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조직정치 지각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LMX 조절효과 중심으로-

        오영주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조직정치 지각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LMX 조절효과 중심으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 대형항공사 및 저비용항공사 객실승무원 300명을 대상으로 2018년 4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318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작성된 24부를 제외한 294부의 설문조사 결과를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에 활용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핵심적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정치 지각은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하위 구성요인인 방임 및 아부행위와 불공정 인사행위 모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둘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조직정치 지각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LMX에 의해 약화될 것이다는 하위 구성요인인 방임 및 아부행위와 LMX의 관계에서는 유사조적효과를 보이는 것이로 나타나 채택되었으나, 불공정 인사행위와 LMX는 유의수준을 확보하지 못하여 기각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flight attendant’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nalyze moderating effect of LMX. For this study, the author conducted a survey of 300 flight attendant’s from both major and minor airlines from Aprile 2018. With the 318 survey responses, excluding 24 responses that were answered insincerely, the author carried out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practical analysis. The summary of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the first hypothesis that flight attendant’s perception of organzational politicss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ther words, all kinds of organizational politics had a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ly the second hypothesis that LMX performed moder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poli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 have shown that LMX has effect on negleting and brownnosing have proved negative, thereby adopted, however the LMX has effect on unfair personnel practices, thereby adopted.

      • Revisiting Cambrian Rhynchonelliform Brachiopods and Helcionelloids from the Korean Peninsula : Systematic Revision, Biostratigraphy, Phylogeny, and Paleobiogeography

        오영주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hynchonelliform brachiopods and helcionelloids (univalved mollusks) from the Korean Peninsula are systematically revised upon the basis of examination of type specimens and new material collected from the Cambrian Mungyeong Group of South Korea. The Korean rhynchonelliform brachiopod fauna includes Nisusia paucicostellata and Nisusiidae gen. sp. indet. and helcionelloid fauna comprises Coreospira rugosa, Hampilina goniospira, Dorispira acuticosta pacifica, cf. Igorella coreanica, and Helcionelloid gen. sp. indet. Based on the occurrences of the Korean helcionelloids and relevant trilobite biozones, the Korean rhynchonelliform brachiopods and helcionelloids are considered to stratigraphically range from the base of Maochuangian Stage to the lower part of Hsuchuangian Stage of North China chronostratigraphical scheme which corresponds to the upper part of Stage 4 to lower part of Wuliuan Stage. Some helcionelloid specimens of Coreospira and Hampilina show enigmatic septal morphology in the apical region. Siphuncle-like circular structure and simply convex septa of Coreospira and complex curviplanar septa of Hampilina can be considered for evolutionary context of univalved molluscan group. Phylogenetic and paleobiogeographic analyses were conducted to infer the evolutionary and paleobiogeographic history of the family Nisusiidae, a Cambrian rhynchonelliform brachiopod group. Matrix with 27 characters and 26 nisusiid taxa including two species from the Sino-Korean platform was analyzed