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휴 입체공간의 개념과 ‘공간재생’ 계획특성 연구

        오준걸(Oh Joon-Gul),김광현(Kim Kwang-Hyun)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7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concrete concept of underused multi-dimensional space which consists of underused site, unused architecture and the combination of the two. The importance of underused multi-dimensional space and space renewal has increased rapidly in urban condition in terms of the cycle of urban space’s life and death. Characteristics of space renewal have been analysed through 3 case studies including Zollverein, Alveole 14, and Seattle Olympic Park with consideration of the causes and effects. The causes of underused multi-dimensional space are categorized into 4 reasons. The analyzed factors comprise urban elements (site, street, park, and infrastructure), and building and architectural urban elements (program, shape, layout, facade, and material).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yielded better understanding of underused multi-dimensional space and show design characteristics based on different approaches and have enabled proposal of design checklists and creation of the map of the underused multi-dimensional space.

      • 도시 · 건축 제도를 통한 공공디자인 통합관리에 관한 연구

        오준걸(Oh, Joon Gul)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08 디자인지식저널 Vol.8 No.-

        생활수준과 문화의 발전으로 정주환경과 삶의 질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였으며, 남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의 삶 그리고 그 삶을 담고 있는 공공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다. 그 공공공간을 다루는 공공디자인은 도시, 건축, 조경, 산업디자인, 공간디자인 등의 영역과 관계를 맺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심내의 공공공간, 공공디자인을 다루는 서울시에서의 적용 정책 및 법령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여러 도시 · 건축 관련법 중, 서울특별시 도시디자인조례,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 경관법과 시행령, 조례 및 경관계획수립지첨,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중 지구단위계획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을 통하여 공공디자인의 계획과 도시의 공공공간을 효율적이며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여 도시와 건축, 일관되며 장소성과 정체성이 담겨있는 도시를 만드는 공공디자인의 통합관리에 도움을 주고자한다. These days, there are increasing concerns on built environment and public space in urban contexts, as the quality of life in general and cultural standards continue to improve. Public design that deals with such public space, in turn, is related to urban planning, architecture, landscape, industrial design, and space design. This study focuses on urban planning . architecture regulation for the public space and public design in Seoul city.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an effective, integrated regulation for the public design by comparison of existing Seoul Urban design ordinance, Design Seoul Guideline, Scenic Regulation, and District Unit Plan.

      • KCI등재

        도심활성화를 위한 용도별 지역연계 공영주차장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오준걸(Oh, Joon-Gul)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3

        본 연구는 도심활성화를 위한 기본적 인프라인 공영주차장의 특성과 역할을 도시, 건축적 관점을 통하여 도심의 일반적 용도인 상업업무지역, 문화관광지역, 판매시장지역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지역과 연계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공영주차장의 문제점과 계획전략을 산타바바라시의 사례와 국내사례의 비교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공영주차장의 입지와 배치계획은 도시와의 연계성을 존중하여 출입구를 배치하여야 한다. 둘째, 공영주차장은 지역의 특성과 사용의 편의성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공공에서의 공영주차장 설치도 중요하지만 지역의 공공과 민간 협력에 의한 공영주차장의 계획은 산타바바라시의 사례처럼 보다 성공적인 결과를 나타낸다. 셋째, 공영주차장의 성공적인 계획은 대상지역의 가로와 보행공간의 활성화로 이어진다는 점이며 이는 지역 경제와 도심활성화로 귀결된다. This study defines three types of public parking for commercial business, cultural tours, sales and market areas. We compared the Santa Barbara parking system with Korean examples for use in urban revitalization with a proper planning strategy based on district-specific public park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layout and location of public parking entrances need to consider the urban grid and linkages. 2. Public parking should place emphasis on respecting a district's character and user convenience. 3. The success of public parking extends to revitalization of pedestrian paths at target areas.

      • KCI등재

        대학 그린캠퍼스 정책과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오준걸(Joon-Gul Oh),염대봉(Dae-Bong Yeo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5

        대학캠퍼스는 여러 개의 건물로 구성된 하나의 소도시이자 막대한 에너지를 사용하며 많은 학생들이 향후 친환경에 대한 인식과 실천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이다. 또 교육시설은 교육이 행해지는 물리적인 공간과 사용자가 동시에 접할 수 있는 건물의 형태라는 점에서 특히 그린캠퍼스는 중요점을 가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그린캠퍼스의 정책과 평가기준, 미국의 AASHE의 정책과 국제기구인 UNEP, ISCN-GULF의 그린캠퍼스 평가기준과 항목들을 비교분석하여 한국대학의 그린캠퍼스 조성의 활성화와 그린캠퍼스 인증 시행에 대비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정책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그린캠퍼스 평가기준에서 개별 건축물의 경우 현재는 G-SEED에 의존한다. 하지만 인증의 시행을 위해 전체 건축물 총 연면적 대비 G-SEED인증 건축물 연면적의 비율로 평가항목을 마련하여 차등점수를 부여하여야한다. 둘째, 한국의 그린캠퍼스 평가기준은 캠퍼스별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전체 평가항목의 수를 늘려서 평가항목과 점수를 신청 캠퍼스의 특성에 부합되게 선택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STARS의 비교에도 나타나듯이 한국은 다른 친환경 건축물 인증과의 차별화를 위해 그린캠퍼스의 교육부문 평가영역에서 대학의 지속가능한 교육과정개발의 피드백이나 결과물의 관리와 이에 대한 명확한 보상을 보장하는 평가항목이 필요하다. In Korea, sustainability is mandatory in every field. University campuses are educational facilities that consume considerable amounts of energy. Therefore, many universities have tried to take advantage of the last opportunity to prepare students with sustainability and leadership. This study compared the green campus policy and evaluation criteria among Korea, US AASHE, UNEP, and ISCN-GULF to vitalize the green campus movement and suggest recent research data for the Korea green campus accredit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new evaluation criteria need to be added to the certified green building total floor area ratio instead of adapting the G-SEED system in the Campus Resource & Environments category; 2. Korean Green Campus Evaluations need to be improved when expressing the campus individuality by choosing an increased number of credits and criteria; and 3. new evaluation criteria are required to secure the result, feedback, and products from curriculum updates in the Campus Education category.

