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Mechanism Underlying the Alleviation of HFD-induced Hepatic Steatosis by Cilostazol Treatment : Hepatic STAMP2 조절에 의한 실로스타졸의 지방간 치료 기작 연구 : 오유진

        오유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비알코올성 지방간 (NAFLD) 은 말기 간 질병인 간암에 까지 이르게 될 수 있다고 알려져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1980년부터 연구되었지만, 발병에 대한 원인과 기작에 대한 완전한 정보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아직 비알코올성 지방간에 대한 효과적인 약물도 없다. 이전 연구에서 Six-transmembrane protein of prostate 2 (STAMP2) 가 비알콜성 지방간의 지질 축적과 관련된 것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자는 focused drug-screening을 수행하여 실로스타졸을 후보약물로 발굴하였다. 따라서 안정되게 사용되는 실로스타졸이 STAMP2의 증강을 통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개선하는지에 대해 실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TAMP2 발현과 지질축적에 대한 실로스타졸의 생체 약리학적 효능을 간세포주인 HepG2 세포에서 조사하였다. 또한, 생체 내 연구를 위하여 수컷 C57BL/6 마우스를 일반식이 (standard diet; SD) 또는 고지방식이 (high-fat-diet; HFD) 를 15주 공급한 후, 무작위로 다음 4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1) mice fed SD with vehicle; (2) mice fed SD with cilostazol; (3) mice fed HFD with vehicle; (4) mice fed HFD with cilostazol. 실험동물에게 vehicle (DMSO) 혹은 실로스타졸을 9주 동안 매일 구강투여 하였다. 실로스타졸은 HepG2 세포에서 올레인산으로 유도된 STAMP2 발현의 감소를 증가시켰다. 실로스타졸은 올레인산에 의해 유도된 지질 축적을 개선시키고, STAMP2를 siRNA 하였을 때 지질 축적 개선효과가 약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동물 모델에서 hepatic STAMP2의 발현이 실로스타졸에 의해 현저하게 증강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고지방식이 마우스에서 실로스타졸이 지방간과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실로스타졸이 hepatic STAMP2 발현을 증강시킴으로써 지방간과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실로스타졸 투여로 인한 STAMP2 발현의 증강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잠재적 치료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Background & Aims: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s an increasingly recognized condition that may progress to end-stage liver disease. Although NAFLD was first described in 1980, a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and causes of the disease is still lacking. There is no first-in-class for NAFLD, yet. A previous study suggested STAMP2 as a suitable target for NAFLD. Thus, I performed focused drug-screening to discover STAMP2 augmentor and found that cilostazol could be a potential candidate. In this study, I examined whether cilostazol alleviates NAFLD through STAMP2. Methods: In vitro pharmacological efficacy of cilostazol on STAMP2 expression and lipid accumulation was analyzed in HepG2 cell lines. For in vivo study, male C57BL/6 mice which were fed 15 weeks after standard diet (SD) or high-fat-diet (HFD)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1) mice fed SD with vehicle; (2) mice fed SD with cilostazol; (3) mice fed HFD with vehicle; (4) mice fed HFD with cilostazol. Vehicle (DMSO) or cilostazol (30 mg/kg) was orally administered once daily for 9 weeks. Results: Cilostazol reverted oleic acid-induced downregulation of STAMP2 expression in HepG2 cells in vitro. Cilostazol treatment ameliorated lipid accumulation induced by oleic acid and this effect was diminished when STAMP2 was silenced by small interference RNA. Cilostazol significantly enhanced hepatic STAMP2 expression in vivo. Cilostazol administration attenuated hepatic steatosis and insulin resistance in HFD-fed mice. Conclusions: Cilostazol ameliorated hepatic steatosis and insulin resistance through enhancing hepatic STAMP2 expression. Enhancing STAMP2 expression with cilostazol represents a potential therapeutic avenue for treatment of NAFLD.

      •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미술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 중학생 진로탐색을 중심으로

        오유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we have made efforts to develop advanced industrial technologies and raise human resources who are creative and a spirit of ownership. However, there are still difficulties in raising competent people who can get adapted to industrial enterprises right after their school education. As a side effect, students get employed without consistent career exploration, career development, and job education. In particular, the students who graduated from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quit their jobs 3.6 months on average after their employment. Aside from that, industrial enterprises spend a lot of time and cost for job re-training because of their frequent leaving and the employment of those who have poor job performance. Therefore, this researcher tried to apply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to art curriculum in middle school and thereby propose a learning model which makes it possible to implement career exploration and development in each section. As an evaluation plan, the existing 'NCS learning module', 'achievement performance system', and 'course evaluation typed qualification system' were connected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art education using the NCS, this study tried to find a way to explore various job areas related to art, and clearly choose any relevant career, and improve basic job competence. To do tha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contents and methods: First, this study looked into the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NCS, and suggested a new art curriculum in 2009 Revised Art