using parsimony methods. Two paleobiogeographic results generated by different algorithm (parsimony-based and maximum likelihood-based methods) were compared to trace paleobiogeographic history of the family Nisusiidae. The phylogenetic analysis resulted in 80 most parsimonious trees with tree length of 126. Based on multiple stratigraphic congruence indices, a single tree was selected for the interpretation. The tree demonstrates that the non-spinose nisusiids including genera Bellistrophia, Narynella, and Eoconcha form the most derived clade and Nisusia forms a paraphyletic group with a clade consisting of nine Nisusia species. The character state transformations show that the nisusiids may have evolved 1) from strongly spinose to non-spinose condition, 2) from procline or catacline to apsacline state of the ventral interarea, and 3) from at the umbo to mid-valve position of the highest point of the ventral valve, moving anteriorly. Both paleobiogeographic analyses support that the family Nisusiidae originated around 518 Ma in Laurentia and strongly diversified during the Stage 4 or before the Wuliuan, and the spinose nisusiids subsequently diversified into South China, Siberia, low-latitude peri Gondwana and Sino-Korea via high-latitude peri-Gondwana, while the non-spinose nisusiids were mainly confined to Laurentia. Estimated paleobiogeographic patterns indicate that major oceanic currents possibly influenced long-distance dispersals in the evolution of the family Nisusiidae. 북한의 평남분지와 남한의 태백산분지에 분포하는 캄브리아기 퇴적층에서는 완족동물(rhynchonelliform brachiopod)과 단각 연체동물(univalved mollusk) 헬시오넬로이드(helcionelloid) 화석이 산출된다. 이 연구는 한반도에서 기존에 보고되어 도쿄대학교 부속 박물관에 소장 중인 모식표본뿐만 아니라, 암층서적으로 태백산분지 문경층군에 속하는 문경 하내리 일대의 탄산염암층에서 새롭게 발견된 캄브리아기 완족동물 및 단각 연체동물 화석을 분류학적으로 재기재한다. 분류학적 결론을 바탕으로, 이를 활용한 생층서, 계통학 그리고 고생물지리학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분류학적 재기재 결과, 한반도에서 산출되는 캄브리아기 완족동물 및 단각 연체동물 화석군은 다음 분류군으로 구성된다: Nisusia paucicostellata, Nisusiidae gen. sp. indet., Coreospira rugosa, Hampilina goniospira, Dorispira acuticosta pacifica, cf. Igorella coreanica 그리고 Helcionelloid gen. sp. indet. 한반도의 단각 연체동물 산출 기록 및 관련된 삼엽충의 생층서대를 바탕으로 한 생층서 대비 결과, 캄브리아기 완족류와 단각 연체동물 화석군이 산출되는 문경층군 탄산염암층 최하부의 층서 범위는 캄브리아기 제2세 제4절 후기에서 미아오링기안세(Miaolingian) 울리우안절(Wuliuan)에 이를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Coreospira 및 Hampilina 단각 연체동물 화석 표본의 첨단부(apical region)에서 격벽 구조가 확인되었다. Coreospira에서 나타나는 두족류의 수관과 흡사한 원형 구조 및 완만하게 볼록한 격벽면(septal surface)과 Hampilina에서 관찰되는 복잡한 격벽 구조는 헬시오넬로이드(helcionelloid) 연체동물군의 초기 진화 역사에 있어서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캄브리아기 완족동물 Nisusiidae의 진화 및 고생물지리학적 역사를 해석하기 위해 계통학적(phylogenetic) 분석과 고생물지리학적(paleobiogeographic) 분석이 수행되었다. 태백산분지 문경층군에서 산출된 두 종을 포함하여 27개 형질과 26개 종으로 구성된 행렬이 구성되었으며, 이 행렬을 파시모니(parsimony)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계통학적 분석에 이용하였다. 고생물지리학적 해석을 위해서 파시모니(parsimony) 및 최대가능법 (maximum-likelihood)을 기반으로 하는 서로 다른 두 분석법을 적용하여 도출된 결과를 비교하였다. 계통분석을 통해 분기도 길이가 126인 80개의 가장 간결한 분기도를 획득하였으며, 층서 일관성 지수(stratigraphic congruence indices)를 바탕으로 이들 중 하나의 분기도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분기도에 따르면, Nisusia는 측계통군(paraphyly)을 형성한 반면에, 패각 표면에 가시가 없는 Bellistrophia, Narynella 그리고 Eoconcha는 상당히 분화된 위치에서 단계통군(monophyly)을 형성하였다. 분기도 상에서 관찰된 nisusiid 완족동물의 형질 상태 전이 양상은 다음과 같다: 1) 패각 표면의 가시가 굵고 뚜렷한 형태에서 작고 촘촘한 형태를 거쳐 없어졌다. 2) 배각(ventral valve)의 인터에어리어(interarea) 상태가 procline 또는 catacline에서 apsacline 형태로 전이되었다. 3) 배각의 가장 볼록한 지점이 각정(umbo)에서 패각의 중간 부분으로 이동하였다. 고생물지리 분석 결과, Nisusiid 완족동물은 약 5억 1800만 년 전 로렌시아 (Laurentia)에서 기원하여 캄브리아기 제4절에서 울리우안절 초기에 활발하게 종분화 한 것으로 보인다. 패각 표면에 가시를 갖는 Nisusia는 로렌시아로부터 고위도의 곤드와나 주변부를 거쳐 남중국, 시베리아, 저위도 곤드와나 주변부 및 한반도로 확산하며 종분화 한 반면에, 가시가 없는 nisusiid 완족동물은 로렌시아 주변에서만 한정하여 종분화를 겪은 것으로 해석된다. 캄브리아기 당시 해류 분포와 해수면 변동 등 다양한 환경 조건들이 nisusiid 완족동물의 대륙 간 장거리 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하였을 수 있다.

