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간세포암종에서 간절제술 후 이환율과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

        김완욱,이광웅,최성호,허진석,김용일,김성주,이대성,이환,백승운,고광철,이준혁,최문석,유병철,조재원 대한간학회 2004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0 No.1

        목적: 간세포암종은 우리나라에서 간절제의 가장 흔한 적응증이다. 그러나 간경변을 동반한 경우가 많아 수술 후 이환율과 사망률이 높아 수술 전후 처치에 주의를 요한다. 최근에는 외과적 술기의 발전과 수술 전 및 수술 후 처치의 향상으로 이환율과 사망률이 감소하고 있으나 다른 수술에 비해 여전히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세포암종의 수술 중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 수술 후 이환율과 사망률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4년 1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간세포암종으로 진단받고, 간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5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은 51.6세였고, 남녀 비는 4.01 : 1이었다. 수술 전 HBsAg (+)는 76.0%, 수술 전, anti-HCV (+)는 8.2%였으며 종양의 크기는 평균 5.19 ㎝이었다. 환자 중 26.2%에서 수술 전 경도자 동맥색전술의 병력이 있었으며 8.7%에서 수술 전 경피적 간문맥색전술을 시행받았다. 시행받은 수술은 종양절제술 55예, 분절절제술 127예, 구역절제술 77예, 반간절제술 214예, 동반 혹은 확대 반간절제술 37예였다. 위험 인자로 나이, 성별과 각종 임상 지표(간기능 수치, 프로트롬빈시간, 혈청 알부민, 혈당, 알파태아단백, ICG 검사, 수술 전 경도자 동맥색전술, 경피적 간문맥색전술 시행 여부) 등의 수술 전 인자, 수술의 종류, 수술 시간, 수혈량 등의 수술 인자, 그리고 종양의 크기, 종양의 수, 간경변 여부 등의 병리조직학적 인자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대상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수술 사망은 수술 후 30일 이내에 사망한 경우로 정의하였고, 입원 사망은 수술 후 합병증으로 퇴원하지 못하고 사망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단변량 분석은 student t test와 x² test를 이용하였으며, 다변량 분석은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결과: 수술 후 합병증은 총 56예(10.5%)에서 나타났으며, 조절되지 않는 복수 19예, 호흡기 합병증 10예, 상처 합병증 8예, 간기능 이상으로 인한 고빌리루빈혈증 6예, 출혈 5예, 고질소혈증 4예 등이었다. 수술 사망은 5예(0.98%), 입원 사망은 수술 사망을 포함하여 6예(1.1%)였다. 이중 간부전과 연관된 사망이 5예였고, 간부전과 동반된 흡인성 폐렴으로 사망한 예가 1예 있었다. 이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다변량 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수술 중 수혈량(P=0.002), 프로트롬빈시간(P=0.038), 혈당 수치(P=0.002)가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었고, 다변량 분석 상 수술 후 사망률과 관련된 인자로는 나이(P=0.028), 혈당 수치(P=0.011), 수술 전 경도자 동맥색전술 시행 여부(P=0.046) 등이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위의 위험 인자 분석을 통해 간세포암종에서 간절제시에 수술 후 이환율을 중이기 위해 가능한한 수술 중 출혈을 최소화하면서 불필요한 수혈을 피하고, 당뇨 환자에서는 수술 후 이환율과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높고, 고령 환자에서는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수술 전후 처치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수술전 경도자 동맥색전술 시행 여부가 수술 후 사망률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고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Aims: Recently, mortality following surgical resection for hepatocelluar carcinoma has been reduced significantly. Morbidity, however, is still significant. This study evaluated the risk factors leading to morbidity and mortality. Methods: 510 patients who had a hepatic resection form Nov. 1994 to Dec. 2001 were included. The patient demographics showed a mean age of 51.6 years with a male to female ratio of 4:1. The HBsAg was positive in 76.0% and the anti-HCV was positive in 8.2%. The mean tumor size was 5.2 cm, 26.2% of patients had preoperative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TAE), and 8.7% had preoperative percutaneous transhepatic portal embolization (PTPE). Limited resection was performed in 259 cases (50.7%), and major resection was conducted in 251 cases (49.1%). Risk factors included age, sex, laboratory findings (liver function test, prothrombin time, albumin, glucose, α-fetoprotein, ICG test), preoperative TAE, PTPE, operation type, operation time, intraoperative transfusion, tumor size, and cirrhosis. Results: The morbidity was 10.5% (54 cases). Operative death occurred in 5 cases (1.0%). Hospital death, including operative death, occurred in 6 cases (1.2%). Five cases were associated with hepatic failure and 1 case was associated with aspiration pneumonia accompanying hepatic failure. Transfusion (P=0.002), glucose (P=0.002), and prothrombin time (P=0.038)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orbidity. Age (P=0.028), glucose (P=0.011), and TAE (P=0.046)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ortality. Conclusions: Intraoperative transfusion, which is mainly related to intraoperative bleeding, should be reduced if possible to decrease morbidity. Diabetes mellitus patients and the elderly need careful perioperative management.(Korean J Hepatol 2004;10:51-61)

