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우제의(祈雨祭儀)를 통해 본 영남 지방관의 일상과 대민의식

        오용원 ( Yong Won Oh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9 嶺南學 Vol.0 No.16

        Through this article, I investigated how Youngnam reeves performed ritual for rain as a official business. To do this I focused on the rituals of Chaewon Oh Hoing-Mook (1834~?), who was reeve of Youngnam province. Oh`s ritual was official, but dynamic and flexible. In a aspect Oh`s ritual for rain was one of his routine jobs. In other aspect, through his ritual, Oh tried to establish social integration with consideration for the subjects. The ritual for rain was performed when drought kept going on. In this natural crisis. he held the ceremony to meet the subjects face by face. Through two additional ritual, especially, he preserved social order, and took care of the subjects preferentially. All social class people can also meet each other in the ritual. Performing the ritual with highly established form, he also gave great concern to the subjects. He gained sympathy of the subjects`s pain, and paid fruits or money. He also minimized the subjects`s burden loaded to them. In these his routine rituals, I can know that reeves shared their joy with the subjects and communicated each other. It is fundamental procedure to choose ritual place, to prepare things needed in the ceremony, and to write a ritual oration in the official ritual. It is common to prepare ritual place, things needed in ritual, and order of ritual according to law books. The ritual was based on Conficianism, therefore taboos or belief system of official ceremony was less restricted than those of private ceremony. One of remarkable thing is ritual oration. After 13th ritual, the two additional rituals was executed. In those rituals, the formality of orations were less strict than that of previous 13 rituals. He showed his wish for raining with the ritual oration, which had long sentences and flexible contents. Reeves usually understood the Mother Nature in aspect of Confucianism. Eventually, reeves recogn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as a reciprocal interaction.

