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자 경매 시스템 도입 및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일본 사이버 중고차 경매시장 AUCNET 사례를 중심으로

        오정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AUCNET이 위성통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가지고 중고차 시장에 참가한지도 어언 15년이란 세월이 흘렀다. 그 동안 AUCNET은 전자경매시스템의 경쟁우위를 유감없이 발휘하여 순식간에 업계 톱의 자리에 올랐다. 이제까지 AUCNET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성공적인 전자상거래 케이스로 다루어져 왔다. 하지만 이제까지의 연구는 단지 AUCNET의 시스템을 소개하고, AUCNET의 성공요인을 추출해 놓는데 그치고 있었으며, 모든 연구가 AUCNET이라는 기업차원에서 이루어 졌지, 사용자 측면에서 이루어진 연구는 미비했다. 따라서 사용자 차원의 실증적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제까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져 왔던 AUCNET의 성공요인 들을 실제 사용자들이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 검증하고, 각 변수들이 AUCNET의 사용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모형은 크게 구매자 모형과 판매자 모형으로 나뉘이며, 구매자와 판매자가 인지하는 AUCNET의 혜택이 궁극적으로 종속변수인 AUCNET의 월 평균 참가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약 2000부의 설문지를 중고차 대리점에 배포하여 회수된 196부를 가지고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매자 측을 보면, AUCNET을 통한 선택폭의 증가는 AUCNET의 월 평균 참가대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전경매의 증가 역시 AUCNET의 월 평균 참가대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탐색비용의 감소는 AUCNET의 월 평균 참가대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판매자 모형 역시 구매자 모형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AUCNET을 사용함으로써 물리적인 이동이 사라짐으로 미판매 차량의 회수비용이 감소한다는 인식이 AUCNET의 월 평균 참가대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판매자의 교섭력 증가라는 변수는 AUCNET의 월 평균 참가대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음이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잠재구매자의 증가는 AUCNET의 월 평균 참가대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 차원에서 실증적 연구를 행하였다는 점과 AUCNET의 혜택들이 궁극적으로 AUCNET 사용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는 점, 구매자와 판매자 모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는 점이다. 우리나라의 경매시장은 2백만대 규모로 일본에 비하면 규모나 조직적 면에서 아직 미비하다. 하지만 현재 중고차 경매를 위한 시스템이 도입단계에 있으며, 가까운 시일 내에 AUCNET과 같은 사이버 경매 시장이 도입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향후 국내에 유사한 전자상거래 서비스가 도입될 경우 성공적인 진출을 위해 기업이 숙지해야 할 사항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It has been 15 years since AUCNET participated in the used-car Market with Electronic Auction System in Japan. Over the years, AUCNET became a leading company with its competitive advantage of AUCNET System.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key factors of AUCNET'S success. However, these studies were simply introduction to AUCNET System and extract factors of AUCNET's success. And Nonetheless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only on the firm's level. There were no other studies that were conducted on an user's level. Therefore, it became necessary to conduct an empirical research on a user's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users recognize factors that is seen as an AUCNET success factors and to identify the effects that each variables has on Dependent Variable (the degree of AUCNET use). In order to do so, a model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is model identifies the effects that benefit both buyer and seller using AUCNET have on Dependent Variable (the degree of AUCNET use). Also, a total of 2038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users in companies (Used-car Agencies in Japan) and 196 relevant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major finding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analyzing Buyer model, "Wider Choi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gree of AUCNET use. "Pre-Inform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gree of AUCNET use too. However, "Search Cost" had a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degree of AUCNET use. Second, when analyzing Seller model, "Transportation cost of the unsold ca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gree of AUCNET use. "Seller's Bargaining power" had a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degree of AUCNET use. Finally, "Wider range of buyer" als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gree of AUCNET use. Generally, It is concluded that the more users recognize AUCNET system useful, the more users use AUCNE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conducted as user level in AUCNET. And this study proved that the benefit of AUCNET syste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AUCNET use. Also, this is the first study which that analyzed buyer and seller's effects separately. Korean Used-Car Auction Market has 2 millions in scale. Used-Car Market scale of Korea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Japan. It is sure that it doesn't take so long that the system like AUCNET is introduced in Korea. And this study may be helpful to firms in succeeding in this industry.