Curriculum. Secondly, on the basis of the NCS learning module already developed, this study applied to sub categories to get its framework consistent with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and course evaluation typed qual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visual design sections of seven kinds of 2009 revised art textbooks, this study explored art relevant job areas. To examine the job skills of each job area, it developed 'project class model for experts' suitable to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basis of the developed NCS learning module. With the class model, this researcher tried to find a possibility to help students improve their job performance and basic job competence. Thirdly, as a class model to help middle school students to explore relevant jobs through art curriculum, the project class model for experts was proposed. And this researcher tried to find a possibility to develop basic job competence to make them aware of the importance of timely learning, creativity, and cooperation. Fourthly, through the NCS based class model, this study applied its achievement level to the existing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and proposed a plan for the connection of 'education, achievement level evaluation, and course evaluation typed qualification'. Fifthly, this study introduced course evaluation typed qualification system to art curriculum in middle school, and suggested a plan to help students acquire proper certificates depending on their competence and obtain their basic practical ability necessary for their art related jobs. Based on the study contents, i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s used to lay the foundation for learning; middle school curriculum used for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choice; and high school curriculum used to get a chosen career specialized and prevent unnecessary entrance into colleges or universities, it will be possible to develop competent people required by industrial enterprises in early stage. In the middle of the social issue of employment, if industrial enterprises suggest clear competence standards and have a relevant recruitment system, it will be possible to form the atmosphere of job-finding activities depending on competence and thereby solve the employment issue. To maximize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something insufficient on the basis of practical cases of NCS test-operating schools, and unify the industrial training and school education through the constant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industrial enterprises. In addition, it is needed to improv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in line with the NCS system to get both school education and the qualification system unified. In this way, students' employment preparation should be made efficiently in terms of time and cost.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which is to gradually expand the NCS into more educational areas when it gets activated through specialized high schools, meister high schools, and colleges which are performing test-operation, it is expected that various kinds of art related jobs will be introduced, and career exploration and choice will be efficiently made in art education of school. 오늘날 우리는 고도의 산업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창의적이고 주인의식을 갖은 인재 개발에 힘을 기울이고 있지만 학교교육을 통해 산업체에서 바로 적응할 수 있는 인재양성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른 부작용으로 학생들은 진로탐색 및 진로 개발, 직무교육이 일관되지 못한 채 취업을 하게 된다. 결국 특성화 고등학교 및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의 고졸 취업은 평균적으로 3.6개월이면 퇴사로 이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산업체에서도 잦은 퇴사 및 직무능력이 부족한 인재의 채용으로 인해 업무의 재교육에 따른 시간 및 비용 발생이 막대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중학교 미술교육 과정에 도입하여 각 단원에서 직업의 탐색 및 진로 개발의 실현이 가능하도록 학습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평가 방안으로 기존의 ‘NCS학습모듈-성취평가제-과정평가형 자격제도’가 서로 연계되어 운영시키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도입한 미술교육을 통해 미술교과에서 다양한 미술관련 직업분야를 탐색하고 그에 따른 뚜렷한 진로 선택 및 직무 기초 능력을 갖출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은 내용과 방법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등장 배경 및 그 특성을 이해하고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안에서 새로운 미술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기존에 개발된 NCS 학습모듈을 토대로 세분류에 해당하는 교과내용에 적용하여 성취평가제 및 과정평가형 자격제도에 그 틀을 일관화 시키고자 하였다. 2009 개정 미술교과서 7종을 대상으로 시각디자인 관련 단원에서 제시한 내용을 통해 미술관련 직업 분야를 탐색하고, 해당 직업분야의 직무능력 이해를 위하여 먼저 개발된 NCS 학습모듈을 토대로 중학생에게 적합한 ‘전문가형 프로젝트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수업모형을 통해 학생들에게 직무 능력 외에도 직업기초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셋째, 중학생들에게 미술교과를 통하여 관련 직업을 탐색하기 위한 수업모형으로 전문가형 프로젝트 수업모형을 제시하고 적재적소에 배움, 창의, 협업의 중요성을 일깨우기 위해 직업기초능력 개발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넷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한 수업모형을 통해 그 성취수준을 기존의 성취 평가제에 적용하여 ‘교육-성취수준평가-과정평가형 자격취득’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중학교 미술교과에 과정평가형 자격제도를 도입하여 학생의 능력에 따라 자격을 취득하고 미술관련 직업에서 필요한 실무능력의 기초를 다질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 내용을 토대로 초등교육과정에서는 학업의 기초를 다지고, 중등교육과정에서는 직업의 탐색 및 진로 선택, 고등교육과정에서는 선택한 진로의 전문화를 다루어 불필요한 대학 진학을 지양한다면 산업체가 요구하는 능력형 인재 개발이 조기에 가능해질 것이다. 또한 사회적으로 고용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산업체마다 명확한 능력기준 제시 및 그에 맞는 채용 시스템이 갖추어진다면 능력에 맞는 구직활동 분위기를 조성하게 되어 고용문제도 해소될 것이다. 본 연구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NCS 시범 운영학교의 실천사례를 바탕으로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교사와 산업체의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산업체와 학교교육의 단일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국내의 국가자격기술제도를 NCS 시스템에 맞추어 개선하여 학교교육과 자격취득의 일원화가 되어야 시간적․비용적 측면에서 학생들의 취업준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시범 운영되고 있는 특성화 고등학교, 마이스터 고등학교, 전문대학을 통해 NCS가 활성화되면 점차 교육영역을 확대해 나간다는 교육부의 방침에 따라 학교교육을 통해 미술교육에서도 학생들에게 다양한 미술관련 직업분야를 소개하고 통해 진로 탐색 및 선택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국제교육개발협력 분야의 학교컨설팅 적용 가능성 탐색

