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는물달개비(물옥잠과): 한반도 미기록 식물

        오용자,이창숙,김성민 한국식물분류학회 2011 식물 분류학회지 Vol.41 No.1

        Monochoria vaginalis var. angustifolia (Pontederiaceae) was newly found in a furrow in Imha-ri, Boeun-gun, Chungcheongbuk-do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is taxon i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species of the genus Monochoria in Korea by having the smallest plant height, very narrow lanceolate leaves, a cuneate leaf base, and raceme with 1 to 2 flowers. A local name was newly given, ‘Ga-neun-moul-dal-ge-bi’ for the specie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llustrations of the taxon as well as photographs at the habitat are provided with a taxonomic key to the species of Monochoria in Korea. 충북 보은군 임하리에서 우리나라 물옥잠과의 미기록 분류군, 가는물달개비(물옥잠과)가 새로이 발견되었다. 이 분류군(Monochoria vaginalis var. angustifolia)은 물옥잠속의 다른 분류군에 비해서 식물체가 작고, 잎이 매우 가는 피침형, 잎의 기부가 쐐기형이고, 1−2개의 적은 꽃이 달린 총상화서이고, 꽃대의 길이가 작은 점에서 뚜렷이 구분된다. 국명은 잎이 가는 특징을 고려하여 ‘가는물달개비’로 신칭하였고, 주요형질에 대한 분류군의 기재 및 종의 해부도와 서식지 식물사진을 제시하였고, 아울러 한국산 물옥잠속 식물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 한국산 하늘지기속(Fimbristylis Vahl)식물의 도보

        오용자 誠信女子大學校 1998 硏究論文集 Vol.36 No.-

        The descriptions and anatomical charts about 16 taxa of the Korean Fimbristylis were arranged. Morphological characters (length and width of stem, leaf, and leaf bract) and cpidermal patterns of achene and leaf (shape of achene, leaf epidermal cell, cell wall, frequency of stomatal complex, and subsidiary cell shape) were written down. These distinct characters could divided the sedges, and these were observed by light, stereo-microscope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hese important characters were drawing up. Besides, these are carried out to clarify distribution of 16 taxa of the Korean Fimbristylis, by MapInfo program, which was a powerful GIS for mapping.

      • KCI등재

        한국산 사초과(Cyperaceae) 식물의 규소체(Silica body) 형태에 의한 분류

        오용자 한국식물분류학회 2005 식물 분류학회지 Vol.35 No.4

        Many plants take up soluble silica from the soil, and they deposit in plant tissues. Silica bodies are most commonly found in the leaf epidermis. Silica body is important factor in growth and development of plant. It help to maintain rigidity in stem and linear leaves, and its content may be correlated with resistance to fungal disease. In this study, several morphologically distinctive forms of silica bodies on Cyperaceae in Korea are recognized, which are eventually classified into two groups. Silica body type of first group (Rhynchospora, Fuirena, Scleria, Carex, Eriophorum) is A-type, which is conical in shape. Silica body type of second group (Cyperus, Scirpus, Eleocharis, Fimbristylis, Kyllinga, Bulbostylis, Lipocarpha) is B-type, which is conical in shape with numerous satellite body. These types are consistent enough to use as characters in taxonomic studies within genus. Silica body type may be associated with habitat: the species in dry region have A-type, whereas the species in wet region have B-typ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hapes and presence or absence of silica body might be valuable to systematic analysis. 식물규소체는 토양과 물에 용해된 규소가 이산화규소(SiO2)의 형태로 식물체내의 여러 기관 또는 표피세포에 축적되면서 형성되어 식물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어, 식물의 규소체에 관한 연구가 시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나 사초과 (Cyperaceae) 식물 13속 228종 중, 12속 136종의 잎의 표피형에서 밝힌 규소체의 형태를 검토하여 정리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사초과 식물은 규소체의 모양에 따라 2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제 1 그룹은 원추형(conical body)의 규소체를 나타내고, 골풀아재비아속(Rhynchospora), 검정방동산이속(Fuirena), 너도고랭이속(Scleria), 사초속(Carex)과 황새풀속(Eriophorum)이 이에 속한다. 제 2 그룹은 규소체의 모양이 원추형을 중심으로 많은 위성형을 보이며, 방동산이속(Cyperus), 올챙이골속(Scirpus), 바늘골속(Eleocharis), 하늘지기속(Fimbristylis), 파대가리속(Kyllinga), 모기골속(Bulbostylis)과 세대가리속(Lipocarpha)이 속한다.