      • KCI등재

        考終日記와 죽음을 맞는 한 선비의 日常 : 大山 李象靖의 「考終時日記」를 중심으로

        오용원 (Oh Yong-won ) 대동한문학회 2009 大東漢文學 Vol.30 No.-

        이 글은 고종일기류 자료의 몇 가지 성격과 고종일기의 전형이라 할 수 있는 대산의 「고종시일기」를 분석하여 정리한 것이다. 먼저 考終者의 일상을 기록한 일기는 -記, -日記, -考終記, -考終日記, -終天錄, -哀感錄, -不忘錄, -不忘記등 기록자의 성향에 따라 다양하게 지칭하였다. 완성된 전모를 갖춘 고종일기는 죽음을 기점으로 전체적인 내용이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죽음에 이르기까지 일어나는 제 행위를 기록한 부분과 死後에 행해지는 각종 喪葬禮 관련 과정을 기록한 부분이 있다. 그리고 사후에 행해지는 일련의 상장례 관련 과정을 기록한 것을 終天錄, 哀感錄, 不忘錄, 不忘記라고 하는데, 이는 일기 형식을 갖추어 날짜별로 기록한 경우도 있지만, 전 과정을 절차별로 기록하는 것이 일반적인 범례이다. 대부분의 고종일기는 門人이 그 기록자였다. 왜냐하면 현존하는 다수의 고종일기가 스승의 죽음을 기록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결국 일기의 내용에서 등장하는 인물이나 환경을 기록하는 경우에 가족과 관련된 내용보다는 師弟間의 관계에서 죽음을 맞는 스승의 일상을 기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어쩌면 血緣문화의 한 소산이라기보다는 學緣문화의 한 소산이라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기는 현실의 일상적인 생활을 기록한 반면, 고종일기는 죽음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이와 관련된 일상을 기록한다. 일기의 내용 역시 제한된 공간에서 고종을 맞는 사람의 일상만을 기록한다. 그 기록된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병세와 문병자의 명단, 門人과 後孫들에게 남긴 遺訓, 고종자가 맞는 죽음의 태도, 고종자의 死後에 행해지는 각종 喪葬禮와 관련된 일 등을 기록한다. 고종일기의 전형이라 할 수 있는 大山 李象靖(1711~1781)의 「考終時日記」를 통하여 죽음을 맞는 그의 日常을 살펴보았다. 대산의 「고종일기」의 내용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청학한 문도들에 대한 기록이며, 이러한 기록을 통하여 죽음을 목전에 둔 당대 거유의 관심이 어디에 있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자신의 위중한 병세보다 문전에 찾아와 청학하는 문도들에게 좀 더 많은 가르침을 주려는 그의 학문적 배려라고 할 수 있다. 다음은 죽음을 맞는 그의 태도이다. 그는 육체적인 병고에도 불구하고 찾아오는 문병자 뿐 만아니라, 자식들에게 조차 順天의 진리를 역설하였다. 결국 그는 死生 有命의 천리를 순종하며 자신의 마지막을 준비하였고, 순천자의 모습으로 正終之義를 몸소 실천하였다. 일기는 현실성과 사실성 그리고 일상성을 담보하고 있다. 이제 우리의 인문학은 좀 더 일반 대중들과 교감할 수 있는 다양한 활로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단순한 이념이나 이론에만 얽매였던 기존 연구에서 벗어나 각양의 실상을 엿볼 수 있는 일기류 자료에도 관심을 가져봄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양한 자료를 통하여 접근해야 하고 새로운 자료를 많이 발굴해야 할 것이다. 더욱이 고종일기는 아직 학계에 언급된 적이 없는 자료이며, 인문학 전반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지금까지 역사적 거대담론에서 바라보았던 선인들의 삶과 죽음을 ‘고종일기’라는 실기문을 통하여 좀더 가까이서 실상을 바라본다면, 그들의 일상에서 새로운 면면들이 드러날 것이라 생각한다. This paper studied several characteristics of deathbed diary material and analysed 「Gojongsiilgi(考終時日記)」, the deathbed diary of Daesan(大山李象靖, 1711∼1781), which is the model of deathbed diary. Deathbed diaries which contain the daily affairs of the dying men were named in Chinese character differently according to recorders, for example, [-記], [-日記], [-考終記], [-考終日記], [-終天錄], [-哀感錄], [-不忘錄] and [-不忘記]. Fully equipped deathbed diaries have two major parts in their contents. One records the things and matters happened until death and the other records the services and processes of funeral after death. The records of after-death processes, called as [終天錄], [哀感錄], [不忘錄] and [不忘記], were written usually by processes not in sequence of date. Most of existing deathbed diaries were written by disciples - students recorded teachers' death. Therefore, the diaries usually contain the daily affairs of dying master from the viewpoint of disciples not of family members. It can be said that deathbed diary is the work of academic relations rather than blood relations. Common diary records everyday life while deathbed diary records only the affairs of dying man before and after death. Main contents of deathbed diary include the condition of a disease, visitors' list, dying injunctions for disciples and descendants, attitude of dying man toward death and funeral ceremonies and services after death. This paper examined the daily life of dying Daesan through 「Gojongsiilgi(考終時日記)」, the typical deathbed diary. The most distinctive content of it is the record about disciples who asked questions related to their study. The record tells what the dying great Confucian scholar was interested in. He wanted more to give instructions to his disciples than taking care of his serious condition. His attitude toward death was adaptation. He emphasized to visitors as well as descendants on following the law of nature. He prepared his inevitable death with obeying the nature law and practiced his teaching by himself. Diary secures actuality, reality and generality. Our humanity needs to find more routes to sympathize with the public. It is desirable to give more interest to diary material that show various daily lives than the researches centered on theories or ideologies. For it, wide rage of material should be accessed and more material should be found newly. Deathbed diary has not been introduced till now but it has significant meaning to overall humanity field. If the lives and deaths of Song Si-yeol, Lee Sang-jeong or Choi Ik-hyeon were reviewed more realistically through their deathbed diaries, unknown aspects of their daily lives will be known.