        오유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육개발협력 분야는 다양한 개발협력의 분야 중에서 교육이라는 특수성이 존재한다. 이는 가시적인 성과가 단기간에 드러나기 어렵다는 점, 타 분야보다 사회, 문화, 경제적 영향을 크게 주고받는다는 점 등이 있다. 교육개발협력의 개발 패러다임은 점차 교육의 접근성 증대를 위한 양적 확대에서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질적 향상으로 그 초점을 전환 중에 있다. 이 때, 교육개발컨설팅은 이러한 질적 접근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써 그 수요와 사업을 위한 예산 비중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국제교육개발협력 분야의 컨설팅 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제교육개발협력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는 컨설팅 사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교육개발협력분야에서의 컨설팅의 기능이 무엇인지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컨설팅을 적용한 교육개발컨설팅의 개념 모형과 원리를 구안하였다. 또한 이 개념 모형과 원리를 사례에 적용해 봄으로써 타당성을 검증한 뒤, 그 시사점과 한계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교육개발협력에서의 현재 교육개발컨설팅 사업을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첫째, 교육정보화 영역 외에 교육개발컨설팅 이론 및 체계 부재하고, 둘째, 외부 전문가 대부분이 대학 교수로 구성되었으며, 셋째, 컨설팅 자체 평가에 대한 준거가 없고, 넷째, 자문이 제한적 기간 동안 이루어지고, 기초교육에 대한 자문이 미흡하며, 다섯째, 시간의 흐름에 따라 컨설팅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대하는 데 반해 이에 대한 실질적 연구가 부재하다는 것이었다. 교육개발협력에서의 컨설팅은 수원국 교육기관과의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기능,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원 및 행정가 내적 역량강화의 수단으로서의 기능, 수원국의 주인의식 도모를 통한 원조효과성 증진 기능, 공여국 교육 시스템의 차별화된 강점 전수 기능을 담당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의 목적에 따라, 컨설팅 하나의 도구가 사용되기도, 다른 교육개발협력 사업의 유형인 물자 제공 등의 활동들과 결합되어 이루어지기도 한다. 위와 같은 컨설팅의 기능을 바탕으로 하여 교육개발컨설팅의 개념을 “공여국의 학교교육 및 교육정책에 관한 교육전문가, 개발협력전문가(프로젝트 전문가), 지역전문가들이 수원국의 단위학교 및 교육청, 교육부 및 정부 기관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자문적 서비스로서, 교육개발협력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지원하고, 수원국의 교원 역량증진을 도모함으로써 교육의 질적 향상을 꾀하는 활동”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교육개발컨설팅의 기능과 개념을 토대로, 교육개발컨설팅의 개념 모형을 1) 컨설팅의 목표, 2) 참여 주체, 3) 컨설팅의 과업을 구성요소로 하여 구안하였다. 교육개발컨설팅의 궁극적인 목표로는 교육의 질 향상을 통한 인간의 기본권 보장, 빈곤퇴치 및 사회발전에 기여에 있고, 세부적인 목표는 수원국의 단위 학교 및 교육 체제 문제 해결, 교원 및 교육 행정가의 역량 강화 및 교육 ODA사업의 지속가능성 및 원조효과성 증진에 있다. 교육개발컨설팅의 참여 주체는 고객으로는 수원국의 교육부 및 정부기관, 교육청, 단위학교가 있으며, 컨설턴트로는 공여국의 교육내외전문가, 개발협력 전문가, 지역전문가가 있다. 컨설팅의 과업은 문제 진단, 대안 수립, 해결방안 실행 및 지원, 교육․훈련, 문제 해결을 위한 자원의 발굴․확보와 지원체제의 구축으로 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컨설팅의 원리들과 교육개발협력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개발컨설팅의 원리를 자발성, 전문성, 협력성, 학습성, 파급성, 지속성 여섯 가지로 제안하였다. 수원국의 주인 의식을 높이기 위해서 스스로의 교육 시스템 및 단위학교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컨설팅을 요청하는 자발성은 매우 중요하다. 컨설턴트는 교육적인 전문성뿐만 아니라, 수원국 현지 교육에 대한 이해가 기반이 되어야 하고, 교육 ODA의 특성과 절차 등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컨설턴트가 각각의 전문성을 모두 지닐 수도 있지만, 교육 전문가, 개발협력 전문가, 지역 전문가가 협력하여 사업이 종종 진행되고, 공여국의 컨설턴트와 수원국의 고객의 협력적 관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협력성이 강조된다. 또한 교육개발컨설팅의 과정은 고객에게는 문제 해결을 위한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임과 동시에, 컨설턴트도 수원국의 전반적 경제, 문화를 이해하고 교육 체제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당면한 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해야 하므로 자신에게도 학습하는 과정임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교육개발협력 분야가 타 분야에 미치는 파급적 효과를 고려하고, 단위학교의 문제 해결은 학교 발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의 주민들에게도 수혜가 돌아가므로 그 파급성을 인식해야 한다. 그리고 교육개발컨설팅은 한시적으로 이루어지기보다, 인적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기능을 하므로, 관계 형성 및 유지를 통해 지속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차후 사업들과의 연계성에 대해서도 염두 해 둘 수 있어야 한다. 교육개발컨설팅의 개념 모형과 원리를 실제 사례인 ‘모로코 교사 IT활용 역량강화 사업’에 적용한 결과, 목표 및 참여주체, 과업, 원리에 있어 유사한 특징을 보이면서도 차이점을 드러내었다. 사업의 개발목표와 사업목표가 교육개발컨설팅의 궁극적 목표와 세부목표와 일치하였고, 참여주체 또한 의뢰인과 고객이 일치하는 경우로, 수원국의 교육부가 그 대상이었으며, 컨설턴트는 교육정보화 정책 자문에서부터 ICT 활용 전문가, 프로젝트 전문가에 이르기까지 개발협력전문가 및 교육내외전문가가 투입되었다는 점에서 일치를 보였다. 그러나 과업 면에서 이미 사업 실시 전 다른 전문가들에 의해 이루어진 문제의 진단 및 대안 수립에 의해 해결방안만을 실행하는 업무만을 담당했기 때문에, 주로 교육과 훈련에만 초점을 두었다는 특징이 있었다. 또한 원리 충족 면에서 자발성, 학습성, 파급성, 지속성을 어느 정도 충족시켰으나, 전문성의 면에서 실제 필요한 교육에서의 ICT활용 전문가의 비중이 작았다는 점, 협력성의 면에서 전문가들의 1,2차 파견 대상의 중간 변화로 협력성의 연속성이 떨어졌다는 점에서 부족한 점을 드러내었다. 특히, 해결해야 할 문제의 범위가 지나치게 넓어, 컨설팅 기간 내에 정책의 자문 및 ICT활용 연수센터의 연구역량 강화, ICT 활용 선도 교사의 역량강화 모두를 충족시키기가 어려웠으므로, 제한된 기간 및 예산 내에서의 해결 가능한 문제 범위 지정이 필요함을 드러냈다. 이러한 교육개발컨설팅의 개념 모형, 원리 및 학교컨설팅의 기법, 컨설턴트들의 실제적 활용에 있어 그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교육개발컨설팅의 개념 모형과 원리는 수원국의 교육실정에 따라 수정하여 적용될 필요가 있고, 교육 발전 정도에 따라 컨설팅 자체의 가능 여부 및 그 수준이 결정되므로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개발컨설팅의 기법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컨설턴트 고용에 있어 제도적 문제를 먼저 개선해야만, 실제 존재하는 학교컨설팅의 전문가 풀을 교육개발협력 분야에서 더욱 적극적으로 훈련 및 파견 가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개념 모형과 원리는 이론적이고 일반화된 모델이다. 따라서 개별 컨설팅의 사업의 여건, 특징, 상황에 따라 실천 가능한 실행 모델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이론을 지속적으로 사업에 적용해 보고, 컨설팅 과정에 대한 질적 접근을 통해 심층 분석을 함으로써 좀 더 정교하게 이론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 사용자 중심의 에너지 하베스팅 환경미화원 안전의복 디자인 개발