      • 싱가포르 학습자의 대중문화 소비 양상과 한국어 담화표지 사용 능력의 상관관계

        오정연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plores the ways in which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proficiency correlates with their Korean pop culture consumption by closely analyzing a group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Singapore. This research raises two questions: how we can determine the consumption patterns in Korean cultural products such as TV dramas, variety shows, and films. And to what extent we can measure the learners’ Korean proficiency. To answer the raised questions, I will introduce three sub-areas that help meaure the extent of consuming popular culture contents: exposure, preference, and concentration. Then I will investigate a spoken discourse marker as a tool to measure proficiency that can be directly affected by the consumption of popular culture content such as TV dramas, variety shows, and films. This thesis consists of five chapters. The first chapter introduc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research. The literature review is split into three sections: studies on the acceptance and consumption of Korean pop culture contents, studies on attempts to apply Korean pop culture contents in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tudies on the Korean discourse markers. Based on this literature review, I will address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aspects of Korean pop culture consumption by Singaporean learners of Korean in terms of exposure, preference, and concentration? Second, do the exposure, preference, and concentration of popular culture affect Korean language learners' ability to use discourse markers? The second chapter engages with the theory of global popular culture export and consumption, such as cultural proximity and intercultural sensibility, and how we can adopt such approaches in education and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This chapter also delves in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Robert E. Longacre’s discourse markers (1976) and Shiffrin's study. Based on the Longacre and Shiffrin’s models, I will further identify the Korean discourse markers’ characteristics and then classify the types of Korean discourse markers. In the third chapter, I will describe this study’s core search methods: the research procedure, research tools, participants, and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e research draws chiefly from primary data, and the methodology applied was a questionnaire-based survey among Singaporean undergraduate students. I have conducted preliminary tests of focus group interviews with four Singaporean Korean learners. Then 32 Singaporean Korean learners at one of the polytechnics in Singapore. The questionnaire including both close-ended and open-ended questions were accessed for the study. The fourth chapter examines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survey data reveals that Korean learners are exposed to Korean pop culture content for a relatively long time and they maintain a high preference for Korea. And they are willing to used it to learn Korean or use the Korean language when they consume Korean pop culture. In the discourse marker usage ability test, the average score was 59.69 out of 100 points, and i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ncentration 1 (willingness to use dramas, films, and show programs to learn Korean). Finally, the fifth chapter summariz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nd then discuss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is study has developed an experimental tool to measure the ability to use discourse markers and popular culture consumption patterns. It has examined the quantit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It has also shown that absolute exposure time does not have much effect on learners’ Korean proficiency. Besides, a follow-up study with further refined experimental tools and expanded participants group is proposed. 본 연구는 최근 한류 열풍과 한국어 학습이 보이는 정적 상관관계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한류 중에서도 드라마, 영화, 쇼 프로그램처럼 담화 형식으로 제공되는 대중문화 콘텐츠를 소비하는 방식이 학습자의 한국어 실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대중문화 콘텐츠를 소비하는 방식을 측정할 만한 방법으로 노출도와 선호도, 집중도의 세 가지 영역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대중문화 콘텐츠의 소비가 보다 큰 영향을 미칠 만한 영역으로 구어 담화에 주목했고 그 중에서도 구어 담화표지를 측정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통해 어떻게 연구 문제를 설정하게 되었는지를 정리하였다. 