      • 농업지대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군락분류 및 서식지 환경평가

        오영주 高麗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농업지대에 분포하고 있는 식생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통하여 군집을 분류하고, 군집과 환경과의 관계, 비오톱 유형간의 비교를 통하여 농업지대에 분포하고 있는 식생군락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농업지대의 비오톱의 유형으로는 선형공간으로 논둑(59지점), 농수로(65지점), 밭둑(57지점), 하천변(24지점), 임연부(44지점), 도로변(44지점)과 비선형공간으로 휴경지(55지점), 밭둑(57지점), 과수원(15지점), 해안사구-나지(21지점), 초지(21지점)의 총 10개 비오톱 유형에서 405지점에 방형구를 설치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는 농업지대 서식하는 식생군락을 8군강, 8군목, 8군단, 7군집, 2아군집, 32군락으로 구분되었다. 2. 농업지대의 유형별로 출현한 군집구분은 아래와 같다. 논둑 : 3군단, 3군집, 3군락, 농수로 : 3군단, 2군집, 4군락 밭둑 : 3군단, 2군집, 5군락, 휴경지 : 3군단, 2아군집, 7군락 과수원 : 1군단, 1군집, 3군락, 하천변 : 2군단, 2군집, 4군락 임연부 : 4군단, 2군집, 4군락, 도로변 : 1군단, 1군집, 4군락 해안사구-나지 : 6군단, 1군집, 8군락, 초지 : 3군단, 1군집, 6군락 3. 각 유형별로 TWINSPAN을 이용한 집괴분석에서 특정종의 유무, 상재도에 의하여 식물사회학적 군락분류와 거의 일치하였고, DECORANA(DCA)를 이용한 요인분석에서는 각 군집들이 토양특성에 따라 배열되었다. 4. 생활형 조성에서는 농업지대의 답압의 원인으로 1년생 식물(Th)이 41.9%로 가장 높았고, 임연부는 21.1%로 답압이 가장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5. 종다양성은 임연부와 과수원이 높고, 해안사구-나지가 가장 낮았다. 서식지 유형간 유사도 분석에서는 논둑과 농수로가 가장 높고, 임연부와 해안사구-나지가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6. 조사지역의 토양환경은 토양경도에서 해안사구-나지와 초지가 높았으며, 하천변과 임연부가 낮았다. 토양 pH는 해안사구-나지가 pH 6.9로 높았고 삼림과 가까운 임연부 pH 5.6으로 낮았다. EC는 해안사구-나지가 903ds/cm로 절대적으로 높았다. 토양의 수분함량은 논둑, 휴경논, 하천변에서 높게 조사되었다. 토양의 전질소 함량은 과수원과 초지가 0.247%와 0.202%로 높게 분석되었다. The vegetation communities in the Korean agricultural area were classified by the Z-M school of phytosociology method. The location environment of the plant communities in each biotope type was defined through correlation and soil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The vegetation communities in the agricultural area classified into 8 classes, 8 orders, 8 alliances, 7 associations, 2 subassociations and 32 communities. 2. The agricultural vegetations in each biotope type were classified as follows : Paddy levee : 3 alliances, 3 associations, 3 communities Irrigation ditch : 3 alliances, 2 associations, 4 communities Upland levee : 3 alliances, 2 associations, 5 communities Fallow land : 3 alliances, 2 subassociations, 7 communities Orchard : 1 alliance, 1 association, 3 communities Streamside : 2 alliances, 2 associations, 4 communities Edge of forest : 4 alliances, 2 associations, 4 communities Roadside : 1 alliance, 1 association, 4 communities Shore dune-bare land : 6 alliances, 1 association, 8 communities Grassland : 3 alliances, 1 association, 6 communities 3. The vegetation communities by cluster analysis using TWINSPAN in the habitat type divided each group of them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special species. Factor analysis by DECORANA(DCA) arranged the associations according to the soil properties. 