        오유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스마트 의류의 성장과 함께 전력 공급을 위한 에너지 하베스팅의 중요성도 함께 부각되고 있다. 스마트 의류가 심리적, 기능적으로 사용자에게 수용되기 위해서 사용될 환경과 의도에 적합한 사용자 중심의 의류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사용자 중심 디자인을 통해 환경미화원이 지속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에너지 하베스팅이 적용된 발광형 안전의복의 디자인을 개발하고 실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 사용자 중심의 연구방법론인 리빙 랩을 적용한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가 함께 사용된 혼합 연구 방법의 인터뷰, 사용자 관찰, 설문조사가 사용되었다. 디자인 프로세스는 탐색단계에서 구체화된 아이디어를, 실험단계에서 디자인으로 전개하여 프로토타입을 통해 실험하고, 평가단계에서 사용자의 평가를 거쳐 수집한 결과물을 바탕으로 이전의 실험단계로 돌아가 미흡한 부분에 대한 개선안을 적용하여 다시 평가하는 순환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사용자는 서울시 소속 환경미화원 236인이 사용자와 작업 환경 등에 대한 정보제공과 소통을 통한 디자인 참여, 프로토타입 평가를 수행하였고, 환경미화원과 유사한 신체조건을 가진 30~40대의 남성 5인이 목업이나 프로토타입의 실험, 정량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는 탐색평가, 비교평가, 측정평가로 구성되어 탐색평가는 필요기능 탐색과 사용자이해를 위해 관찰, 인터뷰,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비교평가는 실험단계와 평가단계에서 프로토타입을 비교하여 장단점을 파악하기 위해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측정평가는 확정된 디자인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위해 프로토타입의 착용테스트와 과업 시간 측정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사용자 중심 디자인에서 단계별 사용자의 역할을 살펴본 결과, 리서치 단계에서는 정보제공자의 역할, 문제정의 단계에서는 실제 환경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맥락을 설명하는 역할, 아이디어/디자인 전개 단계에서는 디자인에 의견을 내거나 직접 참여하는 디자이너의 역할, 프로토타입 테스트와 평가 단계에서는 프로토타입을 직접 착용하고 실험에 참가하는 평가자의 역할을 하였다. 두 번째, 발광형 안전의복의 지속적 착용을 막는 불편함 요소를 분석한 결과, 배터리 충전과 교체, 조끼형태 안전의복의 추가 착용, 발광장치의 낮은 내구성이 있었다. 배터리로 인한 불편함은 전자기 유도방식의 에너지 하베스터를 적용하여 해결하였으며, 안정적인 발전량을 보인 하베스터의 위치는 복부 하단 부위였다. 추가적인 착용으로 인한 불편함은 의복에 발광장치를 일체화하는 것으로 해결하였다. 얇고 가벼운 LED와 PCB를 봉제방식과 접착방식을 사용하여 의류에 부착하고, 발광장치내구성 개선과 세탁에 대응하기 위해 LED와 PCB를 가늘고 짧은 형태로 디자인하고 PU 소재의 피복으로 발광장치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했다. 세 번째, 발광장치는 위치에 따라, 전자기 에너지 하베스터는 위치와 수납방식에 따라 사용성에 차이가 있었다. 하베스터의 수납디자인은 하베스터의 전도를 막고, 하베스터 내부자석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탈착이 용이한 디자인이 적용되어야 한다. 하베스터와 발광장치가 적용된 프로토타입은 사용자 평가에서 교통사고예방과 안전을 확보하는데 효과가 있다는 평가와 하베스터의 무게와 부피가 더 가볍고 작아져야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전체적인 의류의 디자인, 소재, 내장된 발광장치에 대해 사용자가 만족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발광형 안전의복의 지속적 착용을 위해 전자기 에너지 하베스팅을 통해 환경미화원의 움직임을 전기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대체했으며, 사용성을 향상하기 위해 발광장치를 의류에 내장하고 기계세탁이 가능하도록 디자인하였다. 사용자 중심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해 개발된 에너지 하베스팅 환경미화원 안전의복은 사용자에게 긍정적으로 수용되었다. 미적 요소를 고려한 사용성, 기능성, 착용성 디자인 카테고리의 디자인과 프로토타입 개발과 평가를 반복하여 최종 완성품을 제시하는 문제해결 과정은 향후 스마트 의류와 기능성 의류 디자인 개발을 위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도서관교육을 통한 도서관 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오유진 대진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hanges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libraries under library education. Also, the results are expected to give the efficient directions of the library education. The result of the surveys of students is as follows below. First, students used library for valuable books, references, and so on much more than before library education was given to. Second, students answered that the most necessary education was how to search information. From this, students need to be taught to the students. Third, students' attitudes towards librarian teachers and the role of library for students have changed positively from 'so-so' to 'good'.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the following alternatives for library education are suggested for the efficient way to improve use of library. First, it is necessary that students be educated at the use of library. Second, library education should be kept regularly. Third, library education should meet the students' needs. Forth, students need to recognize that library is the very space for themselves. 21세기는 정보가 주가 되는 사회이며 학교에서도 예외가 아니므로 학생들은 정보습득을 위해서 도서관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도서관을 자주 방문하는 학생들조차도 도서관 자료를 이용할 줄 모르고 필요한 자료가 어디에 있는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도서관교육을 받지 못한 학생들에게 도서관은 더 이상 학습을 위한 곳이 아니라 책 창고로 인식될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도서관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빠른 정보습득과 원활한 도서관 사용을 위한 방법을 교육시킬 필요가 있다. 더불어 도서관 안에서 지켜야 할 규칙들도 도서관교육을 통해 알려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도서관교육 실시 전과 실시 후의 도서관 이용 실태를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도서관교육의 실시 이전보다 학습에 관련된 서적을 선택하고 독서량이 증가했으며 도서관교육 실시전보다 향상된 이용 태도를 보였다. 둘째, 도서관교육 실시 전과 실시 후의 학생들 모두 가장 필요한 교육이 도서관 자료검색 방법이라고 답하였다. 이를 보아 학생들에게 자료를 검색하는 방법이 도서관에서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이 ‘그저 그렇다’는 인식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좋다’라는 답변으로 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뀌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중학교도서관 이용 개선을 위한 도서관교육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 교육을 학생들에게 의무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둘째, 도서관 교육은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의 요구에 충족하는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넷째, 도서관이 학습을 위한 공간임을 인식시켜 줄 필요가 있다.

