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반도체소자용 SBT 박막의 전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오용철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반도체 소자용 SBT(Sr0.8Bi2.4Ta2O9) 박막의 전기적 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법으로 Pt-coated TiO2/SiO2 /Si wafer 위에 SBT를 400[℃]에서 증착하였으며, 600[℃]~850[℃]에서 열처리한 시료를 제작하였다. 상부전극 Pt는 제조된 SBT 박막위에 DC 스퍼터링 방법으로 증착하였다. 이 시료를 대상으로 하여 SBT 박막의 열처리 온도에 따른 구조적, 강유전 특성과 전기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최적의 박막 제조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구조적 분석을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SEM), X-ray 회절분석법(XRD)을 이용하였으며, 강유전체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RT-66A ferroelectric tes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유전특성은 HP4192A impedance analyzer로 측정하였으며, 박막의 전기적 특성은 HP4155A semiconductor parameter analyz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XRD와 SEM에서, SBT박막의 결정화는 650[℃] 부근에서 결 정화가 시작되어 750[℃] 에서 완전한 결정화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구형의 작은 입자에서 막대모양으로 입자성장이 일어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강유전체 특성은 750[℃]에서 열처리된 SBT 박막의 경우,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최대 잔류분극(2Pr)값과 항전계(Ec)는 각각 약 11.60[μC/㎠]과 48[㎸/㎝]을 얻었다. SBT 박막의 피로 특성은 1010switching cycle에도 변하지 않는다. 결국, 열처리온도에 따른 SBT 박막의 전기적 특성은 750[℃]에서 열처리된 박막이 가장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유전상수와 누설전류 밀도는 각각 213 과 1.01×10-8[A/㎠]을 나타내었다.

      • 작곡가 임주섭의 작품 분석 연구

        오용철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Ph. D. Dissertation Analysis of Juseub Lim’s Compositional Techniques OH, Yongchul Department of Music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Lim, Juseub) Abstract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work of composer Lim Juseub through an analysis of his works by period. Throughout the twentieth century, modern society and culture have undergone more dramatic and diverse changes than ever before, and musical techniques that had been maintained until the present day were replaced by new techniques destined to form a new musical standard. This dissertation highlights how such musical values and standards are expressed in composer Lim Juseub's oeuvre, focusing on his representative works. Chapters Ⅱ-1, Ⅱ-2, I highlight the relevant characteristics of his life and periods. During the first period, his works were composed using traditional musical subject matter, mainly through modern compositional techniques, 12-tone techniques, free-tone row techniques, and centered musical techniques based on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reason why he pursued these ideas in earnest was because the national consciousness was positioned as an important factor of his music. The second period can be regarded as a time when traditional techniques, 12-tone techniques, the transformation of the musical form, and the “same but different; yet different but same” technique, which represented an extension of the first period, were attempted. The third period is a time when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ed in previous works were connected and changes in the composer's inner world are distributed into interest in diverse subject matter. The composer's desire to express traditional musical subject matter through contemporary musical techniques continued from the first period. The 'Pumba' series is a representative work of this nature. Lim linked the inner world experienced by wandering nomads with his ideas and spiritual world and established a comprehensive artistic domain through his works. In Chapter Ⅱ-3, this dissertation examines how the artistic world of the composer appears in representative works through an analysis of 'East Sea-Sunrise' arranged for orchestra, 'Sijo Ⅲ' arranged for percussion instrument solo, and 'Creation of Heaven and Earth' arranged for organ. A brief summary follows.  First, is it is apparent that both the rational approach and the emotional approach coexist from the methodological perspective of Lim's work. The composer's works are logical and structural in terms of analyzing musical elements through research on traditional music, organization of data, and the embodiment of a theoretical system in his works. On the other hand, we can see the emotional aspects embodied by the acceptance of various elements emotionally and the restructuring of such elements into a restrained objective form. In other words, his work has a mathematical logic complemented by a musical sensitivity.  Second, he is a composer who aims for historical significance and diversity. This drive is based not only on his work's role within history and social reality, but also through various forms, techniques, and a wide range of subject matter. This positioning stems from a philosophy of life and a firm compositional stance. It is apparent that the composer tried to objectively express all things that moved him and opinions about it through music.  