4. Due to stamping in the crop land the annual plants occupied 41.9%, while 21.1% of annual plants occurred in the edge of forest. 5. The highest species diversity was obtained in the edge of forest and orchard, while shore dune-bare land showed the lowest species diversity. By the similarity analysis among the types of biotope, paddy levee and irrigation ditch showed the highest similarity, while the lowest similarity were measured in the edge of forest and shore dune-bare land. 6. Shore dune-bare land showed the highest value of soil hardness, on the other hand stream side and edge of forest showed the least soil hardness. Shore dune-bare land showed soil pH of 6.9 that was the highest value among all the research sites incorporated in this research and the edge of forest showed pH 5.6. The EC(electrical conductivity) in the soil showed the highest value of 903 ds/cm in shore dune-bare land. The soil moisture content was high in paddy levee, fallow land and stream side. The total nitrogen contents in the orchard and grass land was 0.247% and 0.202%, respectively.

      • 포맷프리 저장 방식 블랙박스의 효율적인 영상 복구 방안에 관한 연구

        오영주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사용하는 포맷프리 저장 방식은 충격 또는 갑작스런 전원 차단에도 녹화 영상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개발된 저장 방식이다. 기존 차량용 블랙박스 분석은 미할당 영역과 슬랙 영역에서 삭제된 영상을 복구하였으나, 차량용 블랙박스의 포맷프리 저장 방식은 기존 분석 도구에서 지원하지 않아 미할당 영역과 슬랙 영역을 분리하여 삭제된 영상을 복구할 수 없다. 따라서, 전체 영역에서 영상을 복구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본 논문에서는 포맷프리 저장 방식이 적용된 블랙박스를 선정하여 저장 구조를 분석하고 기존 영상 복구 방식의 한계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미할당 영역과 슬랙 영역을 분리하는 영상 복구 방식을 제안하고, 이 방식에 적용된 포렌식 분석 도구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 중추신경계 축삭절단 이후 적핵척수로 신경세포에서 활성화된 전사인자 c-Jun 발현의변화

        오영주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추신경계 신경세포의 축삭 재생 능력은 말초신경계 신경세포에 비해 매우 감소되어 있다. 말초신경계 축삭 손상 이후 후근 신경절 감각 신경세포들은 재생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급격히 증가하여 축삭재생 능력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척수 손상과 같은 중추신경계의 손상 이후에는 신경세포체에서 재생관련 유전자의 발현증가가 관찰되지 않고, 이러한 손상 후 재생관련 유전자 발현 유도의 결여가 중추신경계 축삭재생 실패의 중요한 내인성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실험실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말초신경계 축삭 손상 이후 후근 신경절 감각신경세포 주변에 대식세포가 활성화 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이러한 대식세포의 활성화가 재생관련 유전자를 증폭하거나 혹은 수개월 이상의 장기간의 발현 증가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입증한 바 있다. 반대로 동일한 후근 신경절 감각신경세포의 중추신경계 축삭이 손상되었을 경우 대식세포의 활성화가 일어나지 않음을 관찰하여, 중추신경계 축삭 재생의 실패가 대식세포 활성화의 실패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중추신경계 축삭 재생의 실패가 절단에 의하여 손상된 축삭 말단에서 생성되는 후향성 손상신호(retrograde injury signal)가 세포체로 잘 전달이 되지 않고 이로 인하여 재생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유도되지 않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나는 중추신경계 축삭 손상 후 잘 알려진 재생관련 유전자의 하나인 c-Jun 전사인자의 활성화를 축삭이 절단된 중추신경세포에서 발현하는 관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c-Jun 활성화를 유도하는 후향성 손상신호가 중추신경계 이후 발생하고 세포체로 잘 전달이 되는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나는 중추신경 축삭 절단 모델로 경추 4번에 해당하는 척수에 반측절제술을 시행한 후, 손상 받은 척수의 반대측 적핵척수로 신경세포(rubrospinal neuron)에서 재생관련 유전자의 발현과 대식세포 활성화를 조사하였다. 