선행 연구는 20세기 후반 시작된 한류 현상을 중심으로 한국 대중문화 콘텐츠의 수용과 소비에 대한 연구, 한국 대중문화 콘텐츠를 한국어 교육에 도입한 시도에 대한 연구, 그리고 한국어 담화표지 교육에 대한 연구 총 세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문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노출도와 선호도, 집중도로 살펴 본 싱가포르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 대중문화 소비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대중문화에 대한 노출도, 선호도, 집중도가 학습자의 담화표지 사용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Ⅱ장에서는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측정 도구 개발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대중문화 콘텐츠 소비 양상에 대한 이론과 담화표지에 관한 이론, 두 부분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대중문화 콘텐츠 소비에 대한 이론으로 문화적 근접성과 문화 간 감수성을 검토한 뒤, 그러한 이론이 외국어 교육과 습득에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담화표지에 대한 이론적 배경은 오늘날과 같은 정의로 사용하기 시작한 Schiffrin은 물론 담화표지라고 묶일 만한 단어와 표현에 처음으로 주목한 Longacre(1976)부터 고찰하였다. 이후 한국어학에서 담화표지에 주목하고 한국어 교육학이 이를 도입한 흐름을 훑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어 담화표지의 특징을 파악하고 유형 분류를 시도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을 연구 전차, 실험 도구, 실험 참여자, 자료 수집 방법과 분석 방법의 순서로 기술하였다. 대중문화 소비 양상과 담화표지 사용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두 가지 실험 도구를 개발하여 확정하기 위해 싱가포르인 한국어 학습자 4인을 포커스그룹 인터뷰하였고, 3회에 걸쳐 30인의 모어 화자와 5명 이상의 한국어 학습자에게 사전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중문화 소비 양상의 세 가지 하위 영역, 총 6개의 질문을 결정하였고, 담화표지 사용 능력은 20문항으로 구성된 다지선다형 DCT로 측정하기로 하였다. 개인정보 설문, 대중문화 소비 양상 측정 설문, 담화표지 사용 능력 테스트의 세 파트로 구성된 본 실험을 32명의 싱가포르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Ⅳ장에서는 진행된 본 실험의 결과를 분석하여 정리하는 방식으로 연구 문제를 해결하였다. 전반적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 대중문화 콘텐츠에 비교적 장시간 노출되어 있었고, 한국에 대한 선호도는 높았으며, 한국 대중문화를 소비할 때 이를 한국어 학습에 활용하거나 학습한 한국어를 활용하려는 의지 역시 높았다. 담화표지 사용 능력 테스트 결과, 학습자들은 평균 점수 59.69점에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는데 대중문화 소비 양상의 하위 영역 중 집중도 1(한국어 학습에 드라마, 영화, 쇼 프로그램을 활용하려는 의지)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Ⅳ장에서 살펴 본 연구 결과의 분석을 토대로 전체적인 연구를 종합하고 정리하면서 의의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담화표지 사용 능력과, 대중문화 소비 양상을 측정하고 둘 사이의 양적인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실험 도구를 개발하였다는 점, 실제로 담화표지 사용 능력과 대중문화 소비를 한국어 학습에 활용하려는 집중도 사이에 양적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밝힌 점, 절대적인 노출 시간은 한국어 숙달도 혹은 성취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이후 대중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교수법과 교재 개발에 참고가 될 만하다는 점 등에서 의의를 찾았다. 또한 실험도구를 보다 정밀화하고 실험 집단을 확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 부모애착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 : 성별로 조절된 신체불만족의 매개효과

        오정연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of research: through online survey, it has progressed a research activity for the effect of parent attachment on the abnormal eating behavior regulated by gender with meditation effect of body dissatisfaction. Research method: as subject of research,it collects the data from 430 adults between 20- to 39-year-old men and women. After completing questionnaires for the parent attachment and body dissatisfaction, and the Korean table manner, it analyzes the data by SPAA 21.0 and Mplus 7.0 program. In relationshipbetween the parent attachment and the abnormal eating behavior, the 3 verification stage steps of meditation effect is applied for mediation effect of body dissatisfaction, moreover, the meditation effect is revalidated by the Sobel test. Also, it conductsthe hierarchical analysis to verify the gender regulation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dissatisfaction and abnormal eating behavior and it conducts the simple slope analysis to verify the aspect of meditation effect. To verify the regulated meditationeffect, it applies the bootstrapping to estimate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 and it considers the amount of meditation effect according to a level of moderating variable. Research results: it is shown that the body dissatisfaction is the meditation effecton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abnormal eating behavior. To be specific, the more attached to parent, the body dissatisfaction hasbeen decreased dramatically in case of men. On the other hand, the more attached to parent, the body dissatisfaction has been decreased slightly in case of women, compared to men. It is proven that there is a meaningful regulated meditation effect regulatedby gender for the effect of parent attachment on the abnormal eating disorder meditated by the body dissatisfaction. Conclusion: this study figures out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for the effect of body dissatisfaction owing to parent attachment on the abnormal eating behavior. Based on this result, it suggests applying a different gender treatment method on the eating disorder owing to the body dissatisfaction. Furthermore, by the parent education, it also expects that family-orientedtreatment program has to be developed to understand and to reduce the eating disorder comprehensively. At last, it contributes to reduce the incidence rate of eating disorder. 