로발달을 시사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해석된다. 둘째, 잡크래프팅, 강점인식, 이직의도는 진로정체감 지위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냄이 검증되었다. 잡크래프팅, 강점인식은 성숙한 지위인 성취, 탐색유예 지위에서 높은 점수를 보여 기존 선행연구의 방향성과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직의도는 성숙한 지위인 성취, 탐색유예 지위에서 높은 점수를 보여 전통적 관점의 이직 연구와는 상반될 수 있으나, 현대 고용 시장 특성을 반영한 최신 연구와 같은 방향성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진로 전환 빈도가 높은 초기 성인기 직장인의 상담 장면에서 구체적인 정체감 지위를 탐색하고, 정체감 지위별 차별적 개입 전략을 마련하는데 실증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을 기술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ype of vocational identity status and the corresponding job crafting, strength knowledge, and turnover intention of office workers in early adulthood in large corporations. In order to do so, a study was conducted on 368 office workers (male:205, female:163) aged 25 to 40 who were employed as regular workers or professional workers in contract positions at large corporations. Participants completed a self-report survey assessing vocational identity status (VISA), job crafting, strength knowledge,and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luster analysis, cross-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6.0. The following findings were derived. First, office workers in early adulthood in large corporations were classified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way into six vocational identity statuses (achieved, searching moratorium, undifferentiated, moratorium, foreclosure, and diffused) according to the VISA model. The searching moratorium group showed a remarkably high proportion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on adolescents and college students, and the diffused group’s proportion was relatively low. The searching moratorium status showed a greater proportion among employees with fewer years of service and younger age. This supports the moratorium-achieved-moratorium-achieved (MAMA) cycle, which opens their minds to opportunities to reconsider even when they reach their achievement status. Unlike previous studies, among the subdimensions of VISA, the reconsideration dimens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ommitment dimension in this study. Career flexibility, a sub-factor of the reconsideration dimension even among achieved position, showed a high level and it is interpreted that the reconsideration dimension can be a factor pointing to the mature career development of office workers in early adulthood. Second, it was found that job crafting, strength knowledge, and turnover inten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vocational identity statuses. Job crafting and strength knowledge showed high scores in the mature status of achieved and searching moratorium, which aligns with results in the previous studies. However, turnover intentions showed high scores in mature status such as achieved and searching moratorium, which may contradict traditional job turnover studies. However, it still showed the same direction as the latest studi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employment market.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empirical implications for exploring specific vocational identity statuses in counseling sessions for early adult office workers with a high frequency of turnover and prepare discriminatory intervention strategies for each vocational identity status. Finally,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