축삭이 절단된 적핵척수로 신경세포를 확인하기 위해 손상 받은 축삭말단 부위에 신경세포 신호를 역행 추적하는 Fluoro-Gold를 병변 주변에 주입하고 Fluoro-Gold가 양성이 신경세포에서 재생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조사한 재생관련 유전자 중 GAP-43, phospho-STAT3의 발현이 관찰되지는 않았지만, phospho-c-Jun의 뚜렷한 발현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 예상했던 바와 같이 축삭이 손상된 적핵척수로 신경세포 주위에 IBA-1 양성 대식세포의 활성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다음으로 축삭이 절단 된 후 1일, 3일, 7일, 14일, 28일 시간 경과에 따라 적핵 신경세포에서 phospho-c-Jun 의 발현이 어떻게 변화 되는지 관찰하였는데, 손상 후 약 3일 경부터 발현이 증가하여 7일째에 가장 많이 발현하고 14일째부터는 감소하여 28일째에는 대조군과 같은 정도로 감소함을 관찰하였다. 또한 축삭손상 후 축삭 말단에서의 후향성 손상신호의 발현양상을 western blot으로 조사하였는데, phospho-JNK와 phospho-STAT3가 모두 손상 근위부 척수에서 1, 3일째에 활성화됨을 관찰하였는데, 적핵이 존재하는 중뇌에서는 phospho-JNK의 활성 증가는 관찰할 수 있었으나 phospho-STAT3의 활성증가는 관찰할 수 없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중추신경계계 축삭 손상 이후에도 JNK와 STAT3가 후향성 손상신호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하였고, 이 중 STAT3는 세포체에서는 신호가 억제되고 JNK 활성화에 의한 c-Jun의 활성화만이 후향성 손상신호로 신경세포체에 전달될 것을 생각되었다. 이렇게 일시적 증가만 관찰되고 장기적인 유지가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나는 활성화된 c-Jun이 최소한 수개월간 발현 증가가 유지되는 말초신경계와 달리 중추신경계계 축삭 손상 이후에는 1-2주 이후 phospho-c-Jun 발현이 감소되는 것이 축삭손상 후 신경세포 주위에 대식세포 활성화가 일어나지 않는 것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본 실험실의 선행연구에서 말초신경 축삭손상 후의 대식세포 발현 증가가 CCL2에 의하여 매개됨을 관찰한 바 있었다. 따라서 나는 CCL2를 중추신경계 세포체 주위에 주사하면 재생촉진 대식세포가 활성화되고, 이로 인하여 축삭 손상 후 재생 관련유전자의 발현증가가 오랫동안 유지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재조합 CCL2를 대뇌 신경세포체 주위에 주사하였다. 하지만 예상과는 달리 CCL2 주사에 의한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전혀 관찰할 수 없었다. 이러한 이유가 뇌조직 특이적 대식세포인 소교세포와 말초대식세포의 특성 차이인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CCL2 수용체인 CCR2와 CCR4의 발현을 조사하였는데, 말초대식세포에 비하여 소교세포에서는 두 수용체 모두 발현이 매우 저하되어 있었고, CCL2에 의해서 발현이 증가하지도 않았다. 또한 말초 대식세포는 CCL2 처리에 의하여 M2 타입의 재생촉진 표현형을 나타내었지만, 소교세포에서는 이러한 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 나는 본 석사학위 연구를 통하여 중추신경계 축삭 손상 이후에도 말초신경계 축삭 손상에서 관찰되는 후향성손상신호가 생성되고 근위부로 전달됨 알 수 있었고, 이러한 후향성손상신호에 의하여 활성화는 c-Jun 전사인사의 인산화는 말초신경계와는 달리 일시적인 증가만을 보이고 장기간 활성화가 유지되지 않음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중추신경계 축삭 손상 이후 신경세포체 주위에서 대식세포가 활성화되지 않는 것과 연관이 있을 것을 시사하였다. 하지만 말초신경계계 축삭 손상 이후 재생촉진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는 CCL2의 수용체가 소교세포에서는 발현이 매우 저하되어 있고, 이로 인하여 CCL2 주사에 의한 대식세포의 활성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중추신경계 축삭 손상 후 재생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후향성손상신호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이 아니라 재생촉진 대식세포의 활성화 결여로 재생관련 유전자의 활성화가 장기간 유지되지 않기 때문임을 시사하였다. 또한 중추신경계에서 재생촉진 표현형을 가지는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CCL2 이외의 다른 케모카인 신호가 필요할 것임을 시사하였다.