연구목적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부모애착이 신체불만족을 매개로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다르게 조절됨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전국의 만 20~ 39세의 성인남녀 430명이었으며, 부모애착, 신체불만족, 한국판 식사태도검사 설문 후 수립된 자료는 SPSS 21.0 및 Mplu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부모애착과 이상섭식행동간의 관계에서 신체불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매개효과 검증 3단계 절차를 적용하였고, Sobel Test를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재검증하였다(Sobel, 1982). 신체불만족과 이상섭식행동간의 관계를 성별이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절효과의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순 기울기 분석(Simple Slope Analysis)을 활용하였다.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2,000회)을 적용해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추정하고, 조절변인의 수준에 따른 매개효과의 크기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 부모애착과 이상섭식행동간의 관계에서 신체불만족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애착과 신체불만족 간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남성은 부모애착이 높을수록 신체불만족이 큰 폭으로 하락하는 반면, 여성은 부모애착이 높을수록 신체불만족이 하락하는 수준이 비교적 작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모애착이 신체불만족을 매개로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부모애착으로 인한 신체불만족이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남녀 간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신체불만족으로 인한 섭식장애 치료에 있어 남성과 여성의 개입방식이 달라야 함을 제시하였다. 향후에는 부모교육을 통해 성인 자녀의 섭식장애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를 감소하기 위한 가족치료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섭식장애 발병률을 제어하는데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 다운증후군 치료서비스에 대한 실태 및 부모 평가

        오정연 용인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treatment services for Down syndrome among parents with children with Down syndrome and to evaluate the servic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parents with children who suffered from Down syndrome and ever received treatment in infancy, early childhood, childhood or adolescence. The parent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members of a social welfare corporation named the Down Association and the members of Dasamo(the gathering of fathers who loved children with Down syndrome) who resided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Choongchung Province. After 250 questionnaires were handed out, the answer sheets from 173 fathers were collected, and the answer sheets from 150 respondents were analyzed except for the 23 incomplete ones. As for data analysis,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8.0 was utilized to make descriptive analyses to obtain statistical information on frequency, percentage, standard deviation and mean, and a reliability analysis was made. And a sort of pane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keep track of changes among infancy, early childhood, school age I(elementary school years) and school age II(secondary school yea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 as for the current use of treatment services, what medical institutions they used in receiving each kind of treatment service, how they did that, what made them choose particular medical institutions, how much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treatment services they used, what effects the treatment services produced and what they gave top priority to were analyzed. And it's found that their satisfaction with the treatment services and their effect didn't have a great impact on their priorities for treatment service, and that their priorities were linked to their treatment service choice. Second, their past and current use of treatment services was checked, and they were asked to evaluate the treatment services they used.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acquire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of the age of the children with Down syndrome and the time of treatment to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its effect, priorities, weekly treatment frequency, dental institutions used and the selection route of the treatment servi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the treatment service and its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children in each development area. And it's found that they made a different evaluation of the same treatment servic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hildren. Third, as a result of checking their view of virtual treatment services, it was possible to acquire information on their priorities by age and time period, weekly treatment frequency and opinions on medical institutions they used, and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ir priorities and views of visual treatment services were in line with their past and current use of treatment service. Fourth, when their opinion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term 'treatment' that was in wide use was investigated, many didn't think that the term was appropriate, and they chose 'education' as a term to substitute for 'treatment.'