      • 토크쇼 속 고통의 고백과 치유서사가 갖는 사회문화적 함의

        오유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in Korean society a 'healing discourse' is widespread especially in the publishing world, the business community, and television. In the context of neoliberalism, nonmaterial elements such as feelings, hope, and happiness which all have belonged to the emotional sphere are standing out as principal factors to give an impetus to economic activities of individuals. Consequently, 'healing' which takes care of people’s wounded heart and mind has become popular.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six episodes of the SBS TV talk show <Healing Camp - Aren’t You Happy?> and designed to investigate implications of th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like 'healing' and 'therapy' in terms of a series of structural narratives from confession of sufferings to healing. These narratives appear in common in this program.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n advanced research, domestic studies on talk shows turned out to be so small in quantity. Also, subjects of analysis were weighted towards studies on discourses that are parts of talk shows and on watching motives of the audience. In other words, there were limitations to comprehend society in depth.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grasp ideologies concealed in texts and strategies that represent the reality in television through the narrative analysis of the SBS TV talk show <Healing Camp - Aren’t You Happy?>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is program continues with the certain topic of 'healing and therapy of guests and the whole n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in representing guests of each episode, focusing on contents rather than on formality through Todorov’s narrative theory.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BS TV talk show <Healing Camp - Aren’t You Happy?> commonly develops stories following the structure to recover another equilibrium from disequilibrium. In the process of losing balance the confession of sufferings is made, while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new equilibrium the narratives of healing are made. Meanwhile, when it comes to the characteristics of guests in the process of structural narratives, as round characters who overcome their sufferings through self-reflection and enlightenment there have been Ok Joo-hyun, Tablo, Monk Beop Ryun and Monk Jeong Mok. Lee Sang-min and Jang Yoon-je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ce' and 'iron will' can be categorized as flat characters who maintain their egos throughout the program. The background of all the guests was the space appropriate for the concept 'healing' and was intensifying the meaning of the program. This appeared to reinforce the meaning of a private space where individuals could be further immersed in their egos by staying away from their social space. Also, this program naturally represents the reality of television utilizing the elements of discourses such as subtitles, hosts, interview, sound effects, and the composition of cameras. There is a hierarchical structure among various narrators in order of mention: subtitles, masters of ceremonies and interviewees. Particularly, subtitles appear as narrators that lead the top of discourses by taking an omniscient viewpoint. The production crew hereby control the possibility of the subversive decipherment of the audience and fix them to the intended meaning. The analysis of the talk show <Healing Camp - Aren’t You Happy?> shows that this program conceals the neoliberal discourses through diverse structural narrative strategies based on the meaning of 'healing' and 'therapy'. The guests of this program make a confession of their sufferings in the process of narrating, make themselves as the objects of 'observation' and ascribe the causes of the sufferings to their personalities or faulty ego management. In this process, their sufferings separated from the original context were becoming homogenous and being described as 'an object' that should be controlled by individuals. In the end of the narrative, the talk show highlighted the comeback of guests or their lives in which they found happiness by making a successful career. Additionally, their families in the private sector who helped them achieve their goals in the public sector were described as people with abilities of sharing feelings and of communicating that are able to support and heal the guests.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is program, the more proficient in controlling feelings and mature people are, the more likely they will achieve both happiness and success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By doing so, this program was proving the fact that feelings had become another 'capital' of showing the abilities of individuals. Likewise, the talk show was arguing that the political and economic issues could also be settled within the framework of psychological values like 'love' or 'family affection,' diminishing the room for thinking about injustice of the social and structural contradiction, and weakening the individuals’ will of social reforms by showing that a 'proper feeling' is a 'happy feeling' and suggesting an emotional goal. In conclusion, the therapeutic narratives of confessing and healing guests’ sufferings turned out to be 'technologies of the self,' the power to urge continuous improvements through rational analyses and observation on the inside of themselves, to confine the social and structural contradiction to a personal issue, to make people control their feelings for themselves in order to be 'good citizens,' and to make an individual the self of a subject with responsibilities in neoliberalism. This study hav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analysis result since it chose only six episodes of the SBS TV talk show <Healing Camp - Aren’t You Happy?> as analysis objects and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of the healing narratives. Also, if follow-up studies can be conducted considering various factors like incidents that have happene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program or the interpretation of the audience, further in-depth discussions will be possible. 최근 한국은 출판계, 업계, 텔레비전 등을 중심으로 ‘힐링담론’이 널리 퍼져있다. 2009년 미국금융위기의 여파로 시작된 경기부진으로 인해 사회 분위기가 각박해지면서 사람들의 지친 마음과 정서를 위로하는 ‘힐링’상품과 이에 관련된 프로그램 등이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현상은 개인스스로가 지식과 기술의 급속한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고, 자기 자신을 유연하게 변화시키며 ‘최대이익’과 ‘합리화’를 추구해야하는 신자유주의의 시대적 맥락 속에서 사회의 구성원들이 그만큼 피로감과 좌절감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의 SBS 텔레비전 토크쇼 <힐링캠프-기쁘지 아니한가>를 통해 방송된 여섯 편의 에피소드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에서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고통의 고백부터 치유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서사와 관련하여, ‘힐링’과 ’치유‘라는 사회문화적 현상이 갖는 함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그동안 국내에서 진행된 토크쇼 연구는 그 양이 매우 적은 실정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들의 분석대상으로는 토크쇼의 구성요인인 담화에 초점을 둔 연구와 수용자의 시청동기에 관한 연구들에 편중되어 있어 사회를 두껍게 읽어내는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토크쇼<힐링캠프-기쁘지 아니한가>의 서사분석을 통해 텔레비전 속 현실을 자연스럽게 재현하는 전략과 텍스트에 은폐된 지배적인 담론과 이데올로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인 토크쇼가 ’등장인물과 전 국민의 힐링과 치유‘라는 일정한 주제를 통해 이어진다는 점에서 형식보다는 내용에 초점을 두어 토도로브(Todorov)의 균형과 불균형 이론을 통해 각 회의 게스트 출연자들이 재현되는데 어떠한 특징이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토크쇼<힐링캠프-기쁘지 아니한가>는 공통적으로 토도로브(Todorov, 1970/1992)의 균형 불균형의 틀을 통해 이야기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첫 번째 균형이 깨지는 과정에서 고통의 고백이, 그리고 불균형에서 새로운 균형으로 회복되는 과정에는 치유의 서사가 나타났다. 계열체의 분석 결과, 스스로의 반성과 깨달음을 통해 고통을 이겨낸 입체적인 인물로는 옥주현, 타블로, 법륜스님, 정목스님으로 나타난 반면, 도입부부터 고통을 극복해낼수 있는 ‘인내’와 ‘꿋꿋한’ 성격을 가진 인물인 이성민과 장윤정은 종결부까지 자신의 자아를 유지하는 평면적인 인물로 나타났다. 