      • KCI등재
      • KCI등재

        崔興遠의 『曆中日記 』를 통해 본 영남선비의 일상

        吳龍源(Oh, Yong-Won) 대동한문학회 2015 大東漢文學 Vol.45 No.-

        『曆中日記 』는 百弗庵 崔興遠(1705~1786)이 1727년부터 1786년까지 약 60년 동안 기록한 전형적인 생활일기이다. 이 일기에는 하루의 간지와일기 상태를 비롯하여 농사 형편, 교유 관계, 유람 일정, 질병과 이를 대처하는 자세, 사회적 모순과 부조리에 대한 반성적 표출, 부인동 동약, 종중의대소사 등 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사가 사실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본 연구 에서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역중일기 의 작성 배경 및 구성, 그리고 18세기 대구지역에 거주했던 향촌 엘리트의 일상과 이 일기가 갖는 몇가지 가치를 살펴보았다. 역중일기 의 기록자는 영남지방 향촌사회에서 주로 활동하면서 당시 대구지역을 비롯하여 李象靖, 郭東朝, 李徑祿, 李聃命 등 다양한 인물들과 교유하며 인적 관계망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인적 관계망을 통하여 조선 후기 대구를 중심으로 한 사림들의 동향을 검토할 수 있었다. 특히 그가 李瀷에게 자제들의 교육을 맡긴 사실 등을 감안한다면, 18세기 대구 지역을 중심으로 한 기호사림과의 교유 관계망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은 학술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 않을 것이다. 또한 『역중일기 』에는 기록자가 『대구부읍지 』, 『禮儀補遺 』, 『磻溪隨錄』 등의 교정에 적극 참여하였음을 볼 수 있고, 그 진행 과정과 일상들이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가정에서 지내는 제례의 다양한 모습과 향내에서 지내는 기우제의 儀式이 잘 기록되어 있다. 역중일기 는 방대한 기간과 양, 그리고 당시 대구지역을 비롯하여 영남지방 향촌사회에 매우 지명도가 높은 인물이 기록한 일기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학계에 소개되지 않았다. 조선시대에 작성된 일기는 개별 자료마다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고, 일상의 사소한 부분을 포괄적으로 수록한 텍스트이다. 미시적 관점에서 볼 때, 『역중일기』 는 백불암의 문자활동을 비롯 하여 18세기에 영남지방 선비들의 일상을 재조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것이다. Yeok-joong-il-gi is a life diary which was written for 60 years from 1727 to 1786 by Baek-Bul-Am Choi Heung-Won(1705~1786). In Yeokjoong-il-gi , everyday affairs of noblemen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as the sexagenary cycle and weather condition of the day as well as farming conditions, social relationship, sightseeing schedule, disease and attitude of coping with diseases, self-reflective expression towards social absurdities and irrationality, Buindong-Dongyak, and all household matters of a clan are recorded realistically. By focusing on this respe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ackground and composition of Yeok-joong-il-gi , everyday life of elites of country districts who resided in Daegu in 18th Century, and values of the diary. The recorder of Yeok-joong-il-gi associated with and formed human network with various characters as Lee Sang-Jung, Kwak Dong-Joo, Lee Kyung-Rok, and Lee Dam-Myung in rural community of Yeongnam district.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review trends of scholars around Daegu in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human network. Specially, considering that he entrusted education of his children to Lee, Ik, the portion of assessing relational network with scholars he preferred around Daegu region in 18th Century will not be small in academic history. Also in Yeok-joong-il-gi , it is evident that the recorder actively participated in proofreading the Daegu Chronicle , Yeuiboyu , and Bangyesurok , and the process and daily routine are well documented here. Also, various ancestral ritual ceremonies held at home and ritual ceremony for rain in country districts are well documented. Yeok-joong-il-gi is not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yet even though it was recorded by a very well-known person in Daegu as well as in rural society in Yeongnam districts at the time over a vast period of time. Diaries written in Joseon Dynasty have unique characteristics by individual data which recorded minor part of life comprehensively. From microscopic point of view, Yeok-joong-il-gi is considered to prepare opportunities to review character activity of Baek-Bul-Am as well as everyday life of scholars in Yeongnam district of the 18th century.

      • 투고논문 : 일기(日記)를 통해본 지방관(地方官)의 일상(日常)과 공사(公私)의 경계(境界) -오횡묵(吳宖默)의 『고성총쇄록(固城叢쇄錄)』을 중심으로-