Third, the social, religious, and Korean influences within the internal world of Lim Juseub became the foundation of his concept of “same but different; yet different but same”. The composer's own unique composition techniques lead to his unique works, and most works composed after the third period fall into this category. Fourth, we can trace the development of his technique of “same but different; yet different but same”. The origin of the idea of the diverse concepts of divergent techniques is the Chinese proverb for "the same but different, and different but the same', which is used a unique musical composition style created by the composer. For example, when a parameter is repeated, it refers to an iteration that has made a change in one or more parameters, not the same iteration. This is a way to show that when the same rhythm or note repeats, there is a change in the arrangement of dynamics or instruments, so that different changes coexist within the same repetition. In other words, this is a result of the composer’s uniquely creative interpretation of the basic principle of composition, not merely simple repetition and change. Fifth, harmonics such as the structures vertically stacked in the flow of the melody, which is part of the horizontally progressing heterophony template of Korean music, were fused with the texture of the layers and used for composition. This means composing irregular sounds rather than a group of sounds based on the harmonic and counterpoint basis of Western music to transform them into movements with diverse relationships in musical space. Finally, the musical composition techniques in the works of composer Lim Juseub mentioned in this dissertation can be seen as part of a reunion with existing traditional elements rather than new techniques and elements. The aesthetic value of music has changed as the times and standards have changed, and in addition to the importance placed on the external aspects of music, new importance is now being put on the inner world of music too. These tendencies can be seen through his somewhat experimental work in order to maintain his creativity as a composer. With his tireless passion, Lim not only played a major role in realizing a new Korean musical ethos for our age, but also occupies an important place in the field of Korean musical composition. His work will continue to have wide-ranging influence both at home and abroad. 작곡가 임주섭의 작품 분석 연구 오 용 철 영남대학교 대학원 음 악 학 과 음악학 실기 전공 지도 교수 임 주 섭 요약 이 논문은 작곡가 임주섭의 작품 세계를 그의 시기별 작품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 20세기를 지나며 현대 사회와 문화는 어느 시대보다 급격하고 다양한 변화를 겪었으며, 지금껏 유지되어 온 주된 기법에서 그것들을 대신할 새로운 것에 음악적 기준을 두는 것으로 기법은 달라졌다. 그러한 음악적 가치 기준이 작곡가 임주섭 작품에서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대표적인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Ⅱ-1, Ⅱ-2장에서는 그의 생애와 시기별 특징을 먼저 살펴보았다. 제1 시기는 주로 근대적 작곡 기법, 12음 기법, 자유 음렬 기법, 국악에 바탕을 둔 중심음 기법을 거쳐 전통적인 음악 소재를 사용하여 작품을 구상하였다. 이러한 구상들을 본격적으로 추구하게 된 것은 민족 의식이 그의 음악에 중요한 가치로 자리매김했기 때문이다. 제2 시기는 제1 시기의 연장선상으로 앞선 전통적인 기법, 12음 기법, 음형의 변형 그리고 다양한 개념인 동이이동(同異異同) 기법의 시도가 이루어진 시기로 볼 수 있다. 제3 시기는 이전까지의 작품에서 나타났던 성격들이 이어진 것과 내면적 사고의 변화가 다양한 소재들의 관심으로 양분되는 시기이다. 전통 음악적 소재를 현대 음악 어법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그의 사상은 제1 시기에 이어서 계속 되었다. ‘품바(Pumba)’ 시리즈가 바로 이러한 성격을 지닌 대표적인 작품이다. 각설이들이 겪는 삶의 내면 세계를 작곡가 자신의 사상과 정신 세계로 연결하여 작품을 통해 포괄적인 예술적 영역을 확립하였다. Ⅱ-3장에서는 임주섭의 작품 세계가 대표 작품에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오케스트라를 위한 ‘동해-일출’, 타악기 독주를 위한 ‘시조 Ⅲ’, 오르간을 위한 ‘천지 창조’의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주섭의 작품을 방법론적으로 보면 이성적인 접근과 감성적인 접근이 공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통 음악 연구를 통해 음악적 요소를 분석하고 자료를 정리한 다음 이론적 체계를 세워 구체적으로 작품에 사용하고 있는 면에서는 논리적이고 구조적이라 할 수 있다. 또 그 이면에는 여러 요소들을 감성적으로 수용하여 그것을 절제된 객관적 형태로 재구성하는 감성적인 면을 볼 수 있다. 즉 그의 작품에는 수학적인 논리를 음악적인 감성으로 펴현하고 있다. 둘째, 그는 역사성과 다양성을 지향하는 작곡가이다. 그것은 그의 작품이 역사와 사회적 현실 참여에 바탕을 두었다는 점 외에도 다양한 양식과 기법, 폭 넓은 소재를 통해 알 수 있다. 이는 삶의 철학과 확고한 작곡가적 자세에 기인한다. 자신을 움직였던 모든 것들과 그에 대한 견해들을 음악을 통해 객관적으로 표현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임주섭의 내면에 흐르고 있는 사회적, 종교적, 한국적 영향은 동이이동(同異異同) 기법을 기초로 발판이 되었다. 작곡자만의 독특한 작곡 기법으로 이어져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구현하고 있으며, 제3 시기 이후에 쓰여진 대부분의 작품들이 이에 속한다. 넷째, 동이이동(同異異同)식 음악 어법을 들 수 있다. 사자성어의 어원은‘같으면서 다르고, 다르면서 같다’라는 의미로, 이 말은 작곡자가 독창적으로 만든 음악 어법으로 쓰이고 있다. 예를 들어, 어떠한 매개 변수(Parameter)가 반복될 때 동일한 반복이 아니라 하나 이상의 매개 변수에서 변화를 준 반복을 말한다. 이는 같은 리듬이나 음이 반복될 때는 다이내믹이나 악기들의 배치에 변화를 주어 동일한 반복 속에 다른 변화가 공존함을 보여주는 방법이다. 즉 단순한 반복과 변화가 아니라 작곡의 기본적인 원리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해석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다섯째, 한국 음악에서 수평적으로 진행되는 헤테로포니(Heterpophony) 양식인 선율 흐름에 수직적으로 쌓아 올린 구조물과 같은 음을 층들의 짜임새와 융합하여 작곡에 사용하였다. 이는 서양 음악의 화성적, 대위법적 근거에 의한 소리의 모임이 아닌 불규칙한 소리들을 음악적 공간에서 서로 다양한 관계 속의 움직임으로 변형시켜 퍼져 나가도록 작곡하는 것을 말한다. 끝으로, 본 논문에 언급되어진 작곡가 임주섭의 작품에 나타난 음악 어법은 새로운 기법과 요소라기보다는 기존에 존재하는 전통적 요소와의 재결합이라 볼 수 있다. 음악의 미적 가치는 시대가 변하며 기준이 달라져 왔으며, 최근에는 음악의 외적인 부분 외에도 내적인 사상도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그가 작곡가로서 늘 신선함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소 실험적인 작업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는 지칠 줄 모르는 열정으로 우리 시대의 새로운 한국 음악을 구현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끊임없이 노력하여 한국 작곡계의 중요한 위치에 올라 있다. 앞으로도 그의 작품은 국내와 국외에서도 영향력을 밀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