이 때 인물의 배경은 모두 ‘치유’라는 콘셉트에 맞게 편안함과 자연스러움을 주는 공간으로써 프로그램의 기획의도의 의미를 강화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배경은 사회적인 공간과 분리되어 게스트들이 자아에 더욱 몰두할 수 있는 개인적인 공간의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막, 진행자, 인터뷰, 음향효과, 카메라의 구성 등의 담화요소들이 사용되어 텔레비전의 현실이 자연스럽게 재현되고 있었다. 다양한 서술자들 사이에는 자막-진행자-인터뷰이 순으로 위계구조가 나타났는데, 자막은 토크쇼 내 모든 장면을 가로질러 등장하고, 전지적 작가시점을 취하면서 각 회의 게스트 출연자와 진행자의 심정과 감정을 해석하는 가장 상위 담론을 점하는 서술자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의미는 프로그램이 미리 설정한 방향에 따라 고정되고 있었으며, 이는 시청자의 전복적인 해독을 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토크쇼<힐링캠프-기쁘지 아니한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함의에 도달할 수 있었다. 이 프로그램은 ‘힐링’과 ‘치유’라는 의미를 중심으로 외견상으로 삶에 지친 게스트 출연자와 시청자의 정서를 위로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다양한 서사전략을 통해 신자유주의 담론을 은폐하고 있었다. 서사과정에서 공통적으로 고통을 고백하고 있는 게스트들은 자기 자신을 ‘관찰’의 대상으로 설정하고, 고통의 원인을 그들의 인성이나 잘못된 자아관리에서 비롯된 문제로 치환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고통은 본래의 맥락에서 분리되어 개개인의 고통의 무게와 상관없이 동질화되고 스스로 조절해야 하는 ‘사물’로 그려지고 있었다. 서사의 종결부에서는 게스트 출연자들의 재기나 일적인 성공을 통해 행복을 찾은 모습이 강조되고 있었고, 주인공들의 공적영역에서의 성취를 돕는 사적 영역의 가족들은 그들을 지지하고 치유하는 역할을 해낼 수 있는 감정능력과 소통능력을 가진 사람으로 묘사되고 있었다. 즉, 감정 조절에 능숙하고 인격적으로 성숙한 사람일수록 사적인 영역과 공적인 영역에서 행복과 성공을 성취할 가능성이 많은 사람으로 그림으로써, 후기 근대 속 감정이 개인의 능력을 나타내는 하나의 자본으로 기능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고 있었다. <힐링캠프-기쁘지 아니한가>속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고통의 고백과 치유서사는 개인에게 자신의 감정과 내면을 ‘관찰’함으로써 문제를 자기 자신에게 돌리고, 이를 지속적으로 관리, 개선을 이루어 내어 최대이익을 추구하는 합리적인 개인이 되기를 종용하고 있었다. 또한, 정치 경제적인 이슈 역시 ‘사랑’이나 ‘가족애’와 같은 심리적인 가치의 틀 안에서 해결될 수 있음을 주장하며 사회·구조적인 문제를 사사화시키고 있었고, 사회적으로 ‘올바른 감정’이 ‘행복한 감정’임을 보여주며 개개인의 감정의 목표를 제시하면서 개인의 사회 변혁의 의지를 약화시키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고통의 고백과 치유 서사는 스스로의 지속적인 개선을 촉구하고, 사회구조적인 모순을 개인의 문제로 한정시키고, ‘좋은 시민’이 되기 위해 개인의 감정을 스스로 규율하게 만드는 신자유주의 속 책임 있는 개인으로 주체화 시키는 또 하나의 통치 권력 ‘자기의 테크놀로지’이다. <힐링캠프-기쁘지 아니한가>의 6편의 토크쇼만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치유내러티브가 갖는 함의를 살펴보고자 했기 때문에 분석결과를 일반화 할 수 없는 한계점을 지닌다. 또한, 텔레비전 텍스트가 어떠한 전략을 통해 의미를 구성하고 있는지에 대한 이해 외에도 제작진이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요인들이나 수용자의 해석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한 연구가 이루어 질 수 있다면 우리사회에 퍼져있는 ‘감정관리 담론’이나 ‘힐링’담론들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가 가능할 것이라 여긴다.

      • 직장인의 합창동호회 참여동기와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

        오유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합창동호회 활동에 참여하는 직장인들의 참여동기와 회복탄력성을 파악하고, 참여동기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직장내 합창동호회 신설 및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있는 7개의 성인 아마추어 합창단에 소속한 직장인 116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참여동기 문항은 Beard & Ragheb(1983)이 개발한 여가 참여동기 척도를 번안하여 사용하였으며, 회복탄력성 문항은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2009)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른 결론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합창동호회 활동 직장인들의 참여동기는 평균 3.33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참여동기 하위요인인 지적, 사회성, 능력-숙달, 자극회피 요인을 분석한 결과, 지적 참여동기가 평균 3.49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능력-숙달 동기가 평균 3.46점으로 높았다. 이는 참여자들이 지적 동기와 능력-숙달 동기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는 합창동호회 활동은 참여자들의 지적 욕구와 자기 계발이 충족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합창동호회 활동에 참여하는 직장인들의 참여동기를 성별, 결혼 유무, 연령, 활동 기간, 최종 학력 등의 변인에 따라 비교한 결과, 전체적인 참여동기와 참여동기 하위요인인 지적 및 능력-숙달 동기는 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참여동기의 하위 영역인 자극회피 동기는 결혼 유무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또한, 사회성 동기는 활동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혼한 집단과 50대 연령에서 자극회피 동기가 높았고, 3년 이상 ~ 5년 미만 활동을 한 집단은 사회성 동기가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처럼 참여동기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인들은 합창동호회 활동을 기획하고 운영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셋째, 합창동호회 활동에 참여하는 직장인들의 회복탄력성을 성별, 결혼 유무, 연령, 활동 기간, 최종 학력 등의 변인에 따라 비교한 결과, 결혼 유무에 따라서는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결혼한 사람들이 결혼하지 않은 사람들보다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회복탄력성이 높음을 나타낸다. 하지만, 성별, 연령, 활동 기간, 최종 학력에 따른 회복탄력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특히, 합창 동호회 활동을 오래 지속한다고 해서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참여동기와 같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다른 요인들을 살펴볼 필요성을 시사한다. 넷째, 합창동호회 활동 직장인들의 참여동기는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동기 하위요인 중 지적 요인, 능력-숙달 요인, 자극회피 요인 각각도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합창단을 신설하고 활성화하고자 할 때 참여동기 요소를 고려하여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세울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즉,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는 합창동호회를 효과적으로 운영하려면 참여동기의 요소 중 지적, 능력-숙달, 자극회피 요소를 충족할 만한 전략을 계획하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직장인들이 합창동호회 활동에 참여하는 주된 동기가 지적 동기, 능력-숙달 동기, 그리고 자극회피 동기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참여동기들이 참여자들의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합창동호회 활동이 직장인들이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그들의 회복탄력성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직장들을 대상으로 하는 합창동호회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참여자들의 지적, 능력-숙달, 그리고 자극회피 등의 참여동기를 충족시키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본 연구가 합창동호회 활동의 기획 및 운영 시 참고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어 앞으로 합창 연구에 대한 발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otivation and resilience of office workers participating in choir activities, analyze the impa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resilience, and provide basic data to help establish and revitalize choir clubs in the workplace. To this end, 116 office workers belonging to seven adult amateur choirs across the country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a survey was conducted.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used by modifying the leisure participation motivation scale developed by Beard & Ragheb (1983), and the resilience questionnaire was taken from the scale developed by Shin, Kim, & Kim (200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9.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motivation for office workers to participate in choir club activities was 3.33 points, which was medium leve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intellectual participation motivation was the highest with an average of 3.49 points, followed by competency-mastery motivation with an average of 3.46 points. It can be seen that participants value intellectual and competency-mastery motivation. Therefore, it suggests that choir club activities for office workers should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participants' intellectual needs and self-development can be satisfied.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otivation of office workers participating in choir activities according to variables such as gender, marital status, age, duration of the activity, and educational statu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verall motivation and the intellectual and competency-mastery motivation. However, the stimulus avoidance motivation differed depending on the marital status and age, and social motivation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period of activity. The married group and the age in their 50s had high motivation to avoid stimulation, and the group with more than 3 years to less than 5 years of activity had high social motivation. As such, variabl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can be seen as important factors to consider when planning and operating choir activities.