      • 슈만 피아노 성격소품「Carnaval op.9」의 양식적 특성과 연주기법에 관한 고찰

        오영주 동아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낭만주의 정신은 음악사뿐만 아니라 예술 사조에 있어서도 대단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왜냐하면 낭만주의 정신은 어느 한 가지 예술에만 국한한 것이 아니라 여러 예술들 간의 상호 융합을 주안점으로 했기 때문이다. 음악분야도 음악뿐 아니라 다른 타 예술을 수용하여 더욱 새롭고 풍부하고 주목할 만한 놀라운 결과들을 낳았다. 슈만은 이러한 낭만주의를 앞장서 선도했다. 그의 뛰어난 상상력과 독창성은 음악과 문학의 새로운 연결을 시도하여 음악에 표제성을 부여하였다. 동시에 형식상의 문제에서 벗어나 성격소품(Character piece)이라는 장르로 자신의 자유로운 상상력을 펼치며 피아노 음악 분야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슈만의 대표적인 성격소품「Carnaval op.9」는 그의 독창성이 돋보인다. 그는 옛 연인의 고향 지명(ASCH)이자 자신의 이름 철자(SCH umAnn)에서 가져온 4개의 철자 A-S-C-H를 인용하여 A-E♭-C-B(독일어 음명에서 S는 영어의 E♭을 지칭하며 H는 B를 지칭함.)라는 음형을 만들어 곡 전체를 통일시키는 형식적 요소(Formal element)로 사용하였다. 또한 다양한 표제로 각 소품들의 성격과 분위기를 묘사하였다. 나아가 당김음, 헤미올라, 빈번한 전조, 자유스러운 비화성음과 불협화음, 변화화음 등의 잦은 사용으로 조성의 모호성을 시도하고, 갑작스러운 악상 기호의 사용으로 곡의 긴장도를 높였다. 그리고 고전적인 주제 발전을 포기 한 채, 마치 바로크적 형식으로 회귀한 듯 짧은 주제 동기를 단순히 반복한다. 다른 한편, 슈만은 음형의 반복을 통한 이러한 바로크적 단순함을 화성적 변화를 통한 다양한 음색으로 극복한다. 이와 같이 슈만은 독일음악의 전통과 시대의 낭만주의 정신 위에 그의 놀라운 상상력과 독창성을 담아 성격소품의 특징적인 요소들로 드러냈다. 성격소품「카니발」의 생성사와 양식적 특성 그리고 연주기법에 관한 이 논문이「카니발」의 효과적인 연주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한국판 DriveABLE Cognitive Assessment Tool(DCAT-K)의 신뢰도 및 타당도

        오영주 건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DriveABLE Cognitive Assessment Tool(DCAT-K) for normal adults and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 60 normal adults and 45 stroke patients were evaluated by using the DCAT-K. 31 stroke patients were revaluated using the DCAT-K after a week in order to verify the test-retest reliability. Also the performance results of the normal adults and stroke patients were compared for discriminant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was verified by performing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of DCAT-K and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Korean(MMSE-K), Trail Making Test-A(TMT-A), Trail Making Test-B(TMT-B). Results : The DCAT-K performanc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p<.01) depending on the age group. A correlation coefficient in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DCAT-K was very high as .909~.928(p<.01). Also a correlation coefficient in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subitems was significant as .479~.866(p<.01). The DCAT-K results showed high discrimination validity implying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normal adults and stroke patients. The concurrent validity was verified because showing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CAT-K and MMSE-K, TMT-A, TMT-B. Conclusion : The DCAT-K can be used as an objective driving assessment tool that can predict the risk of driving for patients with cognitive impairment because it has a significant reliability and validity.