        오용원 ( Yong Won Oh ) 南冥學硏究院 2011 南冥學 Vol.16 No.-

        이 논문은 오횡묵이 固城 府使 재임시 자신의 일상을 기록한 『固城叢쇄錄』을 통하여 지방관의 일상 動線에서 公私務의 경계가 어떠한 지를 살펴본 것이다. 그는 旌善, 慈仁, 咸安, 固城, 智島 등 주로 지방관으로 재임하였고, 이 가운데 경상도에서 다수 재직하였으며, 특히 각 임지마다 자신의 일상을 일기 형식으로 일일이 기록하여 叢쇄錄 시리즈를 남겼다. 조선조 지방관의 업무는 공사의 구분이 모호하며, 登覽이나 遊船 같은 행위도 공무의 연장이라 인식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오횡묵은 등람을 통해 고성의 대표적 사찰이었던 와룡사, 운흥사, 내원사, 안장사, 옥천사를 비롯하여 거류면에 소재한 장의암의 사정을 상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또한절의 승려들과 漢詩를 酬唱하며 돈독한 교유관계를 유지했는데, 이런 일들은 그의 登覽이 심신 수양과 함께 지방관 공무의 연장이라는 인식을 뒷받침한다. 이 밖에 『고성총쇄록』에는 수령칠사를 중심으로 한 고성부사의 업무가 소상하게 기록되어 있어 19세기 지방관의 공무와 사회상 등을 개략적으로 살필 수 있었다. 오횡묵은 통제영에 延命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부세나 군역 등 지방관 업무의 상당 부분에 대해 지시를 받고자 통제영을 왕래했다. 고성부사의 공적 업무를 온전하게 검토하기 위해선 향후 이에 대한 정밀한 고찰이 필요하다. 오횡묵은 고성 부사직을 수행하면서 등람이나 유선 외에도 破寂을 위해 쌍육놀이를 즐기기도 하고, 삼짓날에는 화전놀이[花煎]을 나가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행위들이 일상적인지의 여부는 보다 심도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This paper examined how the public and private affairs of local governors were separated in their daily moving line through the 『Goseongchongsoairok(固城叢쇄錄)』 in which Oh Hoing-muk recorded his daily life during his term of Goseong governor. Oh Hoing-muk had served mainly local governor of Gyeongsang province, such as Jeonseon(旌善), Jain(慈仁), Hanan(咸安), Goseong(固城) and Jido(智島). He had recorded his everyday affairs in his posts one by one in diary form, so left chongsoairok(叢쇄錄) series. The duties of local governors of Joseon were unclear for public and private separation. They tended to take even hiking and boating as one of public affairs. From hiking, Oh explained detailedly not only the situations of temples in Goseong, such as Waryong-sa, Wunheung-sa, Naewon-sa, Anjang-sa and Okcheon-sa but the Janguiam located in Georyu-myeon. He also had kept close relation with Buddhist monks with reciting Chinese poems, which supports the recognition that his hiking was the mind and body training and, at the same time, the extension of public affairs. In addition, the duties of Goseong governors are recorded in detail with centered on the big seven duties of governor, so it generally shows the public affairs and society of local governors of the 19th century. Oh had been to Tongjeyeong not only for livelihood but also to receive instructions on the executions of tax and military service affairs. To examine the public affairs of Goseong governor fully, further precise research is necessary. Beside hiking and boating, Oh had enjoyed SSangyuk game to kill time and gone out to fry Hwajeon. However, deeper discussion should be given to find out whether such behaviors were common or not.

      • KCI등재

        『감계록(監戒錄)』을 통해본 19세기 전반 함창 재지사족의 생활양식(生活樣式)

        오용원 ( Yong Won Oh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0 嶺南學 Vol.0 No.18

        이 글에서는 洪洛建(1798-1841)이 30년 동안 그의 내밀한 일상과 친인척 주변사에 이르기까지 세세하게 기록한 생활일기를 통하여 함창 사족의 생활양식을 살펴보았다. 먼저 홍낙건의 가계와 그의 기록의식을 살펴보았고, 『감계록』이 일기 자료로서 갖는 성격도 밝혀 보았다. 이러한 기본적 고찰과 홍낙건의 일상 생활 속에 주어진 환경 조건을 추출하여 한 사족으로서 향촌사회에서 살아가는 방식인 생활양식들을 규명해보았다. 홍낙건은 19세기에 咸昌의 栗里에 거주하면서 관직에 나아간 적도 없었고, 그렇다고 학문을 온축하여 당대에 학자적 명망을 얻었던 적도 물론 없었다. 그의 생애사를 보면, 그는 향촌 사회의 지극히 평범한 사족으로서 자신의 분수에 만족하며 생을 마친 인물이다. 어쩌면 이러한 계층의 사람들이 조선시대 향촌사회를 주도하고 움직였던 저층의 구성원들인지도 모른다. 그나마 그의 생평에서 특징적인 면은 자신의 청장년기를 망라하여 기록한 『감계록』이 있다는 점이다. 이 글은 바로 이러한 그의 일상에 주목하여 집필하게 되었다. 그는 사족으로서 품위를 유지하기 위해 講學과 讀書를 통하여 儒者的 자세를 견지하였고, 집안의 가사 경영을 위해 직접 농사를 짓거나 각종 매매 등에 관심을 가지기도 하였다. 그리고 향촌 사회에서 문중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해 갖가지 門中 일에 적극 참여하여 주도적인 역할을 하기도 했다. 이러한 그의 일상은 무의식적으로 이미 자신에게 체질화 되어버린 하나의 생활양식들이었다. 다시말해, 누군가의 명령이나 지시에 의한 생활 양식이 아니라, 당시 향촌사회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환경이나 삶의 조건에 맞춰 살아가는 삶의 한 방식이었다. This article studied the lifestyle of noblemen of Hamchang[咸昌] region by examining 『Gamgyerok』, the daily life diary of Hong Nak-geon. Hong Nak-geon resided in Yul-ri[栗里] of Hamchang, had never entered government service and never gained any scholastic fame from other people out of his own learning. His life history suggested that he was just a very ordinary nobleman of country districts and lived out his life satisfying his own place. People of that kind, like Hong Nak-geon, might had been the low-class component who had led and moved the country society of Joseon. The most characteristic aspect of his common life is that he had wrote the 『Gamgyerok』 in which all the events of young adults and middle-aged period were contained. This article focused on the very daily life of Hong Nak-geon then sought the answer why he wrote 『Gamgyerok』 and how common mere noblemen had lived their life. He, to keep the dignity as nobleman, had maintained the posture of Confucianist through reading and education, and, to manage household economy, did farming in person or engaged in trade. He also participated and took initiative in many clan`s affairs with a view to strengthen the position of his clan in his country society. Such daily life was an unconsciously fixed, uncommanded, stereotyped lifestyle. In other words, it was the optimum way to adapt to the environment of country society of that time. It can be said that such lifestyle was a type of adaptationism which is found in the evolutionary sciences.