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parents should be informed by experts of treatment priorities so that they could make the best choice of treatment service, and parent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keep them posted about treatment services available. 본 연구는 다운증후군 아동 부모의 치료경험을 토대로 한 치료서비스에 대한 실태조사 및 평가를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는 영․유아기에서 청소년기까지 치료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다운증후군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다운증후군관련 단체인 사회복지법인 다운회와 다사모(다운증후군을 사랑하는 아버지 모임) 회원 및 서울, 경기, 충청 지역에 거주하는 다운증후군 부모에게 설문지 250부를 배부하여 회수된 173부 중 불성실한 응답을 한 질문지 23부를 제외한 150부를 분석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표준편차, 평균분석 등의 기술적 분석(descriptive analysis)과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분석방법에 있어 패널식 빈도분석을 통해 영아기, 유아기, 취학 전, 학령기Ⅰ(초등학교), 학령기Ⅱ(중․고등학교)의 시점간의 변화추이를 살펴보는 방법으로 자료를 처리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자료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이용하는 치료서비스의 이용실태에서는 치료서비스별 이용기관, 이용 경위, 치료시설의 선택경위 및 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치료효과, 우선순위에 대한 부모들의 평가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로서 치료서비스 만족도와 효과가 치료서비스의 우선순위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다는 것과 우선순위는 치료서비스 선택으로 이어짐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이용한 치료서비스의 이용실태와 평가를 통하여 다운증후군 아동의 연령․시기에 따른 치료서비스 만족도, 효과, 우선순위, 주당 횟수, 이용시설, 치료서비스 선택경위에 대한 정보와 더 나아가 치료서비스 유형에 따른 각각의 발달영역에 대한 향상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즉, 동일한 치료서비스에 대한 평가가 연령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셋째, 경험을 바탕으로 한 가상치료서비스에 대한 조사에서는 연령․시기별 우선순위, 주당횟수, 이용시설에 대한 의견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이용한 치료서비스 이용실태와 일치하는 경향이 있었다. 넷째,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치료’ 용어의 적합성에 대한 의견에서는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이 많고 ‘치료’에 대한 대안적 용어로 부모들은‘교육’을 가장 지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향후에는 부모들이 치료서비스를 선택함에 있어 전문가에 의한 진단, 평가가 선행되어야 하며, 치료서비스 정보에 관한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 의료자원(의사 수 및 병상 수)과 미충족 의료의 관련성 : 지역사회건강조사(2021)의 고혈압 및 당뇨병 환자 분석

        오정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 의료기술의 발전과 함께 평균수명이 점차 연장되고 고령에서 만성질환 유병률이 증가하며 이에 따라 증가하는 의료수요에 대해 적시에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미충족 의료는 보건의료에서의 중요한 정책과제이다. 또한 우리나라는 OECD 평균 대비 의사 수 등 인적 자원이 적고 특히 임상의사는 OECD 국가 중 2번째로 낮은 수준인 반면 병상 수는 OECD 평균 인구 천명당 4.3병상인 것에 비해 한국은 12.7병상으로 3배 가까이로 추계되었다(2020). 병상의 과다 공급과 불균형성 역시 선행연구들을 통해 지적되었고, 이와 같은 의료자원의 많고 적음이나 편향된 분포는 의료서비스 수혜 대상자들의 의료이용 접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의료자원의 양적 측면에서의 가용성과 미충족 의료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특히 만성질환 중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질환으로 보고되는 만성질환인 고혈압과 당뇨병 50세 이상 환자를 중심으로 의료자원과 미충족 의료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2021)와 통계청 집계자료(2021)를 연구대상자 거주 시도별 보건소코드로 연계하여 통합한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지역사회건강조사에 참여하여 응답한 229,242명 중 50세 이상은 총 143,278명, 이 중에서 고혈압 또는 당뇨병으로 의사진단 받은 대상자는 ‘무응답’ 및 ‘모름’을 제외하고 최종 70,218명이었다. 지역사회건강조사(2021)의 미충족 의료 경험 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였고, 주요관심변수로는 시군구별 인구 천명당 의사 수와 병상 수를 선정하였다. 통제변수로는 기타 지역특성 변수로 1인당 GDP, 지역별 인구밀도를 선정, 연구대상자 일반적 특성으로 인구사회적 특성(성별, 연령, 기초생활수급자 여부, 월 가구소득, 결혼상태, 경제활동 상태, 지역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 여부), 건강행태 특성(흡연상태, 음주상태, 비만여부), 건강상태 특성(주관적 건강상태, EQ-5D 5개 항목)을 분석에 적용하였다. 최종 연구대상자의 거주지역 의료자원(의사 수 및 병상 수) 및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충족 의료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survey 특성을 반영한 카이제곱검정(Rao-Scott Chi-Square Test)을 통한 단변수 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의료자원(의사 수 및 병상 수)과 미충족 의료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복합표본설계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고 오즈비와 p-value, 95% CI을 함께 제시하였다. 