      • 옥수수 (Zea mays)에서 옥신과 화학적 스트레스에 의한 알데히드 산화 효소의 활성 조절에 관한 연구

        오영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식물체에는 여러 가지 호르몬이 존재하며, 이 호르몬들의 상호 작용에 의해 식물의 생장과 발달, 분화가 조절된다. Auxin은 대표적인 식물 호르몬으로서, 뿌리 생장 억제, 줄기 생장 촉진, 에틸렌 생합성 촉진의 3가지 활성을 모두 가지는 물질을 말하며, 식물체 내에는 indole-3-acetic acid (IAA)가 가장 널리 존재한다. IAA 생합성 과정은 Trp-의존적 과정과 Trp-비 의존적 과정으로 나뉘는데, 식물체에서 90% 이상은 Trp-의존적 과정에 의해 IAA를 합성하며, 이 과정은 크게 nitrilase에 의해 indole-3- acetonitrile (IAN)이 IAA로 전환되는 경로와 알데히드 산화 효소 (aldehyde oxidase; AO)에 의해 indole-3-acetaldehyde (IAAld)가 IAA로 전환되는 경로로 나뉜다. Nitrilase에 의한 IAA 합성과정은 이미 Arabidopsis와 옥수수에서 많이 알려져 있으나, AO에 의한 과정은 연구가 아직 미미한 상태이다. Nitrilase는 Arabidopsis, 옥수수, 담배 등 일부 식물에만 존재하는 반면 AO는 모든 식물체가 가지고 있는 효소이다. 그러므로 AO에 의한 IAA 생합성 경로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AO가 IAA 생합성 과정에 관여한다는 것을 증명하고, AO 활성 증가가 처리된 auxin에 의하여 증가되는 현상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에 대한 결과를 재현하기 위하여 옥수수에 대표적인 인공 옥신인 1-Naphthalene acetic acid (1-NAA)와 AO의 억제제인 sodium tungstate (ST)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AO 활성이 auxin에 의하여 증가하고 ST에 의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옥수수에 6일간 ST를 처리했을 때, 옥수수에서 auxin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lateral root 발생 빈도가 감소하였다. 그리고 다른 여러 호르몬과 화학 약품들의 처리에 의해서도 AO 활성이 변화하는지 측정한 결과 이들에 의해서도 AO 활성이 증가하였지만 auxin에 의한 AO 활성 증가와는 양상이 달랐다. 다양한 aldehyde 계열의 substrate를 사용하여 AO 활성을 측정한 결과, 식물체의 AO는 고리구조를 보유한 aldehyde만을 substrate로 사용하였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auxin에 의한 AO 활성과 식물체 내부의 free IAA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1-NAA와 ST를 처리한 시료로부터 AO 활성을 측정하고, HPLC와 GC-MS를 이용해 free IAA 함량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의 free IAA 함량은 약 164.4 pmol/g.f.w으로 측정되었고, 이를 기준으로 1-NAA 처리에 따른 free IAA 함량은 1 μl 1-NAA를 처리하였을 경우 약 1.5배, 10 μl 1-NAA를 처리하였을 경우 약 1.3배, 그리고 100 μl 1-NAA를 처리하였을 경우 약 1.2배 정도의 증가를 보였다. 그리고 0.1 mM ST, 농도별 1-NAA와 ST를 동시에 처리한 경우에는 free IAA양의 변화가 없었다. AO 활성 변화와 free IAA 함량이 어느 정도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호르몬의 항상성 기능에 의해 AO 활성과 free IAA 함량사이에 정비례적인 관계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식물체에 외부물질을 처리할 때, 비수용성 물질을 용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알코올이 식물의 분자생물학적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옥수수 AO를 바탕으로 조사하였다. Ethanol, 1-propanol, 1-butanol 과2-butanol은 식물의 뿌리 발달을 방해하였다. 