      • KCI등재

        역사철학 : 누정(樓亭)을 매개로 한 향촌(鄕村) 사족(士族)들의 결계(結契)와 운영(運營) -고령(高靈) 벽송정(碧松亭)과 벽송정유계(碧松亭儒契)를 중심으로-

        오용원 ( Yong Won Oh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1 嶺南學 Vol.0 No.20

        이 글에서는 碧松亭儒契에서 작성한 契案 유형의 일괄 자료를 통하여 碧松亭과 벽송정유계의 양자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벽송정을 경영했던 유계의 면모와 유계의 契員들이 감지했던 벽송정의 공간 감성을 분석하였다. 벽송정과 그 유계는 상호 친연 관계에서 병립할 수 있었는데, 그 속에 내재하고 있었던 것은 바로 相補性과 當爲性이었다. 또한 이 유계의 구성원들은 대부분 고령 지역 士族들로서 儒敎的 이념을 표방하여 이 유계를 창립하고 운영하였다. 이들은 양자의 병립을 지속하기 위해 다각도로 그 방안을 모색했고, 그 결과 양자는 지금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본고의 주 텍스트로 삼았던 벽송정유계 관련 고문서는 일괄 자료로서의 특장이 있으며, 아울러 작성한 시간적 범위나 전체 분량, 그리고 자료의 보존 상태면에 있어서 근래 보기드문 契案 관련 고문서이다. 벽송정과 벽송정유계는 비록 누정이라는 공간 세계가 그 중심에 서 있지만, 그 저변에는 전통시대 향촌 사회의 여론을 주도했던 사족들이 움직이고 있었다. 이러한 상관 관계를 구체적인 분석을 통하여 전통시대에 각 지방 향촌을 주도했던 사족들의 생활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As a member of a credit union of Byuksong-Jung Yugye, I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Byuksong-Jung, which is the pavilion established during the period of united Silla in Goryeong-gun, and its Yugye, which is the private meeting to promote friendship. Although the most members who ran the Byuksong-Jung and Yugye in the flow of long and rich history was the aristocrat who ruled the peasants country village during the late of Chosun Dynasty, there were people who lived in the other village and participated in the Yugye as members. This is because not only of the social status of Byuksong-Jung and Yugye itself but also of the peculiar potential energy between Byuksong-Jung and its Yugye. Both sides based on these power could keep the original form up to this day after all. This thesis examined bilateral relations between Byuksong-Jung and Byuksong-Jung Yugye through batch references as a type of Gye agenda written in Byuksong-Jung Yugye. The aspect of Yugye which managed Byuksong-Jung and the space sense of Byuksong-Jung that was perceived by the members of Yugye in this process. The Byuksong-Jung and its Yugye could be compatible in the mutual relative relationship, and the justification and the complementary were inhered in it. Also, the members of this Yugye were mostly aristocrats in Goryeong district, and they established and managed this Yugye by claiming to advocate Confucian ideas. They sought the ways to continue the compatibility of both sides from various angles, and, as a result, the both sides were reached to what they are now. The ancient documents related to the Byuksong-Jung Yugye as the texts in this manuscript were batch references, and those references are the rare references lately in the time scope, entire amounts, and the state of preservation. Although the space world called pavilion is centered in Byuksong-Jung and Byuksong-Jung Yugye, the movements of aristocrats of the traditional country village were based on them. If it analyzes the correlation in detail, it could well reveal the lifestyle of the aristocrats who led the each village in the traditional ag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