모든 분석은 SAS version 9.4(SAS Institute, Cary, NC, United States)를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서 전체 연구 대상자 70,218명 중 미충족 의료를 경험한 50세 이상 고혈압 또는 당뇨병 진단 환자는 3,297명으로 전체 연구 대상자의 4.2%를 차지하였으며, 기타 지역특성과 개인특성을 통제한 단변수 분석 결과 주요관심변수인 인구 천명당 의사 수 및 병상 수에 따른 미충족 의료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이어서 다변수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료자원, 기타 지역특성 및 연구대상자 일반적 특성을 통제한 최종 모형에서 병상 수의 경우 인구 천명당 7.3병상 미만인 1사분위 시군구 기준집단 대비 15.9병상 이상인 4사분위 시군구 집단(OR=1.30, 95% CI=1.10-1.54)에서 미충족 의료를 경험할 가능성이 30% 높게 나타났고, 병상 수가 많은 시군구 거주자일수록 미충족 의료가 높은 경향성을 보였으나 2사분위 및 3사분위에 대해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인구 천명당 의사 수와 미충족 의료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지역특성과 여러 연구대상자 일반적 특성에서 미충족 의료와의 유의한 관련성이 관찰되었다. 결론 : 본 연구로 우리나라 고혈압 또는 당뇨병을 가진 5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의료자원의 많고 적음과 미충족 의료 사이의 관련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일반병상(일반 및 상급)만을 추계하여 분석한 미충족 의료와의 관련성은, 병상을 성격에 따라 구분하지 않고 총 공급 병상 수로 분석한 기존 선행연구와는 상반되는 결과였다. 보건의료 측면에서 해당 시군구의 의료 수요를 모두 충족시키기엔 의료서비스의 효율적인 공급과 인프라 배분에 한계가 있어 의료필요에 대한 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했을 가능성을 미루어 짐작해 볼 수 있었다. 아울러 다른 선행연구에서 진료과목을 구분하여 전공에 따라 의사 수와 미충족 의료 간 관련성이 달리 나타났으나, 본 연구에서 인구 천명당 총 의사 수로 추계하여 분석한 결과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의료 자원의 양적 확대보다는 효율적인 배분, 기타 지역 특성 및 개인 특성에 초점을 두고 다부문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가 한국의 보건의료문제로 오랜 기간 지속되어 온 의료자원 문제와 미충족 의료의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 알코올중독의 가족력유무에 따른 재발요인과 재발간의 관계

        오정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 중독자들을 대상으로 가족력 유무에 따른 재발요인을 파악하여 다양한 치료적 접근을 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며 알코올중독의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서 마련하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연구대상으로는 DSM-Ⅳ(Diagnostic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Ⅳ)의 진단기준에 의해 알코올 사용 장애로 진단되어 전문 정신병원 및 종합병원의 정신과 폐쇄 병동에 입원 중인 알코올중독자로 입원횟수가 2번 이상인 환자이다. 또한, 알코올중독이라는 동일한 진단명을 지닌 전국에 위치한 전문 정신병원 및 정신과가 설치된 종합병원의 폐쇄병동에 입원한 환자 중 총30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방법으로는 SPSSWIN 1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t-test, 상관관계(Pearson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력 유무에 따른 재발과 재발요인의 차이에서는 가족력 있는 집단이 재발빈도가 높고, 자기효능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음주에 대한 기대가 높고 대처방식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충동성이 높고 사회적 지지가 낮으며, 자기주장이 낮았다. 반면 가족력이 없는 경우는 가족력이 있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재발빈도가 낮고, 자기효능이 높으며 음주에 대한 기대가 낮고 대처방식이 높았다. 가족력이 있는 집단에 비하여 충동성이 낮고 사회적지지가 높았으며 자기주장이 높았다. 둘째, 재발과 재발요인에 관한 관계를 살펴보면, 우선 가족력이 있는 집단의 경우는 자기효능, 음주기대, 충동성, 사회적 지지요인이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에 대처방식과 자기주장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가족력이 없는 집단의 경우는 자기효능, 음주기대, 대처방식, 충동성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에 사회적지지, 자기주장이 부적상관관계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재발요인이 재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가족력이 있는 집단의 경우는 음주기대와 사회적 지지가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며, 가족력이 없는 경우는 자기주장이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기존의 대상을 고려하지 않은 치료적 접근과는 달리 가족력이라는 알코올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을 고려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집단의 구분 없이 재발요인만을 탐색하였던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집단을 구분하고 개인과 환경을 고려하여 다각적인 접근을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또한 치료접근에 있어서 좀 더 차별적이고 집중적인 접근이 요구됨을 시사하였다. 둘째, 가족력이라는 것은 그 동안 의학분야에서 유전적인 소인으로서 아형을 구분하는데 유용한 정보로 사용되었으나, 사회복지분야에서 접근은 전무할 실정이었다. 그러나 가족력이 유전적인 것뿐만 아니라 사회학습을 통하여 가정 내에서 성장하면서 한 개인의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요인으로 다룰 필요성이 있으며 이는 사회복지프로그램 개발에도 근거자료로서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셋째, 가족력이 있는 알코올중독자의 경우는 잘못된 신념을 통해서 음주에 대하여 긍정적인 기대를 지니고 있는 것을 고려해 보았을 때, 인지행동치료를 통하여 신념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 중요한 치료방법이라 하겠다. 따라서 알코올 재발의 예방적 차원의 효과성을 평가하고 검증된 치료모델이 개발되어서 효과성이 입증된 인지행동접근의 프로그램으로서 치료와 재활이 요구된다. 넷째, 가족력이 없는 알코올중독자의 경우는 후천적으로 학습되고 부정적인 생활패턴의 반복으로 인하여 재발하는 것을 고려했을 때, 집단 활동을 통한 치료와 재활로서 대인관계형성을 향상시키고 대처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다섯째, 알코올중독에 있어서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차원적인 프로그램 개입뿐 아니라 지속적인 사후관리가 될 수 있도록 사례관리(Case- iv -Management)가 필요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중독에 있어서 가족력 유무에 따른 재발에 미치는 요인이 상이한 것은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가족력이 없는 경우에는 본 연구에서 살펴본 요인 외에 좀 더 다양하고 구체적이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가 필요하며 그에 따른 개입방안의 마련이 재발을 예방하는데 토대마련이 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남성알코올중독자로 국한하여 연구를 하여 일반화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여성알코올중독자를 함께 고려하여 차후에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며 좀 더 심층적인 접근이 가능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적 측면에서 가족력을 고려한 재발요인들을 검증해 낸 