반면에 methanol은 식물의 발달과 분자생물학적 현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Auxin is a major regulator of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especially in root system. Biosynthestic pathways of auxin could be either dependent or independent of tryptophan under different conditions. In maize. IAA is mainly derived from Trp. The Trp-dependent pathways consist of two major ways whose final steps are catalyzed by either nitrilase (EC 3.5.5.1) or aldehyde oxidase (AO; E.C 1.2.3.1). The role of nitrilase in IAA biosynthesis has been reported in Arabidopsis and maize. However, the main weakness of nitrilase as the general auxin biosynthetic enzyme is its limited distribution in plant kingdom. Because aldehyde oxidase is ubiquitous in plants, this enzyme may fulfill the requirement as the general enzyme for auxin synthesis. However, the role of aldehyde oxidase in auxin biosynthesis still remains to be verified. In this thesis, I investigated the function of aldehyde oxidase in the context of auxin biosynthesis. Activity of aldehyde oxidase was stimulated by exogenously applied auxin to the plants, and inhibited by sodium tungstate. The number of lateral roots, whose development is promoted by auxin, was decreased with treated sodium tungstate, suggesting the lowered level or activities of auxin. To examined the possibilities that the promoted aldehyde oxidase activities were due to a chemical stress caused by exogenously applied auxin in high concentrations, I observed characteristics of auxin- and stress hormone-stimulated aldehyde oxidase activities. Auxin increased the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of aldehyde oxidase. However, stress homones, e.g. ABA and MeJA, and other chemicals did not affect the transcription, but increased translation. Auxin-mediated activation of AO was independent of ABA3, the molybdenum cofactor sulfurase activating AO. However, stress-caused promotion of AO activities were via ABA3 induction. These differences suggested that the promotion of AO activities was really due to auxin activities. Ineffectiveness of 2-NAA, inactive homologue of 1-NAA, supported the idea.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AO activity and level of endogenous free IAA, quantified free IAA by HPLC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in the primary root tip of maize treated with 1-NAA or ST. The determined level of free IAA revealed 166.4 pmol/g.f.w in control, 233.8 pmol/g.f.w in 1 μM 1-NAA and 219.9 pmol/g.f.w in 10 μM 1-NAA. According to treat with 1-NAA increased of free IAA level. However, with 100 μM 1-NAA free IAA level was not increased in spite of highly stimulated AO activities. This observation may be explained by auxin homeostasis due to conjugation. Finally, I tested effects of alcohols on the growth of maize seedlings and AO activities. Maize growth was unaffected by methanol, but hindered by ethanol. More interestingly, n-propanol strongly inhibited the growth, but iso-propanol did not. The hydroxyl group attached to the linear carbon back bone may be correlated with the growth inhib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