      • 패랭이꽃과 술패랭이 꽃의 中間型 植物에 對하여

        오용자,李永魯 梨花女子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院 1975 韓國生活科學硏究院 論叢 Vol.14 No.-

        Three taxa of wild Dianthus chinensis, Dianthus superbus and the intermediate plant between the above two taxa were studied. The taxon of intermediate plants, between the Dianthus chinensis and Dianthus superbus present intermediate form and color of above two taxa. And the intermediate plants have bigger stomata compared to the above taxa. As a result we can presumed the intermediate taxon is a natural hybrid between Dianthus chinensis and Dianthus superbus.

      • SCOPUSKCI등재

        한국산 사초속 감둥사초절의 분류학적 연구

        오용자,이창숙,유경진,Oh, Yong Cha,Lee, Chang Shook,Ryu, Kyung Jin 한국식물분류학회 2001 식물 분류학회지 Vol.31 No.3

        한국산 사초속(Carex L.) 감둥사초절(section Atratae Kunth) 7분류군을 대상으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고,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과낭, 수과와 잎의 표피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정량적 형질(줄기, 잎, 이삭, 비늘조각, 포, 과낭과 과낭부리, 수과의 길이와 너비)과 정성적 형질(이삭, 비늘조각, 과낭과 수과의 모양, 줄기와 잎의 횡단면, 비늘조각 윗 부분의 모양) 및 과낭과 수과의 표피세포모양, 잎의 표피구성요소(기본표피 세포의 모양, 세포벽 굴곡의 형태, 규소체의 수와 모양, 기공복합체의 크기와 빈도), 잎의 유두돌기와 가시돌기의 유무가 종을 식별하는데 유용하였다. 감둥사초절 7분류군은 줄기 정단부에 위치하는 이삭의 형태와 과낭부리의 모양, 수꽃이삭의 모양, 줄기의 길이에 따라 2그룹(group)으로 구분되었다. 제 1그룹은 감둥사초(C. atrata L.), 늪사초(C. buxbaumii Wahlenb.: 국명신칭), 덕진사초(C. gmelinii Hook. & Arn.), 해산사초 (C. hancokiana Maxim.)와 백두사초 (C. peiktusani Komarov)이며, 제 2그룹은 북사초(C. augustinowitzii Menish.)와 진들검정사초(C. meyeriana Kunth)이다. 또한 외부형태가 유사한 덕진사초, 해산사초와 백두사초는 비늘조각의 끝부분, 잎표피형, 수과와 과낭의 모양과 표피형에 차이가 있어 각 각을 구분할 수 있었다. Morphological characters of section Atratae of the genus Carex (Cyperaceae) were reexamined. The epidermal patterns of perigynium, achene and leaf were investigated using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a light microscope (LM).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length and width of stem, leaf, bract, spike, scale, perigynium and achene, and shape of cross-sectioned stem, and leaf, spike, scale, apex of scale, perigynium, beak of perigynium and achene, and epidermal pattern of perigynium, achene and leaf (shape of fundamental epidermal cell and cell wall, type of silica body, shape of beak epidermal cell and cell wall in perigynium, subsidiary cell shape, size and frequency of stomatal complex of leaf) were useful for the identifications of the observed seven taxa. C. gmelinii, C. hancokiana and C. peiktusani have been confused each other due to similar morphological characters. Howerever these taxa were distinct with respect to shape of scale, apex of scale, perigynium, type of silica body, frequence of stomatal complex, subsidal cell shape, and epidermal patterns of achene and leaf.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한국산 올챙이골속(Scirpus Linne)식물의 도보

        오용자 성신여자대학교기초과학연구소 1999 基礎科學硏究誌 Vol.17 No.-

        The genus Scirpus in Korea was taxonomically reviewed based on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rs. The morphological(length and width of stem,leaf,and leaf bract) and anatomical(shape of achene,leaf epidemal cell,cell wall,fiequency of stomatal complex,and subsidiary cell shape) characteristics on 16 taxa of Korean Scirpus were investigated using stereo-microscop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As the results, a key to intrageric groups or species of the genus in Korea was provided. The illustations of each Korean taxa were prepared together with the detail scketch of the flower and achene. Furthemore the distributions of 16 taxa of the Korean Scirpus were clanified using Mapinfo program a powerful GIS technique for mapping.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