      • KCI등재후보

        간세포암종에서 간절제술 후 이환율과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

        김완욱,이광웅,최성호,허진석,김용일,김성주,이대성,이환,백승운,고광철,이준혁,최문석,유병철,조재원 대한간학회 2004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0 No.1

        Background/Aims: Recently, mortality following surgical resection for hepatocelluar carcinoma has been reduced significantly. Morbidity, however, is still significant. This study evaluated the risk factors leading to morbidity and mortality. Methods: 510 patients who had a hepatic resection form Nov. 1994 to Dec. 2001 were included. The patient demographics showed a mean age of 51.6 years with a male to female ratio of 4:1. The HBsAg was positive in 76.0% and the anti-HCV was positive in 8.2%. The mean tumor size was 5.2 cm, 26.2% of patients had preoperative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TAE), and 8.7% had preoperative percutaneous transhepatic portal embolization (PTPE). Limited resection was performed in 259 cases (50.7%), and major resection was conducted in 251 cases (49.1%). Risk factors included age, sex, laboratory findings (liver function test, prothrombin time, albumin, glucose, α-fetoprotein, ICG test), preoperative TAE, PTPE, operation type, operation time, intraoperative transfusion, tumor size, and cirrhosis. Results: The morbidity was 10.5% (54 cases). Operative death occurred in 5 cases (1.0%). Hospital death, including operative death, occurred in 6 cases (1.2%). Five cases were associated with hepatic failure and 1 case was associated with aspiration pneumonia accompanying hepatic failure. Transfusion (P=0.002), glucose (P=0.002), and prothrombin time (P=0.038)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orbidity. Age (P=0.028), glucose (P=0.011), and TAE (P=0.046)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ortality. Conclusions: Intraoperative transfusion, which is mainly related to intraoperative bleeding, should be reduced if possible to decrease morbidity. Diabetes mellitus patients and the elderly need careful perioperative management. 목적: 간세포암종은 우리나라에서 간절제의 가장 흔한 적응증이다. 그러나 간경변을 동반한 경우가 많아 수술 후 이환율과 사망률이 높아 수술 전후 처치에 주의를 요한다. 최근에는 외과적 술기의 발전과 수술 전 및 수술 후 처치의 향상으로 이환율과 사망률이 감소하고 있으나 다른 수술에 비해 여전히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세포암종의 수술 중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 수술 후 이환율과 사망률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4년 1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간세포암종으로 진단받고, 간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5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은 51.6세였고, 남녀 비는 4.04 : 1이었다. 수술 전 HBsAg (+)는 76.0%, 수술 전 anti-HCV (+)는 8.2%였으며 종양의 크기는 평균 5.19 cm이었다. 환자 중 26.2%에서 수술 전 경도자 동맥색전술의 병력이 있었으며 8.7%에서 수술 전 경피적 간문맥 색전술을 시행받았다. 시행받은 수술은 종양절제술 55예, 분절절제술 127예, 구역절제술 77예, 반간절제술 214예, 동반 혹은 확대 반간절제술 37예였다. 위험 인자로 나이, 성별과 각종 임상 지표(간기능 수치, 프로트롬빈시간, 혈청 알부민, 혈당, 알파태아단백, ICG 검사, 수술 전 경도자 동맥색전술, 경피적 간문맥색전술 시행 여부) 등의 수술 전 인자, 수술의 종류, 수술 시간, 수혈량 등의 수술 인자, 그리고 종양의 크기, 종양의 수, 간경변 여부 등의 병리조직학적 인자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대상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수술 사망은 수술 후 30일 이내에 사망한 경우로 정의하였고, 입원 사망은 수술 후 합병증으로 퇴원하지 못하고 사망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단변량 분석은 student t-test와 χ2 test를 이용하였으며, 다변량 분석은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결과: 수술 후 합병증은 총 56예(10.5%)에서 나타났으며, 조절되지 않는 복수 19예, 호흡기 합병증 10예, 상처 합병증 8예, 간기능 이상으로 인한 고빌리루빈혈증 6예, 출혈 5예, 고질소혈증 4예 등이었다. 수술 사망은 5예(0.98%), 입원 사망은 수술 사망을 포함하여 6예(1.1%)였다. 이 중 간부전과 연관된 사망이 5예였고, 간부전과 동반된 흡인성 폐렴으로 사망한 예가 1예 있었다. 이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다변량 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수술 중 수혈량(P=0.002), 프로트롬빈시간(P=0.038), 혈당 수치(P=0.002)가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었고, 다변량 분석 상 수술 후 사망률과 관련된 인자로는 나이(P=0.028), 혈당 수치(P=0.011), 수술 전 경도자 동맥색전술 시행 여부(P=0.046) 등이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위의 위험 인자 분석을 통해 간세포암종에서 간절제시에 수술 후 이환율을 줄이기 위해 가능한한 수술 중 출혈을 최소화하면서 불필요한 수혈을 피하고, 당뇨 환자에서는 수술 후 이환율과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높고, 고령 환자에서는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수술 전후 처치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수술 전 경도자 동맥색전술 시행 여부가 수술 후 사망률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고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황로 사상의 연원