것에 대한 함의는 있으나, 그에 뒷받침할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가 부재하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의 복합적인 욕구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paper aims to examine recurrence of alcohol dependence of alcoholic depending upon the existence of their family history, and to suggest the bases of various treatment approaches, and to give material preventing recurrence of alcohol dependence. The objects were 307 patients who were in hospital two times or more because of alcohol dependence and were in the isolation ward for psychiatric patients of general hospital as well as psychiatric clinic in accordance with the diagnosis of the DSM-Ⅳ(Diagnostic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Ⅳ). The SPSSWIN 11.0 was adopt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tc.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group having family history had higher recurrence frequency, lower self-efficiency, higher expectation on drinking and weak preparations. In addition, the group had high impulse, low social support, and low self-assertion. However, the group having no family history had lower recurrence frequency, high self-efficiency, low expectation on drinking and high preparations. The group having no family history had low impulse, high social supports and high self-assertion than the one having family history had. Secondly, both the recurrence and its factors had significant correlation at self-efficiency, drinking, impulse and social supports, etc: However, the countermeasure and the self-assertion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The group having no family history had no significant relation at self-efficiency, drinking, countermeasure and impulse, etc, but had negative correlation at social supports and self-assertion. Thirdly, the effects of recurrence factors upon recurrence were as follows: The group having family history had significant relation at drinking expectancy and social supports, while the one having no family history had significant relation at self-assert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being different from the approach to medical treatment not considering existing target, the study regarded the family history as an important factor of alcohol dependence. The precedent studies examined only recurrence factors without classifications of groups, while this study classified groups and considered individuals and environment to establish the bases for multi-sided approaches. More differential and intensive approach was demanded at medical treatment access. Secondly, the family history was used to classify genetic trend at medical science field, but had no access at social welfare field. However, the family history is genetic and grows up at home through social learning to have influence upon an individual's life, so that it is important factor and useful information at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program. Thirdly, the alcoholic having family history has affirmative action of drinking because of wrong thinking: Considering such a fact, the cognitive behaviour therapy making change of thinking is thought to be important. Therefore, the alcoholic needs to be given medical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by using the cognitive behaviour therapy that is found to prevent recurrence of alcohol dependence effectively. Fourthly, the alcoholic having no family history needs to improve not only personal relations but also preparations by being given medical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through group activities, because the recurrence occurs by learned and negative behaviour pattern. Fifthly, the case management, which includes multidimensional program and assures of continuous follow-up, is needed to prevent the recurrence. In conclusion, the paper suggests as follows: Firstly, in this paper, the family history of alcohol dependence had different influence upon the recurrence. However, the ones having no family history need to be researched regarding various, concrete and direct influential factors in addition to the factors mentioned in the paper, and associated ways can establish the base preventing recurrence. Secondly, the paper examined only men alcoholic to have less generalization. The research including women alcoholic can examine alcohol dependence more deeply in the future. Thirdly, the recurrence factors, which consider family history from point of view of social welfare, can be verified: However, there was no effect of supporting programs. Therefore, the researches developing programs and verifying effects are required to meet clients' composite desire.