      • KCI등재

        공공주체에 의한 국내 유휴공간의 공공적 재생방향에 관한 연구

        오준걸(Oh, Joon-Gul)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6

        공공적 주체로 대표되는 한국자산관리공사가 시행하였던 국유지 위탁 시범개발사업의 특성분석을 통하여 공 공성의 확보를 위한 유휴공간의 공간재생 시 고려되어야 할 내용을 공간, 용도, 과정의 측면에서 분석한다. 여기에서 각각 다음의 한계를 나타내는데 비연속적 공공공간은 공공주체가 민간주체의 개발이익 사업과 다름이 없음을 보여주 며, 비 공공적 용도의 배치는 공공성과 이익성의 균형을 맞추기에 원천적인 한계를 나타낸다. 또 폐쇄적인 과정에서 는 공개성이라는 공공성의 원칙을 지키기 힘들며 공공의 참여와 관심을 유도하는 공공적 재생의 실현에 한계를 보일 수밖에 없다. 이상과 같이 공간, 용도, 과정의 측면에서 살펴본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KAMCO가 시 행하는 프로젝트는 공공기관이나 공공성을 적정한 수준에서 담보하는 절차가 반드시 필요하다. 2. 수탁기관이 청구하 는 위탁수수료의 적정한 보장과 이익의 한계선을 공공주체는 프로젝트 기획 시 명확히 하여 일정부분이 공공성을 향 상시키는데 쓰여야 한다. 3. KAMCO의 다양화된 공개방식의 개발과 건축계획이 필요하다. 그리고 KAMCO 개발의 건축적 공간계획에서 공공성을 담보할 수 있는 자율성과 심의 할 수 있는 전문기구와 예산이 요구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pace, use, and procedural aspect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securing the publicity in space renewal of unused land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relevant projects conducted by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rporation Society, a party representative of a public agent. The findings reveal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here should be a required procedure that guarantees the adequate qualities of public organizations or publicity for projects run by KAMCO. 2. When the public agent plans a project, there should be an effort to clarify the profit limitations and adequate guarantee of consigned fees charged by the consigned organizations in an attempt to ensure that certain proportions are used to enhance the public goods. 3. There is a need to diversify the ways KAMCO discloses information. A professional organization and separate budget should be required to assess the autonomy of KAMCO to guarantee publicity.

      • KCI등재
      • KCI등재

        유휴공간 관점의 디트로이트 빈집정비 방식의 특성에 관한 연구

        오준걸(Joon-Gul Oh)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7

        도심의 활력이 떨어짐에 따라 주거지역에서는 빈집이 발생하고 부동산의 개발이 빠르게 이루어지지 못해 버려진 빈집이 유휴공간으로 방치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휴공간의 관점에서 빈집의 정의를 바탕으로 디트로이트시의 빈집 정비 제도와 방식의 특성을 도출한다. 빈집정비는 근본적으로 도시쇠퇴의 문제해결과 방지를 위함이고, 디트로이트 도시쇠퇴 지역의 빈집정비 특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빈집정비 현실과 상황에 적용하는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분석에 따른 디트로이트시의 빈집정비 특성으로는 1. 유휴부지의 조사와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작업에 주민 참여와 그 데이터를 개방하는 것이 특성으로 나타났다. 2. 유휴부지의 잠재적인 가능성에 따른 재생전략의 다양화를 통한 개발이 특성으로 분석된다. 3.재 생과정의 다원성 확보로 특히 공공과 민간의 역할이 분명하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빈집정비에 적용해야 할 결론으로는 유휴 공간의 관점에서 빈집을 주거에 국한시키지 말고 유휴부지도 적극적인 활용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 주민의 참여에 하향 식이 아닌 수평적 관계나 오히려 상향식의 참여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내용을 포함하는 가이드라인의 작성이 필요 하다. Abandoned empty houses are largely left neglected as unused space, due to the slowdown in the real estate market that has resulted from the declination of urban functions.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of Detroit's policies and regeneration efforts regarding abandoned house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unused space. This is expected to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similar efforts to be applied to abandoned houses in the Korean context, thus preventing the decline of urbanism by adopting relevant policies and regeneration efforts. Some of the key features of the City of Detroit's regeneration efforts are: 1) the ac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open-data policies, 2) the diversification of regeneration strategies depending on the potential of the unused space, and 3) securing differential plurality of the regeneration proce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