        오이환 한국중국학회 2019 중국학보 Vol.90 No.-

        ‘On The Outline of Six Schools’ in Shiji divided the schools of the early Wuti period of Han into six categories, but among them Huanglao is not included. However, the term Taojia also does not apear in the pre-Qin literatures and only appears in Shiji. In this case, the terms Taolun, Taode, Taojia are simultaneously used and not unified. Taolun, Taode, Taojia in Shiji are the another terms of Huanglao, and these slightly different names came to be fixed as the name of Taojia or Taojiao afterwards. ‘Huanglao’ means the thought which origins from Huangti in the early ages, and synthesized by Laozi. Huanglao, which is the combination of terms Huangti and Laozi, expresses the thought of ideal era by the governance of non-doing. As Huangti represented the virtue of earth among five elements, the name Huangti appeared with the thought of five elements. Huangti as a man or a Toaist hermit has indispensable relation with the art of ancient preservation of health and supernatural powers; therefore, it reflects that Taoist thought transferred to the early Taoism. It is Zouyan who raised Huangti as the person of the start line of history and who greatly popularized the thought of Huangti in the world. Shizi described Zouyan as an important person in Jixia school. But Zouyan, practically, stayed in Jixia in the period of King Yang and Wangjian when the height of it’s prosperity was already passed away.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Jixia school is that various thoughts of all philosophers and literary scholars influenced each other and merged together. And the mainstream among them was the merge of the thought of Taoism and school of law. That is the art of Xing and Ming constructing the Laozi’s idea of ‘Doing by Non-Doing’ as the monarch’s art of reign. When Simaqian referred the persons of pre-Qin era as the man of Haunglao school, it always means that they merged the thought of Taoism with school of law as their theoretical fundamentals. The methods of becoming Taoist hermit in Yan and Qi seashore areas came to appear through connecting Zouyan’s theory of Yinyangwuxing in Qi with the Fangxiantao in neighboring country Yan. Huangti came to be broadly known in the world by Zouyan’s Wudezhongshi theory, and had also close connection with the methods of becoming Taoist hermit. Therefore, if we admit the fact that the thought of Yinyangwuxing greatly popularized after Zouyan, we should also admit that Huanglao thought embossed Huangti at the end of the era of warring states. 『사기』의 ‘論六家之要指’는 한 무제 초기까지의 학파를 여섯 종으로 나누었는데, 이 중 황로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황로와 마찬가지로 도가라는 용어 또한 선진의 문헌에서는 전혀 보이지 않고 『사기』에 비로소 나타난다. 그런데 이 경우 도론․도덕․도가라는 용어가 같이 사용되어져 통일되어 있지 않다. 『사기』에서 말한 도론․도덕․도가는 황로의 다른 명칭이며, 이처럼 조금씩 다른 이름들은 후에 도가 혹은 도교라는 이름으로 정착되기에 이른다. ‘황로’는 태고의 황제에게서 기원하여 노자에 의해 집대성된 사상이라는 뜻이다. 황제와 노자가 결합하여 황로로 된 것은 무위의 통치라는 盛世 사상을 표현한 것이다. 황제는 오행 중 토덕을 대표하는 존재이므로, 황제라는 이름은 오행사상과 더불어 출현한 것이다. 인간 혹은 신선으로서의 황제는 고대의 양생․신선술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는 것이니, 도가사상이 초기 도교로 전이한 것을 반영하는 것이다. 황제를 역사시대의 출발점에 위치한 인물로 부각시켜 모든 학파가 공통으로 받드는 바로 만들고, 이러한 황제에 관한 사상을 세상에 크게 유행시킨 장본인은 추연이다. 『사기』에서는 추연을 직하학사의 중요인물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추연이 실제로 직하에 머물렀던 것은 그 전성기를 지난 제나라 襄王과 王建 시기였다. 직하학풍의 가장 큰 특징은 제자백가의 다양한 사상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융화해간 사실이다. 그 중에서도 주류를 이룬 것은 도가사상과 법가사상의 융합이었다. 즉 노자의 ‘無爲而無不爲’라고 하는 因循 이념을 군주의 통치술로서 정립한 형명법술이 그것이다. 사마천이 선진 시기 인물들을 황로학으로 지칭한 경우는 모두 도가와 법가 사상의 융합을 이론적 토대로 삼은 사람들을 가리킨 것이다. 제나라 추연의 음양오행설과 이웃한 연나라에서 일어난 方僊道가 결합하여 이른바 연․제 海上의 신선방술이 나타나게 되었다. 황제는 추연의 오덕종시설을 통해 세상에 널리 알려졌고, 신선방술과도 불가분의 관련을 가진 존재였다. 따라서 음양오행 사상이 크게 유행한 것이 추연 이후라고 본다면, 황제를 부각시킨 황로 사상의 성립 또한 전국 말기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