      • 펠트 재질감에 의한 인테리어 패브릭 디자인

        오정연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격하게 발달하는 현대사회의 과학기술과 변화하는 문명은 예술가들에게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순수예술과 디자인, 아티스트와 디자이너의 구분이 없어지면서 현대 미술 또한 발전해왔다. 아티스트는 디자인을 응용하고 디자이너는 아트의 영향을 받는 이 시대에 있어 모든 예술영역에는 고유한 문화적 주체성(identity)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이로써 인식되는 한 영역으로서의 예술은 시대와 지역, 사회환경의 가치 기준에 의해 파생된 인위적인 산물이 되어 끊임없는 변화와 개선의 결과로 문화를 가늠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현대 산업사회 구조 속에서 기계화되어 지는 인간은 자아 주체를 상실해 가고 있다. 이의 회복을 위하여 예술가들의 창작활동에 있어서도 전통과 혁신의 적절한 조화를 중요시하고 보다 가치 있는 디자인을 창출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어 진다. 디자인은 어떠한 사물의 형태가 인간에게 왜 어필하는가를 규명해 가는 논리적 차원에서 이루어져야하므로 어떤 개념으로 만들 것인지 하는 디자인 컨셉(design concept)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소비자들은 제품의 기능뿐 아니라 자신의 감성이나 스타일도 중시하게 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개성화, 다양화를 전략 목표로 정하고 디자인을 계획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인간생활의 목적에 따라 실용적이고 미적인 조형성을 갖춘, 생산자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매개체가 되며, 동시에 인간과 사회, 인간과 자연 그리고 사회와 자연을 맺는 디자인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현대사회를 살며 오브제화 된 현대미술에 싫증과 소외를 느끼는 현대인에게 자연의 중요성을 다시 인식시키고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면서도 쉽게 지나치기 쉽지만 인간에게 많은 것을 제공하는 '나무'를 주제로 하여 생물학적 특성과 나무 수피와 잎맥을 모티브로 빛, 공간, 계절에 따라 변화되는 모습을 '시각화'하는 연구를 하였다. 현재 직물의 트랜드는 재질감에 많은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프린트 텍스타일 패턴의 개발은 패턴의 개발이라기 보다, 패턴과 함께 패턴의 재질감 개발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관점으로 나무 수피와 나뭇잎의 이미지를 펠트(felt)라는 공예기법을 활용하여 텍스추어(texture)를 개발하는 패턴 디자인을 하였다. 이렇듯 인간과 자연이 친화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인테리어 디자인에서 시각적인 요소인 패브릭(fabric)의 창의적 패턴을 연구하기 위하여 첫째, 자연 환경의 중심인 나무 수피와 잎맥을 주제로 디자인하였다. 둘째, 동물성 섬유인 양모와 식물성 섬유인 면 거즈를 혼합하는 펠트 직물을 제작하여 새로운 질감 표현을 유도하였다. 셋째, 제작된 이미지를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Digital Textile Printing : DTP)하여 패브릭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까지 무수히 많이 작품의 주제로 선택되었던 나무를 연구자의 시각으로 표현하여 기존의 패브릭에서 보여지는 이미지와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둘째, 질감 표현에 중점을 두어 차별화된 디자인을 완성, 형태, 색채, 재질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패턴의 새로운 이미지를 창조하였다. 셋째, 새로운 이미지를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하여 실제화 함으로써 제작의 용이성을 가질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현재 인테리어 디자인의 흐름에 나타나는 자가드(Jacquard) 중심 패브릭의 선호를 수공예에 기초를 둔 펠트와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DTP)에 의한 제작과정을 개발함으로써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패턴 디자인을 제시하고 고부가가치 상품화에 기여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Rapidly evolving todays science technology and culture have brought big changes to artists. The collapsing of the boundary between fine art and design, artist and designer have brought a big development to modern art. While artists apply design and designers are inspired by fine art, a unique cultural identity is required in every areas of fine art in these days. Therefore, art should be the result generated by the ages, environment, and social standards. So it could be recognized as a standard of culture that has been a result of continuous improvement and reformation. Human beings are loosing their identities as they are mechanized in a modern industrial society. To recover their identities, the creative activities of artists require proper balance of tradition and innovation as well as efforts to create more valuable design. Design concept is more important that any others since it is based upon the logic behind the shapes of objects attracting human senses. Moreover, people put the value to their tastes and styles as well as the functions of products. According to this trend, design should be planned based on the strategic goals of individu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Also, a desirable design needs to be developed satisfying the following conditions. First, it has to have aesthetic form and practical functions. Second, it must be a medium that satisfies the desires of producer and consumer. Finally, it must define the cohesive relations between human society and nature. This study undergoes the following procedures. First,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nature. Second, it uses bark and leaf structure of tree to visualize the changes of the place, light, space and seasons. Finally, it visualizes the virtual touch of an object that is intangible. To develop the creative fabric pattern in the visual element of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design, following procedures are made: 1. Collecting the information of the visual structure of leaves and the bark of a tree. 2. Grafting the wool-treated felt and the cotton gauche to create the new textural expression. 3. Producing a work by combining a felt and gauche. This work is computerized and uses digital textile printing (DTP), which solves the environmental problem of waste materials and water from the printing process, to create the environment-friendly fabric. By creating and analyzing the work through the research, it came up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new visual expression of the tree, which has been the object in various artworks, is shown. Second, it emphasizes on the texture expression differentiating from the other design works, enhancing the aesthetic value through the cohesive relationship of color, form, and composition. Third, it uses a computer as a tool to develop the functional textile design to minimize the problem which felt carries. Finally, it combines the felt work based on the handcraft of jacquard fabric and DTP to show the new way of textile printing design and to bring the work to high quality product through the functional design of handcrafted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