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resilience of office workers participating in choir club activities according to variables such as gender, marital status, age, duration of the activity, and educational statu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ilience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married. This indicates that married people have higher resilience to overcome stress than unmarried peopl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ilience according to gender, age, duration of activity, and educational status. In particular, it could be seen that continuing choir activities for a long time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Therefore, it suggests the need to look at other factors affecting resilience, such a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of office workers in choir club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and among the sub-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intellectual factors, competency-mastery factors, and stimulus avoidance factors also had an effect on resilienc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rategic approach in consideration of the factors of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when establishing and revitalizing a choir. In other words, in order to effectively operate a choir club for office workers, strategies that meet intellectual, competency-mastery, and stimulus avoidance factors must be planned.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rimary motivations for office workers to participate in choir club activities are intellectual motivation, mastery-competence motivation, and stimulus-avoidance motivation. Additionally, it was discovered that these participation motivation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resilience of the participants. This indicates that participating in choir club activitie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helping office workers overcome stress and enhance their resilience. Accordingly, in order to effectively operate and revitalize choir clubs for workplace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strategies to meet participants' motivations such as intellectual, competency-mastery, and stimulus avoidanc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n important indicator for reference in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choir club activities, and that the development of choir research will continue in the future.

      • 친환경화장품의 지각된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지각된 효율적 가치와 지각된 사회윤리적 가치의 매개 변인을 중심으로

        오유진 상명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화장품 업계에서도 이와 관련된 친환경 화장품을 출시하고 있다. 하지만 친환경 화장품을 정의하는 학자와 소비자 그리고 기업 간의 차이가 있어 해당 제품의 생산, 광고, 판매 등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지각하고 있는 친환경 화장품의 특성이 무엇인지 찾아보고, 소비자의 관점에서 친환경 화장품을 구성하는 특성들이 어떻게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 연구를 검토하여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친환경 화장품의 특성이 지각된 유기농 원료, 환경 친화적 공정, 무해성, 기업의 친환경 이미지로 구성되어 있음을 밝혀내었으며, 이러한 특성들이 지각된 효율적 가치와, 지각된 사회윤리적 가치를 매개로 친환경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지각된 유기농 원료, 무해성, 기업의 친환경 이미지는 지각된 효율적 가치를 매개로 친환경 화장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친화적 공정과 기업의 친환경 이미지가 지각된 사회윤리적 가치를 매개로 친환경 화장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환경 화장품 구매의도에 지각된 효율적 가치가 지각된 사회윤리적 가치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론적 의의로는 기존에 혼용되었던 유기농 화장품과 친환경 화장품에 대해서 검토하고 친환경 화장품이 보다 적합한 단어임을 제안했다는 점이 있으며, 소비자의 입장에서 지각된 친환경 화장품의 특성들을 정리하였고, 친환경 화장품의 특성 변수와 구매의도 간의 매개변인으로 효율적인 가치 뿐 아니라 사회윤리적 가치도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는 것에 있다. 전략적인 측면에서의 의의로는 친환경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 중심적 인식을 탐구하여 소비자들이 어떻게 친환경 화장품을 이해하는지를 밝혀내었으며, 또한 밝혀낸 친환경 화장품 특성 요인들 중 어떤 요인들이 친환경 화장품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밝혀내였다. 또한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치에 있어서 친환경 화장품 시장의 경우 사회적 가치보다는 개인의 기능적인 혜택에 더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결론을 중심으로친환경 화장품 판매 기업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마케팅을 할 수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친환경화장품, 마케팅, 지각된특성, 지각된가치, 구매의도 With heightened public interest in environmental issues, the cosmetics industry is also introducing various eco-friendly cosmetic products in response. However, how eco-friendly cosmetic products are defined by academicians, consumers, and corporations vary, which presents difficulties with the production, advertisement, and sales of such produc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sumer-perceived characteristics of eco-friendly cosmetic products and to investigate how eco-friendly cosmetics perception components affect purchase intention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Based on a review of existing studies,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sumer-perceived characteristics of eco-friendly cosmetic products comprise perceived organic ingredients, eco-friendly processes, non-toxicity, and eco-friendly corporate image. Based on such findings, this study present a research model where these characteristics affect eco-friendly purchase intention, mediated by perceived efficiency and socioethical value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organic ingredients, non-toxicity, and eco-friendly corporate image affect eco-friendly purchase intentions, mediated by perceived efficiency value. Meanwhile, eco-friendly processes and eco-friendly corporate image affect eco-friendly purchase intentions, mediated by perceived socioethical value. Moreover, the results also show that perceived efficiency value have a bigger effect on intention to purchase eco-friendly cosmetic products than perceived socioethical value. The theoretical significance of the present study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it reviews the terms “organic cosmetic products” and “eco-friendly cosmetic products” that were being used interchangeably and suggested that “eco-friendly cosmetic products” is the more appropriate term, as well as the fact that it summarize consumer-perceived characteristics of eco-friendly cosmetic products and identify that not only efficiency value, but socioethical value also plays a role as a mediator between eco-friendly cosmetic product characteristics and purchase intention. With respect to strategic significance, this study explore consumer-centric perception of eco-friendly cosmetic products and identify how consumers perceive these eco-friendly cosmetic products, while also demonstrating which of the eco-friendly cosmetic product characteristics identified affect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presented methods which companies that sell eco-friendly cosmetic products can use for more efficient marketing of their products based on these conclusions. key words: eco-friendly cosmetic, marketing, perceived characteristics , perceived value, Purchase intention

      •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중도입국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경험 연구 : 학습자 요인을 중심으로

        오유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중도입국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을 위해 기본적으로 학습자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분석했다. 중도입국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경험을 통해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정의적 요인 및 학습자의 정체성 변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학습자를 좀 더 세밀하게 파악하고자 했고, 본 연구를 통해 중도입국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경험 속에서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인 ‘동기, 불안과 방어기제,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과 ‘정체성’이 어떻게 변화하고 생성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학습에의 도움 요인 및 방해 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한국어 교육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한국어 수업 방안을 제시하고, 중도입국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을 활용하여 학습 촉진을 도모하기 위한 맞춤 교육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한국어 교육에서 실제적 활용이 가능하다는 데에 의의를 갖는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서론에서는 중도입국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경험을 분석하는 것이 왜 필요한지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한국어 학습 경험 안에서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 및 정체성을 분석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한국어 교육의 의의에 대해서 설명했다. 또한 이론적 배경에서는 본 논문의 주요 핵심 개념인 ‘정의적 요인’, ‘정체성’ 및 연구 대상인 ‘중도입국 학습자’에 관한 용어 정리를 통해 논문의 이해를 도왔다. 선행 연구에서는 중도입국 학습자와 관련된 연구 현황 및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이용한 연구 중 학습자 경험 및 학습자 요인, 정체성과 관련한 연구를 살폈다. 이를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 중도입국 학습자와 관련된 연구들이 양적 연구에 편중된 점을 지적하고 질적 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함으로 본 연구의 연구 당위성을 찾아냈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인 ‘내러티브 탐구’에 대해 설명하고, 연구 설계 및 연구자 내러티브, 연구 참여자의 소개 및 현장 텍스트 구성과 자료 수집, 연구의 윤리적 고려, 타당성 제고 등을 이야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5살∼24살의 중도입국 학습자 7명을 대상으로 2021년 4월부터 2022년 5월까지 대면 또는 비대면 면담을 통해 한국어 학습 경험에 대한 심층 면담을 진행했다. 면담 과정은 녹음 및 녹화, 전사의 과정을 거쳐 현장 텍스트로 구성되었으며, 연구 참여자와의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연구 텍스트를 형성하고 분석을 진행했다. 3장에서는 7명의 연구 참여자의 한국어 학습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의 3차원적 공간인 시간, 장소, 사회성의 틀 속에서 장소를 중심으로 범주화하고, 사건을 중심으로 주제화하여 좀 더 세밀하게 분석했다. 개별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경험 안에 포함된 다양한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를 확인했다. 4장에서는 한국어 학습 경험 속에서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인 ‘동기, 불안 및 방어기제,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이 어떠한 형성과 변화 과정을 보이는지와 사회적 맥락 속에서 중도입국 학습자의 자리매김과 투자, 정체성 갈등 및 위기, 상상의 공동체 및 상상의 정체성 등의 양상을 확인함으로써 학습자 요인이 한국어 학습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분석했다. 5장에서는 4장까지 분석한 중도입국 학습자 학습 경험 내러티브를 통해 개별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에의 도움 요인 및 방해 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에의 도움 요인을 촉진시키고, 방해 요인을 저해시키는 중도입국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수업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실제 한국어 교실에서 활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수업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Clandinin(2007)의 3가지 정당성(개인적, 실제적, 사회적)을 확인함으로써 본 연구의 가치를 확인했다.  6장은 결론으로 본고의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연구의 한계점을 통해 후속 연구의 필요에 대해 논의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중도입국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알려진 학습자의 특성이 아닌, 학습자의 개별적이고 고유한 경험에 대한 이해를 확장했다는 점과 그 경험 안에서 한국어 학습 경험과 관련된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 및 정체성 변화 과정을 파악함으로써 중도입국 학습자 맞춤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ses the participant’s Korean learning experience through narrative inquiry with the premise that the basic needs of the learners should be understood to establish the proper education to learn Korean for adolescent immigrants.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adolescent immigrants in detail by analyzing their affective factors and their identity changes through the participant’s experience of living in Korea.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help and hinder learning by confirming how learners' affective factors such as motivation, anxiety and defense mechanism,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nd identity are evolving in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In addition, it meant that it can be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presenting Korean language class plans and suggesting customized education plans to promote learning by utilizing the affective factors of adolescent immigrants.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introduction presents why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of adolescent immigrants and explains the significa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analyzing the learners' affective factors and identity in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In addition,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understanding foundation was established by explaining the core concepts of this study, 'defining factors', 'identity', and 'adolescent Immigrants', which are the subjects of the study. previous studies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related to adolescent immigrants and research status related to the learner’s experience, learner’s factors, and identity among studies using narrative inquiry methods. Through this, the research justification of this study was found by pointing out that studies related to adolescent immigrants were only concentrated on quantitative resear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us discussing the necessity of qualitative research. Chapter 2 explain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Narrative inquiry', which introduces research design and researcher narratives, research participants, composition and data collection of field text, ethical considerations of research, and enhances validity. In this study, seven adolescent immigrants aged between 15 to 24 were interviewed in-depth on their Korea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through face-to-face or virtual interviews from April 2021 to May 2022. The interview process of ‘field text’ was completed through vocal recording, video recording, and transcription. The data created from the interviews with the adolescents were then analyzed and completed through continuous exchange with the participants. In Chapter 3,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of seven study participants was first categorized around the framework of time, place, and sociality, which are three-dimensional spaces of the narrative inquiry, and further analyzed in more detail by dividing the learner’s narrative into topics. By analyzing the factors included in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of individual learners,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nt’s learning process were identified. Chapter 4 examines the formation and the evolution curve of 'motivation, anxiety and defense mechanisms, self-esteem, and self-efficacy', which are the learner's affective factors identified in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as well as the positioning and investment efforts of the participants in the social context. By observing the participant’s identity conflicts and crises, and his imagined communities and identit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how learning factors can affect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In Chapter 5, through the learning story of the participants analyzed up to Chapter 4, the factors that helped and hindered individual learners' learning of Korean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class advice that could help actual Korean language classes by promoting factors that help to learn and suggesting Korean language classes for adolescent immigrants that hinder interference factors. Finally, the value of this study was proved by confirming the three following justifications; personal, practical, and social of Clandinin(2007). Chapter 6 summarizes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s a conclusion, and discusses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through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o conclud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of adolescent immigrants, which was not well handled in the past, expanded their understanding of individual and unique experiences, and it can be used as a database to customize the education of adolescent immigrants by grasping